KR200491010Y1 -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10Y1
KR200491010Y1 KR2020180002546U KR20180002546U KR200491010Y1 KR 200491010 Y1 KR200491010 Y1 KR 200491010Y1 KR 2020180002546 U KR2020180002546 U KR 2020180002546U KR 20180002546 U KR20180002546 U KR 20180002546U KR 200491010 Y1 KR200491010 Y1 KR 200491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control
closing device
window
control tip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20U (ko
Inventor
재복 강
최병노
Original Assignee
재복 강
최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복 강, 최병노 filed Critical 재복 강
Priority to KR2020180002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1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5Applicability
    • E05Y2800/17Universally applicable
    • E05Y2800/172Universally applicable on different wing or frame locations
    • E05Y2800/174Universally applicable on different wing or frame locations on the left or right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연창 중 미서기형 배연창에 설치되는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중간에 센터슬롯부가 위치되고 체인단부에 간극조절선단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좌우구별없이 설치가 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전용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작동실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실 내에 모터와 연동되는 스프로켓에 체인이 걸려 구비되고, 버튼이 장착된 끝단 커버가 작동실 끝단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인 일단부에 간극조절선단이 결합되고, 간극조절선단은 연동브라켓으로 미서기창문과 결합되어 연동된다. 이때, 간극조절선단이 동작되는 센터슬롯부 상에 마이크로스위치가 위치되어 간극조절선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for windows}
본 고안은 배연창 중 미서기형 배연창에 설치되는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중간에 센터슬롯부가 위치되고 체인단부에 간극조절선단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좌우구분없이 설치가 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도 건물이나 오피스텔 아파트 등에서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보다는 동반되는 유독가스(연기)에 의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고 있어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건축법에서는 일정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에 반드시 배연설비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배연설비 중 배연창은 미서기형, 수평회전형, 수직회전형, 들창형, 미들창형이든 종류에 관계없이 건축물의 바닥면적에 의해 각각의 기준으로 유효면적이 산정되며, 반드시 연기감지기 또는 열 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리는 구조이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관련 법규들은 좀 더 세분화되고 정밀해지고 있으나, 현재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배연창 자동개폐장치는 대부분 미들창형으로 생산되고 있어 배연설비와 관련하여 창문 종류별 최적화된 배연창 자동개폐장치의 세분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의 미닫이창 개폐장치의 경우 일예로 출원 20-2004-3208호와 같이 내부에 모터와 기어, 혹은 체인 및 레일부 등을 포함하고 동작 기어 혹은 체인이 미닫이창문과 브라켓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종래의 창문개폐장치의 경우, 동작 기어 혹은 체인이 동작되는 개폐장치커버의 개방부나 개방홈은 항상 커버의 모서리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좌우가 확실하게 구분되어 설계되어진 것으로 실제 시공현장에서도 미닫이창의 좌우에 따라 미닫이창 개폐장치를 좌측형 우측형으로 나누어 따로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시설 뿐만 아니라 공정 또한 추가되고, 제작과 시공에 번거로움이 있으며 제품단가와 함께 공급가도 인상되어 널리 보급되기 못하는 큰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배연설비시공현장에서도 배연설비의 제작 설치규범에 준하여 제작된 미서기형 배연창전용 자동개폐장치의 보급이 절실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중간에 센터슬롯부가 위치되고, 체인의 일단부에 간극조절선단이 구비되어 형성됨으로써 좌우구분없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에 작동실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실 내에 모터와 연동되는 스프로켓에 체인이 걸려 구비되고, 버튼이 장착된 끝단 커버가 작동실 끝단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인 일단부에 간극조절선단이 장착되고, 간극조절선단은 연동브라켓으로 미서기창문과 결합되어 연동된다. 이때, 간극조절선단이 동작되는 센터슬롯부 상에 감지기가 위치되어 간극조절선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조이다. 센터슬롯부는 미서기형 배연창의 자동개폐장치 하우징의 정중간에 위치하여(intermedicate located) 형성되되, 하우징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간극조절선단에 연결되는 연동브라켓의 일측은 장방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간극조절선단과 연결되고, 연동브라켓의 타측은 ㄱ자형으로 꺾여 미서기창에 볼트결합되어지는 구조로 연동브라켓의 방향을 반대로 돌려 장방형 통공을 간극조절선단에 끼워 결합하면 바로 좌우구분없이 사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체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간극조절선단은 하우징의 센터슬롯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동작하는 구조로 이는 미서기형 배연창의 좌우구분없이 바로 설치가능하게 하는 구조인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폐쇄장치는 좌측형, 우측형 구별없이 180°돌려서 바로 설치가 가능한 큰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폐쇄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a은 도 1의 간극조절선단 확대사시도
도 3b는 자동폐쇄장치 내에 설치된 간극조절선단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도 1의 하우징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10)는 하우징(12)의 일측에 작동실(23)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실(23) 내부에 모터(231)와 연동되는 스프로켓(16)이 구비되되, 상기 스프로켓(16)에 체인기어(15)가 걸려 전,후진 슬라이드 동작된다.
상기 체인기어(15)의 일단부에 간극조절선단(13)이 결합되어 체인기어(15)와 연동된다. 상기 간극조절선단(13)은 상부에 통공이 형성된 연결부(132)가 형성되고 연결부(132) 아래로 ㄱ자형 조절부(134)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간극조절선단(13)은 연동브라켓(14)으로 미서기형 배연창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간극조절선단(13)의 조절부(134)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135)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어 자동개폐장치(10) 작동시 상기 체인기어(15)와 간극조절선단(134)의 습동부하를 최소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형 배연창의 자동개폐장치 하우징(12) 정중앙에 센터슬롯부(121)가 위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센터슬롯부(121)상에서 간극조절선단(13)이 슬라이딩 동작되는 구조로 상기 센터슬롯부(121) 상에 감지기가 구비되어 간극조절선단(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터슬롯부(121)는 하우징(12)의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으며 정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자동개폐장치(10)를 좌우방향에 상관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간극조절선단(13)의 연결부(132)에 볼트연결되는 연동브라켓(14)의 일측은 장방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간극조절선단(13)과 연결되고, 연동브라켓(14)의 타측은 ㄱ자형으로 꺾여 미서기창에 볼트결합되어지는 구조로 연동브라켓(14)의 방향을 반대로 돌린 후에 장방형 통공을 간극조절선단(13)의 연결부(132)에 볼트결합하면 반대방향의 미서기형 배연창에 결합되는데 이는 자동개폐장치(10)를 좌우방향에 상관없이 미서기형 배연창에 바로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10)를 미서기형 배연창의 창틀에 설치하고 상기 연동브라켓(14)의 타측에 미서기형 배연창이 결합된다.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기가 열이나 연기에 의해 동작되면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10)내 모터(231)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231)와 연동되는 스프로켓(16)의 작동으로 체인기어(15)가 구동될 때, 체인기어(15)의 일단부에 결합된 간극조절선단(13)이 하우징(12) 내 센터슬롯부(121)상에서 슬라이딩 작동으로 미서기형 배연창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는 미서기형 배연창에 본 고안에 의한 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자동폐쇄장치(10)를 반대로 돌려 미서기형 배연창틀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동 브라켓(14)의 방향 또한, 반대로 돌린 후에 장방형 통공을 간극조절선단(13)에 끼워 결합시킨 후 연동브라켓(14)의 타측에 미서기형 배연창을 고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는 좌우 구분없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10 : 배연창자동개폐장치 12 : 하우징
121 : 센터슬롯부 13 : 간극조절선단
132 : 연결부 134 : 조절부
135 : 가이드핀
14 : 연동브라켓 15 : 체인기어
16 : 스프로켓
23 : 작동실 24 : 모터커버
231 : 모터 232 : 모터브라켓
34 : 끝단커버 341 : 버튼

Claims (2)

  1. 모터(231)와 연동되는 체인기어(15)가 구비되고 감지기로 체인기어(15)의 동작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체인기어(15)의 일단부에 간극조절선단(13)이 결합되어 체인기어(15)와 연동되고, 상기 간극조절선단(13)은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132) 아래로 ㄱ자형 조절부(134)가 일체로 형성되고,
    자동개폐장치(10)의 하우징(12) 정중앙에 형성된 센터슬롯부(121)상에서 상기 간극조절선단(13)이 동작되며,
    일측에 장방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간극조절선단(13)의 연결부(132)와 연결되는 연동브라켓(14)의 타측은 ㄱ자형으로 꺾인 형상으로 배연창에 결합되는 창문개폐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간극조절선단(13)의 조절부(134)에 가이드핀(135)이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10).

  2. 삭제
KR2020180002546U 2018-06-11 2018-06-11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KR200491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46U KR200491010Y1 (ko) 2018-06-11 2018-06-11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46U KR200491010Y1 (ko) 2018-06-11 2018-06-11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20U KR20190003120U (ko) 2019-12-19
KR200491010Y1 true KR200491010Y1 (ko) 2020-02-05

Family

ID=6902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546U KR200491010Y1 (ko) 2018-06-11 2018-06-11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604A (ko) 2020-02-19 2021-08-27 유환우 배연창용 구동체인의 리벳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638Y1 (ko) 2004-02-10 2004-05-08 기 동 조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KR200448568Y1 (ko) * 2008-01-22 2010-04-26 오문근 철도차량의 객차용 도어
KR101824216B1 (ko) * 2017-11-29 2018-01-31 주식회사 한일윈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851251B1 (ko) 2016-09-22 2018-04-23 (주)용성시스템 자동문의 안내 레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638Y1 (ko) 2004-02-10 2004-05-08 기 동 조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KR200448568Y1 (ko) * 2008-01-22 2010-04-26 오문근 철도차량의 객차용 도어
KR101851251B1 (ko) 2016-09-22 2018-04-23 (주)용성시스템 자동문의 안내 레일장치
KR101824216B1 (ko) * 2017-11-29 2018-01-31 주식회사 한일윈 창문 자동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604A (ko) 2020-02-19 2021-08-27 유환우 배연창용 구동체인의 리벳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20U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664B1 (ko)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KR101377300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0491010Y1 (ko)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JP5855937B2 (ja) サッシ
KR100814745B1 (ko) 차압 배연창 자동개폐시스템
KR20130118037A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CN208396531U (zh) 弹性自动闭窗器以及安装上述闭窗器的耐火窗、防火窗
DE102006008314A1 (de) Brandmeldergesteuerter Rolladen
WO2007078022A1 (en) Slide type flame spread protecting fireproof plate
KR101995687B1 (ko)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KR20140030950A (ko) 배연루버 개폐장치
KR100540688B1 (ko) 슬라이딩방범창
KR101544525B1 (ko)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JP2013136879A (ja) サッシ
KR20230040599A (ko)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배연창
KR20100052238A (ko) 경보기능이 마련된 블라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창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200491094Y1 (ko)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의 체인안내판
KR102017120B1 (ko) 공기통로가 구비된 전실용 중문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2100855B1 (ko) 제연 댐퍼
KR101469409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0689752B1 (ko) 공동주택용 창문의 추락방지 구조
KR200424828Y1 (ko)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CN213391853U (zh) 逃生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