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403B1 -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 Google Patents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403B1
KR101777403B1 KR1020170041670A KR20170041670A KR101777403B1 KR 101777403 B1 KR101777403 B1 KR 101777403B1 KR 1020170041670 A KR1020170041670 A KR 1020170041670A KR 20170041670 A KR20170041670 A KR 20170041670A KR 101777403 B1 KR101777403 B1 KR 10177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underground distribu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복희
Original Assignee
(주)경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경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4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맨홀(M)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안착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지중배전선(L)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부(21)를 접속기구(2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접속기구(20)와;
회전부재(31)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삽입되는 삽입부(31a), 상방으로 개구되며 삽입부(31a)과 연통되는 체결홀(31b)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31)와, 연결부재(32)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연결홀(32a)을 구비하며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2)를 갖추고서, 접속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기구(30)와;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체결홀(31b)과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를 가압하는 고정부재(40)와;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51)와, 우측이 상기 제1볼트(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52) 및,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53a)을 구비하며 우측이 너트(5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53)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길이조절기구(50)와;
우측에 구비되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의 나사홈(53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61a), 상기 돌부(6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61b1)이 형성된 연결부(61b)를 구비한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의 연결부(61b)의 나사홀(61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62)를 갖추고서, 각각의 길이조절기구(50)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기구(60)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연결홈(71a)을 구비한 연결체(71)와, 연결체(7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72a),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72a)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72b)를 구비한 안착체(72)를 갖추고서, 각각의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와;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81a)을 구비하며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81)와,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볼트(81)의 나사홈(8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82a), 상기 돌부(82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82b1)이 형성된 연결부(82b)를 구비한 지지부재(82)와, 상기 연결부(82b)의 나사홀(82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83) 및, 상기 제2볼트(83)에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하중너트(84)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중조절기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Equipment For Installing An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에서 변전된 전력은 가공 또는 지중을 통해 배전이 이루어진다.
이중 지중을 통한 지중배전선 시공방법은 직접 매설식과, 관로를 만든 후 관로에 지중배전선을 수용하는 관로식, 지하에 동도를 파고 동도에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전력구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 중 관로식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배전선이 맨홀 내부로 노출되고 맨홀 내부에서 지중배전선이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맨홀 내부에서 연결되는 지중배전선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맨홀 내부로 인입된 지중배전선이 인입된 방향과 동일 선상이 아닌 다른 선상으로 인출될 시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85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맨홀 내부의 지중배전선의 처짐을 방지하고, 맨홀 내부의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맨홀(M)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안착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지중배전선(L)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부(21)를 접속기구(2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접속기구(20)와;
회전부재(31)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삽입되는 삽입부(31a), 상방으로 개구되며 삽입부(31a)과 연통되는 체결홀(31b)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31)와, 연결부재(32)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연결홀(32a)을 구비하며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2)를 갖추고서, 접속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기구(30)와;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체결홀(31b)과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를 가압하는 고정부재(40)와;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51)와, 우측이 상기 제1볼트(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52) 및, 제2볼트(53)의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53a)을 구비하며 우측이 너트(5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53)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길이조절기구(50)와;
높이조절기구(60)의 지지부재(61)의 우측에 구비되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의 나사홈(53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61a), 상기 돌부(6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61b1)이 형성된 연결부(61b)를 구비한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의 연결부(61b)의 나사홀(61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62)를 갖추고서, 각각의 길이조절기구(50)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기구(60)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연결홈(71a)을 구비한 연결체(71)와, 연결체(7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72a),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72a)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72b)를 구비한 안착체(72)를 갖추고서, 각각의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와;
제1볼트(81)의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81a)을 구비하며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81)와, 하중조절기구(80)의 지지부재(82)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볼트(81)의 나사홈(8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82a), 상기 돌부(82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82b1)이 형성된 연결부(82b)를 구비한 지지부재(82)와, 상기 연결부(82b)의 나사홀(82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83) 및, 상기 제2볼트(83)에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하중너트(84)를 갖추며, 지중배전선(L)이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에 설치됨에 따라, 회전기구(30)와 길이조절기구(50), 높이조절기구(60) 및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가 조립된 조립 구조물의 무게중심이, 지지기구(1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편심될 시, 상기 편심을 바로 잡도록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절기구(80)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기구(1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중배전선(L)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구(1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을 지지할 시, 지중배전선(L)의 배치 위치에 의해 지지기구(10)에 편심이 작용하면, 하중조절기구(80)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구(6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지중배전선(L)과 접속기구(20)의 연결 환경에 따라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구(5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중배전선(L)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의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안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안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의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하중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지중배전선이 조금 처지게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직경이 다른 지중배전선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서 지중배전선안착기구의 좌우 위치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접속기구의 다른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접속기구에 따른 하중조절기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X-X선에 따른 하중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의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안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안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의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하중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지기구(10)와, 접속기구(20)와, 회전기구(30)와, 고정부재(40)와, 길이조절기구(50)와, 높이조절기구(60)와,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 및, 하중조절기구(80)을 갖추고서, 맨홀(M)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맨홀(M)의 상부에는 맨홀(M)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D)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기구(10)는 지지부(11)와, 안착부(12)를 갖춘다.
상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는 맨홀(M)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1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는 둘레부가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부(11)의 둘레부에 구비된다.
상기 접속기구(20)는, 지중배전선(L)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부(21)를 접속기구(2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의 하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기구(20)는 접속기구(20)의 접속부(21)에 접속되는 각각의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 구성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접속기구(20)는 분전 기능을 갖추어, 접속기구(20)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L)으로부터의 전력이 접속기구(20)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지중배전선(L)으로 분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0)는 회전부재(31)와, 연결부재(32)를 갖추고서, 접속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부재(31)는 회전부재(31)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삽입되는 삽입부(31a)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삽입부(31a)과 연통되는 체결홀(31b)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32)는 연결부재(32)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연결홀(32a)을 구비하며,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32)는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회전기구(30)가 지지기구(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기구(10)를 맨홀(M)에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기구(30)의 위치를 조절하여, 회전기구(30)의 설치 위치를 편리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기구(30)는 지지기구(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지만, 지지기구(1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40)는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체결홀(31b)과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40)는 볼트 타입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기구(50)는 제1볼트(51)와, 너트(52) 및, 제2볼트(5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조절기구(5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기구(50)의 제1볼트(51)는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기구(50)의 너트(52)는 우측이 길이조절기구(50)의 제1볼트(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는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53a)을 구비하며, 우측이 너트(5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는 지지부재(61)와, 볼트(6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기구(6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각각의 길이조절기구(5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지지부재(61)는 돌부(61a)와, 연결부(61b)를 갖춘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돌부(61a)는 우측에 구비되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의 나사홈(53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연결부(61b)는 돌부(6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61b1)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는 높이조절기구(60)의 연결부(61b)의 나사홀(61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는 연결체(71)와, 안착체(72)를 갖추고서, 각각의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의 연결체(71)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연결홈(71a)을 갖춘다.
상기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의 안착체(72)는 연결체(7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72a)와, 좌우로 개구되며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72a)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72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72b)는 둘레부가 원호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은 상하로 일렬로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는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가 손상되었을 시,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를 하중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중조절기구(80)는 제1볼트(81)와, 지지부재(82)와, 제2볼트(83) 및, 하중너트(84)를 갖추며, 지중배전선(L)이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에 설치됨에 따라, 회전기구(30)와 길이조절기구(50), 높이조절기구(60) 및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가 조립된 조립 구조물의 무게중심이, 지지기구(1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편심될 시, 상기 편심을 바로 잡도록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중조절기구(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조절기구(80)의 제1볼트(81)는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81a)을 구비하며,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하중조절기구(80)의 지지부재(82)는 돌부(82a)와, 연결부(82b)를 갖춘다.
상기 하중조절기구(80)의 돌부(82a)는 우측에 구비되며, 하중조절기구(80)의 제1볼트(81)의 나사홈(8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하중조절기구(80)의 연결부(82b)는 하중조절기구(80)의 돌부(82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82b1)이 형성된 연결부(82b)를 갖춘다.
상기 하중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는 하중조절기구(80)의 연결부(82b)의 나사홀(82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하중조절기구(80)의 하중너트(84)는 하중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에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중너트(84)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지중배전선이 조금 처지게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직경이 다른 지중배전선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서 지중배전선안착기구의 좌우 위치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접속기구의 다른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접속기구에 따른 하중조절기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X-X선에 따른 하중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에 지중배전선(L)을 설치하여,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와 접속기구(20)의 연결 환경에 따라 지중배전선(L)에 처짐을 줄 필요성이 있을 시, 작업자는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 12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조금 처지도록 설치하면, 지중배전선(L)과 접속기구(20) 간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62)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시, 상기 볼트(62)와 결합된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의 연결체(71)가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의 안착체(7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지중배전선(L)의 비틀림 없이 상기 볼트(62)의 상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을 갖는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하고자 하는 지중배전선(L)의 직경과 맞는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의 상하 위치를 맞춘 후,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에 지중배전선(L)을 삽입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을 지지하고자 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4와 같이 길이조절기구(50)를 통해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지중배전선(L)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맨홀(M)의 내벽으로부터 접속기구(20)까지의 이격거리에 상관없이 최적의 위치에서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5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접속기구(20)에 설치될 시, 지중배전선(L)의 하중이 편심되게 작용하여, 지지기구(10)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구(50) 및 높이조절기구(60)에 대향되는 위치에 하중조절기구(80)를 도 16(도 16에서 화살표는 지중배전선 간의 연결 방향)과 같이 각각 설치하여, 편심되게 작용되는 지중배전선(L)의 하중이 보다 고르게 분포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17과 같이 하중조절기구(80)의 하중너트(84)의 개수 조절을 통해 지중배전선(L)에 의해 발생하는 편심의 분산을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중조절기구(80)는 2개가 구비되지만, 하나의 하중조절기구(80)를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 중 편심을 바로 잡기 좋은 연결부재(32)에 설치하여, 하중너트(84)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지중배전선(L)에 의해 발생하는 편심을 바로 잡을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가 손상되었을 시,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를 하중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하중조절기구(80) 중 어느 하나의 하중조절기구(80)를 회전기구(30)에서 분리한 후, 분리한 하중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를 손상된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를 대신해 상기 높이조절기구(60)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분리하지 않은 하중조절기구(8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하중조절기구(80)의 하중너트(84)의 개수를 조절하여, 분리한 하중조절기구(80)에 의해 발생한 힘의 불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지기구(1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중배전선(L)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구(1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을 지지할 시, 지중배전선(L)의 배치 위치에 의해 지지기구(10)에 편심이 작용하면, 하중조절기구(80)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구(6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지중배전선(L)과 접속기구(20)의 연결 환경에 따라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구(5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중배전선(L)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직경에 관계 없이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기구(20)를 통해 다양한 방향에서 맨홀(M)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가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가 손상되었을 시 하중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를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 대신 사용할 수 있어, 갑자기 발생한 부품의 문제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통해,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 간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는 맨홀(M) 내의 지중배전라인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기구 20; 접속기구
30; 회전기구 40; 고정부재
50; 길이조절기구 60; 높이조절기구
70; 지중배전선안착기구 80; 하중조절기구

Claims (1)

  1. 맨홀(M)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안착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지중배전선(L)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부(21)를 접속기구(2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접속기구(20)와;
    회전부재(31)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삽입되는 삽입부(31a), 상방으로 개구되며 삽입부(31a)과 연통되는 체결홀(31b)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31)와, 연결부재(32)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연결홀(32a)을 구비하며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2)를 갖추고서, 접속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기구(30)와;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체결홀(31b)과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를 가압하는 고정부재(40)와;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51)와, 우측이 상기 제1볼트(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52) 및, 제2볼트(53)의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53a)을 구비하며 우측이 너트(5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53)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길이조절기구(50)와;
    높이조절기구(60)의 지지부재(61)의 우측에 구비되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의 나사홈(53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61a), 상기 돌부(6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61b1)이 형성된 연결부(61b)를 구비한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의 연결부(61b)의 나사홀(61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62)를 갖추고서, 각각의 길이조절기구(50)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기구(60)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연결홈(71a)을 구비한 연결체(71)와, 연결체(7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72a),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72a)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72b)를 구비한 안착체(72)를 갖추고서, 각각의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와;
    제1볼트(81)의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81a)을 구비하며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81)와, 하중조절기구(80)의 지지부재(82)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볼트(81)의 나사홈(8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82a), 상기 돌부(82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82b1)이 형성된 연결부(82b)를 구비한 지지부재(82)와, 상기 연결부(82b)의 나사홀(82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83) 및, 상기 제2볼트(83)에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하중너트(84)를 갖추며, 지중배전선(L)이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에 설치됨에 따라, 회전기구(30)와 길이조절기구(50), 높이조절기구(60) 및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가 조립된 조립 구조물의 무게중심이, 지지기구(1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편심될 시, 상기 편심을 바로 잡도록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절기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KR1020170041670A 2017-03-31 2017-03-31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KR10177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670A KR101777403B1 (ko) 2017-03-31 2017-03-31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670A KR101777403B1 (ko) 2017-03-31 2017-03-31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403B1 true KR101777403B1 (ko) 2017-09-12

Family

ID=5992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670A KR101777403B1 (ko) 2017-03-31 2017-03-31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403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52B1 (ko) 2019-01-30 2019-06-10 (주)건영전기 신속한 이상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1984159B1 (ko) 2019-01-29 2019-06-10 (주)건영전기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가능한 분배용 연결 커넥터
KR101999169B1 (ko) 2019-02-14 2019-07-11 경원기업(주) 지중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KR101999168B1 (ko) 2019-02-15 2019-07-11 경원기업(주) 안정적 지중배전라인 연결을 위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061060B1 (ko) 2019-08-07 2019-12-3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061059B1 (ko) 2019-08-08 2019-12-3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지중배전라인 안전 연결용 접속장치
KR102073857B1 (ko) * 2019-08-13 2020-02-05 (주)제이에이치전력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076183B1 (ko) * 2019-08-12 2020-02-11 주식회사 넥스트이엔지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KR102112284B1 (ko) * 2020-02-11 2020-05-18 경원기업(주)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439260B1 (ko) * 2022-01-14 2022-09-02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457795B1 (ko) * 2022-01-17 2022-10-24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지중배전선의 코너 배치가 편리한 편의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457762B1 (ko) * 2022-01-21 2022-10-24 부창엔지니어링(주)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KR102457764B1 (ko) * 2022-01-20 2022-10-24 부창엔지니어링(주) 전력구내 설치가 편리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80B1 (ko) * 2007-12-28 2008-10-10 (주)성우엔지니어링 수건축사사무소 전선케이블관 유동 방지장치
KR101447208B1 (ko) * 2014-06-27 2014-10-06 김미희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80B1 (ko) * 2007-12-28 2008-10-10 (주)성우엔지니어링 수건축사사무소 전선케이블관 유동 방지장치
KR101447208B1 (ko) * 2014-06-27 2014-10-06 김미희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59B1 (ko) 2019-01-29 2019-06-10 (주)건영전기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가능한 분배용 연결 커넥터
KR101984152B1 (ko) 2019-01-30 2019-06-10 (주)건영전기 신속한 이상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1999169B1 (ko) 2019-02-14 2019-07-11 경원기업(주) 지중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KR101999168B1 (ko) 2019-02-15 2019-07-11 경원기업(주) 안정적 지중배전라인 연결을 위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061060B1 (ko) 2019-08-07 2019-12-3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061059B1 (ko) 2019-08-08 2019-12-3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지중배전라인 안전 연결용 접속장치
KR102076183B1 (ko) * 2019-08-12 2020-02-11 주식회사 넥스트이엔지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KR102073857B1 (ko) * 2019-08-13 2020-02-05 (주)제이에이치전력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112284B1 (ko) * 2020-02-11 2020-05-18 경원기업(주)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439260B1 (ko) * 2022-01-14 2022-09-02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457795B1 (ko) * 2022-01-17 2022-10-24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지중배전선의 코너 배치가 편리한 편의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457764B1 (ko) * 2022-01-20 2022-10-24 부창엔지니어링(주) 전력구내 설치가 편리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457762B1 (ko) * 2022-01-21 2022-10-24 부창엔지니어링(주)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403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KR101787090B1 (ko)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KR101791968B1 (ko)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CN101177946B (zh) 用于盖的带支撑边框的道路孔闭合装置
KR200463402Y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US20100270056A1 (en) Breaker with Improved Shipping Configuration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KR101767616B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N209484216U (zh) 一种气象监测设备安装支架
KR101023361B1 (ko) 관높이 조절용 배관 지지대
AU2017258602B2 (en) Spider bushing assembly for a gyratory crusher
KR102551468B1 (ko)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1777404B1 (ko) 습기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160764B1 (ko) 높이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102148629B1 (ko)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N103797270B (zh) 防振装置
KR100914936B1 (ko) 송전선 배전반 고정플레이트
CN108513472A (zh) 一种悬挂式电气柜的安装结构
CN210428704U (zh) 一种银行监控装置
CN107263084A (zh) 带有变矩机构的拧紧轴装置
CN104040103B (zh) 用于运输轴和臂组件的高度调节装置
KR102498490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CN213271987U (zh) 一种切丝机集中润滑泵安装座
KR102221440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에 결착되는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고정부재
CN211378545U (zh) 一种电气设备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