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343B1 -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343B1
KR100962343B1 KR1020090118360A KR20090118360A KR100962343B1 KR 100962343 B1 KR100962343 B1 KR 100962343B1 KR 1020090118360 A KR1020090118360 A KR 1020090118360A KR 20090118360 A KR20090118360 A KR 20090118360A KR 100962343 B1 KR100962343 B1 KR 100962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housing
bracket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우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아전기소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아전기소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아전기소방
Priority to KR102009011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8Mounting of device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면에 경사면을 따라 돌출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반원형의 돌기(11)를 갖추고서, 전신주(1)의 상부에 삽입고정되는 원뿔형의 가이드블록(10)과; 외면에 수평하게 관통된 다수개의 체결공(21a)과, 외면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받쳐 지지하는 애자(2)가 설치고정되는 다수개의 장착공(21b)을 갖추고서,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장착대프레임(21)과, 각각의 체결공(21a)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임봉(22a)과, 돌기(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밀착홈(22b-1)이 구비되고, 내향으로 돌출된 조임봉(2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22b)를 갖추고서, 조임봉(22a)의 수평이동에 의해 가압부재(22b)가 가이드블록(10)의 돌기(11)와 연접되면서 외면을 가압고정하는 고정부(22)를 갖춘 장착대(20)와; 하부에 전신주(1)와 상호 연접되는 밴드(31a)를 갖추고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장착대프레임(21)에 고정되는 브라켓바디(31)와, 브라켓바디(31)의 외면에 형성되는 함체안착부(32)와, 함체안착부(32)의 저면에 배치되어 함체안착부(32)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33)를 갖춘 브라켓(30)과; 배전선(L)으로부터 고압전력을 입력받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를 갖추고서, 브라켓(30)의 함체안착부(32)에 설치고정되는 함체(4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브라켓의 함체안착부에 함체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위해 전신주에 올라가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을 별도로 지참하고 올라갈 필요가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전신주에 가이드블록과 장착대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배전선의 위치를 작업설정에 맞게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블록을 중심으로 장착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서, 건물이 들어선 지역에 배전선이 설치되더라도 용이하게 회피하여 설치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완금을 뜯고 재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 및 재설치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전신주. 애자, 배전선. 가이드블록. 장착대. 브라켓. 함체.

Description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Height Control And Power Supply Device Of Distrbution Line Cross Arm}
본 발명은 애자를 매개로 고정된 배전선의 높낮이를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현장여건에 맞게 필요로 하는 각으로 변환할 수 있는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전주의 상부에 밴드를 매개로 수평하게 완금이 설치되고, 완금에는 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애자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시공에 따른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주에 설치된 완금에 경우 작업자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보수 및 현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바닥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을 별도로 지참하고 올라가야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주의 상부에 완금을 설치한 이후에 필요에 따라 설치된 배전선이 연 결된 완금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전선과 애자가 설치된 완금 및 밴드의 설치상태를 전부 해제한 다음, 재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이미 설치된 전주와 완금 및 배전선 주위로 인공구조물 즉, 건물이 들어서는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전선과 애자가 설치된 완금 및 밴드의 설치상태를 전부 해제한 다음, 재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재설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발생되는 바, 높낮이를 쉽게 조절하면서 분해할 필요 없이 전주를 중심으로 각도를 변환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브라켓에 함체를 마련하여 작업자가 보수작업시 전력공급을 위해 전선을 별도로 지참할 필요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애자를 매개로 고정된 배전선의 높낮이를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현장여건에 맞게 필요로 하는 각으로 변환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불필요하게 분해할 필요 없는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면에 경사면을 따라 돌출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반원형의 돌기를 갖추고서, 전신주의 상부에 삽입고정되는 원뿔형의 가이드블록과;
외면에 수평하게 관통된 다수개의 체결공과, 외면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받쳐 지지하는 애자가 설치고정되는 다수개의 장착공을 갖추고서,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장착대프레임과, 각각의 체결공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임봉과, 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밀착홈이 구비되고, 내향으로 돌출된 조임봉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갖추고서, 조임봉의 수평이동에 의해 가압부재가 가이드블록의 돌기와 연접되면서 외면을 가압고정하는 고정부를 갖춘 장착대와;
하부에 전신주와 상호 연접되는 밴드를 갖추고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장착대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바디와, 브라켓바디의 외면에 형성되는 함체안착부와, 함체안착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함체안착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춘 브라켓과;
배전선으로부터 고압전력을 입력받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를 갖추고서, 브라켓의 함체안착부에 설치고정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브라켓의 함체안착부에 함체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위해 전신주에 올라가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을 별도로 지참하고 올라갈 필요가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전신주에 가이드블록과 장착대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배전선의 위치를 작업설정에 맞게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블록을 중심으로 장착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서, 건물이 들어선 지역에 배전선이 설치되더라도 용이하게 회피하여 설치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완금을 뜯고 재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 및 재설치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에서 일부구성을 결합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는, 전신주(1)의 상부에 삽입고정되는 가이드블록(10)과; 외면에 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받쳐 지지하는 애자(2)가 설치되고, 가압부재(22b)를 매개로 가이드블록(10)에 고정설치되는 장착대(20)와; 장착대(2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고, 설치되는 함체(40)를 받쳐 지지하는 브라켓(30)과; 브라켓(30)에 설치고정되고, 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내부로 연결되며, 배전선(L)으로부터 고압전력을 입력받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를 갖추고서, 브라켓(30)의 함체안착부(32)에 설치고정되는 함체(4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전신주(1)의 상부에 삽입고정되는 가이드블록(10)은, 전체적인 형상이 상부가 수평하게 절단된 원뿔형으로,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되, 내경이 전신주(1)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대되도록 구조를 띠며, 원뿔형의 외면에는 경사면을 따라 돌출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반원형의 돌기(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외면에 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받쳐 지지하는 애자(2)가 설치되고, 가압부재(22b)를 매개로 가이드블록(10)에 고정설치되는 장착대(20)는, 외면에 수평하게 관통된 다수개의 체결공(21a)과, 외면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받쳐 지지하는 애자(2)가 설치고정되는 다수개의 장착공(21b)을 갖추고서,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장착대프레임(21)과; 각각의 체결공(21a)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임봉(22a)과, 돌기(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밀착홈(22b-1)이 구비되고, 내향으로 돌출된 조임봉(2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22b)를 갖추고서, 조임봉(22a)의 수평이동에 의해 가압부재(22b)가 가이드블록(10)의 돌기(11)와 연접되면서 외면을 가압고정하는 고정부(22)로 구성되며, 이를 도 2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장착대프레임(21)은 정사각형상에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금속재로서, 둘레면의 중앙에는 내부와 수평하게 관통되되, 내주면에는 나사탭이 마련된 체결공(21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수직하게 관통되어 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받쳐 지지하는 애자(2)가 설치고정되는 장착공(21b)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장착대프레임(21)의 형상을 정사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원형 및 다면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양과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2)는 장착대프레임(21)의 체결공(21a)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임봉(22a)과; 조임봉(2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조임봉(22a)에 수평이동에 의해 가이드블록(10)의 외면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부재(22b)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조임봉(22a)의 외면에는 나사탭이 마련되고, 외향으로 돌출된 조임봉(22a)의 말단부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임봉(22a)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수평하게 관통된다.
상기 가압부재(22b)는 가이드블록(10)의 외면과 동일하게 선단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으로 경사지고, 경사진 면에는 가이드블록(10)의 돌기(11)와 수용하며 연접될 수 있도록 밀착홈(22b-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외면으로 장착대(20)를 배치시켜 준 상태에서 장착대프레임(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22)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준다.
한편, 전신주(1)에 가이드블록(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장착대(20)를 고정할 수 있으나, 고정부(22)를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하게 되면, 오히려 장착대(20)가 수평하게 장착되지 못하고 편심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지면에서 간접설치한 상태에서 가이드블록(10)과 장착대(20)를 한꺼번에 전신주(1)에 장착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착된 상태를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장착대(2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고, 설치되는 함체(40)를 받쳐 지지하는 브라켓(30)는, 하부에 전신주(1)와 상호 연접되는 밴드(31a)를 갖추고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장착대프레임(21)에 고정되는 브라켓바디(31)와; 브라켓바디(31)의 외면에 형성되는 함체안착부(32)와; 함체안착부(32)의 저면에 배치되어 함체안착부(32)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33)로 구성되며, 이를 도 2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브라켓바디(31)는 장착대프레임(21)의 장착공(21b)에 배치되어 체결부재(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고정설치되고, 브라켓바디(31)의 하부에 배치된 밴드(31a)는 전신주(1)의 외면과 상호 연접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바디(31)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함체안착부(32)에는 함체(40)가 배치되고, 브라켓바디(31)와 함체안착부(32) 사이에는 지지부(33)가 형성되며, 특히, 지지부(33)는 함체(40)가 설치된 함체안착부(32)가 함체(40) 및 함체(40) 내부에 설치되는 기구들로 인하여 함체안착부(32)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포트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전선(L)으로부터 고압전력을 입력받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를 갖추고서, 브라켓(30)의 함체안착부(32)에 설치고정되는 함체(40)는, 금속재질에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내부에는 변압기(미도시)와 스위치(미도시) 및 콘덴서(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되며, 전면에는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부(41)가 설치되어, 도어부(41)를 통해 작업자가 내부를 확인하거나 고장 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고압전력이 흐르는 배전선(L)으로부터 전선을 인출하여 함체(4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압기(미도시)와 연결하고, 변압기(미도시)를 통해 상용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을 함체(40)의 내부에 마련된 콘덴서(미도시)에 연결하며, 콘덴서(미도시)는 인접하게 설치된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상용전력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함체(40)의 도어부(41)에 둘레면에는 내부로 우수 및 눈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 처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브라켓(30)의 함체안착부(32)에 함체(40)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위해 전신주(1)에 올라가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을 별도로 지참하고 올라갈 필요가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작동관계도이다.
우선 전신주(1)에 가이드블록(10)을 삽입하기 전에 지면에서 가이드블록(10)과 장착대(20)를 간접설치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된 가이드블록(10)과 장착대(20)를 크레인(미도시)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1)의 상부에 가이드블록(1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 다음 브라켓바디(31)를 장착대프레임(21)의 장착공(21b)에 배치시켜 주고, 체결부재(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브라켓바디(31)를 고정설치하되, 브라켓바디(31)의 하부에 배치된 밴드(31a)는 전신주(1)의 외면과 상호 연접되도록 하여 하부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브라켓바디(31)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함체안착부(32)에 함체(40)를 설치시켜 주되, 함체(4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부(41)를 개 방한 상태에서 내부에 고압전력을 상용전력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변압기(미도시)와 스위치(미도시) 및 콘덴서(미도시) 등이 설치시켜 주고, 고압전력이 흐르는 배전선(L)으로부터 전선을 인출하여 상기 변압기(미도시)에 연결시켜 주며, 가이드블록(10)를 따라 승·하강되는 장착대(20)를 고려하여 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은 충분한 여유를 두고 함체(40)의 내부에 수용되는 변압기(미도시)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출된 전선의 외면으로 피복커버(미도시)를 씌워 다른 전선과 접촉되더라도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만약 장착된 배전선(L)의 수평상태가 올바르지 못하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블록(10)의 외면을 가압하고 있는 고정부(22)의 조임봉(22a)을 서서히 풀어 돌기(11)를 가압고정하고 있는 가압부재(22b)의 설치상태를 해제시켜 주고, 원하는 위치에 장착대프레임(21)을 배치시켜 준 상태에서 조임봉(22a)을 조여 가압부재(22b)가 가이드블록(10)을 물어 고정되도록 하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b와 같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전신주(1)에 가이드블록(10)과 장착대(20)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배전선(L)의 위치를 작업설정에 맞게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불가피하게 건물이 들어서 배전선(L)의 방향을 옮겨야 하는 경우에는,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장착대프레임(21)을 공 중에 띄운 상태에서 가이드블록(10)을 가압고정하고 있는 고정부(22)의 조임봉(22a)을 풀어 가압부재(22b)와 돌기(11) 간의 가압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전신주(1)를 중심으로 수평회전시켜 주고, 적정위치에 도달되면 고정부(22)의 조임봉(22a)을 다시 조여 가압부재(22b)가 가이드블록(10)을 물어 고정되도록 하며, 이를 도 5와 같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블록(10)을 중심으로 장착대(2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서, 건물이 들어선 지역에 배전선(L)이 설치되더라도 용이하게 회피하여 설치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완금을 뜯고 재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 및 재설치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30)의 함체안착부(32)에 함체(40)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위해 전신주(1)에 올라가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을 별도로 지참하고 올라갈 필요가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에서 일부구성을 결합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작동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작동관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신주 2: 애자 10: 가이드블록
11: 돌기 20: 장착대 21: 장착대프레임
22: 고정부 22a: 조임봉 22b: 가압부재
30: 브라켓 31: 브라켓바디 32: 함체안착부
33: 지지부 40: 함체 L: 배전선

Claims (1)

  1. 외면에 경사면을 따라 돌출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반원형의 돌기(11)를 갖추고서, 전신주(1)의 상부에 삽입고정되는 원뿔형의 가이드블록(10)과;
    외면에 수평하게 관통된 다수개의 체결공(21a)과, 외면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받쳐 지지하는 애자(2)가 설치고정되는 다수개의 장착공(21b)을 갖추고서,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장착대프레임(21)과, 각각의 체결공(21a)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임봉(22a)과, 돌기(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밀착홈(22b-1)이 구비되고, 내향으로 돌출된 조임봉(2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22b)를 갖추고서, 조임봉(22a)의 수평이동에 의해 가압부재(22b)가 가이드블록(10)의 돌기(11)와 연접되면서 외면을 가압고정하는 고정부(22)를 갖춘 장착대(20)와;
    하부에 전신주(1)와 상호 연접되는 밴드(31a)를 갖추고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장착대프레임(21)에 고정되는 브라켓바디(31)와, 브라켓바디(31)의 외면에 형성되는 함체안착부(32)와, 함체안착부(32)의 저면에 배치되어 함체안착부(32)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33)를 갖춘 브라켓(30)과;
    배전선(L)으로부터 고압전력을 입력받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를 갖추고서, 브라켓(30)의 함체안착부(32)에 설치고정되는 함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KR1020090118360A 2009-12-02 2009-12-02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KR100962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360A KR100962343B1 (ko) 2009-12-02 2009-12-02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360A KR100962343B1 (ko) 2009-12-02 2009-12-02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343B1 true KR100962343B1 (ko) 2010-06-10

Family

ID=4236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360A KR100962343B1 (ko) 2009-12-02 2009-12-02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3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15B1 (ko) 2012-06-20 2012-08-20 성다교 배전 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CN107097207A (zh) * 2017-06-16 2017-08-29 桂林电子科技大学 可越障的走钢丝机器人及其行走越障方法
KR102117193B1 (ko) * 2019-05-27 2020-05-29 최선희 회전 가능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KR102117192B1 (ko) * 2019-05-27 2020-05-29 김형배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67B1 (ko) 2008-01-14 2008-03-19 주식회사 동성기술단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835136B1 (ko) 2008-03-10 2008-06-04 주식회사 인창이엔지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898988B1 (ko) 2008-10-08 2009-05-25 (주)우전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지지형 완철
KR200446267Y1 (ko) 2009-07-29 2009-10-13 문호주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67B1 (ko) 2008-01-14 2008-03-19 주식회사 동성기술단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835136B1 (ko) 2008-03-10 2008-06-04 주식회사 인창이엔지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898988B1 (ko) 2008-10-08 2009-05-25 (주)우전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지지형 완철
KR200446267Y1 (ko) 2009-07-29 2009-10-13 문호주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15B1 (ko) 2012-06-20 2012-08-20 성다교 배전 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CN107097207A (zh) * 2017-06-16 2017-08-29 桂林电子科技大学 可越障的走钢丝机器人及其行走越障方法
CN107097207B (zh) * 2017-06-16 2023-08-29 桂林电子科技大学 可越障的走钢丝机器人及其行走越障方法
KR102117193B1 (ko) * 2019-05-27 2020-05-29 최선희 회전 가능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KR102117192B1 (ko) * 2019-05-27 2020-05-29 김형배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343B1 (ko)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KR100867214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1869712B1 (ko)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고정프레임
KR101174356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101571465B1 (ko) 회전과 충격완화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36565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애자
KR10086496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KR102333250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0979767B1 (ko) 배전선의 위치조정용 전선대
KR200442307Y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101532977B1 (ko) 변전설비의 낙뢰방지장치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US2611566A (en) Adjustable base for antenna masts
KR102584345B1 (ko)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US3038046A (en) Combined cutout and lightning arrester bracket assembly
KR101767616B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N210038204U (zh) 一种气象监测设备安装支架
KR100695784B1 (ko)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KR20150062697A (ko) 대형 계량기실 받침대
CN210039853U (zh) 一种三相有载调压变压器安装结构
CN208401261U (zh) 一种可调节角度的避雷针
CN208363777U (zh) 一种横担安装辅助装置
CN105633888A (zh) 一种输电杆塔用横担
CN218918572U (zh) 一种高压组合开关壳体
KR102268097B1 (ko) 안테나의 회전이 용이한 5g 통신용 안테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