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966B1 -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966B1
KR102354966B1 KR1020210060604A KR20210060604A KR102354966B1 KR 102354966 B1 KR102354966 B1 KR 102354966B1 KR 1020210060604 A KR1020210060604 A KR 1020210060604A KR 20210060604 A KR20210060604 A KR 20210060604A KR 102354966 B1 KR102354966 B1 KR 10235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hole
proof
rolle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성
Original Assignee
최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삼성 filed Critical 최삼성
Priority to KR102021006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8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05C9/085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05B17/2092Means responsive to tampering or attack providing additional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05B63/146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locks with two or more bolts, each bolt itself being a tumb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3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crank pins and connect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수직으로 배치된 상부 로드 바, 상기 상부 로드 바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부 로드 바, 및 상기 상부 로드 바 및 상기 하부 로드 바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로드 바와 상기 하부 로드 바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Locking device for fire and explosion-proof door, fire and explosion-proof door including the locking device and the structure including the door}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가스 저장고, 클린룸, 군용 화생방 시설, 연구실, 검역실, 관공서, 대피소, 병원 등에는 각각의 특수 목적을 위해 외부와 차단된 장소인 밀실을 설치하게 되고, 밀실의 경우 필요에 따라 내부 공기의 압력을 외부와 다르게 설정하거나 방폭의 유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일반 도어와는 다른 구조의 방폭겸용 방화문을 적용하게 된다.
여기서, 방폭겸용 방화문이란 재난방지 및 특수시설의 방폭 및 방화를 위한 특수제작 도어로서, 미닫이 타입이나 여닫이 타입이 있고, 방화 및 방폭, 기밀, 방탄 등의 특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사용하게 된다.
특히, 폭발물 저장고의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할 경우, 이 폭발에 의한 피해가 폭발물 저장고의 외부로 전해져서 연쇄 폭발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폭발물 저장고 외부의 폭발이 폭발물 저장고 내부에 전해져서 저장된 폭발물이 폭발할 수도 있다.
이때, 방폭겸용 방화문은 상기한 비상상황 등과 같은 여러가지 긴급재난에 대비하여 인명 등의 피해를 차단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폭겸용 방화문은 엄청난 압력의 폭압을 견뎌낼 수 있는 내구성 및 기밀성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폭압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폭발물 저장고 등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폭압은 감지가 불가능할 정도로 순간적으로 발생하므로, 폭발물 저장고 등의 방폭겸용 방화문은 폭압의 발생과 동시에 폐쇄되면서도 고압의 폭압에 대한 내구성이 충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폭겸용 방화문은 방폭문은 폭압 발생시 개별적으로 래치(빗장)를 잠그다 보니 신속하게 잠그지 못할뿐만 아니라, 래치 잠금시 힘이 들어 노약자들이 래치를 잠그는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방폭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을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직으로 배치된 상부 로드 바;
상기 상부 로드 바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부 로드 바; 및
상기 상부 로드 바 및 상기 하부 로드 바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로드 바와 상기 하부 로드 바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기 상부 로드 바에 상방 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부 탄성유닛 및 상기 하부 로드 바에 하방 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부 탄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성유닛은 상기 각각의 로드 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로드 바 및 대응 탄성유닛은 상기 각각의 로드 바가 대응 탄성유닛의 내부를 관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로드 바는 중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탄성유닛은 스프링 및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각각의 로드 바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바닥과 상기 중간 돌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기 상부 로드 바와 결합된 상부 로드 래치 및 상기 하부 로드 바와 결합된 하부 로드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부 커플링 및 하부 커플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 바와 상기 상부 로드 래치는 상기 상부 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상기 하부 로드 바와 상기 하부 로드 래치는 상기 하부 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커플링은 상기 각각의 로드 바 및 대응 로드 래치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되 그 내부에서 상기 각각의 로드 바 및 대응 로드 래치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커플링은 상기 각각의 로드 래치에 결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로드 바는 일단부에 수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기 암나사산과 상기 각각의 로드 바의 상기 수나산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 디스크 및 한쌍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디스크, 상기 각각의 롤러 및 상기 각각의 로드 바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각각의 롤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각각의 로드 바의 수직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디스크는 축 관통홀, 상부 롤러 관통홀 및 하부 롤러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축 관통홀에 연결된 키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 관통홀 및 상기 하부 롤러 관통홀은 상기 축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비대칭인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상부 롤러 관통홀에 연결된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 및 상기 하부 롤러 관통홀에 연결된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디스크, 상기 각각의 롤러 및 상기 각각의 로드 바는 상기 각각의 롤러가 상기 회전 디스크의 대응 롤러 관통홀 또는 대응 추가 롤러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디스크의 대응 롤러 관통홀 또는 대응 추가 롤러 관통홀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각각의 롤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각각의 로드 바의 수직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 관통홀, 상기 하부 롤러 관통홀, 상기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 및 상기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은 상기 회전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각각의 롤러 및 대응 로드 바를 높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3곳의 수직 위치로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상부 롤러 관통홀에 연결된 상부 롤러 고정홀 및 상기 하부 롤러 관통홀에 연결된 하부 롤러 고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기 각각의 로드 바에 체결된 볼트 및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는 상기 볼트에 끼워져 상기 볼트에 체결된 상기 너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기 축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축, 상기 회전 디스크의 일측에서 상기 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쌍의 부싱, 상기 한쌍의 부싱과 함께 상기 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축 하우징, 상기 회전 디스크의 타측에서 상기 축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칼라, 상기 축의 일측 및 타측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핸들 뭉치 및 상기 한쌍의 핸들 뭉치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중간 로드 바 및 중간 로드 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디스크, 상기 중간 로드 바 및 상기 중간 로드 래치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중간 로드 바를 매개로 하여 상기 중간 로드 래치의 수평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기 상부 로드 래치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로드 래치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을 제공한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은 데드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을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이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의 방폭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조작이 용이하고 신속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에 구비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에 구비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방화 닫힘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방화 닫힘 상태에서의 상부 로드 래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에 구비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상부 로드 래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에 구비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방폭 닫힘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방폭 닫힘 상태에서의 상부 로드 래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방화 닫힘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방폭 닫힘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로드 래치(rod latch)"란 문을 닫고 가로질러 잠그도록 구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로드 바(rod bar)"란 로드 래치에 결합되어 로드 래치와 함께 수직 직전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란 상대적으로 중력의 역방향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하고, "하부"란 상대적으로 중력방향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단부"란 경우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일정 영역 또는 상부 끝부분을 의미하고, "하단부"란 경우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일정 영역 또는 하부 끝부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100)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10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100)에 구비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벽체(W), 패킹(PK), 문틀(DF), 방폭겸용 방화문(100) 및 힌지(hg1, hg2, hg3)를 포함한다.
패킹(PK)은 방폭겸용 방화문(100)의 방화 및 기밀 기능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폭겸용 방화문(100)은 힌지(hg1, hg2, hg3)의 작용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된 여닫이 타입일 수 있다.
또한, 방폭겸용 방화문(100)은 방화문 본체(110) 및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방화문 본체(110)는 강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폭겸용 방화문(100)은 데드락(dead lock)(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폭겸용 방화문(100)은 단열재(미도시) 및 실링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세라크울(cerak woo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재는 네오플랜(CR), 난연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로드 가이드(gd1, gd2, gd3, gd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부 로드 바(131), 하부 로드 바(132) 및 구동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로드 바(131)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로드 바(132)는 상부 로드 바(131)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유닛(120)은 상부 로드 바(131) 및 하부 로드 바(132)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로드 바(131)와 하부 로드 바(132)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부 탄성유닛(EU1) 및 하부 탄성유닛(EU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탄성유닛(EU1) 및 하부 탄성유닛(EU2)은 방화문 본체(110)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부 탄성유닛(EU1)은 상부 로드 바(131)에 상방 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탄성유닛(EU1)은 상부 로드 바(131)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로드 바(131)와 상부 탄성유닛(EU1)은 상부 로드 바(131)가 상부 탄성유닛(EU1)의 내부를 관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로드 바(131)는 중간 돌출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돌출부(131a)는 상부 로드 바(131)의 둘레를 따라 미리 결정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탄성유닛(EU1)은 스프링(SP1) 및 스프링 하우징(HS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하우징(HS1)은 스프링(SP1)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SP1)은 스프링 하우징(HS1) 내에서 상부 로드 바(131)를 둘러싸도록 스프링 하우징(HS1)의 바닥과 중간 돌출부(13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프링(SP1)은 스프링 하우징(HS1)의 바닥과 중간 돌출부(131a) 사이에 갇힐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SP1)은 중간 돌출부(131a)에 하강하는 힘이 작용할 경우에는 압축되고, 압축된 후 중간 돌출부(131a)에 하강하는 힘이 해제될 경우에는 신장되어 중간 돌출부(131a)(즉, 상부 로드 바(131))에 상방 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탄성유닛(EU2)은 하부 로드 바(132)에 하방 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탄성유닛(EU2)은 하부 로드 바(132)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로드 바(132)와 하부 탄성유닛(EU2)은 하부 로드 바(132)가 하부 탄성유닛(EU2)의 내부를 관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로드 바(132)는 중간 돌출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돌출부(132a)는 하부 로드 바(132)의 둘레를 따라 미리 결정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탄성유닛(EU2)은 스프링(SP2) 및 스프링 하우징(HS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하우징(HS2)은 스프링(SP2)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SP2)은 스프링 하우징(HS2) 내에서 하부 로드 바(132)를 둘러싸도록 스프링 하우징(HS2)의 바닥과 중간 돌출부(13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프링(SP2)은 스프링 하우징(HS2)의 바닥과 중간 돌출부(132a) 사이에 갇힐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SP2)은 중간 돌출부(132a)에 상승하는 힘이 작용할 경우에는 압축되고, 압축된 후 중간 돌출부(132a)에 상승하는 힘이 해제될 경우에는 신장되어 중간 돌출부(132a)(즉, 하부 로드 바(132))에 하방 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부 로드 래치(141) 및 하부 로드 래치(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로드 래치(141)는 상부 로드 바(131)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로드 래치(142)는 하부 로드 바(13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부 커플링(CP1) 및 하부 커플링(CP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플링(CP1)을 매개로 하여 상부 로드 바(131)와 상부 로드 래치(141)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커플링(CP1)은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되 그 내부에서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장착한 방폭겸용 방화문(100)이 장기간 사용으로 변형되어 길이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상부 커플링(CP1)에 의해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길이 공차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커플링(CP1)은 상부 로드 래치(141)에 결합된 몸체(C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플링(CP1)은 몸체(C1)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S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로드 바(131)는 일단부에 수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하고, 몸체(C1)의 암나사산(S1)과 상부 로드 바(131)의 상기 수나산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로드 바(131)와 상부 로드 래치(141)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커플링(CP2)을 매개로 하여 하부 로드 바(132)와 하부 로드 래치(142)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플링(CP2)은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되 그 내부에서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장착한 방폭겸용 방화문(100)이 장기간 사용으로 변형되어 길이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하부 커플링(CP2)에 의해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길이 공차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커플링(CP2)은 하부 로드 래치(142)에 결합된 몸체(C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플링(CP2)은 몸체(C2)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S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로드 바(132)는 일단부에 수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하고, 몸체(C2)의 암나사산(S2)과 하부 로드 바(132)의 상기 수나산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로드 바(132)와 하부 로드 래치(14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120)은 회전 디스크(121) 및 한쌍의 롤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유닛(120)(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121), 상부 롤러(122) 및 상부 로드 바(131))은 회전 디스크(121)의 회전운동을 상부 롤러(122)를 매개로 하여 상부 로드 바(131)의 수직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성유닛(120)(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121), 하부 롤러(122) 및 하부 로드 바(132))은 회전 디스크(121)의 회전운동을 하부 롤러(122)를 매개로 하여 하부 로드 바(132)의 수직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디스크(21)는 축 관통홀(ph11), 상부 롤러 관통홀(ph21) 및 하부 롤러 관통홀(ph3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디스크(21)는 축 관통홀(ph11)에 연결된 키 삽입홀(ph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 관통홀(ph21) 및 하부 롤러 관통홀(ph31)은 축 관통홀(ph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롤러 관통홀(ph21) 및 하부 롤러 관통홀(ph31)은 각각 서로 비대칭인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 디스크(21)는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 및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 및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은 방폭 닫힘 상태의 동작시 각각의 롤러(122)가 잠시 삽입되는 홀일 수 있다. 만일,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 및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각각의 롤러(122)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및 하부 롤러 관통홀(ph3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이동할 수 없어서 방폭기능을 갖는 방폭 닫힘 상태의 동작이 불가능해진다.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은 상부 롤러 관통홀(ph21)에 연결되고,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은 하부 롤러 관통홀(ph3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은 상부 롤러 관통홀(ph21) 보다 크기가 작고,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은 하부 롤러 관통홀(ph31)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은 하부 롤러 관통홀(ph31) 쪽에 배치되고,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은 상부 롤러 관통홀(ph21)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구성유닛(120)(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121), 상부 롤러(122) 및 상부 로드 바(131))는 상부 롤러(122)가 회전 디스크(121)의 상부 롤러 관통홀(ph21) 또는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에 삽입되어 회전 디스크(12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디스크(121)의 상부 롤러 관통홀(ph21) 또는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 디스크(121)의 회전운동을 상부 롤러(122)를 매개로 하여 상부 로드 바(131)의 수직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성유닛(120)(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121), 하부 롤러(122) 및 하부 로드 바(132))은 하부 롤러(122)가 회전 디스크(121)의 하부 롤러 관통홀(ph31) 또는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에 삽입되어 회전 디스크(12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디스크(121)의 하부 롤러 관통홀(ph31) 또는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 디스크(121)의 회전운동을 하부 롤러(122)를 매개로 하여 하부 로드 바(132)의 수직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유닛(120)(구체적으로, 상부 롤러 관통홀(ph21) 및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ph22))은 회전 디스크(121)가 회전함에 따라 상부 롤러(122) 및 상부 로드 바(131)를 높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3곳의 수직 위치로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성유닛(120)(구체적으로, 하부 롤러 관통홀(ph31) 및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ph32))은 회전 디스크(121)가 회전함에 따라 하부 롤러(122) 및 하부 로드 바(132)를 높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3곳의 수직 위치로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디스크(121)는 상부 롤러 관통홀(ph21)에 연결된 상부 롤러 고정홀(ph23) 및 하부 롤러 관통홀(ph32)에 연결된 하부 롤러 고정홀(ph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 고정홀(ph23)은 도 8a 및 도 9c와 같이 상부 롤러(122)가 최고 높이에 위치할 경우, 상부 롤러(122)의 일부를 수용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하부 롤러 고정홀(ph33)은 도 8a 및 도 9c와 같이 하부 롤러(122)가 최저 높이에 위치할 경우, 상부 롤러(122)의 일부를 수용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볼트(B11, B12, B21, B22) 및 너트(N1, N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트(B11)는 상부 로드 바(131)에 체결되고, 이후 상부 롤러(122)가 볼트(B11)에 끼워지고, 이후 너트(N11)가 볼트(B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롤러(122)는 볼트(B11)에 체결된 너트(N11)에 의해 지지되어 볼트(B11)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볼트(B12)는 하부 로드 바(132)에 체결되고, 이후 하부 롤러(122)가 볼트(B12)에 끼워지고, 이후 너트(N12)가 볼트(B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롤러(122)는 볼트(B12)에 체결된 너트(N12)에 의해 지지되어 볼트(B12)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동유닛(120)은 축(123), 한쌍의 부싱(124-1, 124-2), 축 하우징(125), 한쌍의 핸들 뭉치(126), 칼라(127) 및 한쌍의 핸들(HD1, HD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축(123)은 회전 디스크(121)의 축 관통홀(ph11)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축(123)은 일단부의 내벽과 타단부의 내벽에 하나씩 형성된 한쌍의 암나사산(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볼트(B21)는 와셔(WS1)를 관통하여 일측 핸들 뭉치(126)의 내부에서 축(123)의 일측 암나사산과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볼트(B22)는 와셔(WS2)를 관통하여 타측 핸들 뭉치(126)의 내부에서 축(123)의 타측 암나사산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축(123)은 적어도 3개의 키 삽입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부싱(124-1, 124-2)은 회전 디스크(121)의 일측에서 축(123)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싱(124-1, 124-2)은 축 하우징(125)의 내부로 삽입되어 축(123)이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도와주는 베어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부싱(124-1)은 회전 디스크(121) 쪽에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부싱(124-2)은 플랜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축 하우징(125)은 한쌍의 부싱(124-1, 124-2)과 함께 축(123)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핸들 뭉치(126)는 축(123)의 일측 및 타측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핸들 뭉치(126)는 각각 키 삽입홀(미도시)을 하나씩 포함할 수 있다.
칼라(127)는 회전 디스크(121)의 타측에서 축(123)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칼라(127)는 회전 디스크(121)과 핸들 뭉치(126) 간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회전 디스크(121)를 지지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쌍의 핸들(HD1, HD2)은 한쌍의 핸들 뭉치(126)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키(K1, K2, K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K1, K2, K3)는 일측으로 연장된 막대(rod) 형상일 수 있다.
키(K1)는 일측 핸들 뭉치(126)의 키 삽입홀 및 축(123)의 일측 키 삽입홀에 공통으로 삽입되어 일측 핸들 뭉치(126)와 축(123)의 일측을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K2)는 타측 핸들 뭉치(126)의 키 삽입홀 및 축(123)의 타측 키 삽입홀에 공통으로 삽입되어 타측 핸들 뭉치(126)와 축(123)의 타측을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K3)는 회전 디스크(121)의 키 삽입홀(ph12) 및 축(123)의 중앙 키 삽입홀에 공통으로 삽입되어 회전 디스크(121)와 축(123)의 중심을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중간 로드 바(151), 중간 로드 래치(152) 및 중간 로드 래치 하우징(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유닛(120)(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121), 중간 로드 바(151) 및 중간 로드 래치(152))은 회전 디스크(121)의 회전운동을 중간 로드 바(151)를 매개로 하여 중간 로드 래치(152)의 수평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10) 및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10)은 상부 로드 래치(141)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20)은 하부 로드 래치(142)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100)에 구비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방화 닫힘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방화 닫힘 상태에서의 상부 로드 래치(141)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100)에 구비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상부 로드 래치(141)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100)에 구비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방폭 닫힘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방폭 닫힘 상태에서의 상부 로드 래치(141)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도 7a 및 도 8a에서, 상부 롤러 고정홀(ph23) 및 하부 롤러 고정홀(ph33)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되었다.
먼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방화기능을 갖는 방화 닫힘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각각의 롤러(122)는 회전 디스크(121)의 아치형의 롤러 관통홀(ph21, ph31)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위치고정된다. 이때, 도 6b를 참조하면, 상부 로드 래치(141)의 상단부는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10)의 내부로 약간 삽입된다. 또한 이때, 탄성유닛(EU1) 내의 스프링(SP1)은 중간 돌출부(131a)에 상방 척력을 제공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로드 래치(142)의 하단부도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20)의 내부로 약간 삽입된다. 또한 이때, 탄성유닛(EU2) 내의 스프링(SP2)은 중간 돌출부(132a)에 하방 척력을 제공한다. 즉,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는 탄성유닛(EU1)의 작용(구체적으로, 스프링(SP1)의 상방 척력)에 의해 수직으로 약간 상승하고,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는 탄성유닛(EU2)의 작용(구체적으로, 스프링(SP2)의 하방 척력)에 의해 수직으로 약간 하강한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순간열림 상태인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각각의 롤러(122)는 회전 디스크(121)의 아치형의 롤러 관통홀(ph21, ph3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위치고정된다. 이때, 도 7b를 참조하면, 상부 로드 래치(141)의 상단부는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이때, 탄성유닛(EU1) 내의 스프링(SP1)은 중간 돌출부(131a)에 의해 하강 압력을 받아 약간 압축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로드 래치(142)의 하단부도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20)의 내부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이때, 탄성유닛(EU2) 내의 스프링(SP2)은 중간 돌출부(132a)에 의해 상승 압력을 받아 약간 압축된다. 즉,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는 수직으로 약간 하강하고,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는 수직으로 약간 상승한다.
끝으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방폭기능을 갖는 방폭 닫힘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각각의 롤러(122)는 회전 디스크(121)의 아치형의 롤러 관통홀(ph21, ph31)에 연결된 추가 롤러 관통홀(ph22, ph32)을 잠시 거쳐 일부분은 롤러 관통홀(ph21, ph3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롤러 고정홀(도 5(b)의 ph23 및 ph33)내로 삽입되고 이들 위치에서 위치고정된다. 이때, 도 8b를 참조하면, 상부 로드 래치(141)의 상단부는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10)의 내부로 깊숙히 삽입된다. 또한 이때, 탄성유닛(EU1) 내의 스프링(SP1)은 중간 돌출부(131a)와 이격되어 완전히 신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로드 래치(142)의 하단부도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20)의 내부로 깊숙히 삽입된다. 또한 이때, 탄성유닛(EU2) 내의 스프링(SP2)은 중간 돌출부(132a)와 이격되어 완전히 신장된다. 즉,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는 수직으로 상당폭 상승하고,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는 수직으로 상당폭 하강한다. 만일, 아치형의 롤러 관통홀(ph21, ph31)에 연결된 추가 롤러 관통홀(ph22, ph32)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각각의 롤러(122)는 롤러 관통홀(ph21, ph31)의 타측 단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원위치되어 방폭 닫힘 상태의 동작이 불가능해진다.
이하,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100)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방화 닫힘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100)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100)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방폭 닫힘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여 방화 닫힘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정면도인 도 9a의 (a)를 참조하면, 핸들(HD1, HD2)이 원위치인 하방에 위치할 경우 각각의 롤러(122)는 회전 디스크(121)의 아치형의 롤러 관통홀(ph21, ph31)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위치고정된다. 이때, 측면도인 도 9a의 (b)를 참조하면, 상부 로드 래치(141)의 상단부는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10)의 내부로 약간 삽입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로드 래치(142)의 하단부도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20)의 내부로 약간 삽입된다. 즉,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는 수직으로 약간 상승하고,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는 수직으로 약간 하강한다. 또한 이때, 중간 로드 래치(152)는 우측으로 약간 이동하여 중간 로드 래치 하우징(30)에 약간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조하여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정면도인 도 9b의 (a)를 참조하면, 핸들(HD1, HD2)이 원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45° 회전할 경우 각각의 롤러(122)는 회전 디스크(121)의 아치형의 롤러 관통홀(ph21, ph3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위치고정된다. 이때, 측면도인 도 9b의 (b)를 참조하면, 상부 로드 래치(141)의 상단부는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로드 래치(142)의 하단부도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20)의 내부로부터 이탈된다. 즉,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는 수직으로 약간 하강하고,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는 수직으로 약간 상승한다. 또한 이때, 중간 로드 래치(152)는 좌측으로 약간 이동하여 중간 로드 래치 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된다.
끝으로, 도 9c를 참조하여 방폭 닫힘 상태에서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정면도인 도 9c의 (a)를 참조하면, 핸들(HD1, HD2)이 원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할 경우 각각의 롤러(122)는 회전 디스크(121)의 아치형의 롤러 관통홀(ph21, ph3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위치고정된다. 이때, 측면도인 도 9c의 (b)를 참조하면, 상부 로드 래치(141)의 상단부는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10)의 내부로 깊숙히 삽입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로드 래치(142)의 하단부도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20)의 내부로 깊숙히 삽입된다. 즉, 상부 로드 바(131) 및 상부 로드 래치(141)는 수직으로 상당폭 상승하고, 하부 로드 바(132) 및 하부 로드 래치(142)는 수직으로 상당폭 하강한다. 또한 이때, 중간 로드 래치(152)는 우측으로 상당폭 이동하여 중간 로드 래치 하우징(30)에 깊숙히 삽입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30: 로드 래치 하우징 100: 방폭겸용 방화문
110: 방화문 본체 120: 구동유닛
121: 회전 디스크 122: 롤러
123: 축 124-1, 124-2: 부싱
125: 축 하우징 126: 핸들 뭉치
127: 칼라 131, 132, 151: 로드 바
131a, 132a: 중간 돌출부 141, 142, 152: 로드 래치
160: 데드락 DF: 문틀
hg1, hg2, hg3: 힌지 gd1, gd2, gd3, gd4: 로드 가이드
C1, C2: 몸체 S1, S2: 암나사산
CP1, CP2: 커플링 SP1, SP2: 스프링
HS1, HS2: 스프링 하우징 EU1, EU2: 탄성유닛
HD1, HD2: 핸들 W: 벽체
B11, B12, B21, B22: 볼트 N11, N12: 너트
WS1, WS2: 와셔 ph11: 축 관통홀
ph12: 키 삽입홀 ph21, ph31: 롤러 관통홀
ph22, ph32: 추가 롤러 관통홀 ph23, ph33: 롤러 고정홀
PK: 패킹

Claims (23)

  1. 수직으로 배치된 상부 로드 바;
    상기 상부 로드 바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부 로드 바; 및
    상기 상부 로드 바 및 상기 하부 로드 바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로드 바와 상기 하부 로드 바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 디스크 및 한쌍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디스크, 상기 각각의 롤러 및 상기 각각의 로드 바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각각의 롤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각각의 로드 바의 수직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디스크는 축 관통홀, 상부 롤러 관통홀 및 하부 롤러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상부 롤러 관통홀에 연결된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 및 상기 하부 롤러 관통홀에 연결된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 바에 상방 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부 탄성유닛 및 상기 하부 로드 바에 하방 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부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탄성유닛은 상기 각각의 로드 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로드 바 및 대응 탄성유닛은 상기 각각의 로드 바가 대응 탄성유닛의 내부를 관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로드 바는 중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탄성유닛은 스프링 및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각각의 로드 바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바닥과 상기 중간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 바와 결합된 상부 로드 래치 및 상기 하부 로드 바와 결합된 하부 로드 래치를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부 커플링 및 하부 커플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 바와 상기 상부 로드 래치는 상기 상부 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상기 하부 로드 바와 상기 하부 로드 래치는 상기 하부 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커플링은 상기 각각의 로드 바 및 대응 로드 래치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되 그 내부에서 상기 각각의 로드 바 및 대응 로드 래치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커플링은 상기 각각의 로드 래치에 결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로드 바는 일단부에 수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기 암나사산과 상기 각각의 로드 바의 상기 수나산이 체결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축 관통홀에 연결된 키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 관통홀 및 상기 하부 롤러 관통홀은 상기 축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비대칭인 아치 형상을 갖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 상기 각각의 롤러 및 상기 각각의 로드 바는 상기 각각의 롤러가 상기 회전 디스크의 대응 롤러 관통홀 또는 대응 추가 롤러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디스크의 대응 롤러 관통홀 또는 대응 추가 롤러 관통홀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각각의 롤러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각각의 로드 바의 수직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 관통홀, 상기 하부 롤러 관통홀, 상기 추가 상부 롤러 관통홀 및 상기 추가 하부 롤러 관통홀은 상기 회전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각각의 롤러 및 대응 로드 바를 높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3곳의 수직 위치로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상부 롤러 관통홀에 연결된 상부 롤러 고정홀 및 상기 하부 롤러 관통홀에 연결된 하부 롤러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로드 바에 체결된 볼트 및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는 상기 볼트에 끼워져 상기 볼트에 체결된 상기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기 축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축, 상기 회전 디스크의 일측에서 상기 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쌍의 부싱, 상기 한쌍의 부싱과 함께 상기 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축 하우징, 상기 회전 디스크의 타측에서 상기 축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칼라, 상기 축의 일측 및 타측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핸들 뭉치 및 상기 한쌍의 핸들 뭉치에 하나씩 결합된 한쌍의 핸들을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로드 바 및 중간 로드 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디스크, 상기 중간 로드 바 및 상기 중간 로드 래치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중간 로드 바를 매개로 하여 상기 중간 로드 래치의 수평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 래치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 로드 래치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로드 래치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부 로드 래치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21. 제1항 내지 제8항, 제11항, 제12항 및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은 데드락을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
  23. 제22항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을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KR1020210060604A 2021-05-11 2021-05-11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KR10235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04A KR102354966B1 (ko) 2021-05-11 2021-05-11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04A KR102354966B1 (ko) 2021-05-11 2021-05-11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966B1 true KR102354966B1 (ko) 2022-02-08

Family

ID=8025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04A KR102354966B1 (ko) 2021-05-11 2021-05-11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739B1 (ko) 2023-11-20 2024-06-05 (주)해밀 터널용 피난 갱문의 홀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 갱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7464A1 (en) * 2007-12-26 2009-07-16 Goldtec Migun 2005 Ltd. Mortise lock
KR20120082643A (ko) * 2011-01-14 2012-07-24 현대로템 주식회사 길이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문 잠금장치 연결구
KR20160029527A (ko) * 2014-09-05 2016-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20200088046A (ko) * 2019-01-14 2020-07-22 최삼성 방호문의 잠금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7464A1 (en) * 2007-12-26 2009-07-16 Goldtec Migun 2005 Ltd. Mortise lock
KR20120082643A (ko) * 2011-01-14 2012-07-24 현대로템 주식회사 길이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문 잠금장치 연결구
KR20160029527A (ko) * 2014-09-05 2016-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20200088046A (ko) * 2019-01-14 2020-07-22 최삼성 방호문의 잠금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739B1 (ko) 2023-11-20 2024-06-05 (주)해밀 터널용 피난 갱문의 홀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 갱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5348B2 (ja) 差圧緩和機構付き扉装置
CN107152210B (zh) 一种用于防火窗的自动关闭系统
US6195941B1 (en) Safety door assembly, in particular a sterile door
EP1417417A1 (en) Locking mechanism for air handler (ahu) cabinet
KR20200088046A (ko) 방호문의 잠금구조
KR102354966B1 (ko)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DE19718238A1 (de) Als Schiebetür oder -tor ausgebildeter Rauchschutzabschluß
JP2015071863A (ja) 差圧用ドア装置
JP2017223103A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KR101577915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160021640A (ko) 폐쇄력 보조장치가 구비된 방화문 개폐장치
KR20120016878A (ko) 도어 잠금장치
KR102085754B1 (ko) 재난용 안전도어 조립체
KR100792317B1 (ko)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보조 폐쇄장치
CN220101105U (zh) 一种消防用防火隔离门
US20140273791A1 (en) Mine airlock system and method
US772686A (en) Sliding and swinging sash-window.
KR102268627B1 (ko)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KR101971354B1 (ko) 스프링을 구비한 경첩 장치
CN219365861U (zh) 一种防疫隔离方舱用物品传递通道
KR20090098859A (ko) 개선된 문
KR200367619Y1 (ko)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CN216665348U (zh) 一种人防安全门固定支撑结构
KR102597585B1 (ko) 양개 폴딩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