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619Y1 -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619Y1
KR200367619Y1 KR20-2004-0024857U KR20040024857U KR200367619Y1 KR 200367619 Y1 KR200367619 Y1 KR 200367619Y1 KR 20040024857 U KR20040024857 U KR 20040024857U KR 200367619 Y1 KR200367619 Y1 KR 200367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ss box
locking
clean room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상
Original Assignee
황병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상 filed Critical 황병상
Priority to KR20-2004-0024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6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생산실, 무균실등 무균과 무진상태를 유지하는 청정실(clean room)로 물건을 공급하거나 물품을 인출할 때 사용하는 패스박스(Pass Box)의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박스는 청정실과 일반실의 벽체사이에 설치되어 물건을 인출하는 통로로 사용되어지며, 양측에 각각의 도어를 형성하되 일측의 도어가 개방될 때 타측의 도어는 고정되어 열리지 않는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동시에 양측문이 개방되지 않는 잠금장치를 갖는 바,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패스박스의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그 구성이 간단하고 동작이 확실하여 고장 발생의 염려가 적으며, 유지 및 점검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패스박스의 양측도어 내측에는 도어를 고정하는 잠금고리를 각각 가지며, 패스박스의 전,후면판에는 상기 잠금고리를 패스박스 내측으로 끼워 넣는 구멍을 각각 가지며, 패스박스 내측에는 가운데가 교차하는 좌우작동간을 가지며, 좌우작동간의 양단부에 작동간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좌우 잠금고정구를 가지며, 좌우 잠금고정구의 고정편이 상기 패스박스 전,후면판의 구멍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잠금고리가 반대편 도어가 개방시 작동하여 도어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도어를 잡아 고정하는 좌우 작동구는 일측의 도어가 개방될 시, 이에 의해 동작하는 좌우작동간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으로 된 패스박스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Door inter-lock device of Pass Box for clean room}
본 고안은 반도체 생산실, 미생물 배양실, 무균실, 의약품 생산 및 실험실, 수술실등 무균과 무진상태를 유지하는 청정실(clean room)로 물건을 공급하거나 물건을 인출할 때 사용되는 패스박스(Pass Box)의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스박스는 청정실과 일반실의 벽체에 설치되어 청정실로 유입되는 물건에 부착된 오염물질이나 세균등을 정화제거하며, 청정실로부터 일반실로 물건을 인출할 때 정화되지 못한 일반실의 공기가 청정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패스박스는 그 용도에 따라 자외선 살균램프(U.V. LAMP), 에어샤워장치(Air shower)나 공기여과장치(Air filter)등 각종 청정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같은 패스박스는 청정실과 일반실 양측에 각각 도어를 형성하게 되며, 한쪽문이 개방될시 다른쪽 문은 폐쇄되어 동시에 양쪽문이 개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장금장치(Door inter-lock)을 갖게 된다.
종래 패스박스의 도어장금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빈번하게 고장이 발생되었으며, 도어장금장치 및 그 기계적 수단이 패스박스 내측에 깊숙이 위치함으로 패스박스 전체를 분해해야만 비로서 수리가 가능하는등 잦은 고장 발생과 고장수리가 어려운것을 감안하여 본 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말미암아 동작이 확실하며, 유지 및 점검등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패스박스는 청정실과 일반실의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청정실로 유입되는 물건을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유입되는 물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일반실의 정화되지 않는 공기가 청정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청정실과 일반실 양측에 각각 도어를 갖되 한쪽 도어가 개방될시 다른쪽 도어는 개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잠금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패스박스의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고 동작이 확실하여 정확한 작동을 수행하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될 염려를 배제하며, 유지 및 점검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일부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있어 양측 도어가 닫혀진 상태시의 잠금 작동기구의 작동 상태도.
도3는 본 고안에 있어 양측 도어가 닫혀진 상태시의 개략 평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있어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시의 잠금 작동기구의 작동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에 있어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시의 개략 평단면도.
도6는 본 고안에 있어 좌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시의 잠금 작동기구의 작동상태도
도7는 본 고안에 있어 좌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시의 개략 평단면도.
청정실과 일반실 사이의 벽체에 설치되며, 청정실과 일반실 양측에 각각 도어를 갖는 패스박스(Pass Box)에 있어서, 패스박스(11) 전면,후면 양측에 경첩으로 개폐되는 좌측 및 우측 도어(12A)(12B) 내측에 잠금고리(13A)(13B)를 각각 형성하며, 패스박스(11) 내측에 좌우지지대(21A)(21B)를 가지며, 상기 좌우지지대(21A)(21B)에 결합구(16A)(16B)와 작동편(17A)(17B) 및 멈춤턱(18A)(18B)이 형성된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를 중앙힌지볼트(22A)(22B)로 회동가능하게 부착하되, 상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는 서로 대칭으로 부착하며, 상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는 좌우지지대(21A)(21B)와 스프링(23A)(23B)을 체결하며, 상기 좌우지지대(21A)(21B)에는 잠금고정구(15A)(15B)의 멈춤턱(18A)(18B)에 맞닿는 저지돌기(24A)(24B)를 가지며, 상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의 작동편(17A)(17B)에는 좌우작동간(19A)(19B)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유설되며, 상기 좌우작동간(19A)(19B)의 중앙부는 서로 교차하고, 좌우작동간(19A)(19B)의 타측은 반대편 잠금고정구(15A)(15B)의 중앙힌지볼트(22A)(22B)에 형성된 구멍에 이동자재하게 끼워지며, 상기 좌우작동간(19A)(19B)의 타측단부에는 패스박스(11) 전,후면판(11A)(11B)의 구멍(11C)(11D)을 통해 전,후면판(11A)(11B) 내측으로 끼워진 상기 좌우도어(11A)(11B)의 잠금고리(13A)(13B)와 맞닿게 되며, 좌우작동간(19A)(19B)의 타측단부에는 보호캡(26)을 덧씌우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호캡(26)은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구성되어 좌우도어(12A)(12B)을 여닫을때 도어(12A)(12B)의 잠금고리(13A)(13B)와 작동간(19A)(19B)이 맞닿을때 발생되는 소음의 감소와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청정실과 일반실의 벽체사이에 설치되어 청정실로 출입되는 물건을 정화하는 패스박스의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스박스의 양방향 즉 청정실과 일반실 각각에 도어를 가지며, 일측 도어가 개방될시 타측 도어는 자동으로 폐쇄되는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토록 하는 것이다.
패스박스(11)의 좌우 양측도어(12A)(12B) 내측에 도어를 잡아 고정하는 잠금고리(13A)(13B)를 각각 형성하며, 패스박스(11) 내측에 상기 좌우 도어(12A)(12B)의 잠금고리(13A)(13B)를 체결하는 결합구(16A)(16B)를 갖는 좌우측 잠금고정구(15A)(15B)가 서로 대칭으로 좌우지지대(21A)(21B)에 부착되어지제 된다. 상기 좌우측 잠금고정구(15A)(15B)는 좌우지지대(21A)(21B)에 중앙의 힌지볼트(22A)(22B)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좌우지지대(21A)(21B)와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는 스프링(23A)(23B)으로 각각 연결하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는 각각의 결합구(16A)(16B)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좌우지지대(21A)(21B)에는 스프링(23A)(23B)에 의해 회전하는 좌우 잠금고정구(15A)(15B)의 회동을 저지하는 저지돌기(24A)(24B)를 가지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에는 상기 저지돌기(24A)(24B)에 맞닿는 멈춤턱(18A)(18B)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의 작동편(17A)(17B)의 단부에는 작동편(17A)(17B)을 당기거나 밀어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를 회동시키는 좌우작동간(19A)(19B)이 유설되어지며, 상기 좌우작동간(19A)(19B)의 중간은 서로 교차되어 좌우작동간(19A)(19B)의 타측단부는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볼트(22A)(22B)의 구멍에 이동자재하게 결합되며, 좌우 작동간(19A)(19B)의 단부에는 충격흡수 보호캡(26)이 끼워지며, 상기 보호캡(26)의 단부와 패스박스(11)의 전후면판(11A)(11B)의 구멍(11C)(11D)을 통해 전후면판(11A)(11B) 내측으로 끼워진 좌우 도어(12A)(12B)의 잠금고리(13A)(13B)와 맞닿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패스박스(11)의 좌우 도어(12A)(12B)가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는 좌우 잠금고정구(15A)(15B)의 결합구(16A)(16B)가 좌우 도어(12A)(12B)의 잠금고리(13A)(13B)에 체결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좌우 도어(12A)(12B) 어느 것이나 일측의 도어는 자유롭게 열어 개방할 수 있게 된다.(도2A,2B 참조)
그러나 패스박스(11)의 일측의 도어 즉 우측도어(12B)를 개방할 경우(도3A,3B참조) 우측도어(11B)의 잠금고리(13B)에 맞닿았던 좌측 작동간(19A)의 타측단부가 우측도어(11B)가 개방됨과 동시 우측으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즉 좌측 작동간(19A)은 좌측 잠금고정구(15A)에 연결된 좌측 스프링(23A)에 의해 볼트힌지(22A)를 중심으로 항시 반시계 방향(결합구(16A)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은 좌측 작동편(17A)의 단부에 유설된 좌측 작동간(19A)의 단부가 우측 도어(12B)의 잠금고리(13B)에 당접되어 좌측 작동잠금구(15A)의 회동을 억제하게되나, 우측도어(12B)를 열어 개방할시 좌측 작동간(19A) 단부에 작용하던 힘에 의해 좌측작동간(19A)는 우측도어(12B) 방향으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즉 우측도어(12B)가 개방될시, 좌측 잠금고정구(15A)를 당겨주는 스프링(23A)의 힘에 의해 좌측 잠금고정구(15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작동편(17A)에 유설된 좌측 작동간(19A)는 우측 잠금고정구(15B)의 힌지볼트(22B)의 구멍을 따라 우측도어(12B) 및 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며,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결합구(16A)는 좌측도어(12A)의 잠금고리(13A)에 결합되어 좌측도어(12A)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개방한 우측도어(11B)를 닫아주게되면 우측도어(11B)의 잠금고리(13B)가 좌측작동간(19A) 타측단부인 보호캡(26)을 밀어 좌측 작동간(19A)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며, 좌측으로 이동하는 좌측작동간(19A)는 작동편(17A)을 밀어 좌측 잠금고정구(15A)를 볼트힌지(22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측 잠금고정구(15A)의 결합구(16A)를 좌측도어(12A)의 잠금고리(13A)로부터 이탈시켜 좌측도어(12A)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우측도어(12B)가 열림과 동시 좌측도어(12A)의 잠금고리(13A)가 좌측 잠금고정구(15A)의 결합구(16A)가 체결되어 좌측도어(12A)를 잠궈 좌측도어(12A)가 열리지 않는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반대로 패스박스(11)의 좌측도어(12A)을 열어 개방할시 우측 작동간(19B)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우측잠금고정구(15B)가 스프링(23B)의 힘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우측 잠금고정구(15B)의 결합구(16B)가 우측도어(12B)의 잠금고리(13B)에 체결되어 우측도어(12B)를 고정하게 된다.(도4A,4B참조)
상기와 같이 좌측도어(12A) 또는 우측도어(12B)가 개방되어 반대편 잠금고정구(15A)(15B)가 각각의 스프링(23A)(23B)으로 회동되어 반대편 도어를 고정할 때, 잠금고정구(15A)(15B)의 멈춤턱(18A)(18B)이 좌우지지대(21A)(21B)의 저지돌기(24A)(24B)에 맞닿을때까지 회동되면서 결합구(16A)(16B)가 도어의 잠금고리(13A)(13B)를 체결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패스박스(11)의 한쪽 도어가 개방될시, 다른쪽 도어는 잠금고정구의 결합구에 의해 고정되어 다른쪽 도어는 개방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청정실과 일반실의 벽체사이에 설치되어 청정실로 물건을 출입시키는 패스박스는 양측에 도어를 가지나, 양측의 도어는 동시에 개방되지 않고, 일측의 도어가 개방될 시, 타측도어는 고정되어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고정장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정화되지 못한 일반실의 공기가 청정실로 유입되어 청정실을 오염시키거나청정도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패스박스의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한쪽이 개방될 때, 이에 연동하여 다른쪽은 도어를 고정하는 링크 작동장치에 의해, 도어를 확실하고 정확하게 고정하며, 양측도어가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는 고정장치가 어느쪽 도어도 고정하지 아니하여 항시 일측의 도어는 개방가능하게 되며, 동시에 양측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여 청정실로 정화되지 못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유지 및 점검이 용이하며, 동작이 확실하여 정확한 도어 개폐 작동을 수행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고장 및 오동작의 발생을 최소로 되게한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청정실과 일반실 사이의 벽체에 설치되며, 청정실과 일반실 양측에 각각 도어를 갖는 패스박스(Pass Box)에 있어서, 패스박스(11) 전면,후면 양측에 경첩으로 개폐되는 좌측 및 우측 도어(12A)(12B) 내측에 잠금고리(13A)(13B)를 각각 형성하며, 패스박스(11) 내측에 좌우지지대(21A)(21B)를 가지며, 상기 좌우지지대(21A)(21B)에 결합구(16A)(16B)와 작동편(17A)(17B) 및 멈춤턱(18A)(18B)이 형성된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를 중앙힌지볼트(22A)(22B)로 회동가능하게 부착하되, 상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는 서로 대칭으로 부착하며, 상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는 좌우지지대(21A)(21B)와 스프링(23A)(23B)을 체결하며, 상기 좌우지지대(21A)(21B)에는 잠금고정구(15A)(15B)의 멈춤턱(18A)(18B)에 맞닿는 저지돌기(24A)(24B)를 가지며, 상기 좌우 잠금고정구(15A)(15B)의 작동편(17A)(17B)에는 좌우작동간(19A)(19B)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유설되며, 상기 좌우작동간(19A)(19B)의 중앙부는 서로 교차하고, 좌우작동간(19A)(19B)의 타측은 반대편 잠금고정구(15A)(15B)의 중앙힌지볼트(22A)(22B)에 형성된 구멍에 이동자재하게 끼워지며, 상기 좌우작동간(19A)(19B)의 타측단부에는 패스박스(11) 전,후면판(11A)(11B)의 구멍(11C)(11D)을 통해 전,후면판(11A)(11B) 내측으로 끼워진 상기 좌우도어(11A)(11B)의 잠금고리(13A)(13B)와 맞닿게 되며, 좌우작동간(19A)(19B)의 타측단부에는 보호캡(26)을 덧씌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호캡(26)은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KR20-2004-0024857U 2004-08-31 2004-08-31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KR200367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57U KR200367619Y1 (ko) 2004-08-31 2004-08-31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57U KR200367619Y1 (ko) 2004-08-31 2004-08-31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619Y1 true KR200367619Y1 (ko) 2004-11-12

Family

ID=4935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857U KR200367619Y1 (ko) 2004-08-31 2004-08-31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6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96B1 (ko) * 2021-02-17 2022-06-08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비대면 선별 진료소
KR102406093B1 (ko) * 2021-02-17 2022-06-08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비대면 호흡기 안심 진료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96B1 (ko) * 2021-02-17 2022-06-08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비대면 선별 진료소
KR102406093B1 (ko) * 2021-02-17 2022-06-08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비대면 호흡기 안심 진료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605416A (pt) dispositivo de fechamento para cofres de telefones públicos
KR200367619Y1 (ko) 패스박스용 도어 잠금장치
RU2008143304A (ru) Защелка для дверного замка
RU2016112468A (ru) Устройство герметич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двумя замкнутыми объемами, содержащее средства удержания до соединения
KR200432692Y1 (ko) 도어클로저의 잠금장치
KR100790939B1 (ko) 창문 잠금장치
ITMI20012372A1 (it) Armadio di distribuzione
KR20070009951A (ko) 공압식 창호 자동개폐시스템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0386657Y1 (ko) 컵핸들용 출입문 개폐장치
KR101431393B1 (ko) 미닫이식 도어장치의 제동시스템
KR100446481B1 (ko) 도로용 측구 뚜껑의 록킹장치
EP3280665A1 (en) Accessible elevator buffer
KR20040072159A (ko)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160007006A (ko)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881310B1 (ko) 도어 체크의 방화문 폐문장치
KR101577915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JP4632126B2 (ja) 折戸装置
KR100379353B1 (ko) 회전문의 문 지지기구
KR20110000695U (ko) 점검구 도어 힌지
ES2143451T1 (es) Dispositivo para el cierre de una abertura de pared.
KR20100018276A (ko) 출입문의 급속 닫힘 방지용 안전장치
KR200290779Y1 (ko) 배전반의 도어 정지구조
KR20110036899A (ko) 직선위치 제어방식에 의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102354966B1 (ko)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