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345B1 -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345B1
KR102584345B1 KR1020220186881A KR20220186881A KR102584345B1 KR 102584345 B1 KR102584345 B1 KR 102584345B1 KR 1020220186881 A KR1020220186881 A KR 1020220186881A KR 20220186881 A KR20220186881 A KR 20220186881A KR 102584345 B1 KR102584345 B1 KR 10258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nner
complete
complete iron
iron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진선
Original Assignee
(주)대진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이앤지 filed Critical (주)대진이앤지
Priority to KR102022018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전선로의 고압선로와 저압선로의 완철조립체를 설치하였을 때 완철조립체와 변압기를 햇빛과 눈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배전선로의 부식 및 기능 상실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완철조립체와 보호장치부를 설치장치부에 의해 원격조정으로 설치 및 철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완철조립체의 상부와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보호장치부로부터 차단하여 조류가 완철조립체 상에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Protective system for distribution line with transformer}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에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를 포함하는 완철조립체와 변압기를 햇빛과 눈비로부터 보호하여 배전선로의 부식 및 기능 상실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가 결합된 완철과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를 보호하는 보호장치의 설치 및 철거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고 원격조정에 의해 설치 및 철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배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조류가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하여 조류둥지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는 전신주에 고정되는 완철, 완철에 일단이 연결되는 애자, 애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배전선, 접속구를 통해 배전선을 연결하는 점프선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가공배전선로에서는 완철,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가 햇빛과 눈비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부식 및 기능 상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신주에 완철, 애자, 배전선, 점프선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고소의 설치위치로 올라가서 여러 가지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완철,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위에 조류가 둥지를 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합선 등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선행기술들이 다수 있으나, 전신주에 완철을 설치하는 기술이 대부분이고, 이들의 경우, 완철의 고정작업에서는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나, 그 외에 애자, 배전선, 점프선의 설치작업은 별도로 작업자가 고소작업에 의해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철,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를 하나의 완철조립체로서 한 번의 작업으로 전신주에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고, 완철조립체를 상부와 전후방 및 좌우측방에서 햇빛과 눈비로부터 보호함으로써 부식 및 기능 상실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완철조립체를 상부,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차단하여 조류가 둥지를 틀지 못하게 하여 조류로 인한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창안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1393호 "조류퇴치 기능을 갖는 배전선로 보호용 피뢰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48352호 "배전선로의 고정 브래킷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9978호 "조류둥지 방지용 완금커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48352호 "배전선로의 고정 브래킷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를 포함하는 완철조립체와 변압기를 햇빛과 눈비로부터 보호하여 배전선로의 부식 및 기능 상실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가 결합된 완철과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를 보호하는 보호장치의 설치 및 철거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고 원격조정에 의해 설치 및 철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배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류가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하여 조류둥지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신주와, 전신주에 완철볼트와 완철너트로 고정되는 완철, 완철에 일단이 고정되는 애자, 애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좌우측 배전선, 좌우측 배전선을 접속구를 통해 연결하는 점프선을 포함하는 완철조립체의 상부와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보호하는 보호캡과, 보호캡의 상단을 전신주에 고정하는 탄성클립과, 완철에 보호캡을 완철에 고정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보호장치부와; 지상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승강대와,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승강대의 상부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대와, 좌우이동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구동장치와, 좌우이동대에 설치되어 완철조립체를 지지하는 홀더와, 일측 홀더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패너이동대와, 스패너이동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패너이동장치와, 스패너이동대에 설치되어 완철볼트를 완철너트에 체결하는 스패너장치를 구비한 설치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보호캡은 상단에 반원형 전신주통과홀이 형성되는 돔형캡과, 돔형캡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완철조립체의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보호하는 스커트와, 돔형캡과 스커트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반원형 전신주통과홀이 형성되는 칸막이판을 포함하며, 지지프레임은 전후 한 쌍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고, 승강장치는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는 승강모터와,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승강스크루와, 승강대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승강스크루에 나사물림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승강너트블록을 포함하며, 좌우구동장치는 승강대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좌우구동모터축을 가지는 좌우구동모터와, 좌우구동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되며 선단이 좌우이동대에 결합되는 좌우구동스크루를 포함하고, 홀더는 좌우이동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홀더본체와, 홀더본체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홀더암과, 홀더암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완철홈이 구비되어 완철이 삽입되는 완철홀더와, 홀더암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된 애자홈이 구비되어 애자를 지지하는 애자홀더를 포함하며, 스패너장치는 홀더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스패너모터와, 스패너모터축의 선단에 결합되며 완철볼트의 육각머리가 삽입되는 육각머리홈이 형성된 스패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은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를 포함하는 완철조립체와, 완철조립체를 보호하는 보호장치부를 결합하여 완철조립체와 변압기를 햇빛과 눈비로부터 보호하여 배전선로의 부식 및 기능 상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은 애자, 배전선, 점프선, 접속구가 결합된 완철조립체와, 완철조립체를 보호하는 보호장치의 설치 및 원격조정에 의해 한 번에 설치 및 철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배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은 완철조립체를 보호장치부로 차단하여 조류가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하여 조류둥지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이 적용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사시도,
도 2는 보호장치부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보호장치부의 상면 사시도 및 하면 사시도,
도 5는 설치장치부의 사시도,
도 6은 설치장치부의 베이스프레임, 승강대,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설치장치부의 좌우이동대, 좌우구동장치, 상단지지대, 홀더, 스패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지상에서 준비단계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9는 설치위치로 상승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10은 완철볼트가 완철볼트공을 통해 완철너트에 접촉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11은 스패너장치에 의해 완철볼트가 완철너트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12는 스패너장치가 후퇴하여 완철볼트의 육각머리가 스패너의 육각머리홈에서 빠져나온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13은 승강대, 좌우이동대, 좌우구동장치, 홀더, 스패너이동대, 스패너이동장치, 스패너장치가 하강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순히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 고정은 볼트/너트의 체결, 나사/나사홀의 체결,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3의 우측 상단에는 완철, 완철볼트, 완철너트, 스패너장치의 상호 관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이 적용된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신주(EP)의 상단부에 고압선로용 완철조립체(A)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저압선로용 완철조립체(A)가 설치되며, 고압선로(HD)와 저압선로(LD) 사이에는 변압기(TR)가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고압선로용 완철조립체(A)와 저압선로용 완철조립체(A)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고압선로용 및 저압선로용 완철조립체(A)는 전신주(EP)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좌우측 완철(10)과, 좌우 한 쌍의 완철(10)에 일단이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애자(20)와, 좌우 한 쌍의 애자(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배전선(30)과, 좌우 한 쌍의 배전선(30)을 연결하는 점프선(40)으로 구성된다. 배전선(30)과 점프선(40)은 접속구(50)에 의해 접속된다.
완철(10)은 고압완철과 저압완철로, 애자(20)는 고압애자와 저압애자로, 배전선(30)은 고압배전선과 저압배전선으로, 점프선(40)은 고압점프선과 저압점프선으로 구분되지만 여기서는 완철(10), 애자(20), 배전선(30), 점프선(40)으로 통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는 고압선로용 배전선(30)과 변압기(20)를 연결하는 전선과, 변압기(20)와 저압선로용 배전선(30)을 연결하는 전선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좌우 한 쌍의 완철(10)의 내측면 중간부에는 전신주(EP)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 밀착홈(12)을 가지는 완철고정블록(11)이 결합된다.
완철(10)과 완철고정블록(10)은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고압선로용 완철조립체(A)의 완철고정블록(11)과 저압선로용 완철조립체(A)의 완철고정블록(11)은 그 설치위치에 따른 전신주(EP)의 외경 차이로 크기와 원호형 밀착홈(12)의 내경을 달리한다.
원호형 밀착홈(12)은 완철(1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의 전신주(EP)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전신주(EP)의 테이퍼에 대응하여 상단 내경이 작고 하단 내경이 큰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원호형 밀착홈(12)의 내주면이 전신주(EP)의 외주면에 전면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완철(10)과 완철고정블록(11)에는 완철볼트공(h1, h1)이 형성된다.
좌우 한 쌍의 완철(10) 중 일측 완철(10)의 완철볼트공(h1)으로부터 완철고정블록(11)의 완철볼트공(h1), 타측 완철(10)의 완철고정공(h1)을 순차 관통하는 완철볼트(b1)와, 타측 완철(10)의 외측에 형성된 완철볼트공(h1)에 동축을 이루도록 타측 완철(10)의 외측면에 용접고정되는 완철너트(n1)를 구비하여, 완철볼트(b1)와 완철너트(n1)의 체결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완철(10)을 전신주(EP)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완철고정블록(11)의 밀착홈(12)이 전신주(EP)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전신주(EP)에 대한 완철(10)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완철(10)에 형성되는 완철볼트공(h1)과 완철고정블록(11)에 형성되는 완철볼트공(h1)은 편의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애자(20)는 절연재질의 애자본체(21)와, 애자본체(21)의 내측단에 애자고리봉(23)으로 연결되는 애자고리(22)와, 애자고리(22)에 연결볼트너트(24)로 연결되는 ㄷ자형 애자연결구(25)와, 애자연결구(25)에 일체로 형성되는 애자볼트(26)를 포함한다.
완철(10)에는 복수개의 애자볼트공(h2)이 형성된다. 애자볼트공(h2)은 통상적으로 전신주(EP)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총 4개의 애자(20)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애자(20)는 애자볼트(26)를 완철(10)에 형성된 애자볼트공(h2)에 관통시키고 애자너트(27)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애자연결구(24), 애자고리(22)를 통해 완철(10)에 고정된다.
완철(10), 애자(20), 배전선(30), 점프선(40), 접속구(50)는 미리 조립된 완철조립체(A)로서 준비되고 설치되며, 추후 철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은 전신주(EP)에 설치되어 애자(20), 배전선(30), 점프선(40), 접속구(50)를 보호하는 보호장치부(B)와; 완철조립체(A)와 보호장치부(B)를 전신주(EP)에 설치하는 설치장치부(C)를 포함한다.
완철조립체(A)와 설치장치부(C)는 모두 좌우대칭으로 설치되므로 좌우측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필요시에는 그 위치를 함께 기재하기로 한다.
보호장치부(B)는 완철(10)에 결합되어 완철조립체(A)의 상부와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보호하는 보호캡(110)과, 보호캡(110)의 상단을 전신주(EP)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클립(120)을 포함한다.
보호캡(110)은 완철조립체(A)의 상부를 보호하며 상단에 반원형 전신주통과홀(112)이 형성되는 돔형캡(111)과, 돔형캡(11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완철조립체(A)의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가리는 스커트(113)와, 돔형캡(111)과 스커트(113)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반원형 전신주통과홀(115)이 형성되는 칸막이판(114)을 포함한다.
돔형캡(111)의 전신주통과홀(112)의 하부에는 전신주(EP)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C자형 탄성클립(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스커트(113)에는 배전선(30)이 통과할 수 있는 세로슬릿(116)이 형성되고, 칸막이판(114)에는 점프선(40)이 통과할 수 있는 가로슬릿(118)이 형성된다.
세로슬릿(116)과 가로슬릿(118)은 완철(10), 애자(20), 배전선(30), 점프선(40)이 조립된 완철조립체(A)의 상부에서 보호장치부(B)를 밑으로 내리면서 씌울 때 배전선(30)과 점프선(40)이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완철조립체(A)에 보호장치부(B)를 씌운 후 슬릿(116)은 슬릿마개(117)를 끼워 막을 수 있다.
좌측 보호캡(110)에 설치되는 탄성클립(120)은 우측이 벌어진 C자형으로 형성되고, 우측 보호캡(110)에 설치되는 탄성클립(120)은 좌측이 벌어진 C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좌측 보호캡(110)에 설치된 탄성클립(120)은 상부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우측 보호캡(110)에 설치되는 탄성클립(120)은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탄성클립(120)의 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벌어진 삽입안내부(121)가 형성되어 전신주(EP)의 좌우측에서 탄성클립(120)이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벌어져서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캡(110)은 일단이 스커트(113)의 전후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완철(10)의 전후단에 고정되는 결합봉(130)에 의해 완철(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봉(130)은 완철(10)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본체봉(131)과, 본체봉(131)의 내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완철(10)의 내주면에 일치하는 외주면을 가지게 형성되어 완철(10)의 전후 개구부(OP)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132)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은 완철조립체(A)와 보호장치부(B)를 전신주(EP)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치부(C)를 포함한다.
설치장치부(C)는 지상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210)과, 좌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승강대(220)와, 좌우 한 쌍의 승강대(220)를 승강시키는 좌우 한 쌍의 승강구동장치(230)와, 좌우 한 쌍의 승강대(220)의 상부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좌우이동대(240)와, 좌우 한 쌍의 좌우이동대(2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좌우구동장치(250)와, 좌우 한 쌍의 좌우이동대(240)에 설치되어 완철조립체(A)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홀더(260)와, 일측 홀더(260)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패너이동대(270)와, 스패너이동대(27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패너이동장치(280)와, 스패너이동대(270)에 설치되어 완철볼트(b1)를 완철너트(n1)에 체결하는 스패너장치(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210)은 평탄하지 않고 수평이 아닌 지면에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아웃리거(outrigger)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상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아웃리거가 구비된 견인형 대차 또는 자주형 대차에 탑재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210)은 전후 한 쌍의 연결바(211)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바(211)는 베이스프레임(210)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수직판(212)과, 수직판(212)의 상하단에서 절곡되어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판(213)에 의해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수직판(212)에 연결볼트공(214)이 형성되고, 베이스프레임(210)의 전후면에 연결볼트(215)가 고정 돌출되어 연결볼트(215)를 연결볼트공(214)에 관통시키고 연결너트(216)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210)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승강대(22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좌우 한 쌍의 승강장치(230)는 좌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승강모터(231)와, 승강모터(231)에 의해 회전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스크루(232)와, 좌우 한 쌍의 승강대(22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좌우 한 쌍의 승강스크루(232)에 나사물림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승강너트블록(233)을 포함한다.
승강스크루(232)는 볼스크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승강너트블록(233)은 볼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좌우이동대(240)는 승강대(220)에 고정된 전후 한 쌍의 안내봉(241)과, 좌우이동대(240)에 형성되어 안내봉(241)이 삽입되는 전후 한 쌍의 안내공(243)에 의하여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봉(241)은 브래킷(242)에 의해 승강대(220)의 상면에 고정된다.
좌우구동장치(250)는 승강대(220)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좌우구동모터축(252)을 가지는 좌우구동모터(251)와, 좌우구동모터축(252)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되며 선단이 좌우이동대(240)에 결합되는 좌우구동스크루(253)를 포함한다.
홀더(260)는 좌우이동대(240)의 상면에 결합되는 홀더본체(261)와, 홀더본체(261)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홀더암(262)과, 홀더암(262)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완철홈(264)이 구비되어 완철(10)이 삽입되는 완철홀더(263)와, 홀더암(262)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된 애자홈(266)이 구비되어 애자(20)를 지지하는 애자홀더(265)를 포함한다.
애자홈(266)은 애자(20)의 애자고리봉(23)이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애자(2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애자(20)의 어느 부분을 지지하여도 무방하다.
스패너이동대(270)는 홀더본체(261)와 홀더본체(261)에서 연장판(267)에 고정된 전후 한 쌍의 안내봉(271)과, 스패너이동대(270)에 형성되어 안내봉(271)에 삽입되는 전후 한 쌍의 안내공(274)이 형성된 안내편(273)에 의하여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패너이동대(270)는 홀더본체(261)와 연장판(267)의 상면에 접촉하는 수평부와 수평판의 전후단과 외측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수직부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봉(271)은 브래킷(272)에 의해 홀더본체(261)와 연장판(267)의 상면에 고정된다.
스패너이동장치(280)는 연장판(267)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형 스패너이동모터축(282)이 구비된 스패너이동모터(281)와, 스패너이동모터축(282)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되며 선단이 스패너이동대(270)에 결합되는 스패너이동스크루(283)를 포함한다.
스패너장치(290)는 스패너이동대(270)에 장착되는 스패너모터(291)와, 스패너모터축(292)의 선단에 결합되며 완철볼트(b1)의 육각머리가 삽입되는 육각머리홈(294)이 형성된 스패너(293)를 포함한다.
육각머리홈(294)은 완철볼트(b1)의 육각머리 두께보다 길게 형성하여 준비시 완철볼트(b1)의 육각머리를 육각머리홈(294)의 안쪽까지 깊숙이 삽입한 상태에서 완철볼트(b1)가 완철너트(n1)에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완철볼트(b1)가 완철너트(n1)를 향해 이동하더라도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완철볼트(b1)의 육각머리가 육각머리홈(294)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승강모터(231)와 좌우구동모터(251)와 스패너모터(291)는 지상에서 교류전원이나 직류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에 직결된 스위치 조작이나 원격조정장치의 조작에 의해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원격조정장치에 의한 원격조정에 의해 승강모터(231)와 좌우구동모터(251) 및 스패너모터(291)의 동작이 완료되면 리미트스위치 등의 센서의 전원 오프 동작에 의해 해당 동작이 중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승강에 필요한 승강모터(231)의 회전수와 좌우이동에 필요한 좌우구동모터(251)의 회전수 및 완철볼트(b1)의 체결에 필요한 스패너모터(291)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완철조립체(A)와 보호장치부(B)를 전신주(EP)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준비단계-도 8 참조]
보호캡(110)에 결합된 결합봉(130)의 삽입부(132)를 완철(10)의 전후단의 개구부(OP)에 삽입하여 보호장치부(B)를 완철조립체(A)에 결합한 상태로 준비한다.
좌우이동대(240)와 좌우구동장치(250)와 홀더(260)와 스패너장치(290)가 설치되는 승강대(220)를 승강장치(230)에 의해 하강시키고, 베이스프레임(210)을 전신주(EP)의 좌우측 지면에 위치시고, 연결바(211)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210)을 결합한 상태로 설치장치부(C)를 지면에 설치한다.
좌우이동대(240)를 외측으로 후퇴시켜 추후 설치위치로 상승시킬 때 좌우이동대(240) 좌우구동장치(250), 홀더(260), 스패너이동대(270), 스패너이동장치(280), 스패너장치(290)가 전신주(EP)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준비한다.
보호장치부(B)가 결합된 완철조립체(A)를 설치장치부(C) 위에 내려놓으면서 배전선(30)이 세로슬릿(116)에 삽입되게 하고 세로슬릿(116)에 슬릿마개(117)를 끼우며, 점프선(40)이 가로슬릿(118)에 삽입되게 한다.
완철(10)이 홀더(260)의 완철홀더(263)의 완철홈(264)에 삽입되게 하고, 애자(20)의 애자고리봉(23)이 애자홀더(265)의 애자홈(266)에 삽입되게 하여, 완철조립체(A)와 보호장치부(B)가 홀더(260)에 지지된 상태로 준비한다.
또한 스패너장치(290)는 스패너이동장치(280)에 의해 스패너이동대(270)와 함께 전신주(EP)를 향하여 전진한 상태이며, 완철볼트(b1)는 머리부가 스패너장치(290)의 스패너(293)의 육각머리홈(294)의 안쪽까지 깊숙이 삽입되고 나사부가 일측 완철(10)의 완철볼트공(h1)과 완철고정블록(11)의 완철볼트공(h1)에 삽입된 상태로 준비한다.
[상승단계-도 9 참조]
스위치나 원격조정장치의 조작에 의해 승강장치(230)의 승강모터(231)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어 승강스크루(232)가 상승방향으로 회전되면, 승강스크루(232)와 승강너트블록(233)의 나사작용으로 승강대(220)가 상승하게 되고, 승강대(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우이동대(240), 좌우구동장치(250), 상단지지대(260), 홀더(260)와 스패너장치(290)가 함께 상승하게 한다.
[보호캡 고정 및 체결대기 단계-도 10 참조]
스위치나 원격조정장치의 조작에 이해 좌우구동장치(250)의 좌우구동모터(251)가 전진방향으로 가동되어 좌우구동모터축(252)이 전진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우구동모터축(252)의 암나사부와 좌우구동스크루(253)의 나사작용에 의해 좌우구동스크루(253)와 좌우구동스크루(253)의 선단에 결합된 좌우이동대(240)가 전신주(EP)를 향하여 전진하게 된다.
이때, 좌우이동대(240)에 직, 간접적으로 설치된 홀더(260), 스패너이동대(270), 스패너이동장치(280), 스패너장치(290)와 스패너이동장치(280)도 전신주(EP)를 향하여 전진하게 된다.
홀더(260)가 전진함에 따라 홀더(260)에 지지된 완철(10)과 이에 결합된 완철고정블록(11)이 전신주(EP)를 향하여 전진하여 원호형 밀착홈(12)이 전신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된다.
스패너장치(290)가 전진함에 따라 스패너(293)의 육각머리홈(294)에 삽입되고 타측 완철(10)의 완철볼트공(h1)에 삽입되어 있는 완철볼트(b1)도 전진하여 타측 완철(10)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완철너트(n1)에 접촉하여 체결대기 상태로 된다.
보호캡(110)이 전진함에 따라 좌우측 보호캡(110)에 형성된 탄성클립(120)이 전신주(EP)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벌어졌다가 탄성클립(120)이 전신주(EP)에 완전히 삽입되면 탄성복원되면서 조여져서 보호캡(110)이 전신주(EP)에 고정된다.
이때, 보호캡(110)이 전신주(EP)를 향하여 전진하여 탄성클립(120)이 전신주(EP)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시작할 때, 탄성클립(12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안내부(121)가 전신주(EP)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되어 탄성클립(120)의 벌어지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탄성클립(120)에 의한 보호캡(110)의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전신주에 대한 완철고정 단계-도 11 참조]
스위치나 원격조정장치의 조작에 의해 스패너장치(290)의 스패너모터(291)가 체결방향으로 가동되어 스패너모터축(292)이 체결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패너모터축(292)의 선단에 결합된 스패너(293)가 체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패너(293)의 육각머리홈(294)에 육각머리가 삽입되어 있는 완철볼트(b1)가 회전하면서 완철너트(n1)에 체결된다.
완철볼트(b1)와 완철너트(n1)의 체결이 완료되면, 완철(10)의 내측면에 결합된 완철고정블록(11)의 원호형 밀착홈(12)이 전신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전신주(EP)에 대한 완철(1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스패너 후퇴 단계-도 12 참조]
스위치나 원격조정장치의 조작에 의해 스패너이동장치(280)의 스패너이동모터(281)가 후퇴방향으로 가동되면, 스패너이동모터축(282)이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패너이동모터축(282)의 암나사부와 스패너이동스크루(283)의 나사작용을 스패너이동대(270)가 후퇴하게 되고, 스패너이동대(270)에 장착된 스패너장치(290)가 후퇴하여 스패너(293)의 육각머리홈(294)에 삽입되어 있던 완철볼트(b1)의 육각머리가 빠져나오게 된다.
이어서 스위치나 원격조정장치의 조작에 의해 승강모터(231)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면, 승강스크루(232)가 하강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스크루(232)와 승강너트블록(233)의 나사작용으로 승강너트블록(233)과 이에 결합된 승강대(220)가 하강하게 되고, 승강대(220)의 상부에 직,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좌우이동대(240), 좌우구동장치(250), 홀더(260), 스패너이동대(270), 스패너이동장치(280), 스패너장치(290)가 하강하게 된다.
[하강 단계-도 13 참조]
완철(10)과 애자(20)가 홀더(260)의 완철홈(264)과 애자홈(266)에서 빠져나온 다음, 스위치나 원격조정장치의 조작에 의해 좌우구동모터(251)가 후퇴방향으로 가동되면 좌우구동모터축(252)이 후퇴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우구동모터축(252)의 암나사부와 좌우구동스크루(253)의 나사작용에 의해 좌우이동대(240)가 후퇴하게 되며, 좌우이동대(240)에 직,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홀더(260), 스패너이동대(270), 스패너이동장치(280), 스패너장치(290)가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대(220), 좌우이동대(240), 좌우구동장치(250), 홀더(260), 스패너이동대(270), 스패너이동장치(280), 스패너장치(290)가 전신주(EP)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지상의 준비위치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완철(10)은 완철고정블록(11)과 완철볼트(b1)와 완철너트(n1)에 의해 전신주(EP)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애자(20)와 배전선(30) 및 점프선(40)은 완철(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보호캡(110)은 완철(10)에 고정되어 완철(10), 애자(20), 배전선(30), 점프선(40), 접속구(50)의 상부와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보호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압선로를 먼저 설치한 다음, 저압선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압선로를 설치한 다음, 저압선로를 설치하기 전에 변압기(TR)를 설치할 수 있는데 변압기(TR)는 본 발명과 별개의 변압기 설치 시스템에 의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완철조립체(A)와 보호장치부(B)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보호장치부(B)의 보호캡(110)은 돔형캡(111)과 스커트(113)를 구비하고 있어 조류가 완철조립체(A) 상에 둥지를 틀 수 없으며, 보호캡(110)의 상부에 돔형캡(111)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위에도 조류가 둥지를 틀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완철조립체(A)의 상부와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차단함과 아울러 보호장치부(B)는 보호캡(110)과 완철조립체(A) 사이에 위치하는 칸막이판(114)을 구비하고 있어 조류가 그 사이로 들어갈 수도 없게 되어 조류가 둥지를 트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철거 단계]
홀더(260)에 완철(10)과 애자(20)를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위치로의 상승 단계, 완철볼트 해체 단계, 하강 단계를 거쳐서 전신주(EP)에 고정된 완철조립체(A)와 보호장치부(B)를 철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배전선로의 고압선로와 저압선로의 완철조립체(A)를 설치하였을 때 완철조립체(A)와 변압기(TR)를 햇빛과 눈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배전선로의 부식 및 기능 상실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완철조립체(A)와 보호장치부(B)를 설치장치부(C)에 의해 원격조정으로 설치 및 철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철조립체(A)의 상부와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보호장치부(B)로부터 차단하여 조류가 완철조립체(A) 상에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 : 완철조립체 B : 보호장치부
C : 설치장치부 10 : 완철
20 : 애자 30 : 배전선
40 : 점프선 50 : 접속구
110 : 보호캡 120 : 탄성클립
130 : 결합봉 210 : 베이스프레임
220 : 승강대 230 : 승강장치
240 : 좌우이동대 250 : 좌우구동장치
260 : 홀더 270 : 스패너이동대
280 : 스패너이동장치 290 : 스패너장치

Claims (2)

  1. 전신주와, 전신주에 완철볼트와 완철너트로 고정되는 완철, 완철에 일단이 고정되는 애자, 애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좌우측 배전선, 좌우측 배전선을 접속구를 통해 연결하는 점프선을 포함하는 완철조립체와;
    완철조립체의 상부와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에 반원형 전신주통과홀이 형성되는 돔형캡과, 돔형캡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완철조립체의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보호하는 스커트와, 돔형캡과 스커트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반원형 전신주통과홀이 형성되는 칸막이판을 포함하여 보호캡과, 보호캡의 상단을 전신주에 고정하는 탄성클립과, 일단이 스커트의 전후 내측면에 결합되는 본체봉과, 본체봉의 내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완철의 전후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 완철에 보호캡을 완철에 고정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보호장치부와;
    전후 한 쌍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어 지상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전후 한 쌍의 승강대와, 승강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는 승강모터와,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승강스크루와, 승강대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승강스크루에 나사물림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승강너트블록을 포함하는 승강장치와, 승강대의 상부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대와, 좌우이동대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승강대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좌우구동모터축을 가지는 좌우구동모터와, 좌우구동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되며 선단이 좌우이동대에 결합되는 좌우구동스크루를 포함하는 좌우구동장치와, 좌우이동대에 설치되어 결합봉에 의해 보호캡이 결합되는 완철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이동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홀더본체와, 홀더본체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홀더암과, 홀더암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완철홈이 구비되어 완철이 삽입되는 완철홀더와, 홀더암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된 애자홈이 구비되어 애자를 지지하는 애자홀더를 포함하는 홀더와, 일측 홀더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패너이동대와, 스패너이동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패너이동장치와, 스패너이동대에 설치되어 완철볼트를 완철너트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스패너모터와, 스패너모터축의 선단에 결합되며 완철볼트의 육각머리가 삽입되는 육각머리홈이 형성된 스패너를 포함하는 스패너장치를 구비한 설치장치부;를 포함하여,
    완철조립체와 보호장치부를 전신주에 대하여 상승시켜 고정설치하고, 전신주에 고정설치된 완철조립체와 보호장치부를 전신주로부터 하강시켜 철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2. 삭제
KR1020220186881A 2022-12-28 2022-12-28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KR10258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881A KR102584345B1 (ko) 2022-12-28 2022-12-28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881A KR102584345B1 (ko) 2022-12-28 2022-12-28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345B1 true KR102584345B1 (ko) 2023-10-04

Family

ID=8829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881A KR102584345B1 (ko) 2022-12-28 2022-12-28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6936A (zh) * 2023-11-28 2023-12-29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高强度复合结构绝缘横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78Y1 (ko) 1999-12-10 2000-04-15 이득광 조류둥지 방지용 완금커버
KR100733574B1 (ko) * 2006-12-05 2007-06-28 (주)우전엔지니어링 전선과 자동으로 탈부착되는 배전장치
KR101856671B1 (ko) * 2017-05-01 2018-06-19 정경하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2331393B1 (ko) 2021-03-02 2021-12-01 이승대 조류퇴치 기능을 갖는 배전선로 보호용 피뢰구조
KR102448352B1 (ko) 2022-02-04 2022-09-28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고정 브래킷 장치
KR102474623B1 (ko) * 2022-01-11 2022-12-06 육지영 특고압 배전 단자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78Y1 (ko) 1999-12-10 2000-04-15 이득광 조류둥지 방지용 완금커버
KR100733574B1 (ko) * 2006-12-05 2007-06-28 (주)우전엔지니어링 전선과 자동으로 탈부착되는 배전장치
KR101856671B1 (ko) * 2017-05-01 2018-06-19 정경하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2331393B1 (ko) 2021-03-02 2021-12-01 이승대 조류퇴치 기능을 갖는 배전선로 보호용 피뢰구조
KR102474623B1 (ko) * 2022-01-11 2022-12-06 육지영 특고압 배전 단자함 장치
KR102448352B1 (ko) 2022-02-04 2022-09-28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고정 브래킷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6936A (zh) * 2023-11-28 2023-12-29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高强度复合结构绝缘横担
CN117306936B (zh) * 2023-11-28 2024-03-12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高强度复合结构绝缘横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345B1 (ko)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KR100989444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CN109980380B (zh) 变电站电气设备检修导线接地装置
KR200431182Y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CN111524664B (zh) 一种高压电网架设架空输电线路绝缘子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JP2007195483A (ja) 鳥害防止装置
CN104967027A (zh) 一种令克绝缘隔板
CN210184324U (zh) 驱鸟装置
KR100962343B1 (ko)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CN201981995U (zh) 一种单柱设备检修抱杆梯
KR100788048B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CN204927562U (zh) 一种接地线装拆装置
EP1502341B1 (en) Suspension clamp for conductors and tools thereof for installing the clamp on an electric line
CN105449612A (zh) 一种导线绝缘支撑板装置
CN216649176U (zh) 一种输电线路上电缆终端平台辅助安装装置
CN213878723U (zh) 一种带有避雷针的塔式起重机
KR20000063651A (ko) 조류퇴치기
CN219730368U (zh) 一种塔吊伸缩式辅助登塔平台
KR100885731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CN215407814U (zh) 一种电气设备用围栏支架
KR20040037345A (ko) 전신주행거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부 고정 장치
KR20020031688A (ko) 풍차식 조류방지기 취부장치
CN210915064U (zh) 一种防雷击塔式起重机
CN219877284U (zh) 一种输电线路杆塔用拼装式占位型防鸟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