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85B1 -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585B1
KR102484585B1 KR1020210191268A KR20210191268A KR102484585B1 KR 102484585 B1 KR102484585 B1 KR 102484585B1 KR 1020210191268 A KR1020210191268 A KR 1020210191268A KR 20210191268 A KR20210191268 A KR 20210191268A KR 102484585 B1 KR102484585 B1 KR 10248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modules
photographing
wir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세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에 있이서,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및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물이 설치되는 설치현장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물의 설치과정을 관리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하되,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관(1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 설치되는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서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을 연결하는 커넥터(400)와;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 및 커넥터(400)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100) 내에 지지하며 누전을 방지하는 누전방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Distribution line leakag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분야 기술 중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전함과 지중배관 사이를 통한 침수를 확실하게 방지하여 침수로 인한 누전 그리고 이에 따른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커넥터에 의한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부위의 누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진 등의 강한진동에 따라 접속부위가 탈락한 경우에도 인입전선의 단락을 방지하여 단락에 의한 감전 및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 지역의 전력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로변에 전신주를 이용한 가공 시설이 널리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가공 시설은 안전상의 이유와 도시 미관상의 이유로 지중 시설로 대체되고 있다.
지중 배전선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관(P)에 설치되며 커넥터(1)를 통하여 지상의 배전반(B)에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1)는 일단이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전선(L1)과 연결되고 타단이 배전반(B)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전선(L2)에 연결되어 전력공급원으로부터 배전반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배전반(B)과 지중배관(P) 사이를 통해 침수가 발생하며, 이러한 침수에 의하여 누전 및 감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누전이 발생하기 쉬우며, 작업자가 부주의로 커넥터(1)와 접촉하여 누전 및 감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지진 발생시 요통치는 인입전선(L1)으로부터 발생하는 외력이 직접적으로 커넥터(1)에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인입전선(L1)이 커넥터(1)로부터 탈락하여 임의의 위치로 낙하하게 되고, 누전이 발생되며, 감전 또는 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하게따라서 배전함과 지중배관 사이를 통한 침수로 인해 발생하는 누전 및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커넥터의 외부 노출에 의한 누전과 지진 발생시 인입전선이 커넥터로부터 탈락하여 임의의 위치로 낙하함에 따른 누전과 이로 인한 감전 또는 화재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요구에 따른 선행기술로서 지지대수용부가 내면을 따라 상하방으로 형성되고, 지지대수용부와 연통된 관통부가 측방으로 개구되며, 지지대걸림부가 지지대수용부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지면에 매설되되, 상부가 지상에 설치된 배전함과 연통되는 사각관 형상의 지중배관과; 상하부에 제1, 2체결부가 형성되고, 제1, 2체결부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이 구비되어,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전선과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전선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중배관 내부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인 패널과, 패널에 삽입되는 십자형상의 삽입부와, 삽입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패널을 관통하여 인입전선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삽입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패널을 관통하여 인출전선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된 도전재질인 연결대와, 패널의 측면에 고정되는 패널고정부와, 지중배관 내벽에 고정되는 지중배관고정부로 구성되어, 패널을 상방으로 탄발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스프링을 갖추고서, 지중배관의 지지대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넥터와; 일단부에 패널의 제1체결부와 나사결합되는 패널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인입전선이 삽입되는 인입전선삽입부가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와, 인입전선과 인입전선삽입부 사이에 끼워지는 기밀부재로 구성된 제1캡과, 일단부에 패널의 제2체결부와 나사결합되는 패널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인출전선이 삽입되는 인출전선삽입부가 형성되며, 패널연결부와 인출전선삽입부 사이에 절연재가 주입되는 주입홀이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와, 인입전선과 인입전선삽입부 사이에 끼워지는 기밀부재로 구성되어, 제1캡과 상호 대향되는 제2캡을 갖추고서, 커넥터의 연결대를 감싸는 보호캡과; 측면에 지중배관의 관통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지중배관과 이웃되게 배치되는 케이스와, 지중배관의 지지대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와, 관통홀이 형성되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는 걸림부와, 지지부와 걸림부에 형성되며 인입전선이 통과하는 가이드부를 갖춘 지지대와, 지지대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과, 지지대의 관통홀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를 갖추고서, 케이스에 내설되는 솔레노이드와, 케이스 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지중배관 내면에 설치되어 커넥터의 낙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케이스에 내설되어, 감지센서로부터 커넥터 낙하신호를 수신하면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는 제어유닛을갖춘 지지장치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며, 지진에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매설 배전선의 누전방지용 절연대"가 대한민국 특허 등록제10-0907747호 (2009.07.07.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에 각각 제1 캡 및 제2 캡이 씌워져 있고, 지진 발생시 진동에 의하여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이 탈락하였을 경우, 인입전선에 제1 캡이 씌워지고 패널에 제1 캡과 제2 캡이결합된 상태에서 인입전선, 제1 캡, 패널 및 제2 캡이 결합된 상태로 하강하므로 누전에 의한 감전과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지진 발생시 반드시 인입전선, 제1 캡, 패널 및 제2 캡이 결합된 상태로하강하게 된다고 보장할 수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출전선, 제2 캡, 패널 및 제1 캡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인입전선이 탈락하여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바, 이 경우에는 양측 인입전선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누전과 감전 및 화재 사고를 초래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평상시에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지지대가 사고발생시 먼저 하향 회동하여 수평상태로 된 후,인입전선, 제1 캡, 패널 및 제2 캡이 수평상태로 된 지지대 위에 하강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과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입전선, 제1 캡, 패널 및 제2 캡이 먼저 하강하고 지지대가 이후에 하향 회동하게 될 수도 있으므로 누전에 의한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진 발생시 인출전선, 제2 캡, 패널 및 제1 캡이 결합되어 있고 인입전선만 하강하는 경우는 물론 어떠한 경우에도 인입전선 간의 단락과 누전 그리고 이에 따른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바, 전도체로 구성된 스프링 자체가 단락의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단락과 누전 그리고 이에 따른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지중 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관과; 지중배관 내에 설치되며 상단부의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심선이 노출되는 인입전선과, 하단부의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심선이 노출되는 인출전선과, 지중배관 내에서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노출된 도체심선을 연결하는 커넥터와, 인입전선과 인출전선 및 커넥터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 내에 지지하는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
며, 인입전선의 노출된 도체심선과 연결봉의 하반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에 지지하는 절연고무 재질의 인입전선보호부재와; 인출전선의 노출된 도체심선과 연결봉의 상반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에 지지하는 절연고무 재질의 인출전선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인입전선보호부재는 인입전선의 상단부 절연피복에 겉으로 씌워져 고정되는 인입전선삽입원통과, 인입전선삽입원통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입전선의 노출된 도체심선과 연결봉의 하반부를 보호하는 하반부보호원통을 가지는 인입전선보호캡부와, 인입전선삽입원통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지중배관의 내벽면에 접하며 인입전선삽입원통에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하측받침부와, 하측받침부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중배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고정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출전선보호부재는 인출전선의 하단 절연피복에 겉으로 씌워져 고정되는 인출전선삽입원통과, 인출전선삽입원통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전선의 노출된도체심선과 연결봉의 상반부를 보호하는 상반부보호원통을 가지는 인출전선보호캡부와, 상반부보호원통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지중배관의 내벽면에 접하며 하반부보호원통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상측받침부와, 상측받침부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중배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고정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커넥터에 의한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부위의 누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진 등의 강한 진동에 따라 접속부위가 탈락한 경우에도 인입전선의 단락을 방지하여 단락에 의한 감전 및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전체로 된 스프링과 같은 단락 사고의 요인이 되는 요소를 배제함으로써 단락과 누전 그리고 이에 따른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
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5031호 (2015.01.15.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배전함과 지중배관 사이를 통한 침수로 인하여 누전이 발생하고 감전사고를 초래하는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락의 요인을 배제하여 단락과 누전 그리고 이에 따른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배전함과 지중배관 사이를 통한 침수를 방지하여 침수로 인한 누전과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함과 지중배관 사이를 통한 침수를 확실하게 방지하여 침수로 인한 누전 그리고이에 따른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커넥터에 의한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부위의 누전을방지함과 아울러 지진 등의 강한 진동에 따라 접속부위가 탈락한 경우에도 인입전선의 단락을 방지하여 단락에의한 감전 및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전체로 된 스프링과 같은 단락 사고의 요인이 되는 요소를 배제함으로써 단락과 누전 그리고 이에 따른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에 있이서,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및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물이 설치되는 설치현장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물의 설치과정을 관리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하되,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관(1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 설치되는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서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을 연결하는 커넥터(400)와;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 및 커넥터(400)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100) 내에 지지하며 누전을 방지하는 누전방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의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관과; 지중배관 내에 설치되며 상단부의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심선이 노출되는 인입전선과, 하단부의 절연피복이 박리되어 도체심선이 노출되는 인출전선과, 지중배관 내에서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노출된 도체심선을 연결하는 커넥터와, 인입전선과 인출전선 및 커넥터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 내에 지지하는 누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누전방지수단은 인입전선삽입원통과, 인입전선보호캡부와, 하측받침부와, 지중배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인출전선보호부재는 인출전선삽입원통과, 인출전선보호캡부와, 상측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각각 인입전선보호부재 및 인출전선보호부재에 지지됨과 아울러 인입전선의 도체심선과 인출전선의 도체심선이 커넥터의 연결봉과 연결볼트 및 연결너트에 의하여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은 절연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인입전선보호부재와 인출전선보호부재의 재질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어느 정도의 진동에 대해서는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노출된 도체심선과 인출전선의 노출된 도체심선 및 연결봉과 연결볼트 및 연결너트가 모두 절연고무 재질의 인입전선보호부재와 인출전선보호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인입전선보호부재와 인출전선보호부재를 지중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와 앵커너트가 절연캡에 의하여 씌워져 있으므로 단락의 요인이 되는 요소가 배제되어 단락과 누전 이로 인한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분해 사시도,
도 4는 정상적인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인입전선이 연결봉으로부터 탈락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인입전선과 연결봉이 인출전선으로부터 탈락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종래 지중 배전선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는 배전반(B)이 내설된 배전함(C)의 하부에서 지중에매설되는 지중배관(1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 설치되는 인입전선(200)과; 배전반(B)에 연결되는 인출전선(3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서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을 연결하는 커넥터(400)와; 상기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 및 커넥터(400)를 보호하고 지중배관(100) 내에 지지함과 아울러 누전을 방지하는 누전방지수단(5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중배관(100)의 상부에는 배전반(B)이 내설된 배전함(C)이 설치되며 배전함(C)의 내부와 지중배관(100)의 상부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지중배관(100)은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내벽면에는 복수개의 앵커볼트(110)가 돌출된다. 상기 인입전선(200)은 도체심선(210)과 상기 도체심선(220)을 절연상태로 보호하는 절연피복(220)으로구성되며, 상기 인출전선(300)은 도체심선(310)과 상기 도체심선(310)을 절연상태로 보호하는 절연피복(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전선(200)은 상단부에서 절연피복(220)이 박리되어 도체심선(210)이 일부 노출되며, 상기 인출전선(300)은 하단부에서 절연피복(320)이 박리되어 도체심선(310)이 일부 노출된다.
상기 커넥터(400)는 상기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과 상기 인출전선(300)의 도체심선(310)에 접촉하는 연결봉(410)과, 상기 연결봉(410)의 하단부와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을 관통하는 연결볼트(421)와 이에 체결되는 연결너트(422) 및 상기 연결봉(410)의 상단부와 인출전선(300)의 노출된 도체심선(310)을 관통하는 연결볼트(431)와 이에 체결되는 연결너트(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전방지수단(500)은 상기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과 연결봉(410)의 하반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100)에 지지하며 누전을 방지하는 절연고무 재질의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상기 인출전선(300)의 노출된 도체심선(310)과 연결봉(410)의 상반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100)에 지지하며 누전을 방지하는 절연고무 재질의 인출전선보호부재(520)와; 상기 배전반(B)와 지중배관(100) 사이의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부재(5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입전선보호부재(510)는 상기 인입전선(200)의 상단부 절연피복(220)에 겉으로 씌워져 고정되는 입전선삽입원통(512)과, 상기 인입전선삽입원통(51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과 연결봉(410)의 하반부를 보호하는 하반부보호원통(513)을 가지는 인입전선보호캡부(511)와; 상기 인입전선삽입원통(51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지중배관(100)의 내벽면에 접하며 상기 인입전선삽입원통(513)에 연통되는 삽입공(515)이 형성된 하측받침부(514)와; 상기 하측받침부(514)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지중배관(100)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5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출전선보호부재(520)는 상기 인출전선(300)의 하단 절연피복(320)에 겉으로 씌워져 고정되는 인출전선삽입원통(522)과, 상기 인출전선삽입원통(52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인출전선(300)의 노출된 도체심선(310)과 연결봉(410)의 상반부를 보호하는 상반부보호원통(523)을 가지는 인출전선보호캡부(521)와; 상기 상반부보호원통(52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지중배관(100)의 내벽면에 접하며 상기 하반부보호원통(513)이 삽입되는 삽입공(525)이 형성된 상측받침부(524)와; 상기 상측받침부(524)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지중배관(100)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5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516, 526)에는 상기 지중배관(100)의 내벽면에 매설되어 돌출된 앵커볼트(110)가 관통되는 앵커볼트관통공(516a, 526a)을 형성하여 앵커볼트(110)를 앵커볼트관통공(516a, 526a)에 관통시키고, 앵커볼트(110)에 앵커너트(12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부재(520)를 지중배관(10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110)의 돌출단부와 앵커너트(120)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캡(130)을 씌워 앵커볼트(110)와 앵커너트(120)로 인한 단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연캡(130)은 절연고무로 제작하여 앵커볼트(110)의 돌출단부와 앵커너트(120)에 씌우거나, 앵커볼트(110)의 돌출단부와 앵커너트(120)에 열가소성 절연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인입전선삽입원통(512)의 외주면에는 조임밴드(518)를 조여서 인입전선삽입원통(512)의 내주면이 인입전선(200)의 절연피복(220) 상단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출전선삽입원통(522)의 외주면에는 조임밴드(518)를 조여서 인출전선삽입원통(522)이 인출전선(300)의 절연피복(320) 하단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밴드(518, 528)는 통상적인 케이블 타이 등과 같은 조임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인입전선삽입원통(512)과 인출전선삽입원통(522)을 각각 인입전선(200)의 절연피복(220)과 인출전선(300)의 절연피복(320)에 조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밴드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출전선보호캡부(521)의 하반부보호원통(523) 하단에는 상기 인입전선보호캡부(511)의 하반부보호원통(513)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확장부(523a)를 형성하여 하반부보호원통(513)의 상단부가 상측받침부(524)의 삽입공(525)과 확장부(523a)에 삽입되어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부재(520)의 결합력이 증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수방지부재(530)는 상기 인출전선보호부재(5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중배관(100)의 상단이끼워지는 지중배관삽입홈(531a)이 하면에 구비된 지중배관결합부(531)와, 상기 지중배관결합부(531)의 상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상기 배전함(C)의 하면과 지면(E) 사이에 삽입되는 배전함받침부(532) 및, 상기 지중배관결합부(531)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배전함(C)의 바닥에 형성된 결합공(H)의 내주연부가 삽입되는 배전함삽입홈(533a)이 외주면에 구비된 배전함결합부(5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부재(520) 및 침수방지부재(530)는 절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침수방지부재(530)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중배관결합부(531)는 지면(E)과 지중배관(100) 사이를 통한 지중배관(100)에 대한 침수를 방지하며, 상기 배전함받침부(532)와 배전함결합부(533)는 지면(E)과 배전함(C) 사이를 통한 배전함(C)와 지중배관(100)에 대한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전함받침부(532)는 배전함(C)과 지면(E) 사이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도 2에서 540은 상기 배전함(C)의 바닥 상면과 배전반(B)의 하면 사이에 삽입되는 받침패드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인입전선(200)의 절연피복(220) 상단부가 지중배관(100)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인입전선보호부재(510)의 인입전선삽입원통(512)에 삽입되어 조임밴드(518)에 의해 조여져 고정되고, 인출전선(300)의 절연피복(320) 하단부가 지중배관(100)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인출전선보호부재(520)의 인출전선삽입원통(522)에 삽입되어 조임밴드(528)에 의해 조여져 고정되며,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과 인출전선(300)의 노출된 도체심선(320)이 커넥터(400)를 구성하는 연결봉(410)과 연결볼트(420) 및 연결너트(430)에 의하여 연결된상태이므로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이 각각 인입전선보호부재(510) 및 인출전선보호부재(520)에 지지됨과 아울러 인입전선(200)의 도체심선(210)과 인출전선(300)의 도체심선(310)이 커넥터(400)의 연결봉(410)과 연결볼트(420) 및 연결너트(430)에 의하여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1, 도 2 및 도 4 참조).
이때,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은 절연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부재(520)의 재질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어느 정도의 진동에 대해서는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지중배관(100)의 내부에 인입전선보호캡부(511)와 하측받침부(514)와 고정부(516)로 구성된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캡부(521)와 상측받침부(524)와 고정부(526)로 구성된 인출전선보호부재(520)가 설치되며,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과 인출전선(300)의 노출된 도체심선(310) 및 연결봉(410)과 연결볼트(420) 및 연결너트(430)가 모두 절연고무 재질의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부재(5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부재(520)를 지중배관(100)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110)와 앵커너트(120)가 절연캡(130)에 의하여 씌워져 있으므로 단락의 요인이 되는 요소가 배제되어 단락과 누전 이로인한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진 등의 진동에 의하여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이 커넥터(400)의 연결봉(410)으로 부터 탈락하게 되면, 인입전선(200)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인입전선보호부재(510)의 하측받침부(514)와 인입전선보호캡부(511)가 평상시보다 약간 밑으로 처진 상태로 되기는 하지만 인입전선(200)의 절연피복(220)의 상단부가 인입전선보호부재(510)의 인입전선삽입원통(512)에 삽입되고 조임밴드(518)에 의해 조여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입전선(200)이 크게 하강하지 않게 되고, 인입전선보호부재(510)의 하측받침부(514)와 인입전선보호캡부(511)가 평상시보다 약간 밑으로 처진 상태로 인입전선(200)을 지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양측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이 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인입전선보호캡부(511)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이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되어 인입전선(200)의 단락에 의한 누전 및 화재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지진 등의 진동에 의하여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이 커넥터(400)의 연결봉(410)에 대한 연결 상태로 유지되고, 인출전선(300)의 노출된 도체심선(310)으로부터 커넥터(400)의 연결봉(410)이 탈락하게 되면, 인입전선(200)과 커넥터(400)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인입전선보호부재(510)의 하측받침부(514)와인입전선보호캡부(511)가 평상시보다 약간 밑으로 처진 상태로 되기는 하지만 인입전선(200)의 절연피복(220)의상단부가 인입전선보호부재(510)의 인입전선삽입원통(512)에 삽입되고 조임밴드(518)에 의해 조여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입전선(200)이 크게 하강하지 않으며, 인입전선보호부재(510)에 의해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양측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이 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인입전선보호캡부(511)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됨과 아울러 양측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에 연결된 양측 커넥터(40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양측 인입전선(200)과 양측 커넥터(400)의 단락에 의한 누전 및 화재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도 6 참조).
또한, 탈락된 인입전선(200)과 커넥터(400)가 기울어지더라도 지중배관(100)의 내부에 인입전선보호캡부(511)와하측받침부(514)와 고정부(516)로 구성된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캡부(521)와 상측받침부(524)와 고정부(526)로 구성된 인출전선보호부재(520)가 설치되며, 인입전선(200)의 노출된 도체심선(210)과 인출전선(300)의 노출된 도체심선(310) 및 연결봉(410)과 연결볼트(420) 및 연결너트(430)가 모두 절연고무 재질의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부재(5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인입전선보호부재(510)와 인출전선보호부재(520)를 지중배관(100)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110)와 앵커너트(120)가 절연캡(130)에 의하여 씌워져 있으므로 단락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단락과 누전 그리고 이로 인한 감전과 화재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측받침부(514)가 과도하게 처진 상태로 도시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인출전선보호부재(5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지중배관결합부(531)의 지중배관삽입홈(531a)에 지중배관(10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지중배관결합부(531)의 상단에서 확장 형성된 배전함받침부(532)이 배전함(C)의 하면과 지면(E) 사이에 삽입되어 배전함(C)을 지지함과 아울러 지중배관결합부(531)의 상면에 돌출된 배전함결합부(533)의 배전함삽입홈(533a)에 배전함(C)의 바닥에 형성된 결합공(H)의 내주연부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배전함(C)의 하면과 지면(E) 사이를 통해 침입하는 물이 배전함결합부(533)에 의하여 1차적으로 차단되어 배전함(C)와 지중배관(100)에 침수하는 일이 없게 됨과 아울러 2차적으로 지중배관결합부(531)에 의하여 물의 침입이차단되므로 지중배관(100)에 대한 침수가 확실하게 방지되어 침수로 인한 누전 및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관리유닛에 의하여 설치상태 또는 운영상태가가 감시관리된다.
상기 관리유닛은 설정된 구간을 촬영하여 상태관리, 보안관리 및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한다.
한편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상기 회전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장착몸체(171',172')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메인진입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서브진입체(231,232,2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와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1삽입체(16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17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3삽입체(18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매설몸체(111'), 상기 제2매설몸체(112'), 상기 제3매설몸체(113') 및 상기 제4매설몸체(114')가 설치되는 하부의 하단몸체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몸쳄부상에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매설모드 상태인 상기 제1매설몸체(111') 내지 상기 제4매설몸체(114')를 각각 설정 범위로 내부로 하강시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동작모드에 의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강화모드로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는 제1-1영역부(1911',1921',1931',194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는 제2-1영역부(2111,2121,2131,2141')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는 제3-1영역부(2311,2321,2331,2341')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기 설정된 수평길이의 규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상기 수평길이의 규격 내에 설정된 범위로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 상태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3동작모드, 상기 강화모드는,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상태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수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몸체패널(411')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패널(511')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장몸체패널(512')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온도가변부(51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는 덮개패널(611')이 구비되어 하부로 상기 상판모듈(141',142')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은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되는 공간 체적을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패널(611')은 하부에 출몰가능한 다수의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구비되어 상기 관리유닛의 온도를 2차적으로 조절하도록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축회전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에는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1하부이동체(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에는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하부이동체(51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에 있이서,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및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물이 설치되는 설치현장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물의 설치과정을 관리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한다.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관(1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 설치되는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서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을 연결하는 커넥터(400)와;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 및 커넥터(400)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100) 내에 지지하며 누전을 방지하는 누전방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그 주변부에 배치되는 관리유닛에 의하여 설치상태, 운영상태 및 그 주변상황이 감시관리된다.
상기 관리유닛은, 설정된 구간을 촬영하여 상태관리, 보안관리 및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한다.
한편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상기 회전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장착몸체(171',172')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메인진입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서브진입체(231,232,2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와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1삽입체(16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17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3삽입체(18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매설몸체(111'), 상기 제2매설몸체(112'), 상기 제3매설몸체(113') 및 상기 제4매설몸체(114')가 설치되는 하부의 하단몸체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몸쳄부상에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매설모드 상태인 상기 제1매설몸체(111') 내지 상기 제4매설몸체(114')를 각각 설정 범위로 내부로 하강시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동작모드에 의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강화모드로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는 제1-1영역부(1911',1921',1931',194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는 제2-1영역부(2111,2121,2131,2141')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는 제3-1영역부(2311,2321,2331,2341')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기 설정된 수평길이의 규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상기 수평길이의 규격 내에 설정된 범위로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 상태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3동작모드, 상기 강화모드는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상태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수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몸체패널(411')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패널(511')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장몸체패널(512')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온도가변부(51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는 덮개패널(611')이 구비되어 하부로 상기 상판모듈(141',142')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은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되는 공간 체적을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패널(611')은, 하부에 출몰가능한 다수의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구비되어 상기 관리유닛의 온도를 2차적으로 조절하도록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축회전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에는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1하부이동체(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에는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하부이동체(51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0 : 인출전선 210, 310 : 도체심선
220, 320 : 절연피복 400 : 커넥터

Claims (1)

  1.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에 있이서,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및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물이 설치되는 설치현장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물의 설치과정을 관리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하되,
    지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관(1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 설치되는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과; 상기 지중배관(100) 내에서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을 연결하는 커넥터(400)와; 상기 인입전선(200)과 인출전선(300) 및 커넥터(400)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중배관(100) 내에 지지하며 누전을 방지하는 누전방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포함하되,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되,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고,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상기 회전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착몸체(171',172')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하고,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고,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되는,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KR1020210191268A 2021-12-29 2021-12-29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KR102484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68A KR102484585B1 (ko) 2021-12-29 2021-12-29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68A KR102484585B1 (ko) 2021-12-29 2021-12-29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585B1 true KR102484585B1 (ko) 2023-01-04

Family

ID=8492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268A KR102484585B1 (ko) 2021-12-29 2021-12-29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58A (ko) * 2020-11-02 2022-05-10 광주과학기술원 폐루프 배전계통의 보호장치 및 인공지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29B1 (ko) * 2008-11-04 2009-02-12 (주)미동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누전방지형 커넥터
KR101625628B1 (ko) * 2015-09-22 2016-05-30 서천전기공사(주)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2306935B1 (ko) * 2021-03-03 2021-10-01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29B1 (ko) * 2008-11-04 2009-02-12 (주)미동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누전방지형 커넥터
KR101625628B1 (ko) * 2015-09-22 2016-05-30 서천전기공사(주)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2306935B1 (ko) * 2021-03-03 2021-10-01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58A (ko) * 2020-11-02 2022-05-10 광주과학기술원 폐루프 배전계통의 보호장치 및 인공지능 장치
KR102561790B1 (ko) 2020-11-02 2023-08-01 광주과학기술원 폐루프 배전계통의 보호장치 및 인공지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9255B1 (en) Passive underground container system for electric equipment
KR10162562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0909263B1 (ko)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KR102484585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KR102221709B1 (ko) 가공 배전선로의 통합 관리 시스템
US6303857B1 (en) Mast lighting system
KR102343548B1 (ko) 공동주택 감전방지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565437B1 (ko) 특고압 송전선로 작업자 낙뢰 보호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613691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선 보호 장치 설치방법
US20220120825A1 (en) Safety Ground Wire Monitoring And Alarm Systems
KR102484584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에 지중으로 접속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CA1123502A (en) Test station apparatus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US6586671B1 (en) Above ground track signal terminal apparatus
KR102596782B1 (ko) 건축물 실내전기 수배전반의 절연과 불연 기능을 갖춘 인입선 보호커버 구조
WO2007137188A2 (en) An art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al for an encapsulated device
KR101962367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KR102385883B1 (ko)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KR10224722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2153395B1 (ko)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KR102398268B1 (ko)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이상유무 모니터링 시스템 제공방법
KR101485031B1 (ko) 지중 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2540187B1 (ko) 변압기가 구비된 지중 배전전로의 배전함 시스템 구축방법
KR102596780B1 (ko) 건축물 실내전기의 수배전반 인입선 보호커버
KR101725977B1 (ko)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