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571B1 -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571B1
KR102377571B1 KR1020210156610A KR20210156610A KR102377571B1 KR 102377571 B1 KR102377571 B1 KR 102377571B1 KR 1020210156610 A KR1020210156610 A KR 1020210156610A KR 20210156610 A KR20210156610 A KR 20210156610A KR 102377571 B1 KR102377571 B1 KR 10237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ushioning material
terminal block
pair
distribution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56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양단에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단부에 단자대가 설치되는 한 쌍의 배전 선로;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의 상기 단자대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대;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 단자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절연성의 완충재를 공급하는 완충재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INSULATION CONNECTING EQUIPMENT OF UNDERGROUND POWER LINE}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서 배전선로들의 연결 부위에서의 절연을 유지하면서 파손를 방지하고 및 화재 발생시 즉시 진압 및 화재 진압 후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자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발전소에서 생상된 전력을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 주게 된다.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의 경우 고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 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에 전선을 설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전선을 지중에 매설함에 있어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 및 침투수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8143호(지중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대)가 있고, 여기에는 지중에 매립되어 맨홀의 내부에서 상호 볼트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지중전선을 외부 간섭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한 쌍의 지중전선을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상호 연결하고, 연결부위를 연결부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내부에 밀봉제를 주입하여 상호 고정시켜 줌으로서 침투수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지중전선을 교체해야 할 경우 연결부의 내부로 주입된 밀봉제로 인해 지중전선의 일부구간을 절단한 상태에서 재 설치해야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힘든 문제가 있으며, 주입된 밀봉제가 경화될 때까지 전기를 통전해 사용을 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898143호(2009.05.11 등록)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의 내부에 절연성의 완충재를 주입한 상태에서 외부 진동에 의해 선로들의 연결 부위에서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연결 부위에서 화재들이 발생되는 경우 완충재를 즉시 회수함과 동시에 연결부의 몸체를 일정 이하의 온도를 이루도록 냉각함과 아울러, 연결부 몸체 내부에 소화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진압 후 폐 소화재를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 및 제거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전선로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자대를 회전 방식으로 구현함과 아울러, 연결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 단자대를 탄성 수단을 사용하여 탄성 거동을 가능하게 하여 단자대 각각의 자세가 틀어지더라도 단자대와 연결 단자대 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양단에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단부에 단자대가 설치되는 한 쌍의 배전 선로;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의 상기 단자대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대;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 단자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절연성의 완충재를 공급하는 완충재 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재 공급부는,
상기 연결부의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공급홀들에 연결되는 공급 튜브들과,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완충재를 상기 공급 튜브들을 통해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완충재 공급기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회수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완충재 공급기에 연결되는 회수 튜브와,
상기 회수 튜브 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수 튜브를 통해 상기 완충재를 상기 회수 튜브를 통해 상기 완충재 공급기로 회수시키는 회수 펌프와,
상기 완충재 공급기 및 상기 회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상기 단자대와 상기 연결 단자대가 연결됨이 감지되면, 상기 완충재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완충재를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으로 일정량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소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화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온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에 소화재를 공급하는 소화재 공급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연결부 내부공간에서의 측정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회수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완충재를 회수하고,
상기 소화재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에 소화재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연결 단자대는,
양단에 구 형상의 한 쌍의 제 1연결홈이 형성되는 단자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제 1연결홈에 끼워져 스위블 회전 가능한 제 1연결 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단자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의 상기 단자대는,
상기 한 쌍의 회전 단자대에 스위블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의 천정 및 바닥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부재와,
일단이 상기 단자대 몸체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 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냉각 코일이 매설되고,
상기 냉각 코일은 전류 제공기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일정 온도로 냉각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연결부 내부공간에서의 측정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냉각 코일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회수 튜브 상에는 상기 소화재를 회수하는 경우, 회수되는 상기 소화재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 각각의 상기 단자대에는,
구 형상의 제 2연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단자대 각각에는,
상기 제 2연결 돌기가 끼워지는 제 2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의 천정에는,
한 쌍의 그립퍼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립퍼는,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를 그립한 상태로,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이동 장치를 통해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연결부 내부공간에서의 측정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이동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 2연결 돌기가 상기 제 2연결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이동 장치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연결 돌기와 상기 제 2연결홈은, 절연성의 연결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회전 단자대에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권취하는 소형 권취기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선로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의 내부에 절연성의 완충재를 주입한 상태에서 외부 진동에 의해 선로들의 연결 부위에서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연결 부위에서 화재들이 발생되는 경우 완충재를 즉시 회수함과 동시에 연결부의 몸체를 일정 이하의 온도를 이루도록 냉각함과 아울러, 연결부 몸체 내부에 소화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진압 후 폐 소화재를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 및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선로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자대를 회전 방식으로 구현함과 아울러, 연결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 단자대를 탄성 수단을 사용하여 탄성 거동을 가능하게 하여 단자대 각각의 자세가 틀어지더라도 단자대와 연결 단자대 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연결 단자대에 배전 선로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가 소화부를 구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와 연결 단자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에 냉각 코일이 매설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선로들이 그립퍼에 의해 연결 단자대로부터 탈거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연결 단자대에 배전 선로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양단에 한 쌍의 관통홀(110)이 형성되는 연결부(100)와, 상기 한 쌍의 관통홀(110)을 관통하며, 단부에 단자대(210)가 설치되는 한 쌍의 배전 선로(200)와,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200)의 상기 단자대(210)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대(300)와,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 단자대(300)의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400)와,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공간에 절연성의 완충재를 공급하는 완충재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재 공급부(500)는 상기 연결부(100)의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공급홀들(120)에 연결되는 공급 튜브들(510)과, 상기 연결부(100)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완충재를 상기 공급 튜브들(120)을 통해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완충재 공급기(520)와, 상기 연결부(100)에 형성되는 회수홀(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완충재 공급기(520)에 연결되는 회수 튜브(530)와, 상기 회수 튜브(530) 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수 튜브(530)를 통해 상기 완충재를 상기 완충재 공급기(520)로 회수시키는 회수 펌프(540)와, 상기 완충재 공급기(520) 및 상기 회수 펌프(5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55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550)는 센서(560)를 통해 상기 단자대(110)와 상기 연결 단자대(300)가 연결됨이 감지되면, 상기 완충재 공급기(520)를 사용하여 상기 완충재를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일정량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가 소화부를 구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00)는 소화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600)는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온도를 상기 제어기(550)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610)와,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 공간에 소화재를 공급하는 소화재 공급기(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550)는 상기 연결부(100) 내부공간에서의 측정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회수 펌프(540)를 사용하여 상기 완충재를 회수하고, 상기 소화재 공급기(620)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 공간에 소화재를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와 연결 단자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연결 단자대(300)는 양단에 구 형상의 한 쌍의 제 1연결홈(311)이 형성되는 단자대 몸체(310)와, 상기 한 쌍의 제 1연결홈(311)에 끼워져 스위블 회전 가능한 제 1연결 돌기(321)가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단자대(32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200)의 상기 단자대(210)는, 상기 한 쌍의 회전 단자대(320)에 스위블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200) 각각의 상기 단자대(210)에는 구 형상의 제 2연결 돌기(211)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 단자대(320) 각각에는 상기 제 2연결 돌기(211)가 끼워지는 제 2연결홈(3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400)는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 공간의 천정 및 바닥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부재(410)와, 일단이 상기 단자대 몸체(310)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 부재(410) 각각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들(420)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는 연결부(100)의 내부 천정 및 바닥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4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에 냉각 코일이 매설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00)의 내부에는 냉각 코일(700)이 매설된다.
상기 냉각 코일(700)은 전류 제공기(710)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일정 온도로 냉각된다.
상기 제어기(550)는 상기 연결부(100) 내부공간에서의 측정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류 제공기(710)를 사용하여 상기 냉각 코일(700)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회수 튜브(530) 상에는 상기 소화재를 회수하는 경우, 회수되는 상기 소화재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570)가 더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선로들이 그립퍼에 의해 연결 단자대로부터 탈거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00)의 내부 공간의 천정에는 한 쌍의 그립퍼(70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그립퍼(600)는,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200)를 그립한 상태로, 상기 연결부(100)의 내부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이동 장치(610)를 통해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어기(550)는 상기 연결부(100) 내부공간에서의 측정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이동 장치(610)를 사용하여, 상기 제 2연결 돌기(211)가 상기 제 2연결홈(32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이동 장치(610)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연결 돌기(211)와 상기 제 2연결홈(322)은, 절연성의 연결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회전 단자대(300)에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권취하는 소형 권취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550)는 상기 권취기를 사용하여 연결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동작을 통해 단자대(210)의 제 2연결 돌기(211)를 상기 제 2연결홈(322)에 연결 또는 탈거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은 배전선로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의 내부에 절연성의 완충재를 주입한 상태에서 외부 진동에 의해 선로들의 연결 부위에서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연결 부위에서 화재들이 발생되는 경우 완충재를 즉시 회수함과 동시에 연결부의 몸체를 일정 이하의 온도를 이루도록 냉각함과 아울러, 연결부 몸체 내부에 소화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진압 후 폐 소화재를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선로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자대를 회전 방식으로 구현함과 아울러, 연결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 단자대를 탄성 수단을 사용하여 탄성 거동을 가능하게 하여 단자대 각각의 자세가 틀어지더라도 단자대와 연결 단자대 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연결부
200 : 배전 선로
300 : 연결 단자대
400 : 탄성 지지부
500 : 완충재 공급부

Claims (3)

  1.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양단에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단부에 단자대가 설치되는 한 쌍의 배전 선로;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배전 선로의 상기 단자대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대;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 단자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절연성의 완충재를 공급하는 완충재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재 공급부는,
    상기 연결부의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공급홀들에 연결되는 공급 튜브들과,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완충재를 상기 공급 튜브들을 통해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완충재 공급기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회수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완충재 공급기에 연결되는 회수 튜브와,
    상기 회수 튜브 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수 튜브를 통해 상기 완충재를 상기 회수 튜브를 통해 상기 완충재 공급기로 회수시키는 회수 펌프와,
    상기 완충재 공급기 및 상기 회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상기 단자대와 상기 연결 단자대가 연결됨이 감지되면, 상기 완충재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완충재를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으로 일정량 공급하고,
    상기 연결부는, 소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화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온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에 소화재를 공급하는 소화재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연결부 내부공간에서의 측정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회수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완충재를 회수하고,
    상기 소화재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에 소화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KR1020210156610A 2021-11-15 2021-11-15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KR10237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610A KR102377571B1 (ko) 2021-11-15 2021-11-15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610A KR102377571B1 (ko) 2021-11-15 2021-11-15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571B1 true KR102377571B1 (ko) 2022-03-22

Family

ID=8099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610A KR102377571B1 (ko) 2021-11-15 2021-11-15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001B1 (ko) * 2022-11-23 2023-03-23 대한전기감리(주)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579950B1 (ko) * 2023-06-08 2023-09-19 주식회사 경문기술단 선로의 단락 방지를 위한 계전시스템
KR102584125B1 (ko) * 2022-10-31 2023-10-04 주식회사 대성종합기술단 내진 및 누전 방지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용 전기 맨홀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952A (ja) * 2003-07-17 2005-02-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油入ケーブル接続部の絶縁油交換方法及び油入ケーブル接続部の絶縁油交換装置
KR100898143B1 (ko) 2009-02-24 2009-05-19 (주)협동전기감리단 지중배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1145351B1 (ko) * 2012-02-06 2012-05-15 태형전기(주)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20150097364A (ko) * 2014-02-17 2015-08-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점도 절연유 함침 케이블 및 그 접속방법
KR101894913B1 (ko) * 2018-01-17 2018-09-0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KR102176140B1 (ko) * 2020-07-24 2020-11-09 남부솔루션(주)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952A (ja) * 2003-07-17 2005-02-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油入ケーブル接続部の絶縁油交換方法及び油入ケーブル接続部の絶縁油交換装置
KR100898143B1 (ko) 2009-02-24 2009-05-19 (주)협동전기감리단 지중배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1145351B1 (ko) * 2012-02-06 2012-05-15 태형전기(주)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20150097364A (ko) * 2014-02-17 2015-08-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점도 절연유 함침 케이블 및 그 접속방법
KR101894913B1 (ko) * 2018-01-17 2018-09-0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KR102176140B1 (ko) * 2020-07-24 2020-11-09 남부솔루션(주)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125B1 (ko) * 2022-10-31 2023-10-04 주식회사 대성종합기술단 내진 및 누전 방지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용 전기 맨홀 구조체
KR102514001B1 (ko) * 2022-11-23 2023-03-23 대한전기감리(주)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579950B1 (ko) * 2023-06-08 2023-09-19 주식회사 경문기술단 선로의 단락 방지를 위한 계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571B1 (ko)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203065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KR100952216B1 (ko) 지중전선 보호용 배전반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1885834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293720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2514001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US9608500B2 (en) Portable generator system for providing temporary power to an electrical-distribution system
KR1017975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US10748728B2 (en) Boom mountable breaker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80316124A1 (en) Insulated External Parking Bushing
CN103730834A (zh) 喷气式并联间隙装置
KR100908681B1 (ko) 배전용 인입전선 연결단자
US20240106208A1 (en) High voltage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line equipped with switchgear unit
KR101605437B1 (ko) 지중송전의 접속 브라킷
KR101795013B1 (ko) 활선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장치
KR101880296B1 (ko) 345kV 지중송전선로의 연결 차단 장치
KR102004128B1 (ko) 전신주 설치물 세척 및 냉각장치
KR102160996B1 (ko) 지중배전선로의 보호장치
US11024985B2 (en) Insulated external parking bushing
KR102669690B1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안전기능 탑재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100786318B1 (ko) 지중케이블 연결을 위한 매설형 배관구조
EP2866904A2 (en) Process and device for safe fire extinguishing of photovoltaic power plants
KR20240029147A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안전기능 탑재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