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108B1 -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 Google Patents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108B1
KR100633108B1 KR1020040040636A KR20040040636A KR100633108B1 KR 100633108 B1 KR100633108 B1 KR 100633108B1 KR 1020040040636 A KR1020040040636 A KR 1020040040636A KR 20040040636 A KR20040040636 A KR 20040040636A KR 100633108 B1 KR100633108 B1 KR 10063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unger
bearing
pi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537A (ko
Inventor
김윤종
장현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10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7/00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e.g. movable pay-plates; Bank drive-up window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금고 및 현금인출기와 같은 대상체를 보호하기 위한 이중잠금 도어가 개시된다. 이중잠금 도어는 대상체의 입구를 차단하는 도어 판, 도어 판 내면에 장착되는 베어링 하우징, 도어 판 및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베어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잠금 조립체, 핀 몸체 및 플런저 결속구를 포함하는 도어 핀, 잠금 조립체에 결속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 및 스토퍼에 의해서 임시로 고정되며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베어링을 이용한 보호장치를 이용하여 잠금 조립체 또는 도어의 주요 부위를 1차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잠금 조립체가 침투되어도 스토퍼 및 플런저를 이용한 보호장치를 이용하여 도어 핀을 고정시켜 도어를 2차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
금고, 도어, 이중잠금, 베어링, 플런저, 스토퍼

Description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DOOR HAVING DOUBLE LOCK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도어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잠금 도어의 베어링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잠금 도어의 베어링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중잠금 도어에서 플런저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런저 보호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중잠금 도어 110:도어 판
120:제1 베어링 하우징 125:제1 베어링
130:제2 베어링 하우징 135:제2 베어링
150:잠금 조립체 152:고정구
154:스토퍼 160:플런저
164:스프링 170:도어 핀
174:플런저 결속구 176:핀 플레이트
본 발명은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금고나 현금인출기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식의 사용자 외에 제3자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금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불법적으로 금고를 열기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어 좀더 안전하면서 도난 등의 가능성이 적은 금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현금인출기와 같이 고액의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장치가 대중적인 장소에 사용됨으로써, 금고에 대한 보안의 필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금고의 1차적인 목적은 제3자가 어떠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금고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며, 2차적인 목적은 개방이 되더라도 최대한의 시간을 경과하게 함으로써 경찰 또는 사설 경비 기관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때까지 개방을 늦추도록 하는 것일 것이다. 요즘과 같이, 각종 절삭장비 및 용접장치가 개발된 시점에서는 오히려 아예 금고를 못 열도록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이라 할 것이며,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 할 것이다.
참고로, 미국의 안전 관련 규정인 UL(Underwriters Laboratory) 인증 관련 내용을 살피면, 안전규정 레벨1에 속하기 위해서 금고 전문가가 약 30분간 해당 금고를 열지 못하여야 하는 것을 규정으로 하고 있다. 즉, 현금인출기와 같이, 기기 전체를 이송하는 것이 어려운 장치에 있어서 금고부를 최대 시간 동안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적으로 제3자의 무단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는 제3자의 침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잠금 도어(Double-Locking Door)는 대상체의 입구를 차단하는 도어 판, 도어 판 내면에 장착되는 제1 베어링 하우징, 도어 판 및 제1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베어링, 제1 베어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는 잠금 조립체, 잠금 조립체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도어 및 대상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도어 핀, 잠금 조립체에 결속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 및 스토퍼에 의해서 임시로 고정되고 도어핀의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이동 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금고 같은 대상체를 열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드릴을 이용한 방법을 가정할 수 있다. 드릴을 이용해 철강 또는 합금으로 구성된 도어 판을 뚫고, 도어 내부에 장착된 잠금 조립체(locking assembly)를 손상시키거나 주요 부위를 파괴하는 방법이 예상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잠금 조립체 또는 주요 방어 부위에 대응하도록 베어링을 위치시킨다면 드릴 등을 이용한 침투를 최대한 연장시킬 수가 있다. 왜냐하면, 드릴은 정지된 절삭 대상에 대해 드릴이 회전하면서 철강 등을 절삭하면서 전진할 수가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드릴이 전진하는 도중에 베어링을 만나게 된다면, 드릴과 함께 베어링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드릴은 정상적으로 베어링을 절삭하면서 전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인 베어링은 구형인 동시에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드릴의 진입이 어려우며 절삭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장점을 더 갖게 된다.
설령, 드릴이 베어링 방어선을 뚫어 잠금 조립체에 접근하였다고 가정하여도, 도어는 스토퍼 및 플런저로 구성된 제2 선의 장치에 의해서 이중으로 보호될 수 있다. 평화로운 상태의 경우 스토퍼는 잠금 조립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스토퍼의 일부는 플런저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플런저는 스프링에 의해서 도어 핀의 결속구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만약, 드릴 등에 의해 잠금 조립체의 분리가 시도되면, 스토퍼는 도어로부터 분리되고, 그와 동시에 플런저는 스토퍼로부터 해방되어 도어 핀의 플런저 결속구에 삽입 고정된다. 도어 핀이 플런저 결속구에 삽입됨으로써, 도어 핀은 잠금 조립체의 정상 여부와 무관하게 움직이 지 않게 된다. 이때, 침입자는 다른 해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지만, 그 동안 소비된 시간 및 해체에 필요한 시간 등을 감안한다면 더 이상 침입 행위를 할 수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베어링을 이용한 보호장치 및 스토퍼-플런저를 이용한 보호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양 보호장치를 통해 도어는 이중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양 보호장치의 상호 조합(combination)에 의해서 침입자는 의도한 대로 단시간에 대상체를 개방할 수가 없을 것이다.
베어링에 의한 보호장치는 2중 또는 3중으로 확장되어 내부 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으며, 한 도어에서도 다이얼 조립체, 키 조립체 등과 같이 다양한 잠금 조립체를 독립적 또는 상보적으로 보호함으로써 이중잠금 방식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도어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이중잠금 도어의 베어링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Ⅱ-Ⅱ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중잠금 도어의 베어링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도어(100)는 도어 판(110), 베어링 보호장치, 잠금 조립체(150, 150'), 플런저 보호장치, 및 도어 핀(170)을 포함한다.
도어 판(110)은 철강 또는 철강 합금으로 구성되며, 금고 및 현금인출기의 금고부를 개폐하기 위한 문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판(110)은 힌지를 이용하여 개폐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상하로 형성된 경첩을 포함하고, 경첩을 통해 대상체와 연결된다. 도어 판(110)의 후면에는 보호장치, 잠금 조립체(150) 및 도어 핀(170) 등이 장착되며, 도어 판(110)의 전면에는 손잡이, 열쇠 구멍 및 다이얼 등이 장착된다.
베어링 보호장치는 제1 베어링 하우징(120), 제1 베어링(125), 제2 베어링 하우징(130) 및 제2 베어링(135)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베어링 하우징(120) 및 제1 베어링(125)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설명은 제2 베어링 하우징(130) 및 제2 베어링(135)의 설명에 참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어링 하우징(120)은 도어 판(110)과 유사하게 철강 또는 철강 합금으로 구성된 판재이며,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서 도어 판(110)의 내면에 부착된다. 제1 베어링 하우징(120)에서 도어 판(110)에 접하는 면에는 제1 베어링(125)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베어링 수용홈(122)이 형성되며, 제1 베어링 수용홈(122)에는 구형의 제1 베어링(125)이 촘촘하게 배치된다.
제1 베어링 하우징(120)의 후면으로 ㄷ-자 형상의 가이드 브라켓(142)이 용접에 의해서 부착되고, 가이드 브라켓(142)에서 개방측의 내면에 보강판(144)이 부착되고, 그 안쪽으로는 제1 베어링 하우징(120)에 평행하게 제2 베어링 하우징(130)이 장착된다. 물론, 가이드 브라켓(142) 및 제2 베어링 하우징(130) 사 이에는 제2 베어링(135)이 촘촘하게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베어링(125, 135)은 잠금 조립체(150) 및 주요 방어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베어링(125, 135)은 각 주요 부위에 대응하여 분포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은 잠금 조립체(150)의 고정구(152), 플런저(160) 및 플런저 수용구(166), 그리고 도어 핀(170) 및 핀 플레이트(176)의 연결부위 등에 분포되어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잠금 조립체(150, 150')는 다이얼 모듈, 열쇠 모듈 등과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얼 모듈 또는 열쇠 모듈의 작동에 의해서 고정구(152)를 잠금 조립체(150, 152)의 몸체로부터 돌출시키거나 몸체 내로 삽입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2종류의 잠금 조립체(150, 150')가 상하로 배치되어 제공되며, 각각 다이얼 모듈 및 열쇠 모듈을 포함하고, 상호 작동에 의해서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될 수가 있다. 다이얼 및 열쇠 등을 이용하여 개폐하는 구조 외의 기타 고정구(152) 등의 구조는 양 잠금 조립체(150, 150')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핀 플레이트(176)는 도어 핀(170)과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체결되는 관계는 도 1의 일점쇄선(X, Y)를 참조할 수 있다. 핀 플레이트(176)의 일부는 잠금 조립체(150)의 고정구(152)를 향해 돌출된 고정편(178)을 제공한다. 고정구(152)가 돌출되어 있으면, 핀 플레이트(176)는 고정편(178)이 걸려서 이동할 수가 없지만, 고정구(152)가 몸체 내로 삽입되면, 핀 플레이트(176)는 도어 핀(170)과 함께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가 있다. 핀 플레이트(176)에 의해서 도어 핀(170)은 동시에 이동하며, 도어 핀(170) 중 하나가 고정되어도 다른 도어 핀(170)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어 핀(170)은 좌우로 이동하여 도어(100) 및 대상체를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핀 몸체(172) 및 핀 몸체(172)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형성된 플런저 결속 구(174)를 포함한다. 핀 몸체(172)는 실린더 또는 각기둥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핀 플레이트(176)에 결속된다. 또한, 플런저 결속구(174)는 플런저(160)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플런저(160)에 대응하는 홈을 갖는다.
폐쇄된 상태의 도어 핀(170)에서 플런저 결속구(174)에 인접하게 플런저 보호장치가 제공되며, 플런저 보호장치는 플런저(160), 플런저 수용구(166), 스프링(164) 등을 포함한다. 플런저(160)는 플런저 수용구(166)에 수용되며, 가이드 홀(168)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플런저(160) 및 가이드 홀(168)의 내면 사이에는 스프링(164)이 제공되기 때문에, 플런저(160)는 플런저 결속구(174)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평화로운 경우에 플런저(160)는 스토퍼(154)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플런저 수용구(166) 내부에 수용되어 있게 된다.
스토퍼(154)는 잠금 조립체(150)의 후면에 고정되며, 스토퍼(154)의 단부는 플런저 수용구(166)에 형성된 관통홀(169)을 통해 가이드 홀(168) 내부로 삽입되고, 스토퍼(154)의 삽입된 단부는 플런저(160)의 결속홈(162)과 결속되어 플런저(16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도어 판(110)에 장착된 보호 장치, 잠금 조립체(150), 도어 핀(170) 등은 커버(180)에 의해서 내부 시설과도 차단될 수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도어의 보호 시스템을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고하면, 드릴을 이용해 철강 또는 합금으로 구성된 도어 판을 뚫고, 도어 내부에 장착된 잠금 조립체(150)의 고정구(152)를 파괴한다고 가정할 수가 있다. 이때, 고정구(152) 전방은 제1 및 제2 베어링(125, 135)에 의해서 우선적으로 차단된다. 드릴이 도어 판(110)을 뚫고 제1 베어링(125)으로 진입하게 되면, 제1 베어링(125)은 드릴과 함께 회전을 하게 되기 때문에 드릴은 좀처럼 절삭과정을 통해 앞으로 전진할 수가 없다. 또한, 제1 베어링(125)은 구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드릴은 제1 베어링(125)에 비스듬히 진입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절삭을 할 수 없으며, 제1 베어링(125) 자체가 재료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갖기 때문에 드릴에 의해서 쉽게 절삭되지가 않는다.
따라서, 드릴은 제1 베어링(125)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데에 많은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게 되며, 침입자의 계획을 1차적으로 방해할 수가 있다. 드릴이 제1 베어링(125)에 의한 방어선을 뚫었다 하더라도, 제2 베어링(135)에 의한 방어를 극복해야 하며, 계속되는 베어링에 의해서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긴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또한, 설령 베어링에 의한 방어를 뚫고 잠금 조립체(150)에 접근하였다고 가정하여도, 도어(100)는 스토퍼(154) 및 플런저(160)로 구성된 제2 선의 보호장치에 의해서 이중으로 보호된다.
도 4는 도 1의 이중잠금 도어에서 플런저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의 플런저 보호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상적인 상태에서, 스토퍼(154)는 잠금 조립체(150)의 후면에 장착되며, 스토퍼(154)의 일부는 플런저(160)의 결속홈(162)과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플런저(16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이 베어링에 의한 방어선을 뚫고 잠금 조립체(150)로 접근하여 고정구(152)를 파괴될 수가 있다. 이때 잠금 조립체(150)는 드릴에 의해서 뒤로 물러나면서 도어로부터 분리되고, 스토퍼(154)도 역시 잠금 조립체(150)와 함께 도어(100)로부터 분리된다. 그와 동시에 스토퍼(154)의 단부에 결속된 플런저(160)는 스토퍼(154)로부터 해방되고, 결속력을 상실한 플런저(160)는 스프링(164)에 의해서 튕겨져 나가 도어 핀(170)의 플런저 결속구(174)에 삽입 고정된다. 플런저(160)가 플런저 결속구(174)에 삽입됨으로써, 도어 핀(170)은 잠금 조립체의 정상 여부와 무관하게 움직이지 않게 되며, 해당 도어 핀(170)과 연결된 핀 플레이트(176) 및 다른 도어 핀들도 움직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베어링을 이용한 보호장치 및 스토퍼-플런저를 이용한 보호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양 보호장치를 통해 도어는 이중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양 보호장치의 상호 조합(combination)에 의해서 침입자는 의도한 대로 단시간에 대상체를 개방할 수가 없을 것이다.
베어링에 의한 보호장치는 2중 또는 3중으로 확장되어 내부 장치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으며, 한 도어에서도 다이얼 조립체, 키 조립체 등과 같이 다양한 잠금 조립체를 독립적 또는 상보적으로 보호함으로써 이중잠금 방식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대상체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도어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입구를 차단하는 도어 판;
    상기 도어 판 내면에 장착되는 제1 베어링 하우징;
    상기 도어 판 및 상기 제1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베어링;
    상기 제1 베어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는 잠금 조립체;
    상기 도어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핀 몸체 및 상기 핀 몸체에 형성된 플런저 결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조립체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 및 상기 대상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도어 핀;
    상기 잠금 조립체에 결속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임시로 고정되고, 상기 도어핀의 상기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플런저 결속구를 고정시켜 상기 도어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플런저;
    를 구비하는 이중잠금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잠금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이중잠금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하우징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어링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는 제1 베어링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핀과 일체로 체결되어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는 핀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핀 플레이트는 상기 잠금 조립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조립체는 상기 고정편에 대응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잠금 조립체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고정편과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일측에 형성된 결속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플런저 수용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 수용구에는 상기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의 수용 및 안내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홀의 측벽에는 상기 플런저 수용구의 외부와 연결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플런저의 상기 결속홈과 결속되며, 상기 플런저 결속구에 대향하여 상기 플런저 및 상기 가이드 홀 사이에는 상기 플런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도어.
KR1020040040636A 2004-06-04 2004-06-04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KR100633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636A KR100633108B1 (ko) 2004-06-04 2004-06-04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636A KR100633108B1 (ko) 2004-06-04 2004-06-04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537A KR20050115537A (ko) 2005-12-08
KR100633108B1 true KR100633108B1 (ko) 2006-10-12

Family

ID=3728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636A KR100633108B1 (ko) 2004-06-04 2004-06-04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1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257B1 (ko) 2008-12-26 2011-07-05 에프케이엠 주식회사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이중잠금장치
KR20160001230A (ko) *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20160029527A (ko) 2014-09-05 2016-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707A (ko) * 2010-06-03 2011-12-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 잠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789A (ja) 2002-01-07 2003-07-18 Kanta Hayashi 現在位置情報サービスに対応した防犯用持ち運び型金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789A (ja) 2002-01-07 2003-07-18 Kanta Hayashi 現在位置情報サービスに対応した防犯用持ち運び型金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257B1 (ko) 2008-12-26 2011-07-05 에프케이엠 주식회사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이중잠금장치
KR20160001230A (ko) *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700112B1 (ko) * 2014-06-26 2017-01-2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20160029527A (ko) 2014-09-05 2016-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29188B1 (ko) 2014-09-05 2016-06-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537A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0032A (en) Vending machine lock security cover
US7201028B1 (en) Stanchion lever lock guard
US7874188B2 (en) Anti-theft latch shield
US5743118A (en) Lock guard for a tractor trailer
US4581907A (en) Padlock protector
US4322102A (en) Guarded locking device
US4285221A (en) Retrofit doorknob lock apparatus
KR10072600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US5806351A (en) Lock well for vehicle door
US4566296A (en) Padlock security cover
US6463769B1 (en) Lock box apparatus for a padlock
US4438641A (en) Shielded lock assembly
US4877275A (en) Protected sliding bolt locking structure
US4866960A (en) Padlock protector
KR101306899B1 (ko) 도어용 잠금장치
US4237712A (en) Latch and cylinder guard
KR100633108B1 (ko)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US20190360240A1 (en) Hasp with Cylindrical Lock
US6164219A (en) Security vault
US6601413B1 (en) Hasp enclosure for receiving a lock
KR20090002449A (ko) 도어 잠금구조
KR101306900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69609B1 (ko) 도어 잠금구조
KR20130113111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72600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