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042B1 -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042B1
KR101915042B1 KR1020180037737A KR20180037737A KR101915042B1 KR 101915042 B1 KR101915042 B1 KR 101915042B1 KR 1020180037737 A KR1020180037737 A KR 1020180037737A KR 20180037737 A KR20180037737 A KR 20180037737A KR 101915042 B1 KR101915042 B1 KR 101915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able
elastic member
ascend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
Priority to KR102018003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16F15/1232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2346Set of springs, e.g. springs withi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에 따르면, 전신주의 상부에 간단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하고 케이블의 가설 경로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여 회전체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갑작스런 외부충격이 발생할 시에도 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송배전 케이블을 견고하게 지지하되 갑작스런 선로 변경이 불가피할 경우 회전을 통해 유연하게 대응함과 더불어 회전 시에도 이탈되지 않으면서 충격완화가 가능하여, 갑작스런 외부 충격이 케이블로 전달되어 발생될 수 있는 단락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an Impact for Cable of Electric Power Distribution Pole}
본 발명은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의 상부에 끼워 고정되면서, 원활한 회전과 상하부로 유동되고, 탄성부재를 통해 충격을 완화시켜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과 충격완화가 가능한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를 통해 공급하고, 각 전주에서의 전선 케이블의 연결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전주에서의 전선 케이블 연결을 위한 점퍼선을 전주 상단에 마련된 완금의 상부로 상향 시공하여 사용하였다.
즉, 전주에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 케이블을 전주 상단 양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완금의 양측에서 애자를 통해 결합하고, 각 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점퍼선은 완금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용 애자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향 시공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케이블의 단락 및 기타 외부요인 등으로 인해 갑작스런 선로 변경이 불가피할 경우 그에 따른 마땅한 장치들이 없다 보니 경제적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 별도의 장치들을 구성하여 설치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원통의 형상을 하고 중앙부에 상하부로 관통되며, 내부에 상측에 하측으로 내삽되는 원형의 형태로 끼움홀이 구성되고, 하측에 상기 끼움홀과 연결되는 다수의 배출홈이 구성되는 끼움부; 상부 일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되는 다수의 제1슬라이드홀이 구성되고, 하부에 상기 끼움홀에 끼움되는 끼움돌출부가 구성되는 회전부; 상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되는 제2슬라이드홀과, 측면에 내삽되는 결합홈과,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홀에 끼움 되는 결합돌출부와, 상부로 연장되며 반 원호형태의 제1조임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제1조임부의 타측에 반원호 형태로 구성되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홀에 끼움되고, 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꺾임되며 일측에 볼트가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제2조임부가 구성되는 케이블고정부로 구성되는 회전과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끼움부의 중앙부가 상하부로 완전히 관통되어 전신주의 상부에 끼워지되 오랜 사용 시에는 하부로 서서히 밀려 내려오는 문제점으로 인해 케이블의 처짐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고, 회전부가 단순히 끼움부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부 충격이 발생할 시에는 자칫 끼움부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신주의 상부에 간단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하고 케이블의 가설 경로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여 회전체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갑작스런 외부충격이 발생할 시에도 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송배전 케이블을 견고하게 지지하되 갑작스런 선로 변경이 불가피할 경우 회전을 통해 유연하게 대응함과 더불어 회전 시에도 이탈되지 않으면서 충격완화가 가능하여, 갑작스런 외부 충격이 케이블로 전달되어 발생될 수 있는 단락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전신주의 상부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에 회전홈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회전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부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안착홈과, 외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내측에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승하강부; 및 상기 승하강부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 사이에 삽입되어 승하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원통 형상의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 상기 지지기둥의 상면과 승하강부의 하면 사이 및 지지기둥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각각 삽입된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내측스프링; 상기 지지기둥과 내측스프링을 감싸면서, 상기 베어링의 상면과 승하강부의 하면 사이 및 베어링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각각 삽입된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외측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부의 상부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것으로, 안착되는 케이블의 외주를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게 반원호형상의 안착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외주에는 회전테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테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외주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상기 회전테에 끼움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에 따르면, 전신주의 상부에 간단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하고 케이블의 가설 경로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여 회전체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갑작스런 외부충격이 발생할 시에도 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송배전 케이블을 견고하게 지지하되 갑작스런 선로 변경이 불가피할 경우 회전을 통해 유연하게 대응함과 더불어 회전 시에도 이탈되지 않으면서 충격완화가 가능하여, 갑작스런 외부 충격이 케이블로 전달되어 발생될 수 있는 단락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를 이루는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0), 회전체(20), 승하강부(40) 및 탄성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전신주의 상부에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끼움홈(11)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일정 깊이의 회전홈(13)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체(20)의 하부 일부가 끼워져 상기 회전홈(1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0)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회전테(15)가 형성되고, 후술할 회전체(20)의 돌출테(23)가 회전테(15)에 끼워져 상기 회전체(20)가 기타 외부 요인으로 충격이 발생할 시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끼워지는 구조가 아닌 완전한 맞물리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회전체(20)는 상기 고정부(10)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회전홈(13)에 끼워져 회전 시 그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21)가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부에 하부로 오목하게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안착홈(25)과, 외주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드홈(27)이 방사상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의 내주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테(15)에 끼워지는 돌출테(23)가 구성되어, 갑작스런 외부 충격이 발생할 시 고정부(10)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며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회전테(15)의 외주면에 회전베어링(90)을 구비하여, 돌출테(23)가 회전베어링(9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회전체(20)가 고정부(10)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며 더욱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베어링(90)의 내륜은 회전테(15)에 고정 부착되고, 회전베어링(90)의 외륜은 돌출탭(23)에 고정 부착된 상태가 된다.
종래에는 전신주에 끼워져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더라도, 별도의 고정수단 또는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지 않고 단순히 케이블(c)의 무게 하중으로 하부로 눌림되는 힘으로 끼움된 부분이 고정되는 구조였으므로, 외부 충격 등이 발생할 경우 끼워진 부분이 쉽게 이탈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는 부분이 빠지는 등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정부(10)와 회전체(20)의 구조는, 회전체(20)가 고정부(10)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회전테(15)에 돌출테(23)가 끼워져 이탈되지 않고 맞물려 있는 구조를 통해 외부 충격이 발생 한다 하더라도 이탈되지 않는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종래의 이탈되는 문제점을 완벽하게 극복하여 케이블(c)의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홈(27)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하강부(40)가 상하부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서도 상기 승하강부(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홈(27)은 적어도 원주 방향으로 두 개 이상 등 간격으로 구성되어 후술할 승하강부(40)가 안정적으로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드홈(27)이 원주방향으로 4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회전체(2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상하승강부(40)는 상기 회전체(20)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내주면에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홈(27)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1)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에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c)이 안착되는 안착부(43)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41)가 슬라이드홈(27)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27) 상에서 상하부로 유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20)의 탄성부재안착홈(25)에는 탄성부재(100)가 삽입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탄성부재안착홈(25)의 바닥과 맞닿아지고, 타측은 상기 상하승강부(40)의 하측과 맞닿아지는 것으로, 상하 양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밀림하는 성질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c)을 안착부(43)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외부 충격이 발생할 시에 케이블(c)의 견고한 지지와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100)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상하승강부(40)가 상하부로 유동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하강부(40)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25)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어 승하강부(4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원통 형상의 지지기둥(110), 상기 지지기둥(110)의 외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150), 상기 지지기둥(110)의 상면과 승하강부(40)의 하면 사이 및 지지기둥(110)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25)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각각 삽입된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내측스프링(310), 상기 지지기둥(110)과 내측스프링(310)을 감싸면서, 상기 베어링(150)의 상면과 승하강부(40)의 하면 사이 및 베어링(150)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25)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각각 삽입된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외측스프링(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기둥(1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1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베어링(150)은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된 원통 형상의 외륜(153)과,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된 원통 형상의 내륜(151)과, 외륜(153)과 내륜(151)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된 구 형상의 회전볼(155)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내륜(151)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가이드탭(157)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기둥(110) 상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하부로 오목하게 내측 스프링홈(113)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110)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상부로 오목하게 내측 스프링홈(113)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부(40)의 하면에 내측 스프링홈(113)에 대응되는 원형의 내측홈(831)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탄성부재안착홈(25)의 바닥면에 내측 스프링홈(113)에 대응되는 원형의 내측홈(811)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150)의 외륜(153) 상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하부로 오목하게 외측 스프링홈(159)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150)의 외륜(153)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상부로 오목하게 외측 스프링홈(159)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부(40)의 하면에 외측 스프링홈(159)에 대응되는 원형의 외측홈(835)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탄성부재안착홈(25)의 바닥면에 외측 스프링홈(159)에 대응되는 원형의 외측홈(815)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프링홈(113)과 내측홈(831, 811)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압축 상태로 내측 스프링(31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측 스프링홈(159)과 외측홈(815, 835)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압축 상태로 외측 스프링(350)이 각각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가 구성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충격이 발생할 시에 탄성부재(100)에 의해 상하부로 유동하면서 자체적으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가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c)의 매설 경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신주(1)의 상부에 간단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시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각각의 구성들이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탄성부재(100)를 통해 충격완화를 시켜 장치의 파손 방지를 하고, 회전체가 끼움구조가 아닌 맞물려 빠지지 않는 구조를 통한 고정력을 개선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에 따르면, 전신주의 상부에 간단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하고 케이블의 가설 경로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여 회전체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갑작스런 외부충격이 발생할 시에도 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송배전 케이블을 견고하게 지지하되 갑작스런 선로 변경이 불가피할 경우 회전을 통해 유연하게 대응함과 더불어 회전 시에도 이탈되지 않으면서 충격완화가 가능하여, 갑작스런 외부 충격이 케이블로 전달되어 발생될 수 있는 단락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전신주 10 : 고정부
11 : 끼움홈 13 : 회전홈
15 : 회전테 20 : 회전체
21 : 돌출부 23 : 돌출테
25 : 탄성부재안착홈 27 : 슬라이드홈
40 : 승하강부 41 : 끼움돌기
43 : 안착부 100 : 탄성부재
c : 케이블

Claims (3)

  1.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전신주의 상부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에 회전홈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회전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부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안착홈과, 외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내측에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승하강부; 및 상기 승하강부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 사이에 삽입되어 승하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원통 형상의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 상기 지지기둥의 상면과 승하강부의 하면 사이 및 지지기둥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각각 삽입된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내측스프링; 상기 지지기둥과 내측스프링을 감싸면서, 상기 베어링의 상면과 승하강부의 하면 사이 및 베어링의 하면과 탄성부재안착홈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각각 삽입된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외측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베어링은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된 원통 형상의 외륜과,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된 원통 형상의 내륜과, 외륜과 내륜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된 구 형상의 회전볼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내륜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가이드탭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 상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하부로 오목하게 내측 스프링홈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상부로 오목하게 내측 스프링홈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부의 하면에 내측 스프링홈에 대응되는 원형의 내측홈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탄성부재안착홈의 바닥면에 내측 스프링홈에 대응되는 원형의 내측홈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 상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하부로 오목하게 외측 스프링홈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상부로 오목하게 외측 스프링홈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부의 하면에 외측 스프링홈에 대응되는 원형의 외측홈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탄성부재안착홈의 바닥면에 외측 스프링홈에 대응되는 원형의 외측홈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스프링홈과 내측홈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압축 상태로 내측 스프링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측 스프링홈과 외측홈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어 압축 상태로 외측 스프링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의 외주에는 회전테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테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외주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상기 회전테에 끼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의 상부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것으로, 안착되는 케이블의 외주를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게 반원호형상의 안착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3. 삭제
KR1020180037737A 2018-03-30 2018-03-30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KR10191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37A KR101915042B1 (ko) 2018-03-30 2018-03-30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37A KR101915042B1 (ko) 2018-03-30 2018-03-30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042B1 true KR101915042B1 (ko) 2018-11-06

Family

ID=6432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737A KR101915042B1 (ko) 2018-03-30 2018-03-30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88B1 (ko) * 2019-08-28 2019-11-07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설치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신주용 송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20200133407A (ko) * 2019-05-20 2020-11-30 주식회사 보명기술단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에 결착되는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고정부재
KR102297039B1 (ko) * 2020-11-05 2021-09-02 류근원 내진성능이 향상된 컨트롤박스
KR102462545B1 (ko) * 2021-12-28 2022-11-03 주식회사 하나이엔지 가공배전선로 방향가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41Y1 (ko) * 2001-11-21 2002-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 암의 완충장치
KR101571465B1 (ko) * 2015-04-16 2015-11-24 (주)성화이엔지 회전과 충격완화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41Y1 (ko) * 2001-11-21 2002-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 암의 완충장치
KR101571465B1 (ko) * 2015-04-16 2015-11-24 (주)성화이엔지 회전과 충격완화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407A (ko) * 2019-05-20 2020-11-30 주식회사 보명기술단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에 결착되는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고정부재
KR102221440B1 (ko) 2019-05-20 2021-03-02 주식회사 보명기술단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에 결착되는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고정부재
KR102042388B1 (ko) * 2019-08-28 2019-11-07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설치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신주용 송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2297039B1 (ko) * 2020-11-05 2021-09-02 류근원 내진성능이 향상된 컨트롤박스
KR102462545B1 (ko) * 2021-12-28 2022-11-03 주식회사 하나이엔지 가공배전선로 방향가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042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KR101571465B1 (ko) 회전과 충격완화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00871B1 (ko) 내진 서포트
KR101869712B1 (ko)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고정프레임
KR101568162B1 (ko) 수직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2185213B1 (ko) 내진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수배전반
US3730463A (en) Shock absorbing mountings for apparatus
KR101868224B1 (ko) 케이블의 흔들림에 대처할 수 있는 회전이 가능한 전신주와 전력구 겸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06528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구조
KR20190009393A (ko) 판스프링과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067803B1 (ko) 텐션조절 기능이 있는 이중스프링을 겸비한 내진 배전반의 가변식 완충베이스
KR101514371B1 (ko)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102085352B1 (ko)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KR102073864B1 (ko) 다기능 완철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1751990B1 (ko) 배전선로의 특고압 지지형 인입주장치
KR10245252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091576B1 (ko) 텐션조절 기능이 있는 이중스프링을 겸비한 내진 배전반의 완충베이스
KR10086496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KR101825716B1 (ko) 내진 서포트
EP2824786B1 (en) Vibration damper for an aerial cable or conductor
KR102079089B1 (ko) 가공송전선 진동방지형 고정장치
KR101767616B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23024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변전용 변압기 고정장치
KR10152201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KR10087912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