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449A - 도어 잠금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449A
KR20090002449A KR1020070065792A KR20070065792A KR20090002449A KR 20090002449 A KR20090002449 A KR 20090002449A KR 1020070065792 A KR1020070065792 A KR 1020070065792A KR 20070065792 A KR20070065792 A KR 20070065792A KR 20090002449 A KR20090002449 A KR 20090002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plate
plunger
door lock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종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449A/ko
Publication of KR2009000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금고 및 현금인출기와 같은 대상체를 보호하기 위한 도어 잠금구조가 개시된다. 도어 잠금구조는 대상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핀 몸체와 핀 몸체에 구비된 플런저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핀,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조립체, 잠금 조립체에 결속된 상태로 장착되는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 임시로 고정되고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스토퍼로부터 해제되면 플런저 결속구를 고정시켜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플런저 및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핀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구조 {DOOR LOCK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플런저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토퍼-플런저 보호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비닛 200 : 금고
210 : 도어 310 : 도어 로킹 플레이트
311 : 안내홀 312 : 결합홈
320 : 슬라이드 핀 321 : 핀 몸체
322 : 플런저 결속구 330 : 잠금 조립체
331 : 잠금 몸체 332 : 잠금쇠
333 : 잠금 모듈 340 : 스토퍼
350 : 플런저 351 : 플런저 수용구
360 : 베어링부 370 : 도어 핸들
380 : 회전편 382 : 결합돌기
390 : 추가 잠금 조립체 395 : 추가 보강판
본 발명은 도어 잠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금고 및 금융자동화기기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식 사용자 외의 제3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불법적으로 금고를 열기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어 좀더 안전하면서도 도난 등의 가능성이 적은 금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현금인출기와 같이 고액의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대중적인 장소에서 사용됨으로써, 금고에 대한 보안의 필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금고의 1차적인 목적은 제3자가 어떠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금고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며, 2차적인 목적은 경찰 또는 사설 경비 기관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때까지 금고의 개방을 늦추도록 하는 것일 것이다. 요즘과 같이, 각종 절삭장비 및 용접장치가 개발된 현 시점에서는 아예 금고를 못 열도록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것이며,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 할 것이다.
참고로, 미국의 안전 관련 규정인 UL(Underwriters Laboratory) 인증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안전규정 레벨1에 속하기 위해서는 금고 전문가가 약 30분간 해당 금고를 열지 못하여야 한다. 즉, 현금인출기와 같이, 기기 전체를 이송하는 것이 어려운 장치에 있어서는 금고를 최장 시간 동안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잠금구조는 도어와 대상체를 결속시키기 위해 핀 형상으로 제조된 결속수단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핀 형상의 결속수단이 손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핀 형상의 결속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링크 등을 이용함으로써 도어 잠금구조 자체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도어 잠금구조는 외부로 노출된 잠금 모듈에 대한 외부 공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1차적으로 제3자의 무단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는 제3자의 침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도어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와 대상체 사이에 형성된 간극 사이로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라도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와 대상체를 결속시키는 결속수단을 단순화하여 대상체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전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도어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 조립체 등의 주요 방어 부위가 외부로부터 공격을 당하는 경우에도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잠금구조는 대상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핀 몸체와 핀 몸체에 구비된 플런저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핀,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조립체, 잠금 조립체에 결속된 상태로 장착되는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 임시로 고정되고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스토퍼로부 터 해제되면 플런저 결속구를 고정시켜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플런저 및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핀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한다.
도어 로킹 플레이트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도어에 장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 있어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대상체의 일면 또는 대상체 일면에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형성된 홈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로킹 플레이트는 평판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핀 형태와 달리 외부 공격으로부터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슬라이드 핀은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은 후술할 잠금 조립체에 의해 그 슬라이드 이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면 슬라이드 핀에 연결된 도어 로킹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 역시 제한될 수 있다.
잠금 조립체는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 로킹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잠금 조립체는 도어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잠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모듈이라 함은 특정 사용자만이 대상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금고 등의 대상체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열쇠식 잠금 모듈, 다이얼(dial)식 잠금 모듈 또는 키패드(key-pad)식 잠금 모듈 등이 이에 해 당될 수 있다. 잠금 모듈에는 잠금쇠가 기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잠금 모듈의 작동에 의해 잠금쇠가 선택적으로 잠금 조립체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대상체라 함은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일반적인 금고나 금융자동화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금융자동화기기라 함은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 등과 같이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가 외부 침입으로부터 대상체를 보호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금고와 같은 대상체를 열기 위한 방법으로 드릴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즉, 드릴을 이용하여 철강 또는 합금으로 구성된 도어를 뚫고 도어 내부에 장착된 잠금 조립체(locking assembly)를 손상시키거나 주요 부위를 파괴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예상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핀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드릴 등에 의한 침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경우 드릴은 드릴의 회전에 의해 정지된 절삭 대상을 절삭하면서 절삭 대상 내부로 전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드릴의 전진이 베어링부에 의해 지연될 수 있다. 왜냐하면, 드릴이 베어링을 만나게 되면 드릴과 함께 베어링이 회전하게 되어 드릴이 베어링을 절삭하면서 전진하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구형인 동시 에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절삭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스토퍼 및 플런저로 구성된 보호장치에 의해 외부 침입으로부터 대상체를 보호할 수 있다. 평화로운 상태에 있어 스토퍼는 잠금 조립체의 후면에 결속되며, 스토퍼의 일부는 플런저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플런저는 제1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슬라이드 핀의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만약, 드릴 또는 정 등에 의한 잠금 조립체의 분리가 시도되면 스토퍼는 잠금 조립체로부터 분리되고, 그와 동시에 플런저는 스토퍼로부터 해제되어 슬라이드 핀의 플런저 결속구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플런저가 플런저 결속구에 삽입되면, 잠금 조립체의 정상 여부와 무관하게 슬라이드 핀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침입자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 다른 해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지만, 그 동안 소비된 시간 및 해체에 필요한 시간 등을 감안하면 더 이상 침입 행위를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베어링을 이용한 보호장치 및 스토퍼-플런저를 이용한 보호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양 보호장치를 통해 도어는 이중으로 보호되며 양 보호장치의 상호 조합(combination)에 의해 침입자는 의도한 대로 단시간에 대상체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 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도어(210),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 슬라이드 핀(320), 잠금 조립체(330), 스토퍼(340), 플런저(350) 및 베어링부(3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가 현금출금기의 금고(200)에 적용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출금기는 캐비닛(100), 기능별 모듈 및 금고(200) 등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0)은 현금출금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각 기능별 모듈 등을 수용한다. 각 기능별 모듈에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지폐 출금 모듈 등이 있다. 캐비닛(100)의 하부에는 금고(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금고(200)에는 보관 공간(201)이 구비되어 현금을 수용하는 현금 카세트(cash cassette) 등이 보관될 수 있다.
보관 공간(201)의 전면 개구는 도어(2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10)는 일반적으로 철강 또는 철강 합금 등으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힌지를 사용하여 금고(20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도어(210) 외면에는 도어 핸들(370)이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는 도어(210)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도어(210)를 대상체, 즉 금고(200)에 구속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는 T-자 형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요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는 도어 핸들(37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어(210)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도어(210)를 금고(200)에 구속시킬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금고(200)의 일면에는 돌출된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를 수용할 수 있는 잠금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210)와 금고(200)가 더욱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도어(210)와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회전편(380)과 제2 탄성부재(381)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편(380)과 전술한 도어 핸들(370)은 도어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도어 핸들(370)의 회전 조작에 따라 도어 핸들(370)의 회전력이 도어 샤프트를 통해 회전편(38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편(380)은 도어 샤프트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편(380)과 도어 샤프트 간의 결합은 도어 샤프트 단부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회전편(380)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을 형성함으로써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상태는 회전편(380) 외측에 결합된 와셔 및 체결 너트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회전편(380)과 도어 샤프트 간의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용접 등의 체결 방법을 통해 회전편(380)과 도어 샤프트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회전편(380)에 의한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가 도어(210)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도어(210)가 금고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가 도어(210)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210)의 결속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편(380)의 일단에는 회전편(380)의 회전력을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에 전달하기 위한 결합돌기(38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에는 결합돌기(382)에 대응하여 결합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382)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나, 회전편(380)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210)의 잠김 상태에서 회전편(380)은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결합홈(312)은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만, 회전편(380)의 배치 방향 및 결합홈(312)의 형성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편(380)의 회전력을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본 실시예에 채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도어(210)의 잠김 상태에서 도어(210) 내면을 기준으로 도어 핸들(37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도어 샤프트 및 회전편(380)은 도어 핸들(370)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382)는 결합홈(312)의 슬라이드 이동방향 내면을 밀어냄으로써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 결합돌기(382)는 결합홈(312)의 일 내면을 통해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를 밀어냄과 동시에 결합홈(312)을 따라 도어(210)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회전편(380)의 타단에는 회전편(380)에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제2 탄성부재(3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381)의 일단은 회전편(380)에 연결되고, 제2 탄성부재(381)의 타단은 도어(210) 내면에서 도어(210)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383)에 연결됨으로써 제2 탄성부재(381)는 회전편(380)에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회전편(380)이 도어(210) 내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에는 회전편(380)의 타단에 제2 탄성부재(381)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여 회전편(380)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도 잠김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에는 안내홀(311)이 형성되어,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가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안내홀(311)은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내홀(311) 내에는 연결축(313)이 배치되어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가 도어(210)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연결축(313)이 지지축이 됨으로써,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가 안내홀(3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평판 형태의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를 사용하여 금고와 도어(210)를 결속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도어 잠금구조 보다 안전하게 금고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도어 잠금구조는 핀 형상 의 결속수단을 사용하여 금고와 도어를 결속시키기 때문에 도어와 금고의 간극 사이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결속수단이 손쉽게 파손되어 도어(210)의 잠김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평판 형태의 결속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외부 침입으로부터 금고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핀 형상의 결속수단을 사용하는 도어 잠금구조는 상기 결속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도어 내측에 여러 개의 링크 등으로 구성된 링크 조립체를 구비하여야만 했다. 이에 따라 도어 잠금구조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회전편(380)에 의해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부품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슬라이드 핀(320)은 전술한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에 연결되어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320)은 후술할 잠금 조립체(330)에 의해 그 슬라이드 이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핀(3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면 슬라이드 핀(320)에 연결된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 역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핀(320)은 핀 몸체(321) 및 플런저 결속구(322)를 구비한다. 플런저 결속구(322)에는 후술할 플런저(350)를 수용할 수 있는 플런저 수용홈(323)이 형성되어, 잠금 조립체(330)가 외부로부터 공격을 당하게 되는 경우 플런저 수용홈(323)이 플런저(350)를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 핀(3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슬라이드 핀(320)을 이용하여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대상체의 보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슬라이드 핀(320)을 통해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어(21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호장치가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에 집중되지 않고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와 슬라이드 핀(320)에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10)를 강제적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에 연결된 보호장치 및 슬라이드 핀(320)에 연결된 보호장치를 각각 파손시켜야 하므로 침입자는 도어(210)를 개방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잠금 조립체(330)는 도어(210)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핀(3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잠금 조립체(330)는 도어(210) 내면에 설치되는 잠금 몸체(331) 및 잠금 몸체(331) 내부에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잠금 몸체(331)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쇠(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잠금 몸체(331) 외부로 돌출된 잠금쇠(332)가 슬라이드 핀(320)에 구비된 잠금쇠 수용홈(324)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드 핀(3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잠금 몸체(331) 내에는 도어(210)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잠금 모듈(333)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모듈(333)이라 함은 특정 사용자만이 대상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금고 등의 대상체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열쇠식 잠금 모듈, 다이얼(dial)식 잠금 모듈 또는 키패드(key-pad)식 잠금 모듈 등을 말 한다. 잠금 모듈(333)에는 잠금쇠(332)가 기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잠금 모듈(333)의 작동에 의해 잠금쇠(332)가 선택적으로 잠금 몸체(331)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추가 잠금 조립체(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추가 잠금 조립체(390)는 직접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추가 잠금 조립체(390)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잠금 조립체(330)에 상응한다. 이러한 추가 잠금 조립체(390)가 하나 이상 구비됨으로써 도어 잠금구조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잠금 조립체(390)는 잠금 조립체(330)와 같이 스토퍼-플런저 보호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잠금 모듈(333)에 대응하여 추가 잠금 모듈(39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추가 잠금 모듈(393)은 키(key)에 의해 도어(21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열쇠 모듈로 예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가 잠금 모듈(393)로서 다이얼 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어(210) 내면에는 슬라이드 핀(320) 및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일단을 수용하여 슬라이드 핀(320) 및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추가 보강판(395)이 구비될 수 있다. 추가 보강판(395)은 도어(210) 내면에 용접 방식 또는 나사결합 방식 등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추가 보강판(395)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슬라이드 핀(320) 및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다. 추가 보강판(395)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드 핀(320) 및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의 일단을 수용하 여 도어(210) 내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에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보강판(395)은 드릴 또는 정 등에 의한 외부 침입으로 인하여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 및 슬라이드 핀(320)이 도어(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플런저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5의 스토퍼-플런저 보호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40)는 잠금 조립체(330)에 결속된 상태로 장착되어 플런저(350)를 임시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몸체 플레이트(341) 및 구속편(342)을 포함한다. 구속편(342)은 몸체 플레이트(341) 일단에 형성되어 플런저(350)를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플런저(350)는 일단이 개방된 가이드 홀(352)을 통해 플런저 수용구(351)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홀(352)의 개방구는 폐쇄된 상태에서 플런저 결속구(322)를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폐쇄된 상태라 함은 도어(210)가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에 의해 금고에 결속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이드 홀(352)을 따라 플런저(350)는 상하로 이동하여 플런저 결속구(3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플런저(350)가 플런저 결속구(322)에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드 핀(3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어 폐쇄된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 수용구(351) 내에는 플런저(3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제1 탄성부재(353)가 구비되며, 가이드 홀(352)의 측벽에는 가이드 홀(352)과 플런저 수용구(351)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홀(354)이 형성된다. 제1 탄성부재(353)는 가이드 홀(352)의 폐쇄된 타단과 플런저(350) 사이에 배치되어 플런저(350)가 가이드 홀(352)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한다. 다만, 전술한 구속편(342)이 관통홀(354)을 통해 가이드 홀(352)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플런저(350)의 구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잠금 조립체(330)가 공격 당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스토퍼(340)에 의한 플런저(35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잠금 조립체(330)의 정상 여부와 무관하게 폐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또는 정 등이 잠금 조립체(330)를 공격하여 잠금 조립체(330)가 도어(210) 내측으로 물러나게 되는 경우 전술한 스토퍼(340) 역시 도어(210) 내측으로 물러나게 된다. 이때, 구속편(342)이 관통홀(354) 외측으로 이탈됨으로써 플런저(350)의 결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결속력을 상실한 플런저(350)는 제1 탄성부재(353)에 의해 튕겨져 나가 플런저 수용홈(323)을 통해 플런저 결속구(32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플런저(350)가 플런저 결속구(322)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드 핀(320)은 잠금 조립체(330)의 정상 여부와 무관하게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게 되며, 슬라이드 핀(320)에 연결된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 또한 움직이게 않게 되어 도어(210)의 폐쇄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어링부(360)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와 슬라이드 핀(320)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도어(210) 내측에 장착되는 베어링(361) 및 베어링 하우징(3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362)은 도어(210) 내면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장착된다. 베어링 하우징(362)은 도어(210)와 유사하게 철강 또는 철강 합금으로 구성된 판재로 구성되며,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도어(210) 내면에 장착된다. 베어링 하우징(362)에서 도어(210)에 접하는 면에는 베어링(361)을 수용하기 위해 베어링(361)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여 베어링 수용홈(363)이 형성되며, 베어링 수용홈(363)에는 구형의 베어링(361)이 촘촘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베어링부(360)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와 슬라이드 핀(320)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베어링부(360)는 주요 방어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주요 방어 부위 즉, 잠금 조립체(330), 잠금 조립체(330)의 잠금쇠(332) 또는 플런저(350) 및 플런저 수용구(351) 등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 베어링부(360)는 단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보다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복층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베어링부(360)와 연결부 사이에 추가 베어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보호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드릴을 이용해 도어(210)를 뚫고, 도어(210) 내부에 장착된 상기 연결부를 파괴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의 전방은 베어링(361)에 의해 드릴의 진입이 차단될 수 있다. 즉, 드릴이 도어(210)를 뚫고 베어 링(361)으로 진입하게 되면, 베어링(361)은 드릴과 함께 회전을 하게 되기 때문에 드릴은 좀처럼 절삭과정을 통해 앞으로 전진할 수가 없다. 또한, 베어링(361)은 구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드릴은 베어링(361)에 비스듬히 진입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절삭을 할 수 없으며, 베어링(361) 자체가 재료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갖기 때문에 드릴에 의해서 쉽게 절삭되지가 않는다. 따라서, 드릴은 베어링(361)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게 되며, 침입자의 계획을 1차적으로 방해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긴 시간을 소모해야만 상기 연결부를 파손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310), 슬라이드 핀(320), 플런저(350) 및 베어링부(360)의 결합에 의해 대상체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공격한다 하더라도 상기 각 구성요소의 결합에 의해 하나의 구성요소가 파손되어도 상호 결합된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거나 지연될 수 있어 대상체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평판 형태의 도어 로킹 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도어와 대상체 사이의 간극 사이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심플한 구조의 회전편을 이용하여 평판 형태의 도어 로킹 플레이트를 작동시킬 수 있어 전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부품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외부로부터 잠금 모듈이 공격 당하는 경우에도 잠금 조립체의 정상 여부와 무관하게 플런저에 의해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어 도어의 폐쇄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핀의 연결부와 같은 주요 방어 부위에 대응하여 베어링을 이용한 보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드릴 등을 이용한 외부 침입으로부터 상기 주요 방어 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슬라이드 핀을 통해 도어 로킹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상체의 보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호장치가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 집중되지 않고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핀에 분산됨으로써 도어를 강제적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 연결된 보호장치 및 슬라이드 핀에 연결된 보호장치를 각각 파손시켜야 하므로 대상체의 보안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 슬라이드 핀, 플런저 및 베어링부의 결합에 의해 대상체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공격한다 하더라도 상기 각 구성요소의 결합에 의해 하나의 구성요소가 파손되어도 상호 결합된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거나 지연될 수 있어 대상체의 보안성이 향 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대상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를 상기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도어 로킹 플레이트;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핀 몸체 및 상기 핀 몸체에 구비된 플런저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핀;
    상기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조립체;
    상기 잠금 조립체에 결속된 상태로 장착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의해 임시로 고정되고 상기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플런저 결속구를 고정시켜 상기 슬라이드 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플런저; 및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핀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부;
    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플런저 수용구 및 상기 플런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 수용구에는 상기 플런저 결속구를 향해 일단이 개방되어 상기 플런저를 수용 및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의 측벽에는 상기 플런저 수용구 외부와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플런저와 결속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홀의 폐쇄된 타단과 상기 플런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핸들, 상기 도어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편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편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를 상기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는 T-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어 내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핀 및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의 일단을 수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핀 및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추가 보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 로킹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추가 잠금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구조.
KR1020070065792A 2007-06-29 2007-06-29 도어 잠금구조 KR20090002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792A KR20090002449A (ko) 2007-06-29 2007-06-29 도어 잠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792A KR20090002449A (ko) 2007-06-29 2007-06-29 도어 잠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449A true KR20090002449A (ko) 2009-01-09

Family

ID=4048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792A KR20090002449A (ko) 2007-06-29 2007-06-29 도어 잠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4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99B1 (ko) * 2012-04-05 2013-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900B1 (ko) * 2012-04-05 2013-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51524B1 (ko) * 2013-10-04 2014-01-15 주식회사 케이피아이 현금수송용 금고가 장착된 차량의 시건장치
CN113863811A (zh) * 2020-06-30 2021-12-31 株式会社鲜一 具有锁定装置单元的保险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99B1 (ko) * 2012-04-05 2013-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900B1 (ko) * 2012-04-05 2013-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51524B1 (ko) * 2013-10-04 2014-01-15 주식회사 케이피아이 현금수송용 금고가 장착된 차량의 시건장치
CN113863811A (zh) * 2020-06-30 2021-12-31 株式会社鲜一 具有锁定装置单元的保险箱
KR20220001757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선일 잠금장치 유닛을 갖는 금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00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US4350032A (en) Vending machine lock security cover
ES2408180T3 (es) Aparato de cerrojo de bloqueo para ATM
RU2540821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US20070261450A1 (en) Door lock structure
KR101306899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090002449A (ko) 도어 잠금구조
KR101306902B1 (ko) 도어용 잠금장치
US9127495B2 (en) Secure enclosure
KR101795210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0869609B1 (ko) 도어 잠금구조
KR101306900B1 (ko) 도어용 잠금장치
US10565815B2 (en) Self-locking cash deposit equipment and cashbox thereof
EP3509043B1 (en) Self-locking cash deposit equipment and cashbox thereof
KR100633108B1 (ko)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KR10072600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30113111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716755B1 (ko) 도어 잠금구조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20110132707A (ko) 도어 잠금 장치
KR20130035505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20101256A (ko) 도어용 잠금장치
US20230304327A1 (en) Anti-theft barrier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130113105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12733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강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