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527A - 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527A
KR20160029527A KR1020140119196A KR20140119196A KR20160029527A KR 20160029527 A KR20160029527 A KR 20160029527A KR 1020140119196 A KR1020140119196 A KR 1020140119196A KR 20140119196 A KR20140119196 A KR 20140119196A KR 20160029527 A KR20160029527 A KR 2016002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oor
head
locking devic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188B1 (ko
Inventor
박정호
김윤종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1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대상체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용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제공된 핸들의 조작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대상체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모듈과, 상기 걸림모듈이 상기 대상체의 일측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킹모듈을 포함하는 주잠금장치 및 비활성화 상태와 활성화 상태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걸림모듈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조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걸림모듈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헤드 및 상기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정식 사용자 외 제 3 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금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금고 침입을 위한 기술 역시 고도화되고 있어 조금 더 안전하면서도 도난 가능성이 적은 금고가 필요하다. 특히, 고액의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현금입출금기의 경우 대부분 개방된 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금고의 보안 문제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금고의 1차적인 목적은 제 3 자가 어떠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금고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고, 2차적인 목적은 경찰 또는 경비기관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때까지 금고의 개방을 늦추는 것일 수 있다. 요즘과 같이 각종 절삭장비가 고도로 개발된 시점에서는 금고의 개방을 완전히 방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며, 금고가 개방되는데 최대한 많은 시간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일 수 있다.
참고로, 미국 안전 규정인 UL(Underwriters Laboratory) 인증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금고가 안전규정 레벨 1에 속하기 위해서는 금고 전문가가 약 30분간 해당 금고를 열지 못해야 한다. 같은 맥락으로, 현금입출금기처럼 기기 전체를 운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금고의 개방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금고에 적용되던 도어(door) 중에는 이중잠금장치,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주잠금장치, 그리고 상기 주잠금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외부인의 침입이 있을 때 도어를 완전히 잠그는 보조잠금장치(auxiliary locking apparatus, re-locker)가 구비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주잠금장치는, 사용자가 금고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키 락킹모듈(key locking module) 또는 다이얼 락킹모듈(dial locking module), 금고 내부에서 직선운동하는 것에 의해 금고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림으로써 정식 사용자가 도어의 핸들을 돌릴 때에는 도어가 열리도록 하고, 정식 사용자 외의 제 3 자가 도어의 핸들을 돌릴 때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걸림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잠금장치는,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가 외부인의 침입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금고의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일단에 제공되어 스프링이 돌출될 때 걸림쇠의 직선운동을 제한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보조잠금장치의 경우, 외부인이 보조잠금장치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은 도어 외부에 충격을 가해 주잠금장치의 락킹모듈을 파손시킬 수 있다. 이어서, 외부인은 도어에 작은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을 통해 작은 도구를 금고 내부로 삽입하며, 상기 도구를 이용해 이미 작동된 보조잠금장치의 스프링을 다시 도어 내측면 쪽으로 압축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보조잠금장치는 더 이상 걸림쇠의 직선운동을 제한하지 못하므로 도어는 언락(unlock) 상태가 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33108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인이 보조잠금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도 도어의 락(lock)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는 대상체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장치로서,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제공된 핸들의 조작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대상체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모듈과, 상기 걸림모듈이 상기 대상체의 일측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킹모듈을 포함하는 주잠금장치 및 비활성화 상태와 활성화 상태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걸림모듈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조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걸림모듈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헤드 및 상기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대상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 1 돌기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 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는 서로 엇갈려서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는 각각 상기 헤드와 상기 베이스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기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의 주변부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돌기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헤드의 주변부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헤드는,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가 서로 엇갈리는 것에 의해 서로 형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대상체 내측 방향의 일면에는 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대상체 내측 방향의 일면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헤드 사이에서 비틀리면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이 적어도 일부 해제되면서 상기 대상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잠금장치는, 상기 락킹모듈이 파손될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모듈은,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조작유닛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조작유닛과 연동되는 탭 돌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주잠금장치는 상기 탭 돌출유닛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가 상기 브라켓의 일부에 의해 상기 도어 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보조잠금장치의 상기 비활성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락킹모듈 및 상기 브라켓이 상기 대상체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잠금장치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모듈은, 상기 대상체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쇠 및 평판 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걸림쇠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타측 모서리 부분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일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3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적인 접근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킬 때,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도어 측 일면에 부딪혀 정지되고, 상기 단턱이 상기 제 3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링크부재의 직선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인이 보조잠금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도 도어의 락(lock)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대상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주잠금장치가 락(lock) 상태일 때의 도어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에서 캠을 제거한 도면.
도 3a는 주잠금장치가 언락(unlock) 상태일 때의 도어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에서 캠을 제거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잠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주잠금장치가 락(lock) 상태일 때 주잠금장치의 락킹모듈과 보조잠금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보조잠금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잠금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구비된 대상체(1)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1)는 금고일 수 있고, 도어(110)는 금고 도어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변형예에서는 대상체는 방(room)일 수 있으며, 도어는 상기 방의 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대상체는 그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는 특정 구조물일 수 있고, 도어는 상기 특정 구조물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체(1)는 금고, 도어(110)는 금고 도어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어(110)는 대상체(1)에, 예를 들어 힌지 결합됨으로써 대상체(1)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핸들(120)은 도어(110)의 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핸들(120)을 회전시킨 후 당김으로써 도어(110)가 대상체(1)의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락킹모듈(150, 151)은 도어(110)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조작유닛(150)과, 상기 조작유닛(150)과 연동되는 탭 돌출유닛(15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10)의 외측에서 조작유닛(150)을 조작하는 것에 따라 탭 돌출유닛(151)은 탭을 선택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탭 돌출유닛(151)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유닛(150)은 상기 조작유닛(150)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정식 사용자인지 여부가 판정되기 위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유닛(150)은 다이얼(dial) 방식으로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고, 또는 키패드(터치스크린 포함)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키(key)가 삽입되어 탭 돌출유닛(151)의 작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
도 2a는 주잠금장치가 락(lock) 상태일 때의 도어(110)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캠(130)을 제거한 도면이다.
주잠금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식 사용자 외의 제 3 자는 대상체(1)의 입구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며, 오직 정식 사용자만이 대상체(1)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잠금장치는, 예를 들어, 캠(130), 걸림모듈(140), 락킹모듈(150, 15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캠(130)은 도어(110)의 외측면에 제공된 핸들(120)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120)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130)은 핸들(120)로부터 연장되는 핸들샤프트(125)와 연결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핸들샤프트(125)의 핸들(120) 반대쪽 일단부는 캠(130)을 관통할 수 있고, 별도의 제 1 연결체(135)에 의해 캠(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핸들샤프트(125)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기둥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 1 연결체(135)에는 핸들샤프트(125)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라운드진 사각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120), 핸들샤프트(125) 및 캠(130)은 언제나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아니면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탭 돌출유닛(151)으로부터 돌출된 탭(152)에 의해 캠(130)의 회전이 제한되면, 핸들샤프트(125) 및 핸들(120) 역시 그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a 및 2b의 상태에서는 캠(130)은 돌출된 탭(15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걸림모듈(140)은 도어(110)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고, 핸들(120)의 조작, 더 구체적으로는 핸들(120)의 회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통해 대상체(1)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모듈(140)은 걸림쇠(141)와 링크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여 링크부재(142)를 먼저 설명하면, 링크부재(142)는 평판형태일 수 있으며, 링크부재(142)에는 타원형의 홀(146)과 상기 타원형의 홀(146)로부터 연장되는 장공(14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샤프트(125)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제 2 연결체(126)는 핸들(120) 및 핸들샤프트(1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연결체(126)는 도 2b를 기준으로 그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링크부재(142)는 제 2 연결체(1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왼쪽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 및 3b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의 상태에서는 제 2 연결체(126)는 링크부재(142)의 타원형의 홀(146)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링크부재(142)의 모서리들 중 보조잠금장치(160)에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는 단턱(149)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쇠(141)는 링크부재(142)에 연결될 수 있고, 링크부재(142)가 직선운동할 때 함께 직선운동할 수 있다. 걸림쇠(14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걸림쇠(141)의 일측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홀(144)과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의 홀(144)로부터 연장되는 장공(145)이 형성될 수 있고, 도어(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의 홀(144)과 장공(145)을 관통하는 가이드부재(143)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a 및 2b의 상태에서, 걸림쇠(141)는 도어(110)의 바깥으로 일부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이 대상체(1)에 걸릴 수 있다. 걸림쇠(141)가 대상체(1)에 걸린 상태에서는 도어(110)는 대상체(1)의 입구를 개방시킬 수 없다.
락킹모듈(150, 151)은 도 1에서 설명했던 조작유닛(150)과 상기 조작유닛(150)과 연동되는 탭 돌출유닛(151)을 포함할 수 있다. 탭 돌출유닛(151)은, 도 2a 및 2b의 상태에서 탭(152)을 돌출시키고 있으며, 돌출된 탭(152)에 의해 캠(130)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캠(130)의 회전이 제한되면 핸들샤프트(125) 및 핸들(120)의 회전 역시 제한되고, 연쇄적으로 링크부재(142) 및 걸림쇠(141)의 직선운동 또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쇠(141)가 대상체(1)에 걸려있는 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보조잠금장치(160)는 비활성화 상태와 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걸림모듈(14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잠금장치(160)는 주잠금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락킹모듈(150, 151)이 파손될 때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보조잠금장치(160)에 대해서는 도 4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주잠금장치가 언락(unlock) 상태일 때의 도어(110)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캠(130)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락 상태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어(110)의 외측에서 조작유닛(150)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을 돌릴 수 있고,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키를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식 사용자임이 판정되면 탭 돌출유닛(151)은 돌출되어 있던 탭(152)을 인입시킬 수 있다. 이로써 캠(130)은 더 이상 탭(152)에 의해 회전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캠(130)은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었으므로, 사용자가 도어 패널(110)의 외측에서 핸들(120)을 회전시킨 후 당기면 도어(110)는 대상체(1)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샤프트(125)의 외주면에 제공된 제 2 연결체(126)의 외주면의 일부는 링크부재(142)에 형성된 타원형의 홀(146)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캠(130), 핸들(120) 및 핸들샤프트(125)가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연결체(126)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대한 반력으로 링크부재(142)는 왼쪽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링크부재(142)가 왼쪽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링크부재(142)에 연결된 걸림쇠(141) 역시 왼쪽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걸림쇠(141)는 대상체(1)에 걸리지 않는 지점까지 직선운동할 수 있다. 걸림쇠(141)가 대상체(1)에 걸리지 않는 언락 상태가 될 때 제 2 연결체(126)는 장공(147)에 위치될 수 있다(더 정확하게는, 제 2 연결체(126)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링크부재(142)가 이동하여 제 2 연결체(126)와 타원형의 홀(146) 및 장공(147)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120)을 당기면 도어(110)가 열리면서 대상체(1)의 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런데, 정식 사용자가 아닌 제 3 자가 무단으로 대상체(1)에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3 자는 보통 도어(110)의 외측면에 강한 충격을 가하거나, 도구를 이용해 도어(110)를 관통하여 락킹모듈(150, 151)을 밀어내는 등의 방식으로 락킹모듈(150, 151)을 도어(1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탭(152)이 돌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탭(152)이 캠(1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없고, 결국 핸들(120), 핸들샤프트(125) 및 걸림모듈(14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대상체(1)의 입구는 개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잠금장치는 비활성화 상태와 활성화 상태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걸림모듈(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조잠금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잠금장치(160)는 베이스(161)와 헤드(162)를 포함할 수 있는데(도 4 참조), 비활성화 상태에서 헤드(162)는 베이스(161)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활성화 상태에서 헤드(162)는 베이스(161)로부터 이격되어 걸림모듈(140)의 이동을 제한하되, 헤드(162)는 활성화 상태에서 베이스(161)의 일부분에 의해 간섭되어 베이스(161)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도 4는 보조잠금장치(16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잠금장치(160)는 베이스(161), 헤드(162) 및 탄성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61)는 도어(110)의 내측면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 위치는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61)에는 대상체(1)의 내측 방향, 즉 도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돌기(16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돌기(161a)는 복수로 마련되어 베이스(161)의 주변부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헤드(162)는 베이스(161)보다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162)는 플레이트부재(162b)와 돌기(162a, 162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돌기(162a)는 플레이트부재(162b)로부터 도어(110) 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 3 돌기(162c)는 플레이트부재(162b)로부터 대상체(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돌기(162a)는, 제 1 돌기(161a)와 마찬가지로, 복수로 마련되어 헤드(161)의 주변부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64)를 기준으로 다시 설명하면, 플레이트부재(162b)의 일면에는 탄성부재(164)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제 3 돌기(162c)는 플레이트부재(162b)의 타면으로부터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돌기(162c)는 플레이트부재(162b)의 중앙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보조잠금장치(160)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베이스(161)와 헤드(162)는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61)의 제 1 돌기(161a)와 헤드(162)의 제 2 돌기(162a)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돌기(161a)는 헤드(162)에, 제 2 돌기(162a)는 베이스(161)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돌기(161a)와 제 2 돌기(162a)가 모두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는 제 1 돌기(161a)와 제 2 돌기(162a)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돌기(161a)와 제 2 돌기(162a)가 서로 형합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161)와 헤드(16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잠금장치(160)의 활성화 상태에서는, 베이스(161)와 헤드(162)는 더 이상 결합상태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162)는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모듈(1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돌기(162a)는 제 1 돌기(161a)에 의해 간섭되어 더 이상 베이스(161) 쪽으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고, 따라서 걸림모듈(140)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헤드(162)가 걸림모듈(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체적인 모습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외부에서의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즉 보조잠금장치(160)의 활성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162)는 대상체(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보조잠금장치(160)는 탄성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4)는 베이스(161)와 헤드(162)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베이스(161)와 헤드(162)에 의해 도어(110) 쪽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헤드(162)가 도 4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164)는 압축되면서 비틀릴 수 있다. 탄성부재(164)는 베이스(161)와 헤드(162)가 서로 결합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보조잠금장치(160)의 헤드(162)는 정상적인 상태(비활성화 상태)에서는 베이스(161)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탄성부재(164)는 계속 압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걸림모듈(140)이 대상체(1)에 걸린 상태에서 정식 사용자가 아닌 제 3 자가 주잠금장치, 예를 들어 락킹모듈(150, 151)을 파손하는 경우에는 헤드(162)와 탄성부재(164)는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16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부재(164)가 헤드(162)를 베이스(16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헤드(162)는 걸림모듈(140)의 이동을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걸림쇠(141)가 대상체(1)에 계속 걸려 있도록 함으로써 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주잠금장치가 락(lock) 상태일 때 주잠금장치의 락킹모듈(151)과 보조잠금장치(16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잠금장치는 락킹모듈(150, 151)의 탭 돌출유닛(15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7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70)은 도어(110)의 내측면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그러한 브라켓(170) 내부에 탭 돌출유닛(151)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식 사용자가 아닌 제 3 자가 탭 돌출유닛(151)을 파손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은 현격히 증가될 수 있다.
도 5는 보조잠금장치(160)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162)는 제 2 돌기(162a)가 제 1 돌기(161a)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즉 제 2 돌기(162a)와 제 1 돌기(161a)가 서로 엇갈리는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면서 베이스(16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164)는 베이스(161)와 헤드(162)가 서로 결합될 때까지 비틀리면서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브라켓(170)은 연장가압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가압부(175)는 브라켓(17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그 일부는 보조잠금장치(160)의 헤드(162)를 도어(110)의 내측면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연장가압부(175)는 헤드(162)의 플레이트부재(162b)의 타면 일부분을 도어(11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이란 것은 직접적으로 힘을 가해 누른다는 개념뿐만 아니라 자체 강성을 이용하여 돌출되려고 하는 대상이 돌출되지 않도록 막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락킹모듈(150, 151)과 브라켓(170)이 정상적인 조립 상태 하에 있다면, 헤드(162) 및 탄성부재(164)는 연장가압부(175) 때문에 대상체(1)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없어, 결국 보조잠금장치(160)의 비활성화 상태는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보조잠금장치(160)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정식 사용자가 아닌 제 3 자의 침투에 의해 주잠금장치의 락킹모듈(150, 151)은 파손될 수 있다. 그래서 도어(110)의 내측에 제공되어 있던 탭 돌출유닛(151)은 정상적인 상태보다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라켓(170) 역시 파손되어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때문에 연장가압부(175)는 더 이상 보조잠금장치(160)의 헤드(162)를 도어(110) 측으로 가압하지 못할 수 있다.
연장가압부(175)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탄성부재(164)는 헤드(162)를 베이스(16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헤드(162)와 탄성부재(164)는 탄성부재(16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로써 헤드(162)는 걸림모듈(140)의 이동을 제한하여 락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162)는 걸림모듈(140)의 링크부재(142)의 단턱(149)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재(162b)는 돌출되다가 링크부재(142)의 도어(110) 측 일면에 부딪혀 정지될 수 있다. 종전에 가압연장부(175)가 하던 역할과 비슷한 역할을 링크부재(142)가 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제 3 돌기(162c)는 플레이트부재(162b)보다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었기 때문에 링크부재(142)의 단턱(149)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단턱(149)은 제 3 돌기(162c)에 걸릴 수 있고, 링크부재(142), 더 나아가 걸림쇠(141)의 직선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부재(142)는 탄성부재(164)가 초기길이로 모두 복원되기 전에 플레이트부재(162b)를 차단하기 때문에 여전히 탄성부재(164)에 의한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자가 도어 패널(110) 외측면의 핸들(120)을 회전시켜 링크부재(142)를 강제로 직선운동시키려고 하여도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해 링크부재(142)는 여전히 직선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다만, 상술했던 것처럼, 제 3 자는 도어(110)에 작은 구멍을 뚫고 작은 도구를 대상체(1) 내부로 삽입한 뒤 상기 도구를 이용해 이미 활성화된 보조잠금장치(160)의 헤드(162)를 도어(110) 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침투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즉, 헤드(162)를 베이스(161)와 결합시켜 보조잠금장치(160)를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164)는 최초에 비틀리면서 압축되어 있다가 대상체(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때에는 압축 시 비틀렸던 방향과는 반대로 복원(비틀림이 적어도 일부 해제됨)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64)가 압축될 때의 헤드(162)의 회전 방향(도 4 참조)과 탄성부재(164)가 돌출(복원)될 때의 헤드(162)의 회전 방향(도 6 참조)은 반대일 수 있다.
도 6에서, 제 3 자가 도구를 이용해 헤드(162)를 베이스(161) 쪽으로 누른다면, 제 2 돌기(162a)가 제 1 돌기(161a)에 의해 간섭되기 때문에 헤드(162)의 베이스(161) 쪽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고, 결국 베이스(161)와 헤드(162)는 서로 결합될 수 없다.
제 3 자로서는 보조잠금장치(160)의 작동을 완전히 해제하기 위해, 작은 구멍으로 삽입된 작은 도구를 이용해 이미 돌출되어 있는 헤드(162)를 정확히 파지하고, 더 나아가 헤드(16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압해야 하는데,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베이스(161)와 헤드(162)는 서로 형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바, 제 3 자는 베이스(161)와 헤드(162)의 형합을 위해 헤드(162)의 회전 정도까지 적절하게 조절해가며 탄성부재(164)를 압축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단순히 끝 부분이 굽혀진 길고 가는 막대를 이용해 보조잠금장치의 작동 상태(활성화 상태)를 해제할 수 있었다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그러한 단순한 도구로는 보조잠금장치(160)의 작동(활성화 상태)을 해제할 수 없다. 따라서 제 3 자가 도어 패널(110)을 완전히 열기도 어려울뿐더러, 여는데 걸리는 시간이 종래 대비 현격하게 늘어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잠금장치(2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베이스(261)와 헤드(262)가 결합되고 활성화 상태에서는 헤드(262)가 베이스(261)로부터 이격되되 베이스(261)의 일부분에 의해 간섭되어 베이스(26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는 점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위와 같은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는 상이하므로,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61)의 대상체(1) 내측 방향의 일면에는 홈(261a)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262)는 플레이트부재(262b)로부터 베이스(261)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262a)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잠금장치(260)가 최초에 설치될 때, 헤드(262)는 예를 들어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26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헤드(262)의 돌기(262)는 이 과정에서 베이스(261)의 홈(26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261)와 헤드(262)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262)는 브라켓 등의 구성에 의해 베이스(261) 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로써 보조잠금장치(260)의 비활성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보조잠금장치(260)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 헤드(262)와 탄성부재(264)는 베이스(2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264)의 비틀림이 적어도 일부 해제되면서 헤드(262)는 도 7의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3 자가 작은 도구를 이용해 헤드(262)를 베이스(261) 쪽으로 누르는 경우, 헤드(262)의 돌기(262a)는 베이스(261)의 대상체(1) 내측 방향의 일면에 의해 간섭될 수 있고, 따라서 돌기(262a)는 더 이상 베이스(26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결국 헤드(262)의 베이스(261) 방향으로의 이도이 제한되어 베이스(261)와 헤드(262)는 결합될 수 없다. 즉, 보조잠금장치(260)의 활성화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홈(261a)과 돌기(262a)가 각각 하나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변형예에서는 홈과 돌기가 복수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에서, 홈은 베이스에 형성되고 돌기는 헤드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에 돌기가 제공되고 헤드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도어 120: 핸들
130: 캠 140: 걸림모듈
141: 걸림쇠 142: 링크부재
150: 조작유닛 151: 탭 돌출유닛
152: 탭 160: 보조잠금장치
161: 베이스 161a: 제 1 돌기
162: 헤드 162a: 제 2 돌기
162b: 플레이트부재 162c: 제 3 돌기
170: 브라켓

Claims (12)

  1. 대상체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제공된 핸들의 조작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대상체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모듈과, 상기 걸림모듈이 상기 대상체의 일측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킹모듈을 포함하는 주잠금장치; 및
    비활성화 상태와 활성화 상태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걸림모듈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조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걸림모듈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헤드; 및
    상기 비정상적인 접근이 있는 경우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대상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 1 돌기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는 서로 엇갈려서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는 각각 상기 헤드와 상기 베이스에 접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의 주변부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돌기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헤드의 주변부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헤드는,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가 서로 엇갈리는 것에 의해 서로 형합되는 도어용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대상체 내측 방향의 일면에는 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대상체 내측 방향의 일면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도어용 잠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헤드 사이에서 비틀리면서 압축되는 도어용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이 적어도 일부 해제되면서 상기 대상체 내측으로 돌출되는 도어용 잠금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잠금장치는, 상기 락킹모듈이 파손될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도어용 잠금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모듈은,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조작유닛;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조작유닛과 연동되는 탭 돌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주잠금장치는 상기 탭 돌출유닛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가 상기 브라켓의 일부에 의해 상기 도어 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보조잠금장치의 상기 비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는 도어용 잠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락킹모듈 및 상기 브라켓이 상기 대상체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잠금장치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도어용 잠금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모듈은,
    상기 대상체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쇠; 및
    평판 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걸림쇠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타측 모서리 부분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일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3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적인 접근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헤드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킬 때,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도어 측 일면에 부딪혀 정지되고, 상기 단턱이 상기 제 3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링크부재의 직선운동이 제한되는 도어용 잠금장치.
KR1020140119196A 2014-09-05 2014-09-05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2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96A KR101629188B1 (ko) 2014-09-05 2014-09-05 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96A KR101629188B1 (ko) 2014-09-05 2014-09-05 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27A true KR20160029527A (ko) 2016-03-15
KR101629188B1 KR101629188B1 (ko) 2016-06-13

Family

ID=5554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196A KR101629188B1 (ko) 2014-09-05 2014-09-05 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43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복수의 구동원을 갖는 자동 잠금 장치를 포함한 금고
KR102354966B1 (ko) * 2021-05-11 2022-02-08 최삼성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022A (ja) * 1996-11-21 1998-06-09 Oki Electric Ind Co Ltd 扉のロック機構及び耐防犯性機器装置
KR100633108B1 (ko) 2004-06-04 200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KR20130035505A (ko) * 2011-09-30 2013-04-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20140086422A (ko) * 2012-12-28 2014-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022A (ja) * 1996-11-21 1998-06-09 Oki Electric Ind Co Ltd 扉のロック機構及び耐防犯性機器装置
KR100633108B1 (ko) 2004-06-04 200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KR20130035505A (ko) * 2011-09-30 2013-04-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20140086422A (ko) * 2012-12-28 2014-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43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복수의 구동원을 갖는 자동 잠금 장치를 포함한 금고
KR102354966B1 (ko) * 2021-05-11 2022-02-08 최삼성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188B1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751B2 (en) Lockable enclosure
US9238929B2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US10221592B2 (en) Padlock assembly
AU2011357333B2 (en) Security safe and self-servic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EP3589809B1 (en) Locking module
KR10162918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RU2500869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сувальдного замка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вскрытия и сувальдный замок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306900B1 (ko) 도어용 잠금장치
US11421448B2 (en) Symmetrical and reversible-clutch mortise lock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RU2474658C1 (ru) Способ запирания и отпирания замка и замок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TW201433682A (zh) 用於鎖的阻擋機制
KR101700112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667101B1 (ko)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KR200475539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KR102588288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200381484Y1 (ko) 금고용 도어 잠금장치
KR20120101256A (ko) 도어용 잠금장치
US10392834B2 (en) Safety trapped key interlock system
TW201544669A (zh) 具有附加安全改善之安全鎖
US20200190853A1 (en) Blocking lock with matrix coding system
CA3235881A1 (en) A lock
JP2015117499A (ja) プッシュ式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