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638Y1 -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638Y1
KR200349638Y1 KR20-2004-0003208U KR20040003208U KR200349638Y1 KR 200349638 Y1 KR200349638 Y1 KR 200349638Y1 KR 20040003208 U KR20040003208 U KR 20040003208U KR 200349638 Y1 KR200349638 Y1 KR 200349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procket
guide chamber
chamber
slid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동 조
Original Assignee
기 동 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동 조 filed Critical 기 동 조
Priority to KR20-2004-0003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6Speed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3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 개폐장치는 배선실의 상하에 가이드실을 구비되는 장치새시를 형성하여 커버를 씌워주고, 배선실의 일단에 감속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로켓을 설치하여 체인을 걸어 주며, 체인의 양단에는 체인헤드를 각각 장착하여 상측가이드실과 하측가이드실에 유입시켜주며, 체인이 유입되는 상측가이드실과 하측가이드실의 타측 단부에는 폐쇄감지센서와 개방감지센서를 각각 구비하며, 상/하측에 위치하는 체인헤드 중에서 어느 일측의 체인헤드에는 창문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감속모터에 의해 스프로켓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체인이 정역으로 공전되면서 체인헤드를 배선실의 상하에 형성된 가이드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고, 체인헤드가 이동될 될 때에 미닫이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력을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전동시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작동)하여 다소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스프로켓과 체인의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원활하게 작동되어지는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A Open and Shut Apparatus for Sliding Door}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미닫이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배선실의 상하에 가이드실을 구비되는 장치새시를 형성하여 커버를 씌워주고, 배선실의 일단에 감속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로켓을 설치하여 체인을 걸어 주되, 체인의 양단에는 체인헤드를 각각 장착하여 상측가이드실과 하측가이드실에 유입시켜주되 상측에 상/하측에 위치하는 체인헤드 중에서 어느 일측의 체인헤드를 창문에 장착하여, 감속모터에 의해 스프로켓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체인과 함께 체인헤드가 배선실의 상하에 형성된 가이드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미닫이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미닫이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과 같이 미닫이 창문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장치로서는, 국내 공고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1983-1936호(출원번호 제 1979-3291호) "창문개폐장치"와,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1999-22568호 "자동 온도조절식 창문개폐장치"와, 공개번호 제 2000-5948호 "창문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다.
공고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1983-1936호 "창문개폐장치"는 창틀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레일의 내부에 기어케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조작박스에 의해 정역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기어케이블에는 레일 따라 슬라이딩되는랙부재를 치합시키되 랙부재를 브래킷에 의해 미닫이창문에 고정 장착시켜서 된 것으로서, 조작박스에 구비된 핸들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기어케이블이 정역으로 회전되고 치합되어 있는 랙부재가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창문을 개폐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조작박스에 구비된 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작이 번거로움이 있고, 기어케이블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기어케이블의 길이가 길어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케이블이 단선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기어케이블에 형성된 기어와 랙부재의 랙이 마모되어 치합상태가 견실하게 결속되지 못하고 느슨해지면서 기어케이블이 헛돌면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1999-22568호 "자동 온도조절식 창문개폐장치"와 공개번호 제 2000-5948호 "창문개폐장치"는 기어박스의 내부에 모터를 설치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기어를 정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되 피니언기어에는 창문에 고정되는 랙기어를 치합시켜서 된 것으로, 모터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기어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에 치합된 랙기어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미닫이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창문개폐장치들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가 창문에 고정 설치되는 랙기어와 직접 치합되어 있으므로 모터와 피니언기어가 작동 및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랙기어에 직접 전이되어지므로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피니언기어와 랙기어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동될 때에 마찰 등에 의해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따라서 창문을 조용하게 개폐시키고자 할 때에는 사용이 용이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미닫이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배선실의 상하에 가이드실을 구비되는 장치새시를 형성하여 커버를 씌워주고, 배선실의 일단에 감속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로켓을 설치하여 체인을 걸어 주며, 체인의 양단에는 체인헤드를 각각 장착하여 상측가이드실과 하측가이드실에 유입시켜주며, 체인이 유입되는 상측가이드실과 하측가이드실의 타측 단부에는 폐쇄감지센서와 개방감지센서를 각각 구비하며, 상/하측에 위치하는 체인헤드 중에서 어느 일측의 체인헤드에는 창문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작동축과 창문고정브래킷을 장착하여서 된 미닫이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감속모터에 의해 스프로켓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체인이 정역으로 공전되면서 체인헤드를 배선실의 상하에 형성된 가이드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체인헤드가 이동될 될 때에 미닫이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미닫이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의 회전력을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전동시켜 진동을 감소시키고, 진동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작동)하여 다소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스프로켓과 체인의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원활하게 작동되어지도록 된 미닫이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모터(10)를 이용하여 미닫이창문(3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면에 전면폐쇄판(3)과 개방부(3-1)가 형성된 커버(2)의 내부에 장치새시(4)를 설치한 것과, 상기 장치새시(4)는 배선실(7)의 상측과 하측에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과, 장치새시(4)를 형성하는 배선실(7)의 일단에 감속박스(11)가 구비된 모터(10)를 설치하고, 감속박스(11)의 출력축에 스프로켓(12)을 장착 고정시킨 것과, 스프로켓(12)에는 양단이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에 유입되는 체인을 걸어 준 것과, 체인의 양단에는 체인헤드(14)(15)를 각각 고정시킨 것과, 체인이 유입되는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의 타측 단부에 폐쇄감지센서(25)와 개방감지센서(16)를 각각 구비한 것과, 상/하측에 위치하는 체인헤드(14)(15) 중에서 어느 일측의 체인헤드에 핀공(18)이 선단에 통공된 작동축(17)을 고정시킨 것과, 작동축에는 창문에 고정 장착되는 창문고정브래킷(20)을 장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문개폐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에서 장치새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를 미닫이창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미닫이창문개폐장치 2: 커버 3: 전면폐쇄판
4: 장치새시 5: 상측가이드실 6: 하측가이드실
7: 배선실 8: 단턱 10: 모터
11; 감속박스 12: 스프로켓 13: 노백체인
14.15: 체인헤드 16: 축봉 17: 작동축
20: 창문고정브래킷 21: 장착편 22: 단턱편
23: 고정편 25: 폐쇄감지센서 26: 개방감지센서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장치새시(4)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1)를 미닫이창문에 설치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1)의 작동관계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1)를 보인 것이다.
전면에 전면폐쇄판(3)과 개방부(3-1)가 형성된 커버(2)의 내부에 장치새시(4)를 설치하되, 상기 장치새시(4)는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단과 하단에 단턱(8)이 대향되게 형성된 배선실(7)의 상측과 하측에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을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였고, 장치새시(4)를 형성하는 배선실(7)의 일단에는 감속박스(11)가 구비된 모터(10)를 고정 설치하였으며, 상기 감속박스(11)의 출력축에는 스프로켓(12)을 장착 고정시켰으며, 스프로켓(12)에는 양단이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에 유입되는 노백체인(13: No Back Chain)을 걸어 주었으며, 노백체인(13)의 양단에는 체인헤드(14)(15)를 각각 고정시켰다.
상기 노백체인(13)이 유입되는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의 타측 단부에는 체인헤드(14)(15)를 감지하여 모터(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폐쇄감지센서(25)와 개방감지센서(16)를 각각 설치하였고, 상/하측에 위치하는 체인헤드(14)(15) 중에서 상측의 체인헤드(14)에 핀공(18)이 선단에 통공된 작동축(17)을 축봉(14)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시켰으며, 상기 작동축(17)에는 창문에 고정 장착되는 창문고정브래킷(20)을 장착시켜 주도록 하였다.
상기 작동축(17)에 장착되는 창문고정브래킷(20)은 장착편(21)의 중앙에 통공된 장착공(21-1)에 작동축(17)을 삽입시키되 작동축(17)의 선단에 통공된 핀공(18)에 분할핀(19)을 삽입하여 억류시켰고, 작동 분할핀(19)이 중앙에 통공된 장착편(21)의 양측 단부에는 단턱편(22)을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형성하였으며, 각 단턱편(22)에는 고정공(23-1)이 통공된 고정편(23)을 장착편(21)과 평행하게 형성하였다.
이하, 작용을 첨부도면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1)는 도 3에 예시된바와 같이 각 장치들이 설치된 커버(4)를 창틀에 설치하고, 창문고정브래킷(20)을 미닫이창문(30)에 설치한다.
창문고정브래킷(20)은 고정편(23)에 통공된 고정공(23-1)에 볼트스크루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미닫이창문(30)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장착공(21-1)에 작동축(17)을 삽입하며, 장착공(21-1)에 삽입된 작동축(17)에서 선단에 통공된 핀공(18)에 분할핀(19)을 삽입하여 하측으로 노출되는 양단을 확개시켜 줌으로서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닫이창문개폐장치(1)의 장착(설치)을 완료하여, 도 4a에 예시된바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작동시키게 되면 모터(10)가 작동되면서 스프로켓(12)을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스프로켓(12)이 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노백체인(13)이 공전하게 되는데, 도 4b에 예시된바와 같이 노백체인(13)의 공전에 의해 상측가이드실(5)에 안치된 체인헤드(14)는 모터(10)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하측가이드실(6)에 안치된 체인헤드(15)는 개방감지센서(26)측으로 이동하면서 미닫이창문(30)은 점진적으로 개방되어지며, 하측의 체인헤드(15)가 개방감지센서(26)에 감지되어지면 미닫이창문(30)은 완전히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모터(10)의 작동은 정지된다.
반면에 도 4b에 예시된바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역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모터(10)가 역으로 작동되면서 스프로켓(1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스프로켓(12)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노백체인(13)은 역으로 공전하게 되는데, 도 4a에 예시된바와 같이 노백체인(13)이 역으로 공전하게 되면 상측가이드실(5)에 안치된 체인헤드(14)는 폐쇄감지센서(25)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하측가이드실(6)에 안치된 체인헤드(15)는 모터(10)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어 있는 미닫이창문(30)은 점진적으로 폐쇄되어지며, 상측의 체인헤드(14)가 폐쇄감지센서(25)에 감지되어지면 미닫이창문(30)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모터(10)의 작동은 정지되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창문개폐장치(1)는 모터(1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정역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미닫이창문(30)을 개폐시킬 수 있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시간동안 모터(10)가 작동되어지도록 하여 개폐되어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선실의 상하에 가이드실을 구비되는 장치새시를 형성하여 커버를 씌워주고, 배선실의 일단에 감속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로켓을 설치하여 체인을 걸어 주며, 체인의 양단에는 체인헤드를 각각 장착하여 상측가이드실과 하측가이드실에 유입시켜주며, 체인이 유입되는 상측가이드실과 하측가이드실의 타측 단부에는 폐쇄감지센서와 개방감지센서를 각각 구비하며, 상/하측에 위치하는 체인헤드 중에서 어느 일측의 체인헤드에는 창문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작동축과 창문고정브래킷을 장착하여서 된 미닫이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속모터에 의해 스프로켓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체인이 정역으로 공전되면서 체인헤드를 배선실의 상하에 형성된 가이드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고, 체인헤드가 이동될 될 때에 미닫이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력을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전동시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작동)하여 다소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스프로켓과 체인의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원활하게 작동되어지는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모터(10)를 이용하여 미닫이창문(3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면에 전면폐쇄판(3)과 개방부(3-1)가 형성된 커버(2)의 내부에 장치새시(4)를 설치한 것과,
    상기 장치새시(4)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배선실(7)의 상측과 하측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과,
    장치새시(4)를 형성하는 배선실(7)의 일단에 감속박스(11)가 구비된 모터(10)를 설치하고, 감속박스(11)의 출력축에 스프로켓(12)을 장착 고정시킨 것과, 스프로켓(12)에는 양단이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에 유입되는 체인을 걸어 준 것과,
    체인의 양단에는 체인헤드(14)(15)를 각각 고정시킨 것과,
    체인이 유입되는 상측가이드실(5)과 하측가이드실(6)의 타측 단부에 폐쇄감지센서(25)와 개방감지센서(16)를 각각 구비한 것과,
    상/하측에 위치하는 체인헤드(14)(15) 중에서 어느 일측의 체인헤드에 핀공(18)이 선단에 통공된 작동축(17)을 고정시킨 것과,
    작동축에는 창문에 고정 장착되는 창문고정브래킷(20)을 장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프로켓(11)에 설치되는 체인은 노백체인(13:No Back Ch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체인헤드(14)에 설치된 작동축(17)에 장착되는 창문고정브래킷(20)은,
    장착편(21)의 중앙에 통공된 장착공(21-1)에 작동축(17)을 삽입시키되 작동축(17)의 선단에 통공된 핀공(18)에 분할핀(19)을 삽입하여 억류시키고, 작동 분할핀(19)이 중앙에 통공된 장착편(21)의 양측 단부에는 단턱편(22)을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형성하며, 각 단턱편(22)에는 고정공(23-1)이 통공된 고정편(23)을 장착편(21)과 평행하게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KR20-2004-0003208U 2004-02-10 2004-02-10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KR200349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208U KR200349638Y1 (ko) 2004-02-10 2004-02-10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208U KR200349638Y1 (ko) 2004-02-10 2004-02-10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638Y1 true KR200349638Y1 (ko) 2004-05-08

Family

ID=4942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208U KR200349638Y1 (ko) 2004-02-10 2004-02-10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63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6889A1 (en) * 2006-08-31 2008-03-06 Gi-Won Nam Lower drive type automatic door
KR101248590B1 (ko) * 2010-11-22 2013-03-28 곽병철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레일
KR101377300B1 (ko) 2013-08-07 2014-03-25 박준우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N109441278A (zh) * 2018-12-27 2019-03-08 徐州西斯博朗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窗开窗器
KR102040917B1 (ko) 2018-07-25 2019-11-05 주식회사 고창시스템 미닫이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2044147B1 (ko) * 2018-09-17 2019-11-13 김정호 배연창 개폐장치
KR20190003120U (ko) * 2018-06-11 2019-12-19 재복 강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6889A1 (en) * 2006-08-31 2008-03-06 Gi-Won Nam Lower drive type automatic door
KR101248590B1 (ko) * 2010-11-22 2013-03-28 곽병철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레일
KR101377300B1 (ko) 2013-08-07 2014-03-25 박준우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190003120U (ko) * 2018-06-11 2019-12-19 재복 강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KR200491010Y1 (ko) 2018-06-11 2020-02-05 재복 강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KR102040917B1 (ko) 2018-07-25 2019-11-05 주식회사 고창시스템 미닫이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2044147B1 (ko) * 2018-09-17 2019-11-13 김정호 배연창 개폐장치
CN109441278A (zh) * 2018-12-27 2019-03-08 徐州西斯博朗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窗开窗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4313A1 (en) Dual action power drive unit for a vehicle door
KR200349638Y1 (ko)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EP3263809A1 (en) Vehicle handle with a lighting device
US9932763B2 (en) Vehicle door opening device
EP2050906A3 (en) Gate assembly
PL1894509T3 (pl) Wbudowane urządzenie gospodarstwa domowego z płytą dekoracyjną nałożoną na drzwiczki
RU2623964C2 (ru) Моторизованное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мещением створки для открытия и закрытия проема в стене
JP3976100B2 (ja) 電気式窓開閉装置と動作要素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装置、ならびに該連結装置と併用される電気式操作装置
KR101075734B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20100109127A (ko) 하나의 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비데용 동축 댐퍼
EP2634304B1 (en) Laundry machine with connector support
KR20130060869A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JP2503923Y2 (ja) 浴槽の排水装置
EP3418483A1 (fr) Procédé de réglage d'un dispositif d'entraînement motorisé d'un portail battant
KR20130042332A (ko) 풋 밸브 시스템
KR101489905B1 (ko) 경첩용 장착위치 조절장치
KR20070004214A (ko) 도어용 플로어 힌지의 개폐력 조절 장치
CA2306611C (en) Casing for closure operating device
CN215978874U (zh) 一种智能门窗中的手自一体多功能锁盒
CN213391568U (zh) 一种电动把手
EP2110628A1 (en) Home refrigerator
JPH09317324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KR950005610Y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200446454Y1 (ko)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GB2460917A (en) A drive apparatus for a movable wing comprising two housings having a temporary installation position and final installation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