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21B1 -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21B1
KR102063421B1 KR1020190105616A KR20190105616A KR102063421B1 KR 102063421 B1 KR102063421 B1 KR 102063421B1 KR 1020190105616 A KR1020190105616 A KR 1020190105616A KR 20190105616 A KR20190105616 A KR 20190105616A KR 102063421 B1 KR102063421 B1 KR 10206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istribution cable
space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0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의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송배전케이블을 설치하여 상기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맞춰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송배전케이블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부분이 한 부분에 집중되어 의존하지 않고 여러 구성들로 인해 송배전케이블의 무게하중 또는 전달되는 압력을 분산시켜서 장치의 파손 등을 억제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를 선택한 후, 그 케이블을 지지하는 회동부의 견고한 고정력과 더불어 내진 발생 시 그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able support device for buried route and seismic customized power outlet}
본 발명은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맞춰 다양한 방향으로 손쉽게 매설이 가능하고 내진에 효율성을 가지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중에는 송배전케이블을 매설하기 위하여 전력구를 설치하기 마련이고 그 전력구의 내부에 송배전케이블을 지지하기 또는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들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10-1823311호(특)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고정샤프트가 형성되어 전력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고정샤프트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되,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외주를 감싸며 내주가 상기 고정샤프트의 외주와 치합되고, 양측에 상기 고정샤프트와 다른 방향으로 각각 샤프트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회전으로 승,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승, 하강부와, 상부에 힌지구조로 이루어져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부가 구성되고, 하부 일측에 인입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동부와, 일측이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인입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회전축부와, 상기 인입홈과 회전축부의 사이에 구성되되, 일측에 상기 인입홈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와 회전축부를 서로 당김시키는 한 쌍의 제1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작동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구성되되 일측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유동부의 하부 일측과 연결되어 당김성질을 갖는 제2탄성부재; 로 구성되는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제10-1367430호(특)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결합되어 다수의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하며 배열하는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있어서, 상측 중앙부에서 내삽되는 회전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관통되는 결합홈이 구성되어 결합부재로 상기 결합홈을 관통 시켜 상기 전력구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되는 결합부; 하부에 돌출되는 회전축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되 회전축보다 더 큰지름을 갖는 끼움축이 구성되며, 상측 중앙부에 내삽되게 슬라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의 양측끝부에 탄성부재가 각각 연결 구성되는 회전몸체부;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다수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상부거치대와, 상기 상부거치대와 대칭되게 구성되되 하부에 상기 슬라이드홀의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사이에 끼움되는 슬라이드축이 구성되는 하부거치대가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거치대의 돌출부가 상호 맞닿게 구성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 하부거치대의 연결홈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거치대; 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몸체부의 회전과 거치대의 복원력을 통해 상기 공간부에 배열되는 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대체적으로 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맞춰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맞춰 대응할 수는 있으나, 배열장치 또는 지지장치에 거치 또는 고정된 송배전케이블의 매설되는 경로에서 별도의 보조지지의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케이블의 지면에 맞거나 팽팽하게 당김하여 매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매설경로를 선택한 후, 송배전케이블을 고정된 상태로 놓아 둘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송배전케이블을 매설할 시, 배열 또는 지지장치에서 그 매설경로에 가이드 해주는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완전히 케이블이 맞닿는 부분에 의존해야 함으로써 무게하중 또는 압력이 가해져 자칫 파손의 우려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하되, 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맞춰 선택적으로 그 경로를 설정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경로 설정 후,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어 고정력을 높일 수가 있고, 나아가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성이 단순히 한 곳에만 집중되지 않고,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매설경로를 조절하는 회동부의 원활한 회동 및 고정력을 높여 사용상의 안전성와 내진 발생 시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지중의 전력구에 설치되어 송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g1)이 마련되고 상기 전력구와 결합하기 위해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결합홀(110)이 형성되는 하부몸체(100); 내부에 공간(g2)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측 중앙부에 상기 공간(g2)과 연장되는 홀(210)이 형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1결합홀(110)과 대응하는 제2결합홀(220)이 형성되는 상부몸체(200); 상기 홀(210) 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210)에 삽입되는 수직봉(300); 상기 수직봉(300)의 상부에 끼움 구성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외주 둘레를 따라 인입테(410)를 가지는 회전체(400); 상기 상, 하부몸체(200, 100)의 공간(g1, g2)에 위치되되 일측이 상기 수직봉(300)의 외주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 하부몸체(200, 100)의 내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500);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측에 구성되되, 4개의 방향에 각각 축(603) 설치되어 상기 송배전케이블(c)을 지지하며, 상기 축(603)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하부에 길게 형성되며 끝단이 만곡진형태의 슬라이드부(610)가 형성되는 회동부(600); 상기 회동부(600)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부(6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710)이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600)의 회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가이드부(700); 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기 회동부(60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6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턱(23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7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돌기(7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71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부(610)의 끝단의 외측에는 상기 돌기(711)와 대응하는 형태의 홈부(620)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600)가 회동 후, 상기 돌기(711)가 홈부(6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의하면, 지지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맞춰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송배전케이블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부분이 한 부분에 집중되어 의존하지 않고 여러 구성들로 인해 송배전케이블의 무게하중 또는 전달되는 압력을 분산시켜서 장치의 파손 등을 억제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를 선택한 후, 그 케이블을 지지하는 회동부의 견고한 고정력과 더불어 내진 발생 시 그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맞춰 다양한 방향으로 손쉽게 매설이 가능하고 내진에 효율성을 가지는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지중의 전력구에 설치되어 송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g1)이 마련되고 상기 전력구와 결합하기 위해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결합홀(110)이 형성되는 하부몸체(100); 내부에 공간(g2)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측 중앙부에 상기 공간(g2)과 연장되는 홀(210)이 형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1결합홀(110)과 대응하는 제2결합홀(220)이 형성되는 상부몸체(200); 상기 홀(210) 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210)에 삽입되는 수직봉(300); 상기 수직봉(300)의 상부에 끼움 구성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외주 둘레를 따라 인입테(410)를 가지는 회전체(400); 상기 상, 하부몸체(200, 100)의 공간(g1, g2)에 위치되되 일측이 상기 수직봉(300)의 외주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 하부몸체(200, 100)의 내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500);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측에 구성되되, 4개의 방향에 각각 축(603) 설치되어 상기 송배전케이블(c)을 지지하며, 상기 축(603)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하부에 길게 형성되며 끝단이 만곡진형태의 슬라이드부(610)가 형성되는 회동부(600); 상기 회동부(600)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부(6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710)이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600)의 회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가이드부(700); 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내측 중앙부에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탄성부재(500)의 일부분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g1)이 마련되고,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전력구와 결합부재 등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홀(110)이 형성되고, 본 발명에서는 모서리부분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상기 제1결합홀(110)이 형성되는 것이 설명하고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0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되, 내측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기 하부몸체(100)에 위치되지 않은 탄성부재(500)의 다른 일부분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g2)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몸체(100)의 제1결합홀(110)이 형성되는 위치와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220)이 형성되고, 상측중앙부에는 하기될 수직봉(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몸체(200)의 공간(g2)과 연결되는 홀(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100)와 상부몸체(200)가 상호 맞닿게 되면 제1,2결합홀(110, 220)이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결합부재 등을 통해 상, 하부몸체(200, 100)를 결합함과 동시에 전력구의 바닥부에 결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등이 될 수가 있으며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다.
또한, 상기 상, 하부몸체(200, 100)를 덮게 되면 각각 마련된 공간에 의해 더 큰 공간이 마련되어 그 공간에는 하기될 수직봉(300)의 일부분이 위치되고, 탄성부재(500)가 위치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200)의 상부의 4면 일측에는 회동부(600)의 축(603)이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600)의 축(603)이 안정적으로 끼움되어 선택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201)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되,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돌출턱(230)이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턱(230)은 하기될 회동부(600)가 축(603)을 중심으로 회동된 후,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봉(300)은 둥근 형태 형성되어 상기 홀(210)에 끼워지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부는 상기 홀(210)에 위치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측면 보다 더 돌출되게 위치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봉(300)의 상부에는 회전체(400)가 끼움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체(400)는 하부에 상기 수직봉(300)의 상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401)이 형성되고, 외주 둘레를 따라서 송배전케이블(c)이 인입되어 감싸질 수 있는 인입테(4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400)는 상기 수직봉(300) 상에서 끼워지되 상기 수직봉(300)을 중심으로 하여 360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입테(410)에 송배전케이블(c)이 인입되어 일부분이 감싸진 상태에서 자칫 송배전케이블(c)이 당겨진다 하더라도 상기 회전체(400)가 원활하게 회전하게 됨으로써 송배전케이블(c)의 단락을 방지할 수가 있고, 설치시에도 상기 인입테(410)를 통해 당길 시 도르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되어 설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인입테(410)를 두 개 이상으로 형성하여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송배전케이블(c)을 인입시켜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회전체(400)는 수직봉(300)에 선택적으로 끼움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훼손 및 파손 등이 발생할 경우 상기 회전체(400)만을 교체할 수가 있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상기 상, 하부몸체(200, 100)의 공간(g1, g2)에 의해 큰 공간이 마련되는 부분에 위치되되, 상기 수직봉(300)을 중심으로 4방향으로 배치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수직봉(300)의 외주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 하부몸체(200, 100)의 내측과 연결되어서, 상기 수직봉(300)으로 전달되는 압력 및 흔들림 등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송배전케이블(c)의 경우 전력구에 설치 시 내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지장치 또는 고정장치를 설치하기 마련인데, 본 발명에서도 상기 송배전케이블(c)을 거치시켜 지지할 경우, 이러한 내진으로 상기 송배전케이블(c)이 일측 방향으로 당김 또는 흔들림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송배전케이블(c)의 단락을 방지하고, 탄성부재(50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됨과 아울러 최종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500)를 스프링을 적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우레탄 재질을 갖는 구성 등 탄성력을 가지는 통상의 구성을 적용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상기 회동부(6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매설하려는 송배전케이블(c)을 감싸며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601)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 끝단과 근접하는 부분에서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몸체(200)의 끼움홈(201)에 끼워지는 축(603)이 형성되며, 상기 축(603)이 형성되는 하부 타측에는 지면 또는 가이드부(700)의 가이드홈(71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부(610)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부(600)의 경우, 송배전케이블(c)의 매설 경로에 따라서 상기 축(603)을 중심으로 일정부분까지 회동시키도록 하여서 상기 매설경로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600)는 상부금형(200)이 상부에 구성되되, 4면 방향으로 각각 구성되는데,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603)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되 각각 최대치로 이동될 시, 상부몸체(200)에 형성된 돌출턱(230)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회동부(600)는 송배전케이블(c)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상기 송배전케이블(c)을 매설하는 경로에 맞춰 그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부(600)는 상기 돌출턱(230)의 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돌출턱(23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홈(601)의 경우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송배전케이블(c)의 매설경로와 더불어 그 개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가 있고, 상기 안착홈(601)이 다수개로 형성될 시 그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체(400)의 인입테(410) 또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부(610)는 상기 회동부(600)가 이동함에 있어서 원활한 이동 및 하부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끝단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하기될 가이드부(700)의 가이드홈(710)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610)의 경우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다수개로 형성될 시 각각의 가이드부(70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착홈(601)과 슬라이드부(610)는 하나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가이드부(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회동부(60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부에 만곡진형태의 가이드홈(710)이 형성되어 회동부(600)의 슬라이드부(610)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710) 상에서 가이드 되며 유동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700)의 고정은 전력구의 내부에 볼트 등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가 있고, 상기 하부몸체(100)의 각각의 측면에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몸체(100)와 연장되지 않고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고, 전력구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 등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7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돌기(7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71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부(610)의 끝단의 외측에는 상기 돌기(711)와 대응하는 형태의 홈부(620)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600)가 회동 후, 상기 돌기(711)가 홈부(6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711) 및 홈부(620)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하여서, 회동부(600)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 후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최초 송배전케이블(c)을 매설할 시, 상기 송배전케이블(c)의 매설경로 맞춰 2개의 회동부(6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킨 후, 하나의 회동부(600)의 상부를 경유하고, 상기 회전체(400)의 인입테(410)를 경유한 후 최종적으로 다른 하나의 회동부(600)를 경유시킴으로써 송배전케이블(c)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의하면, 지지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에 맞춰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송배전케이블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부분이 한 부분에 집중되어 의존하지 않고 여러 구성들로 인해 송배전케이블의 무게하중 또는 전달되는 압력을 분산시켜서 장치의 파손 등을 억제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송배전케이블의 매설경로를 선택한 후, 그 케이블을 지지하는 회동부의 견고한 고정력과 더불어 내진 발생 시 그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하부몸체 110 : 제1결합홀
200 : 상부몸체 201 : 끼움홈 210 : 홀
220 : 제2결합홀 230 : 돌출턱
300 : 수직봉
400 : 회전체 401 : 삽입홈 410 : 인입테
500 : 탄성부재
600 : 회동부 601 : 안착홈 603 : 축
610 : 슬라이드부 620 : 홈부
700 : 가이드부 710 : 가이드홈 711 : 돌기
c : 송배전케이블

Claims (2)

  1. 지중의 전력구에 설치되어 송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g1)이 마련되고 상기 전력구와 결합하기 위해 상측 가장자리부에 제1결합홀(110)이 형성되는 하부몸체(100);
    내부에 공간(g2)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측 중앙부에 상기 공간(g2)과 연장되는 홀(210)이 형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1결합홀(110)과 대응하는 제2결합홀(220)이 형성되는 상부몸체(200);
    상기 홀(210) 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210)에 삽입되는 수직봉(300);
    상기 수직봉(300)의 상부에 끼움 구성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외주 둘레를 따라 인입테(410)를 가지는 회전체(400);
    상기 상, 하부몸체(200, 100)의 공간(g1, g2)에 위치되되 일측이 상기 수직봉(300)의 외주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 하부몸체(200, 100)의 내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500);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측에 구성되되, 4개의 방향에 각각 축(603) 설치되어 상기 송배전케이블(c)을 지지하며, 상기 축(603)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하부에 길게 형성되며 끝단이 만곡진형태의 슬라이드부(610)가 형성되는 회동부(600);
    상기 회동부(600)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부(6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710)이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600)의 회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가이드부(700); 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기 회동부(60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6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턱(23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7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돌기(7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71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부(610)의 끝단의 외측에는 상기 돌기(711)와 대응하는 형태의 홈부(620)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600)가 회동 후, 상기 돌기(711)가 홈부(6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지지장치.
  2. 삭제
KR1020190105616A 2019-08-28 2019-08-28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6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16A KR102063421B1 (ko) 2019-08-28 2019-08-28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16A KR102063421B1 (ko) 2019-08-28 2019-08-28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421B1 true KR102063421B1 (ko) 2020-01-07

Family

ID=6915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616A KR102063421B1 (ko) 2019-08-28 2019-08-28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73B1 (ko) 2022-12-28 2023-11-06 주식회사 정화엔지니어링 송배전 케이블의 고정력과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30B1 (ko) * 2013-10-25 2014-02-26 (주)성화이엔지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1504986B1 (ko) * 2014-12-01 2015-03-23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30B1 (ko) * 2013-10-25 2014-02-26 (주)성화이엔지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1504986B1 (ko) * 2014-12-01 2015-03-23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73B1 (ko) 2022-12-28 2023-11-06 주식회사 정화엔지니어링 송배전 케이블의 고정력과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403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KR102256158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1504986B1 (ko)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KR102085574B1 (ko)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68224B1 (ko) 케이블의 흔들림에 대처할 수 있는 회전이 가능한 전신주와 전력구 겸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0569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63421B1 (ko)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94400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83194B1 (ko) 건축용 지중선로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042388B1 (ko) 설치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신주용 송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98399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KR101865401B1 (ko) 배전선 위치 조정장치
KR101270507B1 (ko) 배전 케이블의 처짐 방지와 충격흡수에 용이한 지지고정대
KR101586068B1 (ko) 단지내 지하전력구 전기케이블 지지대
KR102035037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56155B1 (ko)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1771688B1 (ko)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매설 및 고정장치
KR101954847B1 (ko) 지하 전력구 분할 배전선로 지지대
KR102021357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KR102231312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KR101707338B1 (ko) 회전식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767616B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200484478Y1 (ko)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KR102148629B1 (ko)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