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585B1 - 양개 폴딩 방화문 - Google Patents

양개 폴딩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585B1
KR102597585B1 KR1020220114789A KR20220114789A KR102597585B1 KR 102597585 B1 KR102597585 B1 KR 102597585B1 KR 1020220114789 A KR1020220114789 A KR 1020220114789A KR 20220114789 A KR20220114789 A KR 20220114789A KR 102597585 B1 KR102597585 B1 KR 10259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frame
clos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개 폴딩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방화문의 외곽 둘레에 설치된 프레임부와, 일방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1 도어부와, 타방에 제1 도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2 도어부와, 제1 도어부와 제2 도어부 사이에 설치되어 타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지지하는 제3 도어부와, 제1 도어부와 제3 도어부를 함께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1 경첩부와, 제2 도어부를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2 경첩부와, 제3 도어부를 타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3 경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도어부를 구비하여 방화문의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함으로써, 화재발생이나 비상시에 방화문을 양방향에서 개폐하여 화재발생 지역이나 비상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대피시키거나 피난하여 방화문의 활용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개 폴딩 방화문{BOTH OPEN FOLDING FIRE PROOF DOOR}
본 발명은 양개 폴딩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또는 비상시에 방화문의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개 폴딩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은 인원의 출입이 많거나 또는 대형의 물품을 다루어야 함에 따라 그 출입구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대형 건물들은 화재 발생 시 인명이나 재산 피해가 커질 수 있어 방화시스템의 구축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나라에서는 방화시스템에 대한 설비를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통상의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더 이상 확산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층별, 면적별, 용도별로 구획화한 방화구획에 설치되며, 화재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도 출입문이 불에 타거나 변형되지 말아야 되는 기계적인 성질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한 방화시스템 구축에는 방화문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는 바, 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가 되도록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방화문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화문을 잠가 놓아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게된다.
따라서 상기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대형 건물들의 출입구에는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이나 온도의 상승이 있을 때 자동으로 폐쇄되는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형상의 사각 틀체로 된 프레임 내에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프레임의 일측 상,하부에는 각각 상기 방화문의 상,하단에 고정 장착된 힌지축과 대응하는 경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방화문은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 모두가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상기 금속 판재로 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로 그대로 전도되면서 금속 판재로 된 방화문의 열변형이 발생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방화문에 대한 열변형으로인한 뒤틀림이나 휨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문틀과의 틈새를 통해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방화문의 열변형에 의해 방화문을 회전되게 하는 회전부재인 힌지가 이탈되어 방화성능은 물론, 개폐능력까지 상실될 수 있다. 또한, 방화문으로 인해 구획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방화문 자체는 물론 방화문 주변의 벽체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방화문은 통상 상하 작동되는 셔터식 방화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셔터식 방화문의 설치 이유는, 상기 건물의 계단 측면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핸드레일이나 다른 조형물 등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와 같이 대형 건물의 출입구에는 그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여닫이 방화문이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그의 여닫이 동작 시 크기에 따른 개폐반경이 커짐에 따라 그의 동작범위 내에는 다른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통상의 건물 계단 측면에는 핸드레일이나 다른 조형물 등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여닫이 방화문이 설치되지 못하고 셔터식 방화문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셔터식 방화문은 상하 동작되어야 함에 따라 여닫이 방화문에 비하여 그 소재나 두께 등을 마음대로 할 수 없어 여닫이 방화문에 비하여 그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건물의 출입구 상부에 매립 설치됨에 따라 매립부의 틈새 처리가 어려워 화재 발생 시 상기 틈새를 통한 유독 가스의 유출위험이 상존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8568호 (2019년07월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2072호 (2020년01월3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0850호 (2010년03월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1 내지 제3 도어부를 구비하여 방화문의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함으로써, 화재발생이나 비상시에 방화문을 양방향에서 개폐하여 화재발생 지역이나 비상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대피시키거나 피난하여 방화문의 활용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개 폴딩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로서 하부, 측부, 상부 프레임과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방화문을 양방향 개방식으로 구성하면서 실링하여 방화문의 개방방향의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개방방식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양개 폴딩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부로서 도어와 도어블럭과 개스킷을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내구성과 지지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도어의 기밀성과 밀폐성을 향상시켜 화염이나 화재나 가스 등의 유해물질을 차폐할 수 있는 양개 폴딩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첩부로서 스프링 경첩과 유압오토힌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부의 개방시 탄지력에 의해 폐쇄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화재시나 비상시에 유압에 의한 유압오토힌지에 의해 도어부의 개방을 차단하여 방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넓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개폐식으로 동작됨으로써, 건물의 비상시 양방향으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방화문의 개방시 지장물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양개 폴딩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화문의 외곽 둘레에 설치된 프레임부(10);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방에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1 도어부(20); 상기 프레임부(10)의 타방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도어부(2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된 제2 도어부(30); 상기 제1 도어부(20)와 상기 제2 도어부(30) 사이에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부(20) 및 상기 제2 도어부(30)와 반대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된 제3 도어부(40);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부(20)를 상기 제3 도어부(40)와 함께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1 경첩부(50); 상기 프레임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어부(30)를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2 경첩부(60); 및 상기 제1 도어부(20)와 상기 제3 도어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도어부(40)를 타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3 경첩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부(10)는, 방화문의 하부에 매립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에 입설된 측부 프레임; 상기 측부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방을 실링하는 제1 실링편;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를 실링하는 제2 실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도어부(2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방에 상기 제1 경첩부(50)를 개재해서 회전에 의해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의 내부강성을 보강하는 제1 도어블럭; 및 상기 제1 도어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제1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도어부(3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타방에 상기 제2 경첩부(60)를 개재해서 회전에 의해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2 도어; 상기 제2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어의 내부강성을 보강하는 제2 도어블럭; 및 상기 제2 도어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제2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3 도어부(40)는, 상기 제1 도어부(20)와 상기 제2 도어부(30) 사이에 상기 제3 경첩부(70)를 개재해서 회전에 의해 타방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3 도어; 상기 제3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도어의 내부강성을 보강하는 제3 도어블럭; 및 상기 제3 도어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도어의 외곽둘레를 실링하는 제3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도어부를 구비하여 방화문의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함으로써, 화재발생이나 비상시에 방화문을 양방향에서 개폐하여 화재발생 지역이나 비상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대피시키거나 피난하여 방화문의 활용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부로서 하부, 측부, 상부 프레임과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방화문을 양방향 개방식으로 구성하면서 실링하여 방화문의 개방방향의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개방방식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어부로서 도어와 도어블럭과 개스킷을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내구성과 지지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도어의 기밀성과 밀폐성을 향상시켜 화염이나 화재나 가스 등의 유해물질을 차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경첩부로서 스프링 경첩과 유압오토힌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부의 개방시 탄지력에 의해 폐쇄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화재시나 비상시에 유압에 의한 유압오토힌지에 의해 도어부의 개방을 차단하여 방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넓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개폐식으로 동작됨으로써, 건물의 비상시 양방향으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방화문의 개방시 지장물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을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2 도어부의 상부 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2 도어부의 하부 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1 도어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2 도어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일방향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타방향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1 실링편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2 실링편을 나타내는 상세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을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2 도어부의 상부 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2 도어부의 하부 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1 도어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2 도어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일방향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타방향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1 실링편을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의 제2 실링편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양개 폴딩 방화문은, 프레임부(10), 제1 도어부(20), 제2 도어부(30), 제3 도어부(40), 제1 경첩부(50), 제2 경첩부(60), 제3 경첩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부(10)는, 방화문의 외곽 둘레에 설치된 프레임부재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 측부 프레임(12), 상부 프레임(13), 제1 실링편(14) 및 제2 실링편(15)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프레임(11)은, 방화문의 하부에 매립된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형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바닥에 매립되어 있거나 일부 절취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측부 프레임(12)은, 하부 프레임(11)의 양단에 입설된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 형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방화문의 양쪽 측단에 입설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부 프레임(13)은, 측부 프레임(1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 형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방화문의 상부에 스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실링편(14)은, 상부 프레임(13)의 하부 측면 일방에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13)의 하부 측면 일방을 실링하는 오링 등과 같은 실링부재로서, 화염이나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염, 방풍 및 방진하도록 고무, 실리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기밀부재의 난연 실링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 실링편(14)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3)의 하부 측면 일방에서 타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1 결합홈(13a)에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삽입 설치된 실링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실링편(15)은, 상부 프레임(13)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13)의 하부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로서, 화염이나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염, 방풍 및 방진하도록 고무, 실리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기밀부재의 난연 실링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2 실링편(15)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3)의 하부에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2 결합홈(13b)에 설치된 제2 결합편(13c)을 개재해서 결합 설치된 실링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도어부(20)는, 프레임부(10)의 일방에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도어부재로서,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어(21), 제1 도어블럭(22), 제1 난연재(23), 제1 개스킷(24) 및 제1 잠금편(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도어(21)는, 프레임부(10)의 일방에 제1 경첩부(50)를 개재해서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도어부재로서, 외부 벽체가 강판으로 구비되어 있고 내부공간에는 허니컴 구조의 난연재가 삽입 설치된 스틸이나 강철 소재로 이루어진 문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도어블럭(22)은, 제1 도어(21)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되어 제1 도어(21)의 지지강성을 보강하는 블럭부재로서, 제1 도어(21)의 외곽둘레와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1 도어(21)의 내부강성과 외부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제1 난연재(23)는, 제1 도어(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난연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 소재의 제1 도어(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글래스울, 미내럴울, 종이 채움재 등과 같은 허니컴 구조의 난연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개스킷(24)은, 제1 도어(21)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제1 도어(21)와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기밀부재로서, 화염이나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염, 방풍 및 방진하도록 고무, 실리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기밀부재의 난연 개스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잠금편(25)은, 제1 도어(21)의 상면 일방에 설치되어 제1 도어(21)와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잠금하는 잠금부재로서, 제1 도어(21)의의 상단 타방에 설치되어 제1 도어(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하여 지지하는 렛지 등과 같은 잠금지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 잠금편(25)은, 잠금 구동력을 제공하는 잠금링크와, 제1 도어(21)의 상단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잠금링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잠금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이동에 의해 프레임부(10)의 상부 프레임(13)에 끼워맞춤하여 제1 도어(21)를 잠금하게 되는 잠금핀과, 잠금동작을 부여하도록 잠금링크에 잠금 구동력을 제공하여 잠금핀을 조작하는 잠금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도어부(30)는, 프레임부(10)의 타방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되 제1 도어부(2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된 도어부재로서, 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도어(31), 제2 도어블럭(32), 제2 난연재(33), 제2 도어핸들(34), 제2 잠금편(35) 및 제2 개스킷(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도어(31)는, 프레임부(10)의 타방에 제2 경첩부(60)를 개재해서 회전에 의해 제1 도어부(20)와 동일한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도어부재로서, 외부 벽체가 강판으로 구비되어 있고 내부공간에는 허니컴 구조의 난연재가 삽입 설치된 스틸이나 강철 소재로 이루어진 문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도어블럭(32)은, 제2 도어(31)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되어 제2 도어(31)의 지지강성을 보강하는 블럭부재로서, 제2 도어(31)의 외곽둘레와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2 도어(31)의 내부강성과 외부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제2 난연재(33)는, 제2 도어(3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난연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 소재의 제2 도어(31)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글래스울, 미내럴울, 종이 채움재 등과 같은 허니컴 구조의 난연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도어핸들(34)은, 제2 도어(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도어(31)의 개폐시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잡이부재로서, 제2 도어(31)의 문짝의 중간부위에 손잡이 형상으로 설치되어 제2 도어(31)의 개방동작을 부여하는 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잠금편(35)은, 제2 도어(31)의 상면 일방에 설치되어 제2 도어(31)와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잠금하는 잠금부재로서, 제2 도어(31)의의 상단 타방에 설치되어 제2 도어(3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하여 지지하는 렛지 등과 같은 잠금지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2 잠금편(35)은, 잠금 구동력을 제공하는 잠금링크와, 제2 도어(31)의 상단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잠금링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잠금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이동에 의해 프레임부(10)의 상부 프레임(13)에 끼워맞춤하여 제2 도어(31)를 잠금하게 되는 잠금핀과, 잠금동작을 부여하도록 잠금링크에 잠금 구동력을 제공하여 잠금핀을 조작하는 잠금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개스킷(36)은, 제2 도어(31)의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기밀부재로서, 화염이나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염, 방풍 및 방진하도록 고무, 실리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기밀부재의 난연 개스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 도어부(40)는, 제1 도어부(20)와 제2 도어부(30) 사이에 타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며 제1 도어부(20) 및 제2 도어부(30)와 반대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된 도어부재로서, 도 1,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도어(41), 제3 도어블럭(42), 제3 난연재(43), 제3 도어핸들(44), 제3 잠금편(45) 및 제3 개스킷(46, 47)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 도어(41)는, 제1 도어부(20)와 제2 도어부(30) 사이에 제3 경첩부(70)를 개재해서 타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된 도어부재로서, 외부 벽체가 강판으로 구비되어 있고 내부공간에는 허니컴 구조의 난연재가 삽입 설치된 스틸이나 강철 소재로 이루어진 문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 도어블럭(42)은, 제3 도어(41)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되어 제3 도어(41)의 지지강성을 보강하는 블럭부재로서, 제3 도어(41)의 외곽둘레와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3 도어(41)의 내부강성과 외부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제3 난연재(43)는, 제3 도어(4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난연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 소재의 제3 도어(41)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글래스울, 미내럴울, 종이 채움재 등과 같은 허니컴 구조의 난연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3 도어핸들(44)은, 제3 도어(4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3 도어(41)의 개폐시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잡이부재로서, 제3 도어(41)의 문짝의 중간부위에 손잡이 형상으로 설치되어 제3 도어(41)의 개방동작을 부여하는 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제3 잠금편(45)은, 제3 도어(41)의 상면 일방에 설치되어 제3 도어(41)와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잠금하는 잠금부재로서, 제3 도어(41)의 상단 타방에 설치되어 제3 도어(4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하여 지지하는 렛지 등과 같은 잠금지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3 잠금편(45)은, 잠금 구동력을 제공하는 잠금링크와, 제3 도어(41)의 상단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잠금링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잠금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이동에 의해 프레임부(10)의 상부 프레임(13)에 끼워맞춤하여 제3 도어(41)를 잠금하게 되는 잠금핀과, 잠금동작을 부여하도록 잠금링크에 잠금 구동력을 제공하여 잠금핀을 조작하는 잠금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제3 개스킷(46, 47)은, 제3 도어(41)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제3 도어(41)의 외곽둘레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로서, 제3 도어(41)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1 도어부(2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제3-1 개스킷(46)과, 제3 도어(41)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2 도어부(3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제3-1 개스킷(47)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1 개스킷(46)은, 제3 도어(41)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1 도어부(2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기밀부재로서, 화염이나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염, 방풍 및 방진하도록 고무, 실리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기밀부재의 난연 개스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2 개스킷(47)은, 제3 도어(41)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2 도어부(3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기밀부재로서, 화염이나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염, 방풍 및 방진하도록 고무, 실리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기밀부재의 난연 개스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경첩부(50)는, 프레임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1 도어부(20)를 제3 도어부(40)와 함께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경첩부재로서, 화재시 제1 도어부(20)의 개방을 유압에 의해 차단하도록 유압오토힌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경첩부(60)는, 프레임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제2 도어부(30)를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경첩부재로서, 화재시 제2 도어부(30)의 개방을 유압에 의해 차단하도록 유압오토힌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3 경첩부(70)는, 제1 도어부(20)와 제3 도어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제3 도어부(40)를 타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경첩부재로서, 화재시 제3 도어부(40)의 타방향 개방시 탄지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스프링 경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도어부를 구비하여 방화문의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폐함으로써, 화재발생이나 비상시에 방화문을 양방향에서 개폐하여 화재발생 지역이나 비상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대피시키거나 피난하여 방화문의 활용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부로서 하부, 측부, 상부 프레임과 실링편을 구비함으로써, 방화문을 양방향 개방식으로 구성하면서 실링하여 방화문의 개방방향의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개방방식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어부로서 도어와 도어블럭과 개스킷을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내구성과 지지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도어의 기밀성과 밀폐성을 향상시켜 화염이나 화재나 가스 등의 유해물질을 차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경첩부로서 스프링 경첩과 유압오토힌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부의 개방시 탄지력에 의해 폐쇄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화재시나 비상시에 유압에 의한 유압오토힌지에 의해 도어부의 개방을 차단하여 방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넓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개폐식으로 동작됨으로써, 건물의 비상시 양방향으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방화문의 개방시 지장물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프레임부 20: 제1 도어부
30: 제2 도어부 40: 제3 도어부
50: 제1 경첩부 60: 제2 경첩부
70: 제3 경첩부

Claims (5)

  1. 방화문의 외곽 둘레에 설치된 프레임부(10);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방에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1 도어부(20);
    상기 프레임부(10)의 타방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도어부(2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된 제2 도어부(30);
    상기 제1 도어부(20)와 상기 제2 도어부(30) 사이에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부(20) 및 상기 제2 도어부(30)와 반대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된 제3 도어부(40);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부(20)를 상기 제3 도어부(40)와 함께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1 경첩부(50);
    상기 프레임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어부(30)를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2 경첩부(60); 및
    상기 제1 도어부(20)와 상기 제3 도어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도어부(40)를 타방으로 개폐되도록 회전지지하는 제3 경첩부(7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10)는,
    방화문의 하부에 매립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에 입설된 측부 프레임;
    상기 측부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 측면 일방에서 타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1 결합홈(13a)에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삽입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방을 실링하는 제1 실링편;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2 결합홈(13b)에 설치된 제2 결합편(13c)을 개재해서 결합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를 실링하는 제2 실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 폴딩 방화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2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방에 상기 제1 경첩부(50)를 개재해서 회전에 의해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의 내부강성을 보강하는 제1 도어블럭; 및
    상기 제1 도어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제1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 폴딩 방화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부(3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타방에 상기 제2 경첩부(60)를 개재해서 회전에 의해 일방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2 도어;
    상기 제2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어의 내부강성을 보강하는 제2 도어블럭; 및
    상기 제2 도어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0)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제2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 폴딩 방화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어부(40)는,
    상기 제1 도어부(20)와 상기 제2 도어부(30) 사이에 상기 제3 경첩부(70)를 개재해서 회전에 의해 타방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제3 도어;
    상기 제3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도어의 내부강성을 보강하는 제3 도어블럭; 및
    상기 제3 도어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도어의 외곽둘레를 실링하는 제3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 폴딩 방화문.
KR1020220114789A 2022-07-06 2022-09-13 양개 폴딩 방화문 KR102597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22 2022-07-06
KR20220082922 2022-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585B1 true KR102597585B1 (ko) 2023-11-02

Family

ID=8874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789A KR102597585B1 (ko) 2022-07-06 2022-09-13 양개 폴딩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5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50B1 (ko) 2009-02-09 2010-03-31 강영원 양방향 개폐 도어 및 그 시공 방법
KR101998568B1 (ko) 2019-01-14 2019-07-10 (주)동광명품도어 접이식 방화문
KR102056562B1 (ko) * 2019-03-21 2019-12-16 노경수 이중 패킹 구조체를 구비한 방화용 문틀
KR102072072B1 (ko) 2019-06-28 2020-01-31 (주)동광명품도어 순차 접이식 방화문
KR20200079859A (ko) * 2018-12-26 2020-07-06 굿하이테크주식회사 방화문 장치
KR102258077B1 (ko) * 2020-05-20 2021-05-28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방화문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50B1 (ko) 2009-02-09 2010-03-31 강영원 양방향 개폐 도어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79859A (ko) * 2018-12-26 2020-07-06 굿하이테크주식회사 방화문 장치
KR101998568B1 (ko) 2019-01-14 2019-07-10 (주)동광명품도어 접이식 방화문
KR102056562B1 (ko) * 2019-03-21 2019-12-16 노경수 이중 패킹 구조체를 구비한 방화용 문틀
KR102072072B1 (ko) 2019-06-28 2020-01-31 (주)동광명품도어 순차 접이식 방화문
KR102258077B1 (ko) * 2020-05-20 2021-05-28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방화문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CA2600188C (en) Casement window assembly with windload and impact resistance
KR101339951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 앤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2258077B1 (ko) 방화문의 결합구조
KR102597585B1 (ko) 양개 폴딩 방화문
JP6436438B2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US2971228A (en) Window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US20110308161A1 (en) Fire shutter
CN211647888U (zh) 一种内开防火窗
KR102627547B1 (ko) 접이식 방화문
US20020040550A1 (en) Improvements to sash and case windows
CN211313857U (zh) 一种带阻燃隔热条的联动式内外窗结构
KR20110101839A (ko) 창틀의 개폐장치
CN210483450U (zh) 一种泄爆门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JP3172548U (ja) 換気機能付き内窓
CN217054920U (zh) 一种常闭式建筑洁净甲级防火门
GB2386146A (en) Sash window assemblies
JP6890383B2 (ja) 建具
CN217001469U (zh) 上悬式抗爆消防救援窗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JP7496795B2 (ja) 建具
RU2577706C1 (ru) Противовзломная ок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