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090B1 -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 Google Patents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090B1
KR101787090B1 KR1020170047365A KR20170047365A KR101787090B1 KR 101787090 B1 KR101787090 B1 KR 101787090B1 KR 1020170047365 A KR1020170047365 A KR 1020170047365A KR 20170047365 A KR20170047365 A KR 20170047365A KR 101787090 B1 KR101787090 B1 KR 10178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합)미래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미래전력 filed Critical (합)미래전력
Priority to KR102017004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맨홀(M)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 간을 연결하는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는,
맨홀(M) 내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3)과, 고정브라켓(13)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안착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지중배전선(L)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부(21)를 커넥팅기구(2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팅기구(20)와;
회전부재(31)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삽입되는 삽입부(31a), 상방으로 개구되며 삽입부(31a)과 연통되는 체결홀(31b)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31)와, 연결부재(32)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연결홀(32a)을 구비하며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2)를 갖추고서, 커넥팅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기구(30)와;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체결홀(31b)과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를 가압하는 고정부재(40)와;
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91)을 구비하여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기구(90)와;
커넥팅기구(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대(101)와, 고정대(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정렬대(102a), 제1정렬대(10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정렬대(102b), 하단이 제2정렬대(102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이 고정기구(90)의 삽입홈(9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정렬대(102c)를 구비한 정렬부재(102)를 갖춘 정렬기구(100)와;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51)와, 우측이 상기 제1볼트(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52) 및,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53a)을 구비하며 우측이 너트(5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53)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길이조절기구(50)와;
우측에 구비되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의 나사홈(53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61a), 상기 돌부(6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61b1)이 형성된 연결부(61b)를 구비한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의 연결부(61b)의 나사홀(61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62)를 갖추고서, 각각의 길이조절기구(50)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기구(60)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연결홈(71a)을 구비한 연결체(71)와, 연결체(7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72a),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72a)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72b)를 구비한 안착체(72)를 갖추고서, 각각의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와;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재(111)와, 체결부재(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112) 및, 내부에 소화분말이 저장되고, 각각의 지지대(112)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상방에 위치하되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의 양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소화분말저장부재(113)를 갖춘 소화기구(110)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121)와, 결합부(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받침부(122)을 갖춘 소화분말받침기구(120)와;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81a)을 구비하며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81)와,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볼트(81)의 나사홈(8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82a), 상기 돌부(82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82b1)이 형성된 연결부(82b)를 구비한 지지부재(82)와, 상기 연결부(82b)의 나사홀(82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83) 및, 상기 제2볼트(83)에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하중너트(84)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균형조절기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Power Distribution Line Equipment For An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에서 변전된 전력은 가공 또는 지중을 통해 배전이 이루어진다.
이중 지중을 통한 지중배전선 시공방법은 직접 매설식과, 관로를 만든 후 관로에 지중배전선을 수용하는 관로식, 지하에 동도를 파고 동도에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전력구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 중 관로식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배전선이 도 1과 같이 맨홀(1) 내부로 노출되고 맨홀 내부에서 지중배전선(2)이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지중배전선에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지중배전선을 따라 화염이 급속도로 진행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맨홀 내부에서 연결되는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없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맨홀 내부로 인입된 지중배전선이 인입된 방향과 동일 선상이 아닌 다른 선상으로 인출될 시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465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배전선의 화재 진행을 신속하게 차단하고, 맨홀 내부의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맨홀(M)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 간을 연결하는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는,
맨홀(M) 내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3)과, 고정브라켓(13)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안착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지중배전선(L)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부(21)를 커넥팅기구(2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팅기구(20)와;
회전부재(31)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삽입되는 삽입부(31a), 상방으로 개구되며 삽입부(31a)과 연통되는 체결홀(31b)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31)와, 연결부재(32)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연결홀(32a)을 구비하며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2)를 갖추고서, 커넥팅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기구(30)와;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체결홀(31b)과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를 가압하는 고정부재(40)와;
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91)을 구비하여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기구(90)와;
커넥팅기구(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대(101)와, 고정대(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정렬대(102a), 제1정렬대(10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정렬대(102b), 하단이 제2정렬대(102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이 고정기구(90)의 삽입홈(9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정렬대(102c)를 구비한 정렬부재(102)를 갖춘 정렬기구(100)와;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51)와, 우측이 상기 제1볼트(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52) 및,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53a)을 구비하며 우측이 너트(5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53)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길이조절기구(50)와;
우측에 구비되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의 나사홈(53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61a), 상기 돌부(6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61b1)이 형성된 연결부(61b)를 구비한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의 연결부(61b)의 나사홀(61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62)를 갖추고서, 각각의 길이조절기구(50)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기구(60)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연결홈(71a)을 구비한 연결체(71)와, 연결체(7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72a),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72a)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72b)를 구비한 안착체(72)를 갖추고서, 각각의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와;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재(111)와, 체결부재(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112) 및, 내부에 소화분말이 저장되고, 각각의 지지대(112)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상방에 위치하되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의 양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소화분말저장부재(113)를 갖춘 소화기구(110)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121)와, 결합부(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받침부(122)을 갖춘 소화분말받침기구(120)와;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81a)을 구비하며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81)와,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볼트(81)의 나사홈(8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82a), 상기 돌부(82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82b1)이 형성된 연결부(82b)를 구비한 지지부재(82)와, 상기 연결부(82b)의 나사홀(82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83) 및, 상기 제2볼트(83)에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하중너트(84)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균형조절기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을 따라 화염이 진행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대형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낙하한 소화분말이 소화분말받침기구(120)에 안착되어 지중배전선(L) 하부의 화재가 효과적으로 진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팅기구(20)의 접속부(21)와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를 상하로 동일선상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커넥팅기구(20)의 접속부(21)에 연결되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지중배전선(L)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구(1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을 지지할 시, 지중배전선(L)의 배치 위치에 의해 지지기구(10)에 편심이 작용하면, 균형조절기구(80)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구(6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지중배전선(L)과 커넥팅기구(20)의 연결 환경에 따라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구(5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중배전선(L)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직경에 관계 없이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가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가 손상되었을 시 균형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를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 대신 사용할 수 있어, 갑자기 발생한 부품의 문제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의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정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팅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거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의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균형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서 소화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서 지중배전선이 조금 처지게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서 직경이 다른 지중배전선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서 지중배전선거치기구의 좌우 위치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커넥팅기구의 또 다른 설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는 도 22의 커넥팅기구의 또 다른 설치 방식에 따른 균형조절기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X-X선에 따른 균형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서 정렬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의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정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팅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거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의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균형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맨홀(M)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 간을 연결하는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에 있어서, 지지기구(10)와, 커넥팅기구(20)와, 회전기구(30)와, 고정부재(40)와, 고정기구(90)와, 정렬기구(100)와, 길이조절기구(50)와, 높이조절기구(60)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와, 소화기구(110)와, 소화분말받침기구(120) 및, 균형조절기구(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맨홀(M)의 상부에는 맨홀(M)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D)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기구(10)는 고정브라켓(13)과, 지지부(11) 및, 안착부(12)를 갖춘다.
상기 지지기구(10)의 고정브라켓(13)은 맨홀(M) 내부의 상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브라켓(13)은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는 고정브라켓(13)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1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는 둘레부가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부(11)의 둘레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12)는 커넥팅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커넥팅기구(20)는, 지중배전선(L)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부(21)를 커넥팅기구(2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팅기구(20)는 커넥팅기구(20)의 접속부(21)에 접속되는 각각의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 구성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넥팅기구(20)는 분전 기능을 갖추어, 커넥팅기구(20)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L)으로부터의 전력이 커넥팅기구(20)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지중배전선(L)으로 분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0)는 회전부재(31)와, 연결부재(32)를 갖추고서, 커넥팅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부재(31)는 회전부재(31)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삽입되는 삽입부(31a)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삽입부(31a)과 연통되는 체결홀(31b)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32)는 연결부재(32)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연결홀(32a)을 구비하며,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32)는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회전기구(30)가 지지기구(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기구(10)를 맨홀(M)에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기구(30)의 위치를 조절하여, 회전기구(30)의 설치 위치를 편리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기구(30)는 지지기구(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지만, 지지기구(1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40)는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체결홀(31b)과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40)는 볼트 타입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기구(90)는 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91)을 구비하여,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정렬기구(100)는 고정대(101)와, 고정대(101)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부재(102)를 갖춘다.
상기 고정대(101)는 커넥팅기구(2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정렬부재(102)는 고정대(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정렬대(102a)와, 제1정렬대(10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정렬대(102b) 및, 하단이 제2정렬대(102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이 고정기구(90)의 삽입홈(9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정렬대(102c)를 갖춘다.
상기 길이조절기구(50)는 제1볼트(51)와, 너트(52) 및, 제2볼트(5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조절기구(5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기구(50)의 제1볼트(51)는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기구(50)의 너트(52)는 우측이 길이조절기구(50)의 제1볼트(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는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53a)을 구비하며, 우측이 너트(5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는 지지부재(61)와, 볼트(6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기구(6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각각의 길이조절기구(5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지지부재(61)는 돌부(61a)와, 연결부(61b)를 갖춘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돌부(61a)는 우측에 구비되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의 나사홈(53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연결부(61b)는 돌부(6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61b1)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는 높이조절기구(60)의 연결부(61b)의 나사홀(61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는 연결체(71)와, 안착체(72)를 갖추고서, 각각의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연결체(71)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연결홈(71a)을 갖춘다.
상기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는 연결체(7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72a)와, 좌우로 개구되며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72a)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72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72b)는 둘레부가 원호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은 상하로 일렬로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는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가 손상되었을 시,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를 균형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구(110)는 체결부재(111)와, 지지대(112) 및, 소화분말저장부재(113)를 갖춘다.
상기 체결부재(111)는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111)는 너트 타입을 이룬다.
상기 지지대(112)는 체결부재(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싱에서 지지대(112)는 'ㄱ'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소화분말저장부재(113)는 내부에 소화분말이 저장되고, 각각의 지지대(112)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상방에 위치하되,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의 양측방에 각각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분말저장부재(113)는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화분말은 일반적으로 소화기에 적용되는 소화분말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소화분말받침기구(120)는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121)와, 결합부(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받침부(122)을 갖춘다.
상기 균형조절기구(80)는 제1볼트(81)와, 지지부재(82)와, 제2볼트(83) 및, 하중너트(84)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균형조절기구(80)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균형조절기구(80)의 제1볼트(81)는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81a)을 구비하며,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균형조절기구(80)의 지지부재(82)는 돌부(82a)와, 연결부(82b)를 갖춘다.
상기 균형조절기구(80)의 돌부(82a)는 우측에 구비되며, 균형조절기구(80)의 제1볼트(81)의 나사홈(8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균형조절기구(80)의 연결부(82b)는 균형조절기구(80)의 돌부(82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82b1)이 형성된 연결부(82b)를 갖춘다.
상기 균형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는 균형조절기구(80)의 연결부(82b)의 나사홀(82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균형조절기구(80)의 하중너트(84)는 균형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에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중너트(84)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소화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서 지중배전선이 조금 처지게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서 직경이 다른 지중배전선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서 지중배전선거치기구의 좌우 위치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커넥팅기구의 또 다른 설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는 도 22의 커넥팅기구의 또 다른 설치 방식에 따른 균형조절기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X-X선에 따른 균형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서 정렬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6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과 같이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에 지중배전선(L)을 거치하여,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커넥팅기구(20)에 화재가 발생하여 도 16과 같이 지중배전선(L)을 따라 화재가 진행할 시, 소화기구(110)의 소화분말저장부재(113)가 화염과 접촉하면서 터지고, 이에 따라 소화분말이 하방으로 분산되면서 낙하한다.
그러면, 지중배전선(L)을 따라 진행하는 화재가 상기 소화분말에 의해 진압된다. 특히 본 발명은 낙하하는 소화분말이 소화분말받침기구(120)에 안착되어, 지중배전선(L)의 하부 화염을 진압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와 커넥팅기구(20)의 연결 환경에 따라 지중배전선(L)에 처짐을 줄 필요성이 있을 시, 작업자는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 17과 같이 지중배전선(L)이 조금 처지도록 설치하면, 지중배전선(L)과 커넥팅기구(20) 간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62)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시, 상기 볼트(62)와 결합된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연결체(71)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지중배전선(L)의 비틀림 없이 상기 볼트(62)의 상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을 갖는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8과 같이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하고자 하는 지중배전선(L)의 직경과 맞는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의 상하 위치를 맞춘 후,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에 지중배전선(L)을 삽입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을 지지하고자 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9와 같이 길이조절기구(50)를 통해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지중배전선(L)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맨홀(M)의 내벽으로부터 커넥팅기구(20)까지의 이격거리에 상관없이 최적의 위치에서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0과 같이 지중배전선(L)이 커넥팅기구(20)에 설치될 시, 지중배전선(L)의 하중이 편심되게 작용하여, 지지기구(10)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길이조정기구(50)의 및 높이조절기구(60)에 대향되는 위치에 균형조절기구(80)를 도 21(도 21에서 화살표는 지중배전선 간의 연결 방향)과 같이 각각 설치하여, 편심되게 작용되는 지중배전선(L)의 하중이 보다 고르게 분포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2와 같이 균형조절기구(80)의 하중너트(84)의 개수 조절을 통해 지중배전선(L)에 의해 발생하는 편심의 분산을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균형조절기구(80)는 2개가 구비되지만, 하나의 균형조절기구(80)를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 중 편심을 바로 잡기 좋은 연결부재(32)에 설치하여, 하중너트(84)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지중배전선(L)에 의해 발생하는 편심을 바로 잡을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가 손상되었을 시,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를 균형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균형조절기구(80) 중 어느 하나의 균형조절기구(80)를 회전기구(30)에서 분리한 후, 분리한 균형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를 손상된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를 대신해 상기 높이조절기구(60)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분리하지 않은 균형조절기구(8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균형조절기구(80)의 하중너트(84)의 개수를 조절하여, 분리한 균형조절기구(80)에 의해 발생한 힘의 불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넥팅기구(20)를 회전시켜 커넥팅기구(20)의 접속부(21)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넥터(20)의 접속부(21)의 위치를 설정한 후,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와 커넥팅기구(20)의 접속부(21)가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본 발명은 정렬부재(102)를 도 23과 같이 회전시킨 후, 정렬부재(102)의 제2정렬대(102b) 및 제3정렬대(102c)를 당겨 길이 조절을 한 후, 제3정렬대(102c)의 상단을 고정기구(90)의 삽입홈(91)에 삽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은 커넥팅기구(20)의 접속부(21)와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가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지중배전선(L), 길이조절기구(50), 높이조절기구(60), 지중배전선안착기구(70)를 설치하기 편리하다.
여기서, 지중배전선(L) 설치 완료 후, 작업자는 정렬기구(1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거나 그대로 둘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을 따라 화염이 진행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대형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낙하한 소화분말이 소화분말받침기구(120)에 안착되어 지중배전선(L) 하부의 화재가 효과적으로 진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팅기구(20)의 접속부(21)와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를 상하로 동일선상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커넥팅기구(20)의 접속부(21)에 연결되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지중배전선(L)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구(1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중배전선(L)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구(1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을 지지할 시, 지중배전선(L)의 배치 위치에 의해 지지기구(10)에 편심이 작용하면, 균형조절기구(80)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구(6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지중배전선(L)과 커넥팅기구(20)의 연결 환경에 따라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구(5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중배전선(L)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를 통해 지중배전선(L)의 직경에 관계 없이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가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가 손상되었을 시 균형조절기구(80)의 제2볼트(83)를 상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 대신 사용할 수 있어, 갑자기 발생한 부품의 문제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13)을 갖춘 지지기구(10)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L)을 맨홀(M) 내부에 거치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로 정의하였다.
10; 지지기구 20; 커넥팅기구
30; 회전기구 40; 고정부재
50; 길이조절기구 60; 높이조절기구
70; 지중배전선거치기구 80; 균형조절기구
90; 고정기구 100; 정렬기구
110; 소화기구 120; 소화분말받침기구

Claims (1)

  1. 맨홀(M)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 간을 연결하는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는,
    맨홀(M) 내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3)과, 고정브라켓(13)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안착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지중배전선(L)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부(21)를 커넥팅기구(2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기구(10)의 지지부(1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팅기구(20)와;
    회전부재(31)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삽입되는 삽입부(31a), 상방으로 개구되며 삽입부(31a)과 연통되는 체결홀(31b)을 구비하여,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31)와, 연결부재(32)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연결홀(32a)을 구비하며 회전부재(31)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2)를 갖추고서, 커넥팅기구(20)의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기구(30)와;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체결홀(31b)과 나사산 결합되어, 지지기구(10)의 안착부(12)를 가압하는 고정부재(40)와;
    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91)을 구비하여 회전기구(30)의 회전부재(31)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기구(90)와;
    커넥팅기구(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대(101)와, 고정대(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정렬대(102a), 제1정렬대(10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정렬대(102b), 하단이 제2정렬대(102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이 고정기구(90)의 삽입홈(9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정렬대(102c)를 구비한 정렬부재(102)를 갖춘 정렬기구(100)와;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51)와, 우측이 상기 제1볼트(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52) 및,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53a)을 구비하며 우측이 너트(5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53)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길이조절기구(50)와;
    우측에 구비되며 길이조절기구(50)의 제2볼트(53)의 나사홈(53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61a), 상기 돌부(61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61b1)이 형성된 연결부(61b)를 구비한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의 연결부(61b)의 나사홀(61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62)를 갖추고서, 각각의 길이조절기구(50)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높이조절기구(60)와;
    상방으로 개구되며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연결홈(71a)을 구비한 연결체(71)와, 연결체(7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72a),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지중배전선삽입홀(72b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72a)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72b)를 구비한 안착체(72)를 갖추고서, 각각의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와;
    높이조절기구(60)의 볼트(6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재(111)와, 체결부재(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112) 및, 내부에 소화분말이 저장되고, 각각의 지지대(112)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상방에 위치하되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의 양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소화분말저장부재(113)를 갖춘 소화기구(110)와;
    지중배전선거치기구(70)의 안착체(7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121)와, 결합부(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받침부(122)을 갖춘 소화분말받침기구(120)와;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나사홈(81a)을 구비하며 우측이 회전기구(30)의 연결부재(32)의 연결홀(3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볼트(81)와,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볼트(81)의 나사홈(8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돌부(82a), 상기 돌부(82a)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나사홀(82b1)이 형성된 연결부(82b)를 구비한 지지부재(82)와, 상기 연결부(82b)의 나사홀(82b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83) 및, 상기 제2볼트(83)에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하중너트(84)를 갖추고서, 회전기구(30)의 각각의 연결부재(3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균형조절기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KR1020170047365A 2017-04-12 2017-04-12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KR10178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65A KR101787090B1 (ko) 2017-04-12 2017-04-12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65A KR101787090B1 (ko) 2017-04-12 2017-04-12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090B1 true KR101787090B1 (ko) 2017-10-18

Family

ID=6029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365A KR101787090B1 (ko) 2017-04-12 2017-04-12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0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51B1 (ko) 2018-03-26 2018-09-28 (합)미래전력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KR101924585B1 (ko) 2018-08-29 2018-12-03 이수기술(주)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송전 연결기구
KR102047357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2047366B1 (ko) * 2019-06-28 2019-11-21 주식회사 해암전기 제연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047358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047810B1 (ko) * 2019-06-28 2019-11-22 주식회사 해암전기 다양한 지중배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배전용 커넥팅 기구
KR102179110B1 (ko) * 2020-01-20 2020-11-16 이정국 가공배전선로의 화재방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80B1 (ko) * 2007-12-28 2008-10-10 (주)성우엔지니어링 수건축사사무소 전선케이블관 유동 방지장치
KR101447208B1 (ko) * 2014-06-27 2014-10-06 김미희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KR101587515B1 (ko) * 2015-07-29 2016-01-21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80B1 (ko) * 2007-12-28 2008-10-10 (주)성우엔지니어링 수건축사사무소 전선케이블관 유동 방지장치
KR101447208B1 (ko) * 2014-06-27 2014-10-06 김미희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KR101587515B1 (ko) * 2015-07-29 2016-01-21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51B1 (ko) 2018-03-26 2018-09-28 (합)미래전력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KR101924585B1 (ko) 2018-08-29 2018-12-03 이수기술(주)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송전 연결기구
KR102047366B1 (ko) * 2019-06-28 2019-11-21 주식회사 해암전기 제연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047810B1 (ko) * 2019-06-28 2019-11-22 주식회사 해암전기 다양한 지중배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배전용 커넥팅 기구
KR102047357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2047358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179110B1 (ko) * 2020-01-20 2020-11-16 이정국 가공배전선로의 화재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090B1 (ko)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지중배전용 배전선 거치대
KR101777403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KR101081571B1 (ko)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791968B1 (ko)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US8070120B2 (en) Vertical motion pendant arm
KR101752402B1 (ko) 내진기능이 부설된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KR200463402Y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KR101038975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곡선지지장치
JP6814952B2 (ja) 表示装置およびスタンドセット
KR101916333B1 (ko) 변전설비의 낙뢰 방지시스템
KR101664679B1 (ko) 방진장치
KR20190075265A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1795013B1 (ko) 활선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장치
KR20180031525A (ko) 케이블의 흔들림에 대처할 수 있는 회전이 가능한 전신주와 전력구 겸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0991972B1 (ko) 수배전반용 방진구
KR102042388B1 (ko) 설치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신주용 송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20110060430A (ko) 전기/전자제어설비 상부 내진보강 시스템
KR101767616B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200452758Y1 (ko) 모니터거치대
KR100962343B1 (ko)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KR101752828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기케이블 트레이 고정대
JP4550121B2 (ja) 配電機器を収納した外箱におけるケーブル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CN106402497B (zh) 一种自动均分的转角电缆支架
KR101777404B1 (ko) 습기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0979767B1 (ko) 배전선의 위치조정용 전선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