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935B1 -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935B1
KR102306935B1 KR1020210027812A KR20210027812A KR102306935B1 KR 102306935 B1 KR102306935 B1 KR 102306935B1 KR 1020210027812 A KR1020210027812 A KR 1020210027812A KR 20210027812 A KR20210027812 A KR 20210027812A KR 102306935 B1 KR102306935 B1 KR 102306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main body
support rod
distribution line
electric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Priority to KR102021002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은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으로서, 지지물(1)에 고정된 완철(2)의 장착공(2a)을 삽입관통하며 너트부(N)가 체결되는 결합부(11a), 결합부(11a)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체결부(11b)를 갖추고서, 완철(2)의 상면에 얹혀지는 합성수지재질의 안착부(11)와, 안착부(11)의 상면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지지하는 애자부(12)로 구성된 배전선고정구(10)와; 상기 지지물(1) 주변으로 임시 혹은 설정기간 동안 접근을 제한하거나 접근자의 감시를 동시에 수행하기위한 장애물구조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Electric shock accident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고압전선로(이하, '선로'라 한다.)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을 설치(시설, 구현)하는 초기단계와 유지보수 관리 등의 단계에서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사람, 장비, 동물 등 다양한 대상의 접근을 통제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예방하므로 가공선로와 선로고정구 보호해 주되, 모니터링 구조체가 진동 등으로부터 안전하도록 하는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이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공배전선과 배전선고정구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들이 지속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를 위한 시스템을 설치(시설)하는 초기 단계와 시설(설치, 구현) 이후의 사후적인 유지 관리 보수 등의 과정에서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사람 혹은 장비, 동물 등 다양한 대상의 접근을 모니터링하여 감시하면서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보다 명확하게 하여 시스템 주변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현재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9993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염물질이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공배전선과 배전선고정구를 보호하고, 이를 위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초기 단계와 이후 사후적인 유지 관리 보수 등의 과정에서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사람 혹은 장비, 동물 등 다양한 대상의 접근을 모니터링하여 감시하면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구축에 있어 주변을 보다 명확하게 하여 시스템 주변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진동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물 또는 전주(이하, '지지물'이라 한다.)(1)에 고정된 완철(2)의 장착공(2a)을 삽입관통하며 너트부(N)가 체결되는 결합부(11a), 결합부(11a)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체결부(11b)를 갖추고서, 완철(2)의 상면에 얹혀지는 합성수지재질의 안착부(11)와, 안착부(11)의 상면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지지하는 애자부(12)로 구성된 배전선고정구(10)와; 상기 지지물(1) 주변으로 임시 혹은 설정기간 동안 접근을 제한하거나 접근자의 감시를 동시에 수행하기위한 장애물구조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물구조체(100)는, 제1기본몸체(110)와, 상기 제1기본몸체(110) 상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봉(111)과, 상기 제1지지봉(11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상방구조체(112)와, 상기 제1기본몸체(110) 좌측에서 근접 또는 이격 유동되는 제2기본몸체(120)와,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봉(121)과, 상기 제2지지봉(12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제1촬영몸체(1221)와, 상기 제1촬영몸체(1221)의 일방에 구비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1촬영부(1222)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2)과, 상기 제1기본몸체(110) 우측에 근접 또는 이격 유동되는 제3기본몸체(130)와,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지지봉(131)과, 상기 제3지지봉(13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제2촬영몸체(1321)와, 상기 제2촬영몸체(1321)의 일방에 구비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촬영부(1322)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32)을 포함하며, 상기 상방구조체(112)는 일측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파지체(1121,1122)가 구비되며, 타측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2파지체(1123,1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기 제1기본몸체(110)로의 근접에 기반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2)이 상기 상방구조체(112)로 접하면, 상기 제1파지체(1121,1122)는 상기 제1촬영몸체(1221)를 사이에두고 가압파지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기 제1기본몸체(110)로의 근접에 기반하여, 상기 제2촬영모듈(132)이 상기 상방구조체(112)로 접하면, 상기 제2파지체(1123,1124)는 상기 제2촬영몸체(1321)를 사이에두고 가압파지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부에는 제2기둥형몸체(141)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상방에는 제1보조촬영체(142)가 구비되며,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부에는 제3기둥형몸체(151)가 구비되며, 상기 제3기둥형몸체(151)의 상방에는 제2보조촬영체(15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기본몸체(110), 상기 제2기본몸체(120), 상기 제3기본몸체(130)가 안착되는 최하부구동패널(161)이 구비되며, 상기 최하부구동패널(161)은, 일측외곽의 상부에 제1돌출패널(162)이 구비되며, 타측외곽의 상부에 제2돌출패널(163)이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패널(162)은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1-1관통체(1621)와,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1-2관통체(16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돌출패널(163)은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2-1관통체(1631)와,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2-2관통체(1632)가 구비되며, 사각형태인 상기 제1-1관통체(1621)와 상기 제1-2관통체(1622)는 상기 제2기본몸체(120)와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상에 각기 삽입된 상태에서 출회전을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2기본몸체(120)와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내주면에 대한 뒤틀림힘으로 고정력을 발생시키며, 사각형태인 상기 제2-1관통체(1631)와 상기 제2-2관통체(1632)는 상기 제3기본몸체(130)와 상기 제3기둥형몸체(151)상에 각기 삽입된 상태에서 출회전을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3기본몸체(130)와 상기 제3기둥형몸체(151)의 내주면에 대한 뒤틀림힘으로 고정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최하부구동패널(161)은 상기 제1돌출패널(162)과 상기 제2돌출패널(163)을 상방으로 유동시켜 상기 제1기본몸체(110) 내지 상기 제3기본몸체(130)를 리프팅시키며, 상기 상방구조체(112)는, 상부에 제1구동패널(171)과,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수평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1구동패널(17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수평고정체(172)와, 상기 제1수평고정체(172) 우측에 구비되는 제1상부촬영체(173)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수평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1구동패널(171)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수평고정체(182)와, 상기 제2수평고정체(182) 우측에 구비되는 제2상부촬영체(183)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수평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1구동패널(171)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제3수평고정체(192)와, 상기 제3수평고정체(192) 우측에 구비되는 제3상부촬영체(193)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구조체(112)는, 상기 제1구동패널(171)과 마주하는 제2구동패널(211)과,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2구동패널(211) 상에 위치되는 제1상하플레이트고정체(212)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2구동패널(211)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상하플레이트고정체(212)하부에 위치되는 제2상하플레이트고정체(213)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2구동패널(211)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2상하플레이트고정체(213)하부에 위치되는 제3상하플레이트고정체(214)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2구동패널(211)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3상하플레이트고정체(214)하부에 위치되는 제4상하플레이트고정체(215)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하플레이트고정체(212)는 상기 제1상부촬영체(173)를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며, 상기 제2상하플레이트고정체(213)는 상기 제1상부촬영체(173)를 하부에서 상부로 누르며, 상기 제3상하플레이트고정체(214)는 상기 제2상부촬영체(183)를 하부에서 상부로 누르며, 상기 제4상하플레이트고정체(215)는 상기 제3상부촬영체(193)를 하부에서 상부로 누르며, 상기 제1상부촬영체(173) 내지 상기 제3상부촬영체(193)는 상기 제1상하플레이트고정체(212) 내지 상기 제4상하플레이트고정체(215)에 의하여 가압고정 되는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물질이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공배전선과 배전선고정구를 보호하며, 이를 위한 시스템이 설치되는 초기 단계와 이후 사후적인 유지 관리 보수 등의 과정에서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사람 혹은 장비, 동물 등 다양한 대상의 접근을 모니터링하여 감시하면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구축에 있어 진동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변 감시를 보다 명확하게 하도록 하므로 시스템 주변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보다 강화된 물리적 내구성, 고정력, 내진 성능 등을 부여하여 외부의 요인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설치 운영이 가능한 모니터링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링 수단이 전주의 주변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설치와 운영을 위한 기간 동안 전주 주변으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제한수단 및 접근자 감시수단을 별도 구비 및 활용하여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추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절연장치는, 배전선고정구(10)와 절연커버(2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지물(1)의 완철(2)에 고정되는 배전선고정구(10)와 가공배전선(L)을 고무재질의 절연커버(20)가 감싸 보호하므로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고, 외력으로부터 배전선고정구(10)를 보호해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전선고정구(10)는 안착부(11)와 애자부(1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물(1)의 상부에 고정된 완철(2)에 고정되어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안착부(11)는 애자부(12) 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원판으로서, 저면 중앙에는 둘레면을 따라 나사탭이 형성된 결합부(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 내측으로 상하로 관통되며 결합부(11a)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체결부(11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a)는 완철(2)의 장착공(2a)에 삽입되어 관통되며 관통된 결합부(11a)에는 너트부(N)가 체결되어 완철(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애자부(12)는 안착부(11)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어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애자부(12)의 상부 중앙에는 가공배전선(L)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홈(도 2 및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에 안착된 가공배전선(L)은 철사(미도시) 등을 매개로 애자부(12)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커버(20)는 커버본체(21)와 확장부(2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공배전선(L)과 배전선고정부(10)를 감싸 외력으로부터의 보호 및 감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연커버(20)는 가공배전선(L)과 배전선고정부(10)에 설치시 쉽게 벌어졌다가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는 탄성을 갖춘 고무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본체(21)는 가공배전선(L) 및 애자부(12)를 감쌀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상기 커버본체(21)의 외면에는 절개부(21a)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절개부(21a)의 말단에는 가공배전선억류부(21b)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21a)는 가공배전선(L)의 삽입시 벌어지면서 안내하는 기능을 하고, 가공배전선억류부(21b)는 절개부(21a)를 따라 이동된 가공배전선(L)의 둘레를 감싸 억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확장부(22)는 안착부(11)와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외부로 돌출된 테로서, 커버본체(21)와 일체를 이루며 체결부(11b)에 대응되는 구멍(22a)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커버본체(21)는 확장부(22)를 매개로 안착부(11)에 얹혀져 구멍(22a)을 관통해 체결부(11b)에 결합되는 체결수단(B)을 매개로 안착부(1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절연커버(20)를 고무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변형과 복원이 자유로우며, 이에 따라 배전선고정구(10)에 가공배전선(L)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주기만 하면 쉽고 간편하게 절연커버(20)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공배전선(L)과 배전선고정구(10)가 절연커버(20)에 의해 감싸져 밀폐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이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력으로부터 가공배전선(L)과 배전선고정구(10)를 보호해 줄 수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로 절연커버(20)와 접촉하더라도 고무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물(1)에 고정된 완철(2)의 장착공(2a)에 배전선고정구(10)의 결합부(11a)을 삽입시켜 안착부(11)가 완철(2)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배전선고정구(10)가 완철(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관통된 결합부(11a)에 너트부(N)를 체결한다. 그 다음 안착부(11)에 설치된 애자부(12)의 상면 홈에 가공배전선(L)을 안착시켜 주고, 철사 등을 이용하여 애자부(12)와 가공배전선(L)을 상호 결속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배전선고정구(10)에 가공배전선(L)을 고정한 이후에는 절연커버(20)를 씌어준 다음 체결수단(B)을 이용하여 배전선고정구(10)에 절연커버(20)를 고정시켜 주면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21) 및 확장부(22)를 가공배전선(L)에 배치한 상태에서 커버본체(21)를 하방향으로 힘을 가해주게 되면, 내측으로 인입되려는 가공배전선(L)에 의해 절개부(21a)가 좌우로 벌어지면서 가공배전선(L)은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가공배전선억류부(21b)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후 가공배전선(L)은 가공배전선억류부(21b)에 삽입되어 둘레가 밀착된 상태로 억류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커버(2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체결수단(B)을 확장부(22)의 구멍(22a)을 관통시켜 안착부(11)의 체결부(11b)에 결합시켜 주면 되며, 이에 의해 배전선고정구(10)와 절연커버(20)는 상호 결합된다.
한편, 가공배전선(L) 또는 배전선고정구(1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해체시켜 주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공배전선(L)과 배전선고정구(10)가 절연커버(20)에 의해 감싸져 밀폐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이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력으로부터 가공배전선(L)과 배전선고정구(10)를 보호해 줄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로 절연커버(20)와 접촉하더라도 고무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절연커버(20)를 고무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변형과 복원이 자유로우며, 이에 따라 배전선고정구(10)에 가공배전선(L)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주거나 또는 하부에 상부로 이탈시켜 주기만 하면 쉽고 간편하게 절연커버(20)를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추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은, 지지물(1)에 고정된 완철(2)의 장착공(2a)을 삽입관통하며 너트부(N)가 체결되는 결합부(11a), 결합부(11a)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체결부(11b)를 갖추고서, 완철(2)의 상면에 얹혀지는 합성수지재질의 안착부(11)와, 안착부(11)의 상면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지지하는 애자부(12)로 구성된 배전선고정구(10)와; 상기 지지물(1) 주변으로 임시 혹은 설정기간 동안 접근을 제한하거나 접근자의 감시를 동시에 수행하기위한 장애물구조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애물구조체(100)는, 제1기본몸체(110)와, 상기 제1기본몸체(110) 상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봉(111)과, 상기 제1지지봉(11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상방구조체(112)와, 상기 제1기본몸체(110) 좌측에서 제1연결수단(M1)을 통해근접 또는 이격 유동되는 제2기본몸체(120)와,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봉(121)과, 상기 제2지지봉(12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제1촬영몸체(1221)와, 상기 제1촬영몸체(1221)의 일방에 구비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1촬영부(1222)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2)과, 상기 제1기본몸체(110) 우측에서 제2연결수단(M2)을 통해 근접 또는 이격 유동되는 제3기본몸체(130)와,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지지봉(131)과, 상기 제3지지봉(13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제2촬영몸체(1321)와, 상기 제2촬영몸체(1321)의 일방에 구비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촬영부(1322)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방구조체(112)는 일측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파지체(1121,1122)가 구비되며, 타측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2파지체(1123,1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기 제1기본몸체(110)로의 근접에 기반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2)이 상기 상방구조체(112)로 접하면, 상기 제1파지체(1121,1122)는 상기 제1촬영몸체(1221)를 사이에두고 가압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봉(121)은 제1완충바(L1))가 구비되어 상기 상방구조체(112)와의 접근에 및 접촉에 대응하여 완충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완충바(L1)는 상기 제2지지봉(121) 내부로 부터 탄성복원력을 기반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지지봉(131)은 제2완충바(L2)가 구비되어 상기 상방구조체(112)와의 접근 및 접촉에 대응하여 완충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완충바(L2)는 상기 제3지지봉(131) 내부로 부터 탄성복원력을 기반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기 제1기본몸체(110)로의 근접에 기반하여, 상기 제2촬영모듈(132)이 상기 상방구조체(112)로 접하면, 상기 제2파지체(1123,1124)는 상기 제2촬영몸체(1321)를 사이에두고 가압파지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부에는 제2기둥형몸체(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상방에는 제1보조촬영체(142)가 구비되며,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부에는 제3기둥형몸체(151)가 구비되며, 상기 제3기둥형몸체(151)의 상방에는 제2보조촬영체(15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기본몸체(110), 상기 제2기본몸체(120), 상기 제3기본몸체(130)가 안착되는 최하부구동패널(161)이 구비될 수 있다.
최하부구동패널(161)은 지지물(1) 주변에 설치된 울타리 상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가 설치되거나 또는 지지물(1)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설정된 반경의 주변에 균일한 간격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가 설치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전용 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물(1)의 주변에 균일한 간격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가 설치되되 모두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견고하게 잘 고정설치되므로 장애물구조체(100)가 설치 또는 구현되며, 설치된 장애물구조체(100)는 진동을 방지하는 상태로 구비된 해당 카메라를 보호하므로 수명을 연장하면서 명확하게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최하부구동패널(161)은, 일측외곽의 상부에 제1돌출패널(162)이 구비되며, 타측외곽의 상부에 제2돌출패널(163)이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패널(162)은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1-1관통체(1621)와,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1-2관통체(16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돌출패널(163)은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2-1관통체(1631)와,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2-2관통체(1632)가 구비될 수 있다.
사각형태인 상기 제1-1관통체(1621)와 상기 제1-2관통체(1622)는 상기 제2기본몸체(120)와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상에 각기 삽입된 상태에서 출회전을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2기본몸체(120)와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내주면에 대한 뒤틀림힘으로 고정력을 발생시키며, 사각형태인 상기 제2-1관통체(1631)와 상기 제2-2관통체(1632)는 상기 제3기본몸체(130)와 상기 제3기둥형몸체(151)상에 각기 삽입된 상태에서 출회전을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3기본몸체(130)와 상기 제3기둥형몸체(151)의 내주면에 대한 뒤틀림힘으로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하부구동패널(161)은 상기 제1돌출패널(162)과 상기 제2돌출패널(163)을 상방으로 유동시켜 상기 제1기본몸체(110) 내지 상기 제3기본몸체(130)를 리프팅시킬 수 있다. 상기 상방구조체(112)는, 상부에 제1구동패널(171)과,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수평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1구동패널(17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수평고정체(172)와, 상기 제1수평고정체(172) 우측에 구비되는 제1상부촬영체(173)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수평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1구동패널(171)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수평고정체(182)와, 상기 제2수평고정체(182) 우측에 구비되는 제2상부촬영체(183)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수평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1구동패널(171)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제3수평고정체(192)와, 상기 제3수평고정체(192) 우측에 구비되는 제3상부촬영체(1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방구조체(112)는, 상기 제1구동패널(171)과 마주하는 제2구동패널(211)과,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2구동패널(211) 상에 위치되는 제1상하플레이트고정체(212)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2구동패널(211)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상하플레이트고정체(212)하부에 위치되는 제2상하플레이트고정체(213)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2구동패널(211)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2상하플레이트고정체(213)하부에 위치되는 제3상하플레이트고정체(214)와, 상기 제1구동패널(171)상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하 상기 제2구동패널(211)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3상하플레이트고정체(214)하부에 위치되는 제4상하플레이트고정체(215)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상하플레이트고정체(212)는 상기 제1상부촬영체(173)를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며, 상기 제2상하플레이트고정체(213)는 상기 제1상부촬영체(173)를 하부에서 상부로 누르며, 상기 제3상하플레이트고정체(214)는 상기 제2상부촬영체(183)를 하부에서 상부로 누르며, 상기 제4상하플레이트고정체(215)는 상기 제3상부촬영체(193)를 하부에서 상부로 누르며, 상기 제1상부촬영체(173) 내지 상기 제3상부촬영체(193)는 상기 제1상하플레이트고정체(212) 내지 상기 제4상하플레이트고정체(215)에 의하여 가압고정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시스템이 설치되는 초기 단계와 이후 사후적인 유지관리보수 등의 단계에서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장비, 동물, 사람 등 다양한 대상의 접근을 모니터링하여 감시하면서 해당 보조설비 또는 관리원을 이용하여 통제하도록 하고, 진동과 충격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주변을 보다 명확하게 모니터링 하므로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지지물 2: 완철
2a: 장착공 10: 배전선고정구
11: 안착부 11a: 결합부
11b: 체결부 12: 애자부

Claims (1)

  1.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으로서,
    지지물(1)에 고정된 완철(2)의 장착공(2a)을 삽입관통하며 너트부(N)가 체결되는 결합부(11a), 결합부(11a)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체결부(11b)를 갖추고서, 완철(2)의 상면에 얹혀지는 합성수지재질의 안착부(11)와,
    안착부(11)의 상면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지지하는 애자부(12)로 구성된 배전선고정구(10)와;
    상기 지지물(1) 주변으로 임시 혹은 설정기간 동안 접근을 제한하거나 접근자의 감시를 동시에 수행하기위한 장애물구조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물구조체(100)는,
    제1기본몸체(110)와,
    상기 제1기본몸체(110) 상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봉(111)과,
    상기 제1지지봉(11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상방구조체(112)와,
    상기 제1기본몸체(110) 좌측에서 제1연결수단(M1)을 통해근접 또는 이격 유동되는 제2기본몸체(120)와,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봉(121)과,
    상기 제2지지봉(12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제1촬영몸체(1221)와, 상기 제1촬영몸체(1221)의 일방에 구비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1촬영부(1222)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2)과,
    상기 제1기본몸체(110) 우측에서 제2연결수단(M2)을 통해 근접 또는 이격 유동되는 제3기본몸체(130)와,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지지봉(131)과,
    상기 제3지지봉(131)을 통해 상부로 위치되는 제2촬영몸체(1321)와, 상기 제2촬영몸체(1321)의 일방에 구비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촬영부(1322)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32)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구조체(112)는,
    일측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파지체(1121,1122)가 구비되며, 타측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2파지체(1123,1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기 제1기본몸체(110)로의 근접에 기반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2)이 상기 상방구조체(112)로 접하면, 상기 제1파지체(1121,1122)는 상기 제1촬영몸체(1221)를 사이에두고 가압파지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2지지봉(121)은,
    제1완충바(L1))가 구비되어 상기 상방구조체(112)와의 접근에 및 접촉에 대응하여 완충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완충바(L1)는 상기 제2지지봉(121) 내부로 부터 탄성복원력을 기반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지지봉(131)은,
    제2완충바(L2)가 구비되어 상기 상방구조체(112)와의 접근 및 접촉에 대응하여 완충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완충바(L2)는 상기 제3지지봉(131) 내부로 부터 탄성복원력을 기반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기 제1기본몸체(110)로의 근접에 기반하여, 상기 제2촬영모듈(132)이 상기 상방구조체(112)로 접하면, 상기 제2파지체(1123,1124)는 상기 제2촬영몸체(1321)를 사이에두고 가압파지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2기본몸체(120)의 상부에는 제2기둥형몸체(141)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둥형몸체(141)의 상방에는 제1보조촬영체(142)가 구비되며, 상기 제3기본몸체(130)의 상부에는 제3기둥형몸체(151)가 구비되며, 상기 제3기둥형몸체(151)의 상방에는 제2보조촬영체(15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기본몸체(110), 상기 제2기본몸체(120), 상기 제3기본몸체(130)가 안착되는 최하부구동패널(161)이 구비되는, 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20210027812A 2021-03-03 2021-03-03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230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12A KR102306935B1 (ko) 2021-03-03 2021-03-03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12A KR102306935B1 (ko) 2021-03-03 2021-03-03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935B1 true KR102306935B1 (ko) 2021-10-01

Family

ID=7811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812A KR102306935B1 (ko) 2021-03-03 2021-03-03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93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759B1 (ko) * 2021-10-14 2022-04-04 (주)대광기술단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안정화가 향상된 연결기구 시스템 설치방법
KR102385675B1 (ko) * 2021-11-09 2022-04-14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양방향 통신데이터 전용케이블을 이용한 유무선 스위칭 장치 제공방법
KR102385883B1 (ko) * 2021-12-30 2022-04-14 은세기술 주식회사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KR102415451B1 (ko) * 2022-02-23 2022-07-05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439416B1 (ko) * 2021-10-06 2022-09-05 일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진동저감이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변압기가 구비된 전기배선실 제공방법
KR102466738B1 (ko) * 2022-02-08 2022-11-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
KR102475111B1 (ko) * 2021-10-06 2022-12-07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철골구조물 연결장치 시공방법
KR102484585B1 (ko) * 2021-12-29 2023-01-04 은세기술 주식회사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KR102574861B1 (ko) * 2022-08-31 2023-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안전시스템 구축방법
KR102617615B1 (ko) * 2023-07-03 2023-12-27 주식회사 공간이엔지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용 케이블 배관 트레이관리 시스템
KR102673601B1 (ko) 2023-07-14 2024-06-11 (주)한빛기술단 전기철도 케이블 전기공동구조물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76B1 (ko) * 2014-06-13 2014-10-08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KR101599939B1 (ko) 2015-10-28 2016-03-04 주식회사 신광기술사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20170004530A (ko) *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및 경고방법과 원격 감시 및 경고장치
KR102221709B1 (ko) * 2020-12-16 2021-03-02 (주)대광 가공 배전선로의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76B1 (ko) * 2014-06-13 2014-10-08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KR20170004530A (ko) *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및 경고방법과 원격 감시 및 경고장치
KR101599939B1 (ko) 2015-10-28 2016-03-04 주식회사 신광기술사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2221709B1 (ko) * 2020-12-16 2021-03-02 (주)대광 가공 배전선로의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16B1 (ko) * 2021-10-06 2022-09-05 일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진동저감이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변압기가 구비된 전기배선실 제공방법
KR102475111B1 (ko) * 2021-10-06 2022-12-07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철골구조물 연결장치 시공방법
KR102381759B1 (ko) * 2021-10-14 2022-04-04 (주)대광기술단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안정화가 향상된 연결기구 시스템 설치방법
KR102385675B1 (ko) * 2021-11-09 2022-04-14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양방향 통신데이터 전용케이블을 이용한 유무선 스위칭 장치 제공방법
KR102484585B1 (ko) * 2021-12-29 2023-01-04 은세기술 주식회사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KR102385883B1 (ko) * 2021-12-30 2022-04-14 은세기술 주식회사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KR102466738B1 (ko) * 2022-02-08 2022-11-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
KR102415451B1 (ko) * 2022-02-23 2022-07-05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574861B1 (ko) * 2022-08-31 2023-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안전시스템 구축방법
KR102617615B1 (ko) * 2023-07-03 2023-12-27 주식회사 공간이엔지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용 케이블 배관 트레이관리 시스템
KR102673601B1 (ko) 2023-07-14 2024-06-11 (주)한빛기술단 전기철도 케이블 전기공동구조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935B1 (ko)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1879159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KR101661138B1 (ko)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101724102B1 (ko) 지진력을 감쇠하고 수직변위를 제어하는 내진 배전반
KR102064501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20190009393A (ko) 판스프링과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664679B1 (ko) 방진장치
KR101860922B1 (ko) 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597706B1 (ko) 내진기능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수배전반
KR101943371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10176524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함
KR20180128710A (ko) 내진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케이스
KR101806528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구조
KR101963588B1 (ko) 방진용 연결장치
US10066412B2 (en) Equipment protection system and protection device thereof
KR102023846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KR10144817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KR100991972B1 (ko) 수배전반용 방진구
KR10177385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2141230B1 (ko) 이중 슬립마찰면을 이용하여 지진충격을 감쇄시키는 면진 장치
KR101930739B1 (ko) 배전반
KR101752828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기케이블 트레이 고정대
KR102459178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KR101838735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형 내진 수배전반
KR102153229B1 (ko) 볼트 체결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방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