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451B1 -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451B1
KR102415451B1 KR1020220023490A KR20220023490A KR102415451B1 KR 102415451 B1 KR102415451 B1 KR 102415451B1 KR 1020220023490 A KR1020220023490 A KR 1020220023490A KR 20220023490 A KR20220023490 A KR 20220023490A KR 102415451 B1 KR102415451 B1 KR 10241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late panel
unit
driv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욱춘
Original Assignee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Abstract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은 설치홈(11-1)을 갖추고서, 전주(P)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바디부(11)와, 일측에 개구부(12-1)를 갖추고서, 바디부(11)에 고정설치되는 커버(12)로 이루어진 완철(10); 설치홈(1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를 포함하는 절연애자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애자 고정장치는 현장에 설치되는 모니터설비에 의하여 설치와 이송을 포함하는 취급과정 및 상기 현장에 대한 특정구역의 감시가 수행된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Insulator system for distribution circuit equipped with transformer and method for buil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완철에 설치되어 공동주택 주변의 전신주에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애자가 손상된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절연애자의 설치와 유지 보수 관리를 위한 제반시설의 운영에 있어 특정된 영역을 용이하게 통제 관리하여 주변의 상황관리가 용이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관리수단을 제공함에 있어 다수가 아닌 최소한도의 수로 마련하여 특정된 다수 영역 상의 통제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감시 분석하며 관리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보호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이와 관련된 주변의 제반요소를 복합적으로 개선하여 관리하는 것이필요하다.
예컨데 완철에 설치되어 공동주택 주변의 전신주에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애자가 손상된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절연애자와 관련된 제반구조물의 설치 보수 등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제반구조물의 설치 보수에 있어 특정 영역을 감시 관리하여 비선별인원의 통제, 사고발생이 있는 상황의 실시간 관리 등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한 수단 자체의 안정적인 물리적 구조가 복합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모두 만족시키는 수단은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02422호(2010. 12. 13.)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완철에 설치되어 공동주택 주변의 전신주에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동시에 애자가 손상된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절연애자의 설치와 유지 보수 관리를 위한 제반시설의 운영에 있어 특정된 영역을 용이하게 통제 관리하여 주변의 상황관리가 용이한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관리수단을 제공함에 있어 다수가 아닌 최소한도의 수로 마련하여 다수의 특정된 영역 상의 통제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감시 분석하며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은 일단이 개방된 설치홈(11-1)을 갖추고서, 전주(P)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바디부(11)와, 일측에 개구부(12-1)를 갖추고서, 바디부(11)에 고정설치되는 커버(12)로 이루어진 완철(10); 설치홈(1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 개구부(12-1)에 배치되는 회전드럼(30); 일단에 고정부(41)을 갖추고서, 타단이 회전드럼(30)의 둘레면에 설치고정되는 절연부재(40); 커버(12)에 체결되어 회전드럼(30)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 및 구동모터(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70)로 구성되는 애자 고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애자 고정장치는 현장에 설치되는 모니터설비에 의하여 설치와 이송을 포함하는 취급과정 및 상기 현장에 대한 특정구역의 감시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철에 설치되어 공동주택 주변의 전신주에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동시에 애자가 손상된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 관리를 위한 제반시설의 운영에 있어 특정된 영역을 용이하게 통제 관리하여 주변의 상황관리가 용이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관리수단을 제공함에 있어 다수가 아닌 최소한도의 수로 마련하여 다수의 특정된 영역 상의 통제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감시 분석하며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자체적인 연동고정력을 제공하고 내진성능 대응력에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에서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이탈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는 공동주택 주변의 전주(P) 상부에 고정밴드(B)를 매개로 설치고정되는 완철(10), 완철(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 구동모터(20)에 설치되는 회전드럼(30), 회전드럼(30)의 둘레면에 설치 고정되는 절연부재(40), 회전드럼(30)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 완철(10)의 상면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배전선로(L)가 안착될 수 있도록 된 선로지지부(60) 및 완철(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0)를 동작제어하는 스위치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완철(10)은, 일단이 개방된 설치홈(11-1)을 갖추고서, 전주(P)의 상부에 고정밴드(B)를 매개로 전주(P)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바디부(11)와, 일측에 개구부(12-1)를 갖추고서, 설치홈(11-1)이 형성된 바디부(11)에 다수개의 나사부(S)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커버(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설치홈(11-1)이 형성된 외면 가장자리에는 체결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형성되어 나사부(S)가 체결된다. 상기 커버(12)의 외면에는 적어도 2면이 이상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개구부(12-1)가 형성되며, 개구부(12-1)로 이후에 설명될 회전드럼(30)과 스페이서(S)가 삽입된다.
상기 커버(12)는 가장자리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착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으로 다수개의 나사부(S)와 축지지부재(50)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바디부(11)의 설치홈(11-1)에는 구동모터(20)가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데, 구동모터(20)에는 외면에 다수개의 요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스플라인축(2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플라인축(21)은 이후에 설명될 회전드럼(30)의 삽입홈(31)과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0)가 회전될 때에 스플라인축(21)과 삽입홈(31)이 요철 형태로 이루면서 상호 맞물리게 결합됨으로, 회전드럼(30)을 용이하게 회동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드럼(30)에 설치되는 절연부재(40) 및 절연부재(40)에 고정되는 배전선로(L)의 자중을 맞물린 상태에서 지지함으로 견실하게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20)를 설치홈(11-1)에 실장한 이후에는 우수 등이 내부로 침입할 수 없도록 설치홈(11-1)과 구동모터(20) 사이의 틈새를 실링 처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30)은, 전체적인 형상이 단봉 형상으로, 일측 내주면에는 스플라인축(21)과 상호 맞물리는 삽입홈(31)과,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축지지부재(50)가 삽입되는 장착공(32)과, 둘레면에 외향으로 개구되어 이후에 설명될 절연부재(40)가 체결되는 체결공(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드럼(30)에 고정설치되는 절연부재(40)는, 다수개의 타원형이 적층된 구조를 이루는 세라믹재질의 절연재에 상부와 하부에 단봉이 각각 형성되되, 상부 단봉에는"Ω"형상의 고정부(41)가 형성되고, 하부 단봉의 외면에는 나사탭이 형성되어 회전드럼(30)의 체결공(33)에 결합고정된다.
상기 완철(10)의 상면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배전선로(L)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선로지지부(60)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으로 배전선로(L)가 안착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선로지지편(61)과, 일단이 완철(10)의 바디부(11)와 커버(12)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선로지지편(61)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어 선로지지편(61)을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지편(62)으로 이루어진다.
선로지지편(61)은,"ㄱ"자형상의 지지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형성되고,"ㄱ"자 형상의 지지편 각 단부에는 외향 경사지는 가이드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ㄱ"자 형상의 지지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외면에는 일단이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완철(10)의 바디부(11)와 커버(12)의 상면에 고정되는 탄지편(6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완철(10)의 외면에는 스위치부(70)가 설치되며, 스위치부(70)는 구동모터(20)를 동작제어한다. 상기 선로지지편(61)과 탄지편(62)으로 이루어진 선로지지부(60)와 절연부재(40)의 고정부(41)는 고압의 배전선로(L)와 접촉되었을 때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구동모터(20)로의 전력공급은 전주(P)에 설치된 변압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연부재(40)의 손상 또는 노후로 인해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배전선로(L)의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절연부재(40)를 교체하고, 구동모터(20)를 작동시켜 배전선로(L)를 재차 억류시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20)와 회전드럼(30) 및 절연부재(40)를 통해 배전선로(L)를 억류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전선로(L)의 전력차단으로 인하여 전력사용을 할 수 없었던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배전선로(L)를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감전에 의한 전기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교체작업에 따른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력에 의해 절연부재(40)가 손상 또는 노후로 인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작업자는 전주(P)를 타고 올라가 배전선로(L)를 억류하고 있는 절연부재(40)의 고정부(41)에 억류상태를 해제하여 교체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자가 전주(P)에 올라간 상태에서 완철(10)에 설치된 스위치부(70)를 누르게 되면, 구동모터(2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모터(20)와 결합된 회전드럼(30) 역시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30)에 고정설치된 절연부재(40) 역시 함께 회전되면서 고정부(41)에 억류된 배전선로(L)가 서서히 이탈되고, 절연부재(40)가 완전히 회전되어 9시 방향에 위치되면 고정부(41)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배전선로(L)는 자중에 의해 낙하된다.
이때, 절연부재(40)에 의해 상호 이격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한 쌍의 선로지지편(61)은 탄지편(62)의 탄발력에 의해 임의간격을 이루며 원상회복하기 때문에 배전선로(L)가 낙하되더라도 안전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부(70)를 조작하여 절연부재(40)에서 배전선로(L)를 해제시켜 준 이후에는 작업자가 손상 또는 노후된 절연부재(40)를 회전드럼(30)에서 해체하고, 새 절연부재(40)로 교체하여 회전드럼(30)에 장착시켜준다. 상기 새 절연부재(40)를 회전드럼(30)에 장착시켜 준 이후에는 완철(10)에 설치된 스위치부(70)를 재차 조작하여 구동모터(20)를 작동시켜 주게 되는데, 동작되는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드럼(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드럼(30)에 장착된 새 절연부재(40) 역시 함께 회전되면서, 선로지지편(61)에 안착되어 있던 배전선로(L)에 결합되면서 배전선로(L)를 억류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둘레면에 새 절연부재(40)가 설치된 회전드럼(30)이 구동모터(20)에 의해 회동되면, 새 절연부재(40)의 상부 단봉(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선로지지편(61)의 하부 가이드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 사이로 삽입되면서 간격이 점진적으로 이격되고, 이때 선로지지편(61)에 안착되어 있던 배전선로(L)는 축 중심으로 회전되는 고정부(41)로 자중과 밀고 들어가려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삽입, 억류되어 도 4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로부터 축지지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00)를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부(100)는 외력이나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해 커버(12)로부터 회전드럼(30)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하여 회전드럼(30)에 대한 안정된 고정상태와 함께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른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탈방지부(100)는 커버(12)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축지지부재(5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캡(110), 고정캡(110)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커버(12)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120), 고정바(120)로 결합되는 고정판(130) 및 고정판(130)으로부터 고정캡(110)을 가압하여 고정캡(110)이 축지지부재(150)로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수단(140)을 포함한다.
고정캡(110)은 축지지부재(50)와 대향되는 타측이 개방되면서 축지지부재(50)의 머리부(51)로 결합된다. 고정캡(110)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머리부(51)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00)는 고정캡(110)의 타측에 구비되는 보강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150)은 일측이 개방되면서 고정캡(110)의 타측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보강판(150)은 가압수단(140)에 의한 가압이 고정캡(110)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압수단(140)의 가압에 의한 고정캡(110)의 변형 등을 방지한다.
고정바(120)는 양단부가 완철(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부가 커버(12)의 타측 상,하부에 고정되면서 머리부(51)의 상,하부에 배치된다. 고정판(130)은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측을 관통하는 한 쌍의 통공(131)이 형성되면서 고정바(120)의 타측으로 결합된다.
이탈방지부(100)는 고정바(120)로부터 고정판(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고정바(120)는 타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6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바(120)의 타측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가압수단(140)은 일단부가 보강판(15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고정판(130)을 통과하는 가압바(141) 및 보강판(150)과 고정판(130) 간에 위치되도록 가압바(14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압스프링(142)을 포함한다.
가압스프링(142)은 보강판(150)과 고정판(130) 간에 위치되면서 고정판(130)이 고정부재(160)에 접하도록 하고, 보강판(150)을 가압하여 고정캡(110)이 머리부(51) 즉, 축지지부재(50)로 밀착되도록 한다.
가압스프링(142)은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수축,이완되면서 축지지부재(5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한다. 고정부재(160)는 조임 회전에 따라 축지지부재(5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압스프링(142)이 수축되도록 하고, 풀림 회전에 따라 축지지부재(5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압스프링(142)으로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스프링(142)은 축지지부재(50)로의 고정캡(110)의 가압 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외력에 따른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탈방지부(100)는 외력이나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해 커버(12)로부터 회전드럼(30)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회전드럼(30)에 대한 안정된 고정상태와 함께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른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은 일단이 개방된 설치홈(11-1)을 갖추고서, 전주(P)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바디부(11)와, 일측에 개구부(12-1)를 갖추고서, 바디부(11)에 고정설치되는 커버(12)로 이루어진 완철(10); 설치홈(1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를 포함한다.
아울러 개구부(12-1)에 배치되는 회전드럼(30); 일단에 고정부(41)을 갖추고서, 타단이 회전드럼(30)의 둘레면에 설치고정되는 절연부재(40); 커버(12)에 체결되어 회전드럼(30)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 및 구동모터(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70)로 구성되는 애자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애자 고정장치는 현장에 설치되는 모니터설비에 의하여 설치와 이송을 포함하는 취급과정 및 상기 현장에 대한 특정구역의 감시가 수행된다.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구축방법은 절연애자 시스템이 현장에 구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애자 시스템은 상기 현장에서 설치되는 애자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애자 고정장치는 현장에 설치되는 모니터설비에 의하여 설치와 이송을 포함하는 취급과정 및 상기 현장에 대한 특정구역의 감시가 수행된다.
상기 모니터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모듈(24')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72')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7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74')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711')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711')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71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72')은 제2하방연결대(721')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72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722')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73')은 제3상방연결대(73')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73')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73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4연결모듈(74')은 제4하방연결대(741')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74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7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712')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742')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킨다.
상기 제1자력고정체(71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1연동체(713')가 출몰되며, 상기 제2자력고정체(72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2연동체(723')가 출몰되며, 상기 제3자력고정체(731')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3연동체(733')가 출몰되며, 상기 제4자력고정체(74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4연동체(743')가 출몰되며, 상기 제1연동체(713') 내지 상기 제4연동체(743')는 각기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내부로 삽입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2차고정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1간격유지모듈과,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2간격유지모듈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몸체(81')와, 상기 제1상방몸체(81')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구동체(82')와, 제1상방구동체(82')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에 접하는 제1접촉체(83')와, 제1상방구동체(82')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2접촉체(84')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몸체(91')와, 상기 제2상방몸체(91')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구동(92')체와, 제2상방구동(92')체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에 접하는 제3접촉체(94')와, 제2상방구동(92')체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4접촉체(9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상방구동체(82')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상방구동(92')체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은, 상기 구동모듈(2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되는 경우, 상기 제1상방구동체(82')와 상기 제2상방구동(92')체의 회전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가속되도록 보조한다.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외측으로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취급유닛(50')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외측으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취급유닛(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1패널부(51')와, 상기 제1패널부(5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1배터리모듈(53')이 구비되는 제1가동몸체(52')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하부접속체(5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취급유닛(6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2패널부(61')와, 상기 제2패널부(6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2배터리모듈이 구비되는 제2가동몸체(62')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하부접속체(6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유체취급부(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취급유닛(60')의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유체취급부(6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유체취급부(56')와 상기 제2유체취급부(66')는 각기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에 접하여 흡기모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하부접속체(5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을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하부접속체(6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을 눌러 고정시킨다. 도 13에 도시된바와 같이 애자고정장치 설치 유지 관리 등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위치를 S1이라고 할 때 전술한 상기 모니터설비는 그 둘레부에 S1 내지 S4 등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직인 것에 해당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완철 20: 구동모터
30: 회전드럼 40: 절연부재
50: 축고정부재 60: 선로지지부
70: 스위치부 100: 이탈방지부
110: 고정캡 120: 고정바

Claims (2)

  1.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된 설치홈(11-1)을 갖추고서, 전주(P)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바디부(11)와, 일측에 개구부(12-1)를 갖추고서, 바디부(11)에 고정설치되는 커버(12)로 이루어진 완철(10); 설치홈(1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를 포함하는 절연애자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애자 고정장치는 현장에 설치되는 모니터설비에 의하여 설치와 이송을 포함하는 취급과정 및 상기 현장에 대한 특정구역의 감시가 수행되며,
    상기 개구부(12-1)에 배치되는 회전드럼(30); 일단에 고정부(41)을 갖추고서, 타단이 회전드럼(30)의 둘레면에 설치 고정되는 절연부재(40); 커버(12)에 체결되어 회전드럼(30)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 및 구동모터(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70)로 구성되는 애자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애자 고정장치는 현장에 설치되는 모니터설비에 의하여 설치와 이송을 포함하는 취급과정 및 상기 현장에 대한 특정구역의 감시가 수행되고,
    상기 모니터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모듈(24')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되,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72')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7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74')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711')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711')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71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72')은 제2하방연결대(721')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72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722')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73')은 제3상방연결대(731')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731')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732')가 구비되고,
    이러한 상기 제4연결모듈(74')은 제4하방연결대(741')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741')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7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712')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742')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키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71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1연동체(713')가 출몰되며, 상기 제2자력고정체(72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2연동체(723')가 출몰되며, 상기 제3자력고정체(73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3연동체(733')가 출몰되며, 상기 제4자력고정체(74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4연동체(743')가 출몰되며, 상기 제1연동체(713') 내지 상기 제4연동체(743')는 각기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내부로 삽입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2차고정시키고,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1간격유지모듈과,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2간격유지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몸체(81')와, 상기 제1상방몸체(81')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구동체(82')와, 제1상방구동체(82')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에 접하는 제1접촉체(83')와, 제1상방구동체(82')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2접촉체(84')를 포함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2. 삭제
KR1020220023490A 2022-02-23 2022-02-23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41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90A KR102415451B1 (ko) 2022-02-23 2022-02-23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90A KR102415451B1 (ko) 2022-02-23 2022-02-23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451B1 true KR102415451B1 (ko) 2022-07-05

Family

ID=8240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490A KR102415451B1 (ko) 2022-02-23 2022-02-23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4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19B1 (ko) * 2006-04-13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장치
KR101002422B1 (ko) 2010-05-18 2010-12-21 주식회사 거창전력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1885535B1 (ko) * 2018-01-16 2018-09-06 주식회사 이린 고압용 배전선로 전원공급장치
KR102303979B1 (ko) * 2021-01-28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
KR102306935B1 (ko) * 2021-03-03 2021-10-01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19B1 (ko) * 2006-04-13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장치
KR101002422B1 (ko) 2010-05-18 2010-12-21 주식회사 거창전력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1885535B1 (ko) * 2018-01-16 2018-09-06 주식회사 이린 고압용 배전선로 전원공급장치
KR102303979B1 (ko) * 2021-01-28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
KR102306935B1 (ko) * 2021-03-03 2021-10-01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05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접속 커넥터
KR101869361B1 (ko)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US20230335981A1 (en) Connector assembly
KR100933939B1 (ko) 송전선 고정용 지지애자
KR102303907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
KR101806528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구조
KR102333250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1721521B1 (ko)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KR102415451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418407B1 (ko)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감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933937B1 (ko)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US9919722B2 (en) Railroad vehicle
US6995648B2 (en) Fuse barrier and power circuit employing the same
CN101667497B (zh) 组合电气柜熔断器插头脱扣联锁装置
KR102303979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
CN109244852A (zh) 一种配电开关控制设备
KR102459355B1 (ko)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KR20210037041A (ko) 유도가열 카트리지 히터를 이용한 레일 히팅장치
KR102644680B1 (ko)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시스템 안전관리방법
KR101874563B1 (ko) 가공 배전선로 고정형 현수애자
US201301464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actuating electrical switchgear
US9929546B2 (e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therefor
CN107564750A (zh) 一种用于隔离开关与接地开关间的机械联锁装置
KR10263532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KR101444811B1 (ko)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