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616B1 -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616B1
KR101767616B1 KR1020150185959A KR20150185959A KR101767616B1 KR 101767616 B1 KR101767616 B1 KR 101767616B1 KR 1020150185959 A KR1020150185959 A KR 1020150185959A KR 20150185959 A KR20150185959 A KR 20150185959A KR 101767616 B1 KR101767616 B1 KR 10176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ngle
groove
transmiss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111A (ko
Inventor
홍성관
Original Assignee
(주) 신화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화기술단 filed Critical (주) 신화기술단
Priority to KR102015018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6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에 설치되는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선택적으로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송배전 케이블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수의 송배전 케이블이 상호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신주의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를 연결 구성하여 다수의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착된 각각의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각각의 케이블이 상호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각도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부를 구성하여 안착된 각각의 케이블을 원하는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다수의 케이블을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요인에 의해 다수의 케이블의 경로를 불가피하게 변경해야 될 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하는 것은 물론, 상기 케이블이 회전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어 일정 거리에서 상호 접촉되는 경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Description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able support device adjustable for angle and height of a telephone pole}
본 발명은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선택적으로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송배전 케이블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수의 송배전 케이블이 상호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정학적으로 우리나라는 전력계통이 고립되어 주변국과 전력 수출입이 불가능하며, 전력생산은 남부 지방에, 소비는 수도권 지역에 편중되어 장거리 수송이 필수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전국을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다중환상망형식의 신뢰도 높은 송배전계통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송배전계통은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송전하고, 변전소에서는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공장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송배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송배전 케이블은 일정한 간격으로 지상에 설치된 전신주에 설치되어 전신주의 경로를 따라 각 가정 또는 공장 등의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기존의 설치된 전신주의 외부요인에 의해 송배전 케이블의 경로를 변경시켜야 하는 경우, 전신주를 이전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전신주에 설치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361461호(특) 원통의 형상을 하고 중앙부에 상, 하부로 관통되며, 내부에 상측에 하측으로 내삽되는 원형의 형태로 끼움홀이 구성되고, 하측에 상기 끼움홀과 연결되는 다수의 배출홈이 구성되는 끼움부와, 상부 일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되는 다수의 제1슬라이드홀이 구성되고, 하부에 상기 끼움홀에 끼움되는 끼움돌출부가 구성되는 회전부와, 상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되는 제2슬라이드홀과, 측면에내삽되는 결합홈과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슬라이홀에 끼움 되는 결합돌출부와, 상부로 연장되며 반 원호형태의 제1조임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제1조임부의 타측에 반원호형태로 구성되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2슬라이홀에 끼움되고, 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꺾임되며 일측에 볼트가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제2조임부가 구성되는 케이블고정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전신주의 상부 외주에 끼움되게 설치하여 상부로 안착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선로의 경로를 변경해야 할 경우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구성되는 케이블고정부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없는 구성으로 인해 다수의 케이블을 회전시켜 경로를 변경시킬 경우, 동일 평면상의 송배전 케이블들이 상호 접촉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어려운 구성이다.
또한, 상기 끼움부에 끼움되어 회전하는 회전부가 외부요인에 의해 손쉽게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이며, 그로 인해 안전사고에 취약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고정부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다수개 구성되어 끼워지고, 동시에 상기 회전부가 회전할 경우, 동시에 다수개의 케이블고정부가 회전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전신주의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를 연결 구성하여 다수의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착된 각각의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각각의 케이블이 상호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각도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부를 구성하여 안착된 각각의 케이블을 원하는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신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신주의 상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양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에 구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에 연결 구성되는 걸림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끼움부에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되, 상부 양측에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외주에 외측에서 중앙부로 내삽되며 일정간격 상, 하부로 이격된 다수의 높이조절홈이 형성되는 고정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고정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제 1삽입홈이 형성되되,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관통되는 제 1볼트홈이 형성되며, 일측에 볼트가 구성되어 상기 제 1볼트홈을 관통하며 상기 높이조절홈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되, 외주에 외측에서 중앙부로 내삽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되는 각도조절부;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각도조절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제 2삽입홈이 형성되되,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관통되는 제 2볼트홈이 형성되며, 일측에 볼트가 구성되어 상기 제 2볼트홈을 관통하며 상기 각도조절홈에 결합되고, 상부에 케이블(c)이 안착되도록 반원호 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안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케이블을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요인에 의해 다수의 케이블의 경로를 불가피하게 변경해야 될 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하는 것은 물론, 상기 케이블이 회전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어 일정 거리에서 상호 접촉되는 경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도 4의 a와 a'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도 7의 (A ㅡ A')와 (B ㅡ B')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전신주에 설치되는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선택적으로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송배전 케이블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수의 송배전 케이블이 상호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지지부(100), 고정부(200), 높이조절부(300), 각도조절부(400), 케이블안착부(500)로 대분 구성할 수가 있는데, 상기 지지부(100)가 전신주(j)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200)가 지지부(100)에 끼워지며 상기 높이조절부(300)가 상기 고정부(200)를 감싸며 볼트(b)로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상부에 각도조절부(400)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안착부(500)가 상기 각도조절부(400)를 감싸며 볼트(b)로 결합되는 것이다.
①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는 도 1, 2, 3, 4, 5,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하기될 고정부(200)가 끼워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110)가 전신주(j)의 상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원통의 형상인 끼움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120)의 상부에는 양측이 관통된 관통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130)의 내부에는 관통된 양측으로 탄성운동이 가능토록 탄성부재(140)가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140)의 양측 끝부에는 걸림부재(150)가 연결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10)는 전신주(j)의 상부 일측에 통상의 다양한 고정방법으로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끼움부(120)는 하기될 고정부(200)의 끼움홈(210)과 끼움되도록 지지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부(120)의 직경과 상기 끼움홈(210)의 직경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150)는 상기 끼움부(120)가 상기 끼움홈(210)과 끼움될 시 상기 끼움홈(210)이 형성된 고정부(200)의 하부에 걸림되는데, 이때 상기 관통홈(130)에 구성된 탄성부재(140)의 신축성에 의해 상기 관통홈(130)의 내측으로 걸림부재(150)가 밀림 되어 상기 끼움부(120)가 걸림 없이 끼움되도록 하며, 끼움이 완료된 후, 상기 걸림부재(150)는 탄성부재(140)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하기될 걸림홈(220)에 걸림되며, 그로 인해 상기 지지부(100)와 고정부(2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150)는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고정부(200)를 지지부(100)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 하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20)는 지지대(1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부(120)가 다수개로 형성될 시, 상기 각각의 끼움부(120)에 하기될 고정부(200), 높이조절부(300), 각도조절부(400), 케이블안착부(500)가 모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다수의 케이블(c)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② 고정부(200)
상기 고정부(200)는 도 1,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구성된 지지부(100)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끼움부(120)에 끼움되는 끼움홈(210)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훔(210)의 상부 양측에 상기 걸림부재(150)가 걸림되는 걸림홈(220)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며, 외주 양측에는 외측에서 중앙부로 내삽되는 높이조절홈(230)이 형성되는데, 상기 높이조절홈(230)은 외주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가 일정간격 상,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홈(230)은 하기될 높이조절부(300)의 일측에 구성되는 볼트(b)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볼트(b)는 하기될 높이조절부(300)의 제 1볼트홈(320)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홈(230)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부(3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230)은 상기 높이조절부(300)가 고정부(200)에 결합되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6,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높낮이가 달라짐에 따라 하기될 케이블안착부(500)에 안착되는 케이블(c)의 높낮이가 달라지며, 다수의 케이블(c)이 하기될 각도조절부(400)와 케이블안착부(500)에 의해 각각의 정해진 경로로 회전되어 설치될 시, 상기 다수의 케이블(c)이 일정 거리에서 상호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의 케이블(c)의 높낮이를 높이조절부(300)로 조절하여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로 인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③ 높이조절부(300)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구성된 고정부(2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고정부(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제 1삽입홈(310)이 형성되되, 상기 제 1삽입홈(310)의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관통되는 제 1볼트홈(320)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1볼트홈(320)을 관통하며 상기 높이조절홈(230)에 결합되는 볼트(b)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삽입홈(310)은 상기 고정부(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 1삽입홈(310)의 직경과 상기 고정부(200)의 직경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볼트홈(320)은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고정부(200)에 고정시키는 볼트(b)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삽입홈(310)의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완전히 관통되도록 형성하며, 이는 상기 볼트(b)로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200)와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④ 각도조절부(400)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도 1, 2, 3,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될 케이블안착부(5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상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되, 외주에는 외측에서 중앙부로 내삽되는 각도조절홈(410)이 형성되는데, 상기 각도조절홈(410)은 외주에 다수개가 일정간격 중앙부를 중심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홈(410)은 하기될 케이블안착부(500)의 일측에 구성되는 볼트(b)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볼트(b)는 하기될 케이블안착부(500)의 제 2볼트홈(320)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홈(410)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안착부(500)가 각도조절부(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각도조절홈(410)은 상기 케이블안착부(500)가 각도조절부(400)에 결합되되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케이블(c)이 하기될 케이블안착부(500)에 안착되어 외부요인에 의해 불가피하게 선로를 변경해야 될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400)로 각각의 케이블을 원하는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⑤ 케이블안착부(500)
상기 케이블안착부(500)는 도 1, 2, 3,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4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안착부(500)는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외주를 감싸도록 제 2삽입홈(510)이 형성되되, 상기 제 2삽입홈(510)의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관통되는 제 2볼트홈(520)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2볼트홈(520)을 관통하며 상기 각도조절홈(410)에 결합되는 볼트(b)가 구성되고, 상부에 케이블(c)이 안착되도록 반원호 형상의 안착부(5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삽입홈(510)은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 2삽입홈(510)의 직경과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직경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볼트홈(520)은 상기 케이블안착부(500)를 각도조절부(400)에 고정시키는 볼트(b)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2삽입홈(510)의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완전히 관통되도록 형성하며, 이는 상기 볼트(b)로 결합되는 상기 각도조절부(400)와 상기 케이블안착부(5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케이블을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요인에 의해 다수의 케이블의 경로를 불가피하게 변경해야 될 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하는 것은 물론, 상기 케이블이 회전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어 일정 거리에서 상호 접촉되는 경우 각각의 송배전케이블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100 : 지지부 110 : 지지대 120 : 끼움부
130 : 관통홈 140 : 탄성부재 150 : 걸림부재
200 : 고정부 210 : 끼움홈 220 : 걸림홈
230 : 높이조절홈
300 : 높이조절부 310 : 제 1삽입홈 320 : 제 1볼트홈
400 : 각도조절부 410 : 각도조절홈
500 : 케이블안착부 510 : 제 2삽입홈 520 : 제 2볼트홈
530 : 안착부
b : 볼트 c : 케이블 j : 전신주

Claims (1)

  1. 일측이 전신주(j)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되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구성되는 끼움부(120)와, 상기 끼움부(120)의 양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홈(130)과, 상기 관통홈(130)에 구성되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에 연결 구성되는 걸림부재(150)로 구성되는 지지부(100);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끼움부(120)에 끼움되는 끼움홈(210)이 형성되되, 상부 양측에 상기 걸림부재(150)가 걸림되는 걸림홈(220)이 형성되며, 외주에 외측에서 중앙부로 내삽되며 일정간격 상, 하부로 이격된 다수의 높이조절홈(230)이 형성되는 고정부(200);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고정부(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제1 삽입홈(310)이 형성되되,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관통되는 제 1볼트홈(320)이 형성되며, 일측에 볼트(b)가 구성되어 상기 제 1볼트홈(320)을 관통하며 상기 높이조절홈(230)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300);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상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되, 외주에 외측에서 중앙부로 내삽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각도조절홈(410)이 형성되는 각도조절부(400);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외주를 감싸도록 제 2삽입홈(510)이 형성되되,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관통되는 제 2볼트홈(520)이 형성되며, 일측에 볼트(b)가 구성되어 상기 제 2볼트홈(520)을 관통하며 상기 각도조절홈(410)에 결합되고, 상부에 케이블(c)이 안착되도록 반원호 형상의 안착부(530)가 형성되는 케이블안착부(5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50185959A 2015-12-24 2015-12-24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76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959A KR101767616B1 (ko) 2015-12-24 2015-12-24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959A KR101767616B1 (ko) 2015-12-24 2015-12-24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111A KR20170076111A (ko) 2017-07-04
KR101767616B1 true KR101767616B1 (ko) 2017-08-14

Family

ID=5935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959A KR101767616B1 (ko) 2015-12-24 2015-12-24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527B1 (ko) 2021-03-03 2021-10-06 주식회사 태화 전신주 높낮이 위치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160541B1 (ko) * 2019-05-20 2020-09-28 (주)성화기술단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53A (ja) 1999-03-31 2000-10-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布線治具
KR101571465B1 (ko) 2015-04-16 2015-11-24 (주)성화이엔지 회전과 충격완화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53A (ja) 1999-03-31 2000-10-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布線治具
KR101571465B1 (ko) 2015-04-16 2015-11-24 (주)성화이엔지 회전과 충격완화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527B1 (ko) 2021-03-03 2021-10-06 주식회사 태화 전신주 높낮이 위치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111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616B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571465B1 (ko) 회전과 충격완화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9360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케이블 트레이 안전장치
KR100753957B1 (ko) 변전소 피뢰기 브라켓 방향조정장치
KR101868224B1 (ko) 케이블의 흔들림에 대처할 수 있는 회전이 가능한 전신주와 전력구 겸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086496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KR102333250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1915042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충격완화장치
US9175839B2 (en) Universal mounting system for a light fixture
KR101532977B1 (ko) 변전설비의 낙뢰방지장치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KR10152201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US3038046A (en) Combined cutout and lightning arrester bracket assembly
KR102042388B1 (ko) 설치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신주용 송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087912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KR101405148B1 (ko) 송전, 배전, 변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래킷 높이조절장치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0962343B1 (ko)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KR100979767B1 (ko) 배전선의 위치조정용 전선대
KR101767624B1 (ko)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JP2013126304A (ja) 避雷防止装置、及び避雷防止送電線システム
KR102063421B1 (ko)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N210007659U (zh) 一种太阳能板调节支座
KR20200033443A (ko) 태양광 모듈 거치대
KR101768033B1 (ko) 적치 및 회전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케이블 지지고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