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498B1 -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498B1
KR100856498B1 KR1020080031738A KR20080031738A KR100856498B1 KR 100856498 B1 KR100856498 B1 KR 100856498B1 KR 1020080031738 A KR1020080031738 A KR 1020080031738A KR 20080031738 A KR20080031738 A KR 20080031738A KR 100856498 B1 KR100856498 B1 KR 100856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fire
case
power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도
Original Assignee
노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도 filed Critical 노상도
Priority to KR102008003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배전반케이스(10)와; 배전반케이스(10)에 내설되는 배전반(20)과;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반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과;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전력공급선(40)과;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과; 중심부에 절개홈(61)을 갖추고서, 배전반전력공급선(40)을 구성하는 활선(41)과 외부전력공급선을 구성하는 활선(51)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거나, 배전반전력공급선(40)을 구성하는 중성선(42)과 외부전력공급선을 구성하는 중성선(42)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는 "一" 자 형태의 연결대(60)와; 지중배관(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지중배관(30)의 축 방향과 90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72)과, 피스톤(72)에 설치되어 연결대(60)를 절단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난연재의 타격부(73)와, 케이스(71)에 내설되어 피스톤(7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74)과, 와이어(W)를 매개로 피스톤(72)에 연결되는 권취드럼(75a)과 권취드럼(75a)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5b)를 갖추고서 케이스(71)에 설치되어 피스톤(72)의 동작을 제어하는 권취기구(75)를 포함하는 차단기구(70)와;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되어, 배전반(20)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와;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구(70)의 구동모터(75b)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화재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장치(100)과;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1)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분사노즐(111)로의 소화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소화가스밸브(112)를 갖춘 소화기구(110)로 이루어져, 지중배관을 따라 불길이 번져가지 않으며, 화재의 발생을 관리자가 즉각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Device cutting the connection of the underground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선은 지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건물이 많이 설치되는 도심지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근래에는 전력선이 지중으로 매설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지중배전선은, 활선과 중성선을 갖추고서,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관을 따라 설치되며, 지상의 배전반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지중배전선은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처가 쉽지 않다.
한편, 근래에 사회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이 국가 시설물이나 공공 시설물에 방화를 일으키는 빈번히 일어난다. 특히 지상에 설치된 배전반에 방화가 일어날 시 배전반과 연결된 지중배전선을 따라 불길이 번져, 화재진압이 어렵다.
따라서, 배전반에 화재가 일어나더라도 지중배전선으로 불길이 번져가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할 시 지중배관으로 불길이 번지지 않으며, 배전반의 화재를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는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배전반케이스와; 배전반케이스에 내설되는 배전반과;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반케이스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과; 활선과 중성선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 내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전력공급선과; 활선과 중성선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과; 중심부에 절개홈을 갖추고서, 배전반전력공급선을 구성하는 활선과 외부전력공급선을 구성하는 활선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거나, 배전반전력공급선을 구성하는 중성선과 외부전력공급선을 구성하는 중성선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는 "一" 자 형태의 연결대와; 지중배관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지중배관의 축 방향과 90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설치되어 연결대를 절단하면서 지중배관을 밀폐하는 난연재의 타격부와, 케이스에 내설되어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과, 와이어를 매개로 피스톤에 연결되는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갖추고서 케이스에 설치되어 피스톤의 동작을 제어하는 권취기구를 포함하는 차단기구와; 배전반케이스에 설치되어, 배전반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화재감지센서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구의 구동모터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화재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장치과; 배전반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분사노즐로의 소화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소화가스밸브를 갖춘 소화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할 시, 지중배관을 따라 불길이 번져가지 않으며, 화재의 발생을 관리자가 즉각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배전반케이스(10)와, 배전반케이스(10)에 내설되는 배전반(20)과,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반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과,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전력공급선(40)과,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과, 배전반전력공급선(40)과 외부전력공급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一' 자 형상의 연결대(60)와, 연결대(60)를 절단하 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차단기구(70)와,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와,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구(7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장치(100)와,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되는 소화기구(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전반케이스(10)는 지면에 설치되어, 저면이 지중배관(30)의 상단과 연통된다.
상기 배전반(20)은, 전기기기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각각의 부하로 배전하는 공지의 배전반으로,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중배관(30)은, 사각 관 형상으로 지중에 매설되며, 상단이 배전반케이스(10)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지중배관(30)은, 양측벽에 관통홀(31) 및 삽입부(32)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전반전력공급선(40)은, 배전반(20) 내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지중배관(10) 내부로 인출되는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된다. 이때, 활선(41)과 중성선(42)은 절연재질의 피복이 씌어져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받는다.
상기 외부전력공급선(50)은, 지중배관(30) 내부에 내설되는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된다. 이때, 활선(51)과 중성선(52)은 절연재질의 피복이 씌어져 외부요인으로 보호받는다.
상기 연결대(60)는, 중심부에 절개홈(61)이 형성되고, 양단에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활선(41) 및 외부전력공급선의 활선(51)과 연결되는 십자형상의 연결부(62,62')가 구비되어,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활선(41)과 외부전력공급선의 활 선(5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62,62')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지지부(62a,62a')와, 지지부(62a,62a')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접속부(62b,62b')를 갖추고서, 상호 대향되도록 연결대(60)의 양단에 구비된다.
이때, 지중배관(30) 내부에는 지지대(S,S')가 설치된다. 지지대(S,S')는 중심부에 관통홀(h)이 형성된 사각 판 형상으로, 양단이 지중배관(3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고정되어, 연결대(60,60')를 지지한다. 여기서 각각의 지지대(S,S')는 상호 상하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연결대(60)의 연결부(62,62')는 지지대(S,S')의 관통홀(h)을 관통하여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활선(41) 및 외부전력공급선(50)의 활선(51)을 향해 각각 노출된다. 따라서, 연결부(62,62')의 지지부(62a,62a')가 지지대(S,S')와 맞대어지고, 접속부(62b,62b')가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활선(51) 및 외부전력공급선(51)의 활선(51)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지지대(S,S')의 관통홀(h)에는 'T' 자 형의 절연체(P)가 삽입되어, 지지대(S,S')와 연결대(60)가 상호 통전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60) 및 지지대(S,S')는,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중성선(42) 및 외부전력공급선(50)의 중성선(5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한다.
상기 차단기구(70)는,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직선왕복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72)과, 피스톤(72)에 설치되는 난연재질의 타격부(73)와, 피스톤(7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74)과, 피스톤(72)을 작동제어 하는 권취기구(75)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71)는, 지중배관(30)의 관통홀(31)과 연통되는 연통홀(71a)을 갖추고서, 지중배관(30)의 외면과 맞닿도록 지중에 매설된다.
상기 피스톤(72)는, 지중배관(30)의 축방향과 90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스프링(74)에 의해 지중배관(30)을 향해 탄발지지된다.
상기 타격부(73)는, 각진 형상을 갖는 선단이 케이스(71)의 연통홀(71a) 및 지중배관(30)의 관통홀(31)을 관통하여 지중배관(30) 내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케이스(71)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7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73)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74)은, 일단이 케이스(71) 내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피스톤(72)에 고정되어, 피스톤(72)이 지중배관(30)을 향하도록 탄발지지한다.
상기 권취기구(75)는, 권취드럼(75a)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권취드럼(75a)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5b)로 구성되어, 케이스(71)에 설치되는 보호케이스(G)에 내설된다.
상기 권취드럼(75a)은, 보호케이스(G1)에 내설되며, 구동모터(75b)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5b)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W)를 감거나 푼다. 따라서, 권취드럼(75a)의 회전수에 따라 스프링(74)의 탄발력을 조절하여, 차단기구(70)의 타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W)는, 일단이 타격부(73)에 연결되며, 타단이 케이스(71)와 보 호케이스(G1)를 관통하여 모터(74)의 드럼(75a)에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W)는 타격부(73)를 당기면서 스프링(72)을 가압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통상의 화재감지센서로서,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신호를 제어유닛(90)에 송출한다.
상기 제어유닛(90)은, 화재감지센서(80)와 연결되며, 화재감시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권취기구(75)의 구동모터(75b)를 동작시켜, 권취드럼(75a)이 와이어(W)를 풀도록 한다.
상기 경보장치(100)는, 별도로 마련된 상황실에 설치되며,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유닛(90)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면 시각적 또는 음성적으로 외부에 알린다.
즉, 상기 경보장치(100)는, 화재의 발생을 상황실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되거나 음성적으로 알리기 위해 음성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와 음성장치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기구(110)는, 내부에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되어, 배전반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케이스(G2)에 내설되는 소화가스저장탱크(113)와, 소화가스저장탱크(113)로부터 인출되어 배전반케이스(10) 내부로 노출되는 소화가스공급라인(114)과, 배전반케이스(10) 내부로 노출되도록 소화가스공급라인(114)의 선단에 연결되는 분사노즐(111)과, 소화가스공급라인(114)에 설치되며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소화가스의 분사를 제어하는 소화가스밸브(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화가스는 통상 소화기에 쓰이는 CO2 가스로서,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산소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배전반케이스(10) 내부 온도를 낮춰서,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동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전반(20)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80)는 제어유닛(90)으로 화재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90)은, 권취기구(75)의 구동모터(75b)를 구동하여 와이어(W)를 푼다.
상기 와이어(W)가 풀어지면, 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해 타격부(73)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타격부(73)가 지중배관(30)을 수평으로 가로지른다.
이때, 상기 타격부(73)가 연결대(60)의 절개홈(61)에 닿으면서 연결대(60)를 좌측으로 밀고 들어가면, 연결대(60)의 양단이 지지대(S,S')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절개홈(61)이 끊어진다. 따라서, 배전반전력공급선(40)과 외부전력공급선(50)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진다.
이후,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타격부(73)는 지중배관(30)의 삽입부(32)에 삽입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시켜 배전반(20)에 발생 된 화염이 지중배관(30)을 따라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한편, 배전반케이스(10)에 화재가 발생하면,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된 화재감시센서(80)는 화재신호를 제어유닛(90)에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90)이 경보장치(100)에 제어신호를 보내, 경보장치(100)가 화재발생을 외부로 나타내도록 한다. 따라서, 상황실에 있는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화재발생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90)은, 소화기구(110)의 소화가스밸브(112)를 개방한다. 따라서, 소화가스저장탱크(113) 내의 소화가스가 분사노즐을 통해 배전반케이스(10)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소화가스가 배전반케이스(10) 내부로 분사되면,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산소가 줄면서 상대적으로 소화가스의 비중이 커짐과 동시에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온도가 급강하하여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화염이 더 이상 번져나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는, 누전 또는 방화에 의해 배전반(20)이나 배전반케이스(10)에 화재가 발생하면, 배전반(20)으로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짐과 동시에, 화염이 지중배관(30)을 따라 진행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배전반케이스 20; 배전반
30; 지중배관 40; 배전반전력공급선
50; 외부전력공급선 60; 연결대
70; 차단기구 80; 화재감지센서
90; 제어유닛 100; 경보장치
110; 소화기구

Claims (1)

  1. 지면에 설치되는 배전반케이스(10)와;
    배전반케이스(10)에 내설되는 배전반(20)과;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반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과;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전력공급선(40)과;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과;
    중심부에 절개홈(61)을 갖추고서, 배전반전력공급선(40)을 구성하는 활선(41)과 외부전력공급선을 구성하는 활선(51)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거나, 배전반전력공급선(40)을 구성하는 중성선(42)과 외부전력공급선을 구성하는 중성선(42)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는 "一" 자 형태의 연결대(60)와;
    지중배관(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지중배관(30)의 축 방향과 90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72)과, 피스톤(72)에 설치되어 연결대(60)를 절단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난연재의 타격부(73)와, 케이스(71)에 내설되어 피스톤(7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74)과, 와이어(W)를 매개로 피스톤(72)에 연결되는 권취드럼(75a)과 권취드럼(75a)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5b)를 갖추고서 케이스(71)에 설치되어 피스톤(72)의 동작을 제어하는 권취기구(75)를 포함하는 차단기구(70)와;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되어, 배전반(20)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와;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구(70)의 구동모터(75b)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화재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장치(100)과;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1)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분사노즐(111)로의 소화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소화가스밸브(112)를 갖춘 소화기구(11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KR1020080031738A 2008-04-04 2008-04-04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KR10085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38A KR100856498B1 (ko) 2008-04-04 2008-04-04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38A KR100856498B1 (ko) 2008-04-04 2008-04-04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498B1 true KR100856498B1 (ko) 2008-09-04

Family

ID=4002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738A KR100856498B1 (ko) 2008-04-04 2008-04-04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4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782B1 (ko) 2019-05-30 2019-11-28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차단장치
CN112018616A (zh) * 2020-08-27 2020-12-01 石狮市新卯自动化设备有限公司 散热性能好的控制柜及其散热方法
CN114024232A (zh) * 2021-10-14 2022-02-08 北京国网华商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便携式人工智能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03A (ja) * 2006-06-28 2008-01-17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機械式駐車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03A (ja) * 2006-06-28 2008-01-17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機械式駐車設備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특허출원 제2008-0031686호
국내 특허출원 제2008-0031694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782B1 (ko) 2019-05-30 2019-11-28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차단장치
CN112018616A (zh) * 2020-08-27 2020-12-01 石狮市新卯自动化设备有限公司 散热性能好的控制柜及其散热方法
CN112018616B (zh) * 2020-08-27 2022-07-01 石狮市新卯自动化设备有限公司 散热性能好的控制柜及其散热方法
CN114024232A (zh) * 2021-10-14 2022-02-08 北京国网华商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便携式人工智能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7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100855096B1 (ko) 지중배전선의 통전용 연결대 차단장치
KR100853034B1 (ko) 송배전을 위한 다전선 통전구조
KR101293720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0860574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0857213B1 (ko) 배전선로의 지중전선 연결용 배전커넥터
KR100856498B1 (ko)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KR101625388B1 (ko)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0860372B1 (ko) 지중배전선의 연결대 차단장치
KR10204978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차단장치
KR101286756B1 (ko) 소화장치
KR100867210B1 (ko) 지중배전용 전선보호관 이음구조
KR100842068B1 (ko) 감전사고 방지형 지중전선 절연관
KR200402894Y1 (ko)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100871140B1 (ko) 특고압 전용 지상배전반 접속용 지중배전선 차단장치
CN110601038A (zh) 一种防火电控柜
KR100943190B1 (ko)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
CN202223795U (zh) 智能化无管网柜式超细干粉灭火装置
KR100842097B1 (ko) 가공 및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출 케이스
KR101057450B1 (ko)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JP5876810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100853036B1 (ko) 지중전선 고정용 연결대 차단장치
KR200174087Y1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100853033B1 (ko) 지중전선 보호를 위한 절연형 배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