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367B1 -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 Google Patents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2367B1 KR101962367B1 KR1020180081450A KR20180081450A KR101962367B1 KR 101962367 B1 KR101962367 B1 KR 101962367B1 KR 1020180081450 A KR1020180081450 A KR 1020180081450A KR 20180081450 A KR20180081450 A KR 20180081450A KR 101962367 B1 KR101962367 B1 KR 101962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extinguishing gas
- space
- lead
- injection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맨홀 내에 정위치에 유동 없이 견고하고 고정되어 인입선과 인출선의 구별이 용이하게 되고, 지진 등에 의해 지중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인입선과 인출선의 접속불량,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절단하지 않으면서도 인입선과 인출선을 분리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맨홀 내에 정위치에 유동 없이 견고하고 고정되어 인입선과 인출선의 구별이 용이하게 되고, 지진 등에 의해 지중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인입선과 인출선의 접속불량,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절단하지 않으면서도 인입선과 인출선을 분리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는 지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부에 완철과 애자를 통하여 복수개의 배전선을 가설하는 가공배전선로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매설관로에 복수개의 배전선을 삽입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지중배전선로로 구분된다.
가공배전선로는 초기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시 미관상의 문제점은 물론 배전선로와 가로수 간의 간섭과 까지 등의 조류가 둥지를 트는 데에 따라 접촉불량, 누전 및 정전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지중배전선로는 가공배전선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지중에 매설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 사회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은 국가 시설물이나 공공 시설물에 방화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지상에 설치된 차단기 또는 지상변압기 등의 전력기기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지중배전선으로 번지게 되어 진화가 더욱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5747호(2008.12.17. 등록)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는 배전반케이스에 소화기구를 설치하고, 지중배관 내에 설치되어 배전반전력공급선과 외부전력공급선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절단 가능하게 설치하며, 지중배관의 일측에 차단수단을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차단수단에 의하여 연결대를 절단함과 아울러 지중배관의 상부와 하부를 차단하여 배전반전력공급선과 외부전력공급선을 차단함과 아울러 지중배관의 하부측에 소화분말을 분사함으로써 화재가 지중배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배전반전력공급선과 외부전력공급선을 연결하는 연결대가 차단수단의 타격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을 정도로 설치되어야 하는바, 이 경우 지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연결대가 화재와 무관하게 임의로 절단될 수도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절단에 의하여 접촉불량이나 정전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은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진에 의하여 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지중배관과 지중배전선 및 연결대 등을 지지하는 맨홀 자체부터 붕괴되면서 전력시설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화재, 누전, 정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절단하지 않으면서도 인입선과 인출선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인입선이 위치하는 인입공간과 인출선이 위치하는 인출공간을 차단하고, 인입공간과 인출공간에 소화제를 분사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접속부재가 임의 절단되거나 맨홀이 붕괴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 누전 및 정전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인입선과 인출선이 맨홀 내에 정위치에 유동 없이 견고하고 고정되어 인입선과 인출선의 구별이 용이하게 되고, 지진 등에 의해 지중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인입선과 인출선의 접속불량,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절단하지 않으면서도 인입선과 인출선을 분리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20)와; 캐비닛(10)의 하부에 매설되는 맨홀(30)과; 상기 전력기기(20)에서 맨홀(30)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선(40)과; 상기 맨홀(30)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선(50)을 포함하는 배전선로에 적용되며, 상기 맨홀(30)은 지중에 매설되며 바닥(32)과 주벽(33)을 가지는 맨홀본체(31)와, 상기 맨홀본체(31)의 상단 개구부를 복개하는 맨홀덮개(34)로 구성되고, 상기 인입선(40)은 하단에서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부(41)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인출선(50)은 상단에서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부(51)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맨홀(30) 내부에는 상기 인입선(40)과 인출선(5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싱(110)과,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맨홀(30) 사이에 설치되는 좌, 우측장치하우징(120, 130)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내부는 전기절연성 합성수지 재질의 격판(140)에 의하여 상부의 인입공간(S1)과 하부의 인출공간(S2)으로 구획되며, 상기 격판(140)에는 복수개의 커넥터출입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우측벽과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좌측벽에는 커넥터안내공(151, 152)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좌측벽과 좌측장치하우징(120)의 우측벽에는 차단판안내공(161, 162)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우측장치하우징(130)에는 상기 인입선(40)과 인출선(50)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200)이 설치되고, 상기 접속수단(20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어 인입선(40)의 도체부(4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입선삽입홈(211)과, 하단에 형성되어 인출선(50)의 도체부(51)가 삽입고정되는 인출선삽입홈(212)을 가지는 커넥터(210)와; 상기 커넥터(210)가 매설 고정되는 전기절연성 재질의 커넥터홀더(220)와; 상기 커넥터홀더(220)에 일체로 형성되어 보호케이싱(110)의 커넥터안내공(151)과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커넥터안내공(152)을 통하여 우측장치하우징(13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30)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에 설치되며 승강작동하는 작동봉(241)이 상기 연장부(230)에 연결되는 커넥터 솔레노이드(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장치하우징(120)에는 상기 격판(140)의 커넥터출입공(141)을 막아 상기 인입공간(S1)과 인출공간(S2)을 차단하는 차단수단(300)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수단(300)은 상기 좌측장치하우징(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작동하는 작동봉(311)을 구비한 승강 솔레노이드(310)와, 상기 작동봉(3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승강대(320)와, 상기 승강대(320)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333)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332)을 가지는 모터(331)와, 상기 모터축(332)의 암나사부(333)에 나사물림되는 수나사부(335)가 구비된 작동봉(334)을 가지는 리니어액튜에이터(330) 및, 상기 작동봉(334)의 우측단에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커넥터출입공(141)에 끼워지는 차단돌기(341)가 구비된 차단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출선(50)은 인출선고정수단(400)에 의하여 맨홀(30)의 주벽(33)에 고정되어 지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인출선고정수단(400)은 상기 맨홀(30)의 주벽(33)에 형성된 설치공(410)과; 상기 설치공(410)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수평고정부(430)와,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수직고정부(440) 및, 상기 수평고정부(430)와 수직고정부(440)를 연결하는 만곡연결부(450)를 가지는 고정관(420)과; 상기 고정관(420)을 통과하는 인출선(50)의 수평부(52)와 수직부(53)를 각각 상기 수평고정부(430)와 수직고정부(440)에 고정지지하는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와; 상기 고정관(420)을 벽체(33)에 고정하는 고정구(480)와,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의 내부에 충전유체(F)를 주입하는 충전유체주입기(4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설치공(41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도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411)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43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어댑터(460)는 상기 수평고정부(430)에 삽입되며 부채꼴형의 좌측판(461)과 우측판(462)과, 상기 좌측판(461)과 우측판(462)의 빗변을 연결하는 빗변판(463)과, 상기 빗변판(463)을 연결하는 원주부(464)와, 상기 좌측판(461)과 우측판(462)에 형성되는 인출선통과공(465)과, 상기 인출선통과공(465)을 연결하는 인출선지지관(466)과, 상기 좌측판(461), 우측판(462), 빗변판(463), 원주부(464), 인출선지지관(466)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467)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빗변판(463)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어댑터(470)는 상기 수직고정부(440)에 삽입되며 부채꼴형의 상단판(471)과 하단판(472)과, 상기 상단판(471)과 하단판(472)의 빗변을 연결하는 빗변판(473)과, 상기 빗변판(473)을 연결하는 원주부(474)와, 상기 상단판(471)과 하단판(472)에 형성되는 인출선통과공(475)과, 상기 인출선통과공(475)을 연결하는 인출선지지관(476)과, 상기 상단판(471), 하단판(472), 빗변판(473), 원주부(474), 인출선지지관(476)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477)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빗변판(473)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T자형 가이드돌기(4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어댑터(460)의 외주면에는 상기 T자형 가이드돌기(432)에 대응하는 L자형 가이드홈(468)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부(44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T자형 가이드돌기(44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어댑터(470)의 외주면에는 상기 T자형 가이드돌기(441)에 대응하는 L자형 가이드홈(478)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의 외주면에 형성된 L자형 가이드홈(468, 478)은 인접하는 것끼리 대칭을 이루면서 T자형을 이루게 되고,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는 충전유체(F)의 주입에 따라 팽창할 수 있는 고무재질 또는 신축성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480)는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양단에 끼워지며 벽체(33)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한 상의 링형 패킹(481)과, 상기 링형 패킹(48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링형 조임판(482)과, 상기 링형 조임판(482)과 링형 패킹(481) 및 벽체(33)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조임볼트(483)와, 상기 조임볼트(483)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조임너트(48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전유체주입기(490)는 상기 복수개의 수평어댑터(460)의 빗변판(463)이 이루는 꼭지점부에 형성되는 삽입홈(491)과, 만곡연결부(450)의 중심선 및 상기 복수개의 수직어댑터(470)의 빗변판(47)이 이로는 꼭지점부에 형성된 삽입홈(492)을 통해 삽입되는 주입관(493)과, 상기 주입관(493)의 하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평어댑터(460)의 충전공간(467)에 연결되는 제1 분기주입관(494)과, 상기 주입관(493)의 상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직어댑터(470)의 충전공간(477)에 연결되는 제2 분기주입관(495) 및, 상기 주입관(493)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니플(49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이 구비되고, 상기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소화가스(G1)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와, 상기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에 설치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와, 상기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를 통해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에 연결되는 소화가스분사노즐(5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우측장치하우징(130)에는 인입공간진화수단(610)과,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이 설치되며, 상기 인입공간진화수단(610)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화가스(G2)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탱크(611)와, 상기 인입공간 소화가스탱크(611)에 설치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와, 상기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연결되어 선단이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인입공간(S1)에 위치하는 소화가스분사노즐(6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화가스(G3)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탱크(621)와, 상기 인출공간 소화가스탱크(621)에 설치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와, 상기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연결되어 선단이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인출공간(S2)에 위치하는 소화가스분사노즐(6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맨홀(30)은 내진보강수단(700)에 의하여 보강되고, 상기 내진보강수단(700)은 상기 맨홀(30)보다 깊은 위치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71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71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720)과, 상기 복수개의 기둥(7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슬래브(730)와, 상기 슬래브(730)와 상기 맨홀(30)의 바닥(32)의 사이에 설치되는 면진장치(7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면진장치(740)는 상기 슬래브(730)의 상면과 상기 맨홀(30)의 바닥(32)의 하면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구조물(750)과, 상기 탄성구조물(750)의 상단과 맨홀(30)의 바닥(32) 사이에 삽입되는 상단방진고무(760) 및, 상기 슬래브(730)의 상면과 탄성구조물(750)의 하단 사이에 삽입되는 하단방진고무(7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구조물(750)은 ㅁ자형의 상부프레임(751)과, 상기 상부프레임(751)의 구석부분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상부경사탄성부(752)와, 상기 상부경사탄성부(752)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판(753)과, ㅁ자형 하부프레임(754)과, 상기 하부프레임(754)의 구석부분에서 중앙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하부경사탄성부(755)와, 상기 하부경사탄성부(755)의 상단을 연결하는 하부연결판(756) 및, 상기 상부연결판(753)과 하부연결판(756)을 연결하는 연결봉(75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수단(200), 차단수단(300), 전력기기진화수단(500), 인입공간진화수단(610) 및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800)이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800)은 화재감지센서(810)와, 상기 화재감지센서(8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접속수단(20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명령, 차단수단(30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명령,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명령,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명령,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820)와, 상기 제어부(82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명령에 따라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신호를 송출하는 커넥터 솔레노이드 구동부(830)와, 상기 제어부(82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에 따라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을 송출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구동부(840)와, 상기 제어부(82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명령에 따라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신호를 송출하는 승강 솔레노이드 구동부(850)와, 상기 제어부(82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60)와, 상기 제어부(820)의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70) 및, 상기 제어부(820)의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에 의하면 복수개의 인입선과 인출선의 구별이 용이하게 되고, 지진 등에 의해 지중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인입선과 인출선의 접속불량,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절단하지 않으면서도 인입선과 인출선을 분리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인입선과 인출선이 접속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2는 인입선과 인출선이 분리되고 소화가스가 분사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3은 접속수단 및 차단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인출선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수평어댑터와 수직어댑터의 단면 확대 사시도,
도 6은 인출선이 인출선고정수단에 의하여 맨홀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은 B-B선 단면도,
도 9는 내진보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1은 인입선과 인출선이 접속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2는 인입선과 인출선이 분리되고 소화가스가 분사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3은 접속수단 및 차단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인출선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수평어댑터와 수직어댑터의 단면 확대 사시도,
도 6은 인출선이 인출선고정수단에 의하여 맨홀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은 B-B선 단면도,
도 9는 내진보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20)와; 캐비닛(10)의 하부에 매설되는 맨홀(30)과; 상기 전력기기(20)에서 맨홀(30)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선(40)과; 상기 맨홀(30)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선(5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선로에 적용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지상에 설치되며 전면에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전력기기(20)는 지상변압기 또는 차단기 등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맨홀(30)은 통상적인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중배관(40)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맨홀(30)은 상기 전력기기(20)가 내장된 캐비닛(10)을 지탱하는 역할과, 상기 인입선(40)과 인출선(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맨홀(30)은 지중에 매설되며 바닥(32)과 주벽(33)을 가지는 맨홀본체(31)와, 상기 맨홀본체(31)의 상단 개구부를 복개하는 맨홀덮개(34)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선(40)은 하단에서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부(41)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인출선(50)은 상단에서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부(51)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도 2 참조).
도면에서는 인입선(40)과 인출선(50)이 각각 4가닥씩 설치된 예를 들고 있으나 이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맨홀(30) 내부에는 상기 인입선(40)과 인출선(5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싱(110)과,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맨홀(30) 사이에 설치되는 좌, 우측장치하우징(120, 130)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장치하우징(120, 130)은 전기절연성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싱(110)은 상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하우징(120, 130)은 개폐 가능한 박스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장치하우징(120, 130)은 서로 결합하고, 장치하우징(120, 130)을 맨홀(30)의 주벽(33)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보호케이싱(110)과 장치하우징(120, 130)을 맨홀(30) 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내부는 전기절연성 합성수지 재질의 격판(140)에 의하여 상부의 인입공간(S1)과 하부의 인출공간(S2)으로 구획된다.
상기 격판(140)에는 복수개의 커넥터출입공(141)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우측벽과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좌측벽에는 커넥터안내공(151, 152)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좌측벽과 좌측장치하우징(120)의 우측벽에는 차단판안내공(161, 162)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우측장치하우징(130)에는 상기 인입선(40)과 인출선(50)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접속수단(20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어 인입선(40)의 도체부(4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입선삽입홈(211)과, 하단에 형성되어 인출선(50)의 도체부(51)가 삽입고정되는 인출선삽입홈(212)을 가지는 커넥터(210)와; 상기 커넥터(210)가 매설 고정되는 전기절연성 재질의 커넥터홀더(220)와; 상기 커넥터홀더(220)에 일체로 형성되어 보호케이싱(110)의 커넥터안내공(151)과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커넥터안내공(152)을 통하여 우측장치하우징(13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30)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에 설치되며 승강작동하는 작동봉(241)이 상기 연장부(230)에 연결되는 커넥터 솔레노이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210)는 커넥터홀더(2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좌측장치하우징(120)에는 상기 격판(140)의 커넥터출입공(141)을 막아 상기 인입공간(S1)과 인출공간(S2)을 차단하는 차단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수단(300)은 상기 좌측장치하우징(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작동하는 작동봉(311)을 구비한 승강 솔레노이드(310)와, 상기 작동봉(3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승강대(320)와, 상기 승강대(320)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333)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332)을 가지는 모터(331)와, 상기 모터축(332)의 암나사부(333)에 나사물림되는 수나사부(335)가 구비된 작동봉(334)을 가지는 리니어액튜에이터(330) 및, 상기 작동봉(334)의 우측단에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커넥터출입공(141)에 끼워지는 차단돌기(341)가 구비된 차단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단판(340)과 차단돌기(341)는 전기절연성 및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선(50)은 인출선고정수단(400)에 의하여 맨홀(30)의 주벽(33)에 고정되며, 지상으로 인출된다.
상기 인출선고정수단(400)은 상기 맨홀(30)의 주벽(33)에 형성된 설치공(410)과; 상기 설치공(410)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수평고정부(430)와,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수직고정부(440) 및, 상기 수평고정부(430)와 수직고정부(440)를 연결하는 만곡연결부(450)를 가지는 고정관(420)과; 상기 고정관(420)을 통과하는 인출선(50)의 수평부(52)와 수직부(53)를 각각 상기 수평고정부(430)와 수직고정부(440)에 고정지지하는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와; 상기 고정관(420)을 벽체(33)에 고정하는 고정구(480)와,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의 내부에 충전유체(F)를 주입하는 충전유체주입기(4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41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도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8개)의 결합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411)에 대응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8개)의 결합돌기(43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관(420)은 맨홀(30)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매설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벽체(33)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에 고정관(420)을 고정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고정부(430)에 형성된 결합돌기(431)가 벽체(33)에 매설되면서 결합홈(41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관(420)은 결합홈(411)과 결합돌기(431)의 결합에 의하여 벽체(33)에 대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받더라도 임의로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평어댑터(460)는 상기 수평고정부(430)에 삽입되며 부채꼴형의 좌측판(461)과 우측판(462)과, 상기 좌측판(461)과 우측판(462)의 빗변을 연결하는 빗변판(463)과, 상기 빗변판(463)을 연결하는 원주부(464)와, 상기 좌측판(461)과 우측판(462)에 형성되는 인출선통과공(465)과, 상기 인출선통과공(465)을 연결하는 인출선지지관(466)과, 상기 좌측판(461), 우측판(462), 빗변판(463), 원주부(464), 인출선지지관(466)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467)으로 형성되며,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가 구비되어 빗변판(463)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수직어댑터(470)는 상기 수직고정부(440)에 삽입되며 부채꼴형의 상단판(471)과 하단판(472)과, 상기 상단판(471)과 하단판(472)의 빗변을 연결하는 빗변판(473)과, 상기 빗변판(473)을 연결하는 원주부(474)와, 상기 상단판(471)과 하단판(472)에 형성되는 인출선통과공(475)과, 상기 인출선통과공(475)을 연결하는 인출선지지관(476)과, 상기 상단판(471), 하단판(472), 빗변판(473), 원주부(474), 인출선지지관(476)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477)으로 형성되며,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빗변판(473)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T자형 가이드돌기(4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어댑터(460)의 외주면에는 상기 T자형 가이드돌기(432)에 대응하는 L자형 가이드홈(468)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부(44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T자형 가이드돌기(44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어댑터(470)의 외주면에는 상기 T자형 가이드돌기(441)에 대응하는 L자형 가이드홈(478)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의 외주면에 형성된 L자형 가이드홈(468, 478)은 인접하는 것끼리 대칭을 이루면서 T자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는 후술하는 충전유체(F)의 주입에 따라 팽창할 수 있는 고무재질 또는 신축성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480)는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양단에 끼워지며 벽체(33)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한 상의 링형 패킹(481)과, 상기 링형 패킹(48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링형 조임판(482)과, 상기 링형 조임판(482)과 링형 패킹(481) 및 벽체(33)를 관통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8개)의 조임볼트(483)와, 상기 조임볼트(483)에 체결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8개)의 조임너트(4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체(33)와 링형 패킹(481) 및 링형 조임판(482)에는 상기 조임볼트(483)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볼트관통공(H1, H2, H3)이 형성된다.
상기 충전유체주입기(490)는 상기 복수개의 수평어댑터(460)의 빗변판(463)이 이루는 꼭지점부에 형성되는 삽입홈(491)과, 만곡연결부(450)의 중심선 및 상기 복수개의 수직어댑터(470)의 빗변판(47)이 이로는 꼭지점부에 형성된 삽입홈(492)을 통해 삽입되는 주입관(493)과, 상기 주입관(493)의 하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평어댑터(460)의 충전공간(467)에 연결되는 제1 분기주입관(494)과, 상기 주입관(493)의 상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직어댑터(470)의 충전공간(477)에 연결되는 제2 분기주입관(495) 및, 상기 주입관(493)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니플(49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입관(493)과 제1 및 제2 분기주입관(494, 495)은 휘어질 수 있는 합성수지제 호스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기주입관(494)을 수평어댑터(460)에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어댑터(460)의 좌측판(461)에 연결공(497)을 형성하고, 제1 분기주입관(494)과 연결공(497) 사이에 강력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제1 분기주입관(494)을 연결공(497)에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분기주입관(495)을 수직어댑터(470)에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어댑터(470)의 상면판(471)에 연결공(498)을 형성하고, 제2 분기주입관(495)과 연결공(498) 사이에 강력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제2 분기주입관(495)을 연결공(498)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니플(496)은 통상적으로 기체나 액체를 포함하는 유체를 주입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체크밸브형의 주입구로서, 충전유체(F)가 저장되는 충전유체저장탱크와 충전유체를 가압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충전유체주입장치(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충전유체를 주입할 때는 개방되고, 충전유체가 주입된 후에는 역류가 불가능하게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이 구비돤다.
상기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소화가스(G1)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와, 상기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에 설치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와, 상기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를 통해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에 연결되는 소화가스분사노즐(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우측장치하우징(130)에는 인입공간진화수단(610)과,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이 설치된다.
상기 인입공간진화수단(610)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화가스(G2)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탱크(611)와, 상기 인입공간 소화가스탱크(611)에 설치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와, 상기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연결되어 선단이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인입공간(S1)에 위치하는 소화가스분사노즐(613)을 포함한다.
상기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화가스(G3)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탱크(621)와, 상기 인출공간 소화가스탱크(621)에 설치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와, 상기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연결되어 선단이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인출공간(S2)에 위치하는 소화가스분사노즐(623)을 포함한다.
상기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와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맨홀(30)은 내진보강수단(700)에 의하여 보강된다(도 9 참조).
상기 내진보강수단(700)은 상기 맨홀(30)보다 깊은 위치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71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71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720)과, 상기 복수개의 기둥(7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슬래브(730)와, 상기 슬래브(730)와 상기 맨홀(30)의 바닥(32)의 사이에 설치되는 면진장치(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710)와 슬래브(730)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기둥(730)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H형강과 H형강의 주위를 감싸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복합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면진장치(740)는 상기 슬래브(730)의 상면과 상기 맨홀(30)의 바닥(32)의 하면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구조물(750)과, 상기 탄성구조물(750)의 상단과 맨홀(30)의 바닥(32) 사이에 삽입되는 상단방진고무(760) 및, 상기 슬래브(730)의 상면과 탄성구조물(750)의 하단 사이에 삽입되는 하단방진고무(7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구조물(750)은 ㅁ자형의 상부프레임(751)과, 상기 상부프레임(751)의 구석부분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상부경사탄성부(752)와, 상기 상부경사탄성부(752)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판(753)과, ㅁ자형 하부프레임(754)과, 상기 하부프레임(754)의 구석부분에서 중앙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하부경사탄성부(755)와, 상기 하부경사탄성부(755)의 상단을 연결하는 하부연결판(756) 및, 상기 상부연결판(753)과 하부연결판(756)을 연결하는 연결봉(7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751)과 상부경사탄성부(752) 및 상부연결판(753)과, 하부프레임(754)과 하부경사탄성부(755) 및 하부연결판(756)은 각각 탄성력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일정한 두께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연결봉(757)은 상, 하단을 상부연결판(752)과 하부연결판(756)에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속수단(200), 차단수단(300), 전력기기진화수단(500), 인입공간진화수단(610) 및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8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수단(800)은 화재감지센서(810)와, 상기 화재감지센서(8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접속수단(20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명령, 차단수단(30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명령,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명령,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명령,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820)와, 상기 제어부(82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명령에 따라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신호를 송출하는 커넥터 솔레노이드 구동부(830)와, 상기 제어부(82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에 따라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을 송출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구동부(840)와, 상기 제어부(82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명령에 따라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신호를 송출하는 승강 솔레노이드 구동부(850)와, 상기 제어부(82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60)와, 상기 제어부(820)의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70) 및, 상기 제어부(820)의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 설치 상태 및 화재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배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화재감지센서(810)로부터 화재발생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어부(820)는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하강명령과,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후퇴명령과,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하강명령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폐쇄명령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폐쇄명령 및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폐쇄명령을 출력한다.
제어부(82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하강명령에 따라 커넥터 솔레노이드 구동부(830)가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하강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82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후퇴명령에 따라 리니어액튜에이터 구동부(840)가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후퇴신호를 송출하며, 제어부(82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하강명령에 따라 승강 솔레노이드 구동부(850)가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하강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82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폐쇄명령에 따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60)가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폐쇄신호를 송출하며, 제어부(820)의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폐쇄명령에 따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70)가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폐쇄명령을 송출하고, 제어부(820)의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폐쇄명령에 따라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80)가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폐쇄신호를 송출한다.
커넥터 솔레노이드 구동부(83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상승신호에 따라 커넥터 솔레노이드(240)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의 작동봉(241)에 연장부(230)가 연결된 커넥터홀더(220)와, 커넥터홀더(220)에 결합된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고정된 인출선(50)이 상승하고, 인입선(40)의 도체부(41)가 커넥터(210)의 인입선삽입홈(211)에 삽입되어 인입선(40)과 인출선(50)이 커넥터(210)에 의하여 접속되고, 전력기기(20)로부터 인입선(40)을 통해 인입되는 전류가 커넥터(210)를 통해 인출선(50)으로 흐르는 정상적인 배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커넥터(210)는 물리적으로 절단되는 것이 아니므로 지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절단되는 일이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접촉불량이나 정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리니어액튜에이터 구동부(84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후퇴신호에 따라 리니어액튜에이터(330)를 구성하는 모터(331)가 후퇴방향으로 가동되고, 중공형 모터축(332)이 후퇴방향으로 회전하며, 모터축(332)의 암나사부(333)와 작동봉(334)의 수나사부(335)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작동봉(334)과, 작동봉(334)에 결합된 차단판(340)이 후퇴한 상태로 유지된다.
승강 솔레노이드 구동부(85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하강신호에 따라 승강 솔레노이드(310)의 작동봉(311)과, 작동봉(311)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대(320)와, 승강대(320)의 상부에 설치된 리니어액튜에이터(330)와 차단판(340)이 모두 하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6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폐쇄신호에 따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가 폐쇄되어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캐비닛(10)의 내부로 분사되지 않는다.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70)의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폐쇄신호에 따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가 폐쇄되어 인입공간 소화가스탱크(611)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인입공간(S1)으로 분사되지 않는다.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80)의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폐쇄신호에 따라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가 폐쇄되어 인출공간 소화가스탱크(621)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인출공간(S2)으로 분사되지 않는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81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20)에 전송하며, 제어부(820)가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하강명령과,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전진명령과,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상승명령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방명령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방명령 및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방명령을 출력한다.
제어부(82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상승명령에 따라 커넥터 솔레노이드 구동부(830)가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상승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82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전진명령에 따라 리니어액튜에이터 구동부(840)가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전진신호를 송출하며, 제어부(82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상승명령에 따라 승강 솔레노이드 구동부(850)가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상승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82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방명령에 따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60)가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방신호를 송출하며, 제어부(820)의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방명령에 따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70)가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방명령을 송출하고, 제어부(820)의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방명령에 따라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80)가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방신호를 송출한다.
커넥터 솔레노이드 구동부(83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하강신호에 따라 커넥터 솔레노이드(240)가 하강하게 되고,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의 작동봉(241)에 연장부(230)가 연결된 커넥터홀더(220)와, 커넥터홀더(220)에 결합된 커넥터(210)와, 커넥터(210)에 고정된 인출선(50)이 하강하고, 커넥터(210)의 인입선삽입홈(211)이 인입선(40)의 도체부(41)로부터 분리되어 전력기기(20)로부터 인입선(40)을 통해 인입되는 전류가 커넥터(210)를 통해 인출선(50)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리니어액튜에이터 구동부(84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전진신호에 따라 리니어액튜에이터(330)를 구성하는 모터(331)가 전진방향으로 가동되고, 중공형 모터축(332)이 전진방향으로 회전하며, 모터축(332)의 암나사부(333)와 작동봉(334)의 수나사부(335)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작동봉(334)과, 작동봉(334)에 결합된 차단판(340)이 전진한다. 이때, 차단판(340)은 보호케이싱(110)의 우측벽과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좌측벽에는 커넥터안내공(151, 152)을 통하여 보호케이싱(110)의 내부로 전하여 차단돌기(341)가 격판(140)의 커넥터출입공(14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승강 솔레노이드 구동부(85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상승신호에 따라 승강 솔레노이드(310)의 작동봉(311)과, 작동봉(311)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대(320)와, 승강대(320)의 상부에 설치된 리니어액튜에이터(330)와 차단판(340)이 모두 상승하게 되고, 격판(140)의 커넥터출입공(14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차단돌기(341)가 커넥터출입공(141)에 삽입되어 인입공간(S1)과 인출공간(S2)을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82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전진명령과 리니어액튜에이터 구동부(84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전진신호와 제어부(82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상승명령과 승강 솔레노이드 구동부(85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상승신호는 시차를 두고 순차 출력되고 송출된다.
즉,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전진명령과 전진신호를 출력 및 송출한 후 차단판(340)이 전진하여 차단돌기(341)가 격판(140)의 커넥터출입공(141)의 하부에 위치한 다음,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상승명령과 상승신호가 출력되고 송출된다.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6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방신호에 따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가 개방되어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캐비닛(10)의 내부로 분사되어 캐비닛(10) 내의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70)의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방신호에 따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가 개방되어 인입공간 소화가스탱크(611)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인입공간(S1)으로 분사되어 인입공간(S1) 내의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80)의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방신호에 따라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가 개방되어 인출공간 소화가스탱크(621)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인출공간(S2)으로 분사되어 인출공간(S2) 내의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이때, 격벽(140)의 커넥터출입공(141)이 차단돌기(341)가 삽입됨에 따라 인입공간(S1)과 인출공간(S2)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인입공간(S1)과 인출공간(S2)에서 발생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입선(40)의 도체부(41)는 인입공간(S1)에 위치하고, 커넥터(210)와 인출선(50)의 도체부(51)는 인출공간(S2)에 위치하며, 격판(140)은 전기절연성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커넥터출입공(141)은 차단판(340)과 차단돌기(341)는 전기절연성 및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입선(40)의 도체부(41)와 인출선(50)의 도체부(51) 간의 단락이나 아크가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캐비닛(10) 내에서 발생한 화재는 전력기기진화수단(500)에 의하여, 인입공간(S1)에서 발생한 화재는 인입공간진화수단(610)에 의하여, 그리고 인출공간(S2)에서 발생한 화재는 인출공간진화수단(620)에 의하여 진화되므로 화재발생 초기에 신속한 진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화재로 인한 구성부품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캐비닛 20 : 전력기기
30 : 맨홀 40 : 인입선
50 : 인출선 110 : 보호케이싱
120 : 좌측장치하우징 130 : 우측장치하우징
140 : 격판 141 : 커넥터출입공
200 : 접속수단 300 : 차단수단
400 : 인출선고정수단 500 : 전력기기진화수단
610 : 인입공간진화수단 620 : 인출공간진화수단
30 : 맨홀 40 : 인입선
50 : 인출선 110 : 보호케이싱
120 : 좌측장치하우징 130 : 우측장치하우징
140 : 격판 141 : 커넥터출입공
200 : 접속수단 300 : 차단수단
400 : 인출선고정수단 500 : 전력기기진화수단
610 : 인입공간진화수단 620 : 인출공간진화수단
Claims (1)
- 지상에 설치되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20)와; 캐비닛(10)의 하부에 매설되는 맨홀(30)과; 상기 전력기기(20)에서 맨홀(30)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선(40)과; 상기 맨홀(30)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선(50)을 포함하는 배전선로에 적용되며,
상기 맨홀(30)은 지중에 매설되며 바닥(32)과 주벽(33)을 가지는 맨홀본체(31)와, 상기 맨홀본체(31)의 상단 개구부를 복개하는 맨홀덮개(34)로 구성되고,
상기 인입선(40)은 하단에서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부(41)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인출선(50)은 상단에서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부(51)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맨홀(30) 내부에는 상기 인입선(40)과 인출선(5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싱(110)과,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맨홀(30) 사이에 설치되는 좌, 우측장치하우징(120, 130)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내부는 전기절연성 합성수지 재질의 격판(140)에 의하여 상부의 인입공간(S1)과 하부의 인출공간(S2)으로 구획되며, 상기 격판(140)에는 복수개의 커넥터출입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우측벽과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좌측벽에는 커넥터안내공(151, 152)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좌측벽과 좌측장치하우징(120)의 우측벽에는 차단판안내공(161, 162)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우측장치하우징(130)에는 상기 인입선(40)과 인출선(50)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200)이 설치되고,
상기 접속수단(20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어 인입선(40)의 도체부(4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입선삽입홈(211)과, 하단에 형성되어 인출선(50)의 도체부(51)가 삽입고정되는 인출선삽입홈(212)을 가지는 커넥터(210)와; 상기 커넥터(210)가 매설 고정되는 전기절연성 재질의 커넥터홀더(220)와; 상기 커넥터홀더(220)에 일체로 형성되어 보호케이싱(110)의 커넥터안내공(151)과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커넥터안내공(152)을 통하여 우측장치하우징(13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30)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에 설치되며 승강작동하는 작동봉(241)이 상기 연장부(230)에 연결되는 커넥터 솔레노이드(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장치하우징(120)에는 상기 격판(140)의 커넥터출입공(141)을 막아 상기 인입공간(S1)과 인출공간(S2)을 차단하는 차단수단(300)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수단(300)은 상기 좌측장치하우징(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작동하는 작동봉(311)을 구비한 승강 솔레노이드(310)와, 상기 작동봉(3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승강대(320)와, 상기 승강대(320)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333)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332)을 가지는 모터(331)와, 상기 모터축(332)의 암나사부(333)에 나사물림되는 수나사부(335)가 구비된 작동봉(334)을 가지는 리니어액튜에이터(330) 및, 상기 작동봉(334)의 우측단에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커넥터출입공(141)에 끼워지는 차단돌기(341)가 구비된 차단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출선(50)은 인출선고정수단(400)에 의하여 맨홀(30)의 주벽(33)에 고정되어 지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인출선고정수단(400)은 상기 맨홀(30)의 주벽(33)에 형성된 설치공(410)과; 상기 설치공(410)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수평고정부(430)와,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수직고정부(440) 및, 상기 수평고정부(430)와 수직고정부(440)를 연결하는 만곡연결부(450)를 가지는 고정관(420)과; 상기 고정관(420)을 통과하는 인출선(50)의 수평부(52)와 수직부(53)를 각각 상기 수평고정부(430)와 수직고정부(440)에 고정지지하는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와; 상기 고정관(420)을 벽체(33)에 고정하는 고정구(480)와,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의 내부에 충전유체(F)를 주입하는 충전유체주입기(4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설치공(41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도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411)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43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어댑터(460)는 상기 수평고정부(430)에 삽입되며 부채꼴형의 좌측판(461)과 우측판(462)과, 상기 좌측판(461)과 우측판(462)의 빗변을 연결하는 빗변판(463)과, 상기 빗변판(463)을 연결하는 원주부(464)와, 상기 좌측판(461)과 우측판(462)에 형성되는 인출선통과공(465)과, 상기 인출선통과공(465)을 연결하는 인출선지지관(466)과, 상기 좌측판(461), 우측판(462), 빗변판(463), 원주부(464), 인출선지지관(466)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467)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빗변판(463)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어댑터(470)는 상기 수직고정부(440)에 삽입되며 부채꼴형의 상단판(471)과 하단판(472)과, 상기 상단판(471)과 하단판(472)의 빗변을 연결하는 빗변판(473)과, 상기 빗변판(473)을 연결하는 원주부(474)와, 상기 상단판(471)과 하단판(472)에 형성되는 인출선통과공(475)과, 상기 인출선통과공(475)을 연결하는 인출선지지관(476)과, 상기 상단판(471), 하단판(472), 빗변판(473), 원주부(474), 인출선지지관(476)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477)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빗변판(473)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T자형 가이드돌기(4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어댑터(460)의 외주면에는 상기 T자형 가이드돌기(432)에 대응하는 L자형 가이드홈(468)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부(44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T자형 가이드돌기(44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어댑터(470)의 외주면에는 상기 T자형 가이드돌기(441)에 대응하는 L자형 가이드홈(478)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의 외주면에 형성된 L자형 가이드홈(468, 478)은 인접하는 것끼리 대칭을 이루면서 T자형을 이루게 되고,
상기 수평어댑터(460)와 수직어댑터(470)는 충전유체(F)의 주입에 따라 팽창할 수 있는 고무재질 또는 신축성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480)는 상기 수평고정부(430)의 양단에 끼워지며 벽체(33)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한 상의 링형 패킹(481)과, 상기 링형 패킹(48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링형 조임판(482)과, 상기 링형 조임판(482)과 링형 패킹(481) 및 벽체(33)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조임볼트(483)와, 상기 조임볼트(483)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조임너트(48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전유체주입기(490)는 상기 복수개의 수평어댑터(460)의 빗변판(463)이 이루는 꼭지점부에 형성되는 삽입홈(491)과, 만곡연결부(450)의 중심선 및 상기 복수개의 수직어댑터(470)의 빗변판(47)이 이로는 꼭지점부에 형성된 삽입홈(492)을 통해 삽입되는 주입관(493)과, 상기 주입관(493)의 하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평어댑터(460)의 충전공간(467)에 연결되는 제1 분기주입관(494)과, 상기 주입관(493)의 상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직어댑터(470)의 충전공간(477)에 연결되는 제2 분기주입관(495) 및, 상기 주입관(493)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니플(49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이 구비되고,
상기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소화가스(G1)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와, 상기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에 설치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와, 상기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를 통해 전력기기 소화가스탱크(510)에 연결되는 소화가스분사노즐(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케이싱(110)과 우측장치하우징(130)에는 인입공간진화수단(610)과,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이 설치되고,
상기 인입공간진화수단(610)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화가스(G2)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탱크(611)와, 상기 인입공간 소화가스탱크(611)에 설치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와, 상기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연결되어 선단이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인입공간(S1)에 위치하는 소화가스분사노즐(6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은 상기 우측장치하우징(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화가스(G3)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탱크(621)와, 상기 인출공간 소화가스탱크(621)에 설치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와, 상기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연결되어 선단이 상기 보호케이싱(110)의 인출공간(S2)에 위치하는 소화가스분사노즐(6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맨홀(30)은 내진보강수단(700)에 의하여 보강되며,
상기 내진보강수단(700)은 상기 맨홀(30)보다 깊은 위치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71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71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720)과, 상기 복수개의 기둥(7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슬래브(730)와, 상기 슬래브(730)와 상기 맨홀(30)의 바닥(32)의 사이에 설치되는 면진장치(7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면진장치(740)는 상기 슬래브(730)의 상면과 상기 맨홀(30)의 바닥(32)의 하면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구조물(750)과, 상기 탄성구조물(750)의 상단과 맨홀(30)의 바닥(32) 사이에 삽입되는 상단방진고무(760) 및, 상기 슬래브(730)의 상면과 탄성구조물(750)의 하단 사이에 삽입되는 하단방진고무(7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구조물(750)은 ㅁ자형의 상부프레임(751)과, 상기 상부프레임(751)의 구석부분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상부경사탄성부(752)와, 상기 상부경사탄성부(752)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판(753)과, ㅁ자형 하부프레임(754)과, 상기 하부프레임(754)의 구석부분에서 중앙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하부경사탄성부(755)와, 상기 하부경사탄성부(755)의 상단을 연결하는 하부연결판(756) 및, 상기 상부연결판(753)과 하부연결판(756)을 연결하는 연결봉(75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수단(200), 차단수단(300), 전력기기진화수단(500), 인입공간진화수단(610) 및 인출공간진화수단(6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800)이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0)은 화재감지센서(810)와, 상기 화재감지센서(8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접속수단(20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명령, 차단수단(30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명령, 전력기기진화수단(50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명령,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명령,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820)와, 상기 제어부(820)의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명령에 따라 커넥터 솔레노이드(240)에 대한 승강신호를 송출하는 커넥터 솔레노이드 구동부(830)와, 상기 제어부(82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에 따라 리니어액튜에이터(330)에 대한 진퇴명령을 송출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구동부(840)와, 상기 제어부(820)의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명령에 따라 승강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승강신호를 송출하는 승강 솔레노이드 구동부(850)와, 상기 제어부(820)의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520)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전력기기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60)와, 상기 제어부(820)의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12)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인입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70) 및, 상기 제어부(820)의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명령에 따라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622)에 대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인출공간 소화가스분사밸브 구동부(8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450A KR101962367B1 (ko) | 2018-07-13 | 2018-07-13 |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450A KR101962367B1 (ko) | 2018-07-13 | 2018-07-13 |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2367B1 true KR101962367B1 (ko) | 2019-03-28 |
Family
ID=6590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1450A KR101962367B1 (ko) | 2018-07-13 | 2018-07-13 |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236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2750B1 (ko) | 2020-04-13 | 2020-10-07 |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장치 |
CN117996971A (zh) * | 2024-04-02 | 2024-05-07 | 哈尔滨朗昇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箱式储能系统及其智能控制方法 |
CN118630676A (zh) * | 2024-08-09 | 2024-09-10 | 任丘市召明电力设备有限公司 | 一种电力铁塔金具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0448A (ko) * | 2005-06-22 | 2005-08-12 | (주)서전기전 |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
KR100875747B1 (ko) | 2008-04-04 | 2008-12-26 | 조영석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KR101797547B1 (ko) * | 2017-05-23 | 2017-11-16 | (주)다은감리단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
2018
- 2018-07-13 KR KR1020180081450A patent/KR1019623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0448A (ko) * | 2005-06-22 | 2005-08-12 | (주)서전기전 |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
KR100875747B1 (ko) | 2008-04-04 | 2008-12-26 | 조영석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KR101797547B1 (ko) * | 2017-05-23 | 2017-11-16 | (주)다은감리단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2750B1 (ko) | 2020-04-13 | 2020-10-07 |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장치 |
CN117996971A (zh) * | 2024-04-02 | 2024-05-07 | 哈尔滨朗昇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箱式储能系统及其智能控制方法 |
CN117996971B (zh) * | 2024-04-02 | 2024-06-07 | 哈尔滨朗昇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箱式储能系统及其智能控制方法 |
CN118630676A (zh) * | 2024-08-09 | 2024-09-10 | 任丘市召明电力设备有限公司 | 一种电力铁塔金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2367B1 (ko) |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 |
KR101885834B1 (ko)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
KR102045759B1 (ko) |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 |
KR102030659B1 (ko) |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 |
US9608413B2 (en) | Enclosed switchboard | |
KR101341151B1 (ko) |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 |
US8054628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sealed for life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 |
KR101621744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관 | |
KR101632867B1 (ko) | 수배전반 내진장치 | |
KR101625628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 |
KR100939576B1 (ko) | 내진용 수배전반 | |
KR20180047942A (ko) | 높이조절용 지중 저압접속함 | |
KR101470567B1 (ko) |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 | |
KR101880296B1 (ko) | 345kV 지중송전선로의 연결 차단 장치 | |
KR20100021979A (ko) |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 |
KR102437261B1 (ko) |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 배전용 케이블 처짐방지 시스템 | |
WO2024140499A1 (zh) | 一种泄爆结构及储能柜 | |
KR20170030152A (ko) | 변압기용 이동식 기초대 | |
KR101476735B1 (ko) | 내진설비가 설치된 수배전반 | |
WO2018094555A1 (en) | Underground base station | |
KR101949119B1 (ko) | 변압기의 방압장치 | |
KR102484585B1 (ko) |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 |
KR20180001218A (ko) | 조기소화기능이 추가된 변압기 | |
KR101506886B1 (ko) | 코일전극을 이용한 방전 및 침수 감전방지 장치 | |
KR102488644B1 (ko) | 지중 매설형 변압기, 개폐기 및 그의 설치 기초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