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521B1 -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 Google Patents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521B1
KR101721521B1 KR1020160100751A KR20160100751A KR101721521B1 KR 101721521 B1 KR101721521 B1 KR 101721521B1 KR 1020160100751 A KR1020160100751 A KR 1020160100751A KR 20160100751 A KR20160100751 A KR 20160100751A KR 101721521 B1 KR101721521 B1 KR 10172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bolt
support
booth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주
Original Assignee
(주)이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0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변전소 부스 내에 대차를 설치하여 도체를 승강시킴과 아울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부스에 검검구 커버에 의하여 개폐되는 점검구를 형성하고, 점검구에 설치되는 고정판, 도체고정장치와 도체체결/탈거장치를 구비하여 도체에 절취부와 블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여 도체의 도전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부스 내에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고정 및 탈거함으로써 부스 내의 도체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Equipment for wiring transformation cables of transformer substation}
본 발명은 변전분야 기술 중에서,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전소 부스 내에 대차를 설치하여 도체를 승강시킴과 아울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체에 절취부와 블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여 도체의 도전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부스 내에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고정 및 탈거함으로써 부스 내의 도체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변전소, 1차 변전소, 2차 변전소, 배전 변전소 따위로 나뉘며, 특수한 것으로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도 있다.
발전소나 변전소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의 주 보호장치로서 정상개폐는 물론 고장 발생시에도 과도한 전류를 신속하게 차단시켜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절연개폐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6440호(2006.03.24. 등록)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구조"(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차단기의 상측에 변류기를 배치하고, 변류기의 상측에 단로기를 배치하며, 단로기의 하부, 즉 변류기와 단로기의 중간에 수평형 접지개폐부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변류기는 변류기용 탱크의 하단에 변류기용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변류기용 스페이서의 중앙에 수직형 도체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단로기는 변류기용 탱크의 상단부와 가로질러 수평적으로 연통하도록 단로기용 탱 크를 설치하고, 단로기용 탱크의 일측에 단로기용 스페이서를 설치하며, 단로기용 스페이서의 중앙에는 수평형 도체를 설치하고, 수평형 도체의 중간에는 단로기용 고정접점부와 단로기용 가동접점부를 설치하며, 단로기용 가동접점부의 타단에는 절연로드와 단로기용 축을 연결하는 단로기용 조작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접지개폐기는 변류기용 탱크와 단로기용 탱크 사이에 접지개폐기용 탱크를 설치하고, 접지개폐기용 탱크에 접지부싱과 부스바를 연결하며, 부스바에는 상기한 수직형 도체의 중간에 설치한 접지개폐기용 고정접속부에 착탈 가능 하게 수평방향으로 접지개폐기용 가동접속부를 연결설치하고, 접지개폐기용 가동접속부의 타단에는 접지개폐기 용 축으로 연결하는 접지개폐기용 조작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변전소 부스 구조 개선 및 사고 복구 등의 작업이 요구되면 도체 등의 구성품을 공장으로 후송한 후, 재처리 및 현장 반입 등과 같은 순서에 따라 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도체를 탱크 내에서 분리할 때 작업자가 상기 도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인출하므로 상기 탱크 내부 구성품 및 상기 도체 가 손상될 수 있으면서 교체 작업이 난해하고, 인력 소모와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952호(2016.04.18. 등록)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이하, '선행기술2'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변전소 부스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 베이스 상에 직립된 상태로 나선 체결되는 나선부재, 나선부재에 구비되어 나선부재를 회전되게 하는 회전부재, 및 나선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부스 내부에 구비되는 도체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가스절연개폐장치 변전소에서 부스 내부의 대차로 지지한 상태에서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력과 소요 장비를 최소화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도체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절연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도체의 상부를 절취하여 평면부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체의 도전성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도체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체를 부스에 대하여 절연체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함에 있어서 도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을 통해 관통하는 볼트를 절연체에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체를 절연체에 고정하거나 도체를 절연체로부터 탈거하여 교체함에 있어서, 부스의 내경이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크지 않을 경우에는 절연체에 도체를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하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도체의 도전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절연체에 대한 도체의 고정하는 작업과 탈거하는 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6440호(2006.03.24. 등록)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952호(2016.04.18. 등록)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전소 부스 내에 대차를 설치하여 도체를 승강시킴과 아울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체에 절취부와 블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여 도체의 도전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부스 내에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고정 및 탈거함으로써 부스 내의 도체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양단이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고 절곡 형성된 저면에 바퀴가 다수 구비되어, 변전소 부스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에 직립된 상태로 나선 체결되는 나선부재, 상기 나선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나선부재를 회전되게 하고, 외주면에 방사상의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나선부재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나선부재와 별도로 구비되어 나선 체결된 도중에 위치 고정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나선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 내부에 구비되는 도체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하되, 상기 도체의 직경에 따라 상기 도체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분할되며 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회전부재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 양측벽에 경사 또는 단차가 형성된 안내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안착부재의 저면 홈이 결합되므로 이탈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지지체 본체, 상기 지지체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체의 외주면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분할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대향된 내측벽에 각각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되, 양측으로 분할된 상기 안착부재의 간격이 좁아지면 직경이 작은 도체의 지지가 가능하고 상기 안착부재의 간격이 넓어지면 직경이 큰 도체의 지지가 가능하며, 지지대상이 되는 상기 도체의 직경 및 곡률에 맞추어 상기 안착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재 및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대차와; 상기 부스는 상부에 점검구가 형성된 부스 본체와, 상기 점검구를 복개하는 점검구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체를 절연체의 상단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도체고정장치와; 상기 도체를 절연체의 상단에서 탈거하는 도체체결/탈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체고정장치는 상기 절연체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도체의 외주면 하반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본체와, 상기 하부지지대 본체의 전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하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체의 외주면 상반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본체와 상기 상부지지대 본체의 전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플랜지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조임너트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과 하부지지대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너트에 체결되는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플랜지부의 상면 사이에 장전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체체결/탈거장치는 상기 점검구에 삽입되는 고정판 본체와, 상기 고정판 본체의 외주부에서 전후좌우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의 가장자리에서 부스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과, 상기 승강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볼트를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볼트돌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고정판을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구동스크루와, 상기 승강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스크루에 나사맞춤되는 승강구동너트와, 상기 승강구동스크루의 상단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승강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임볼트돌림수단은 상기 절연체의 중심부 직상방에서 상기 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전후 양측에서 상기 조임볼트의 직상방에서 상기 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축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와, 상기 종동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볼트머리홈이 형성되며 자화(磁化) 처리된 박스렌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에 의하면 변전소 부스 내에 대차를 설치하여 도체를 승강시킴과 아울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부스에 검검구 커버에 의하여 개폐되는 점검구를 형성하고, 점검구에 설치되는 고정판, 도체고정장치와 도체체결/탈거장치를 구비하여 도체에 절취부와 블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여 도체의 도전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부스 내에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고정 및 탈거함으로써 부스 내의 도체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에 사용되는 작업용 대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에 사용되는 작업용 대차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에 의한 도체 교체과정을 보인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에 사용되는 작업용 대차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체를 도시한 계략도,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1은 부스와 절연체 및 도체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체고정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체고정장치와 도체체결/탈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체체결/탈거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5는 부스의 점검부가 점검구커버에 의하여 복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부스의 점검구에 도체체결/탈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 내지 도 20은 도체를 절연체에 대하여 해제하는 과정과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종단정면도 및 부분확대 종단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순히 볼트 또는 스크루 등이 관통되는 관통공에 대해서는 도면에는 도시하되 도면 부호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는 가스절연개폐장치가 적용된 변전소에서 부스(10) 내에서 절연체(30)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도체(20)의 개선 작업 또는 사고 복구 등과 같은 공사에 적용되어 부스(10) 내에 구비되는 도체(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부스(10)에서 도체(20)의 분리 및 재조립 작업에 사용되는 대차(10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100)는 베이스(110), 보강부재(120), 나선부재(130), 회전부재(140) 및 지지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차(100)는 현장에 간단한 방진룸을 설치한 후 사용 공장과 같은 조건하에서 신속하게 도체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부스(10)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내주면 하단에 절연체(30)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절연체(30) 상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도체(20)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도체(20)는 길이가 긴 제1 도체(22a)와, 상기 제1 도체의 단부에 결합되어 접점 구성을 위해 연결되는 길이가 짧은 제2 도체(22b)로 구성된다.
한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진공인터럽터(Vacuum Interruptor)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 진공인터럽터는 통전시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서 진동 등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도체(2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데 진동에 의해 절연체(30)와의 연결 부위 등에서 도체 가루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도체 가루는 도체(20)를 지지하고 있는 절연체(30)의 표면에 쌓이게 되어 상기 절연체(30)의 표면에 쌓이게 되는 도체 가루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부스(10)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매체로 작용하면서 감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지속적으로 도체(20) 및 절연체(30)의 청소 및 유지 보수가 필수로 요구된다.
베이스(110)는 금속판재의 양단을 상방으로 각각 절곡 형성하여 경사를 이루게 하면서, 경사진 경사부의 저면 전후에 바퀴(112)가 각각 구비되어 부스(10)의 내주면에 네 지점 지지가 가능하게 하고, 경사부 사이에 형성된 수평부의 상면 전후로 손잡이(114)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는 상면 중심에 후술할 나선부재(130)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홀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 전후에 베이스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덧붙이는 리브(rib: 11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의 양단을 경사지게 형성한 이유는 대차(100)의 무게 중심을 낮추게 하면서 바퀴(112)의 저면이 부스(10)의 내주면에 직립하게 접촉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베이스(110)의 양단이 절곡되지 않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대차의 무게 중심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 양단에 설치되는 바퀴(112)의 외측 가장자리가 부스(10)의 내주면에 닿게 되며, 반복 동작 과정을 통해 상기 바퀴(112)의 외측 가장자리만 편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보강부재(120)는 베이스(110)의 수평부 상면에 구비되는 원판 형상으로 중심에 후술할 나선부재(130)가 관통하면서 베이스(110)까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홀이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나선부재(130)는 보강부재(120) 및 베이스(110)의 중심에 형성된 나선홀에 나선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후술할 지지체(140)를 승강시키게 된다.
회전부재(140)는 나선부재(130)의 하단에 고정되며, 고정된 외주면에 방사상의 핸들이 다수 구비되어 후술할 지지체(150)의 높이 조절이 요구되면 작업자가 상기 핸들을 돌려 상기 나선부재(1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지지체(15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회전부재(140)는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나선부재(130)의 나선에 체결될 수 있으며, 핸들의 사이 위치에 별도의 나선홀이 중심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나선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상기 나선부재(130)에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회전부재(140)는 나선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150)는 나선부재(130)의 상단에 구비되어 도체(20)의 외주면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면에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으로, 금속재 등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140)는 나선부재(13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조는, 일예로 나선부재(130)의 상단에 하단의 직경보다 큰 플랜지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원형 홈이 지지체(150)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의 입구를 중심에 상기 나선부재(13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마감부재를 통해 마감하게 되므로 상기 플랜지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100)에 의해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를 교체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부스(10)를 현장에 배치된 작업 선반 상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부스(10)의 내주면 하단에 설치된 복수의 절연체(30) 상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 도체(20)를 상기 체결수단을 분리한 후 상기 절연체(30)에서 분리한다.
다음으로, 분리된 도체(20)의 하부 즉, 절연체(30)의 사이에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대차(100)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체(20) 하부에 대차(100)를 위치시킨 후 상기 대차(100)를 작동시켜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에서 소폭 들어올리며, 이는 상기 도체(20) 인출시 후단 저면이 절연체(3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된다.
즉, 도체(20)를 소폭만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회전부재(140)의 핸들을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단에 위치된 지지체(150)의 높이가 약간 상승하면서 도체(20)를 소폭으로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도체(20)의 후단을 대차(100)에 의해 소폭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체(20)의 선단을 크레인이 구비된 외부 대차 등을 통해 들어올리면서 전방인 외부로 인출한다.
다음으로, 인출된 도체(20)와 절연체(30)를 점검 및 청소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도체(20)의 내부, 상기 절연체(30) 상태 등을 점검하고 이상 부품을 교체처리 하며, 신규 도체를 준비 및 점검하여 재조립 준비를 하게 된다.
다음으로, 점검 및 청소 완료 또는 교체된 도체(20) 및 절연체(30)를 부스(10) 내부에 인입시켜 조립한다.
이때, 상기 점검 및 청소 또는 교체된 도체 및 절연체 조립시 부스 내부에 대차를 위치시키고, 도체 중 제1 도체(22a)의 후단을 대차 상에 안착 후 선단 외부를 지지하고, 도체 중 제1 도체(22a)에 제2 도체(22b)를 결합하고, 절연체 상에 도체를 고정하며, 결합 상태를 점검하는 공정을 세부적으로 진행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부스 내부에 대차를 위치시킬 때, 부스(10) 내주면에 배치된 복수의 절연체(30)의 사이 특히, 도체(20)를 삽입하는 쪽에 위치된 절연체(30)의 후방에 대차(100)를 위치시킨다.
그 후, 도체의 선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후단을 상기 대차 상에 안착시키며, 이는 도체 중 제1 도체(22a) 후단 대차 상에 안착 후 선단 외부를 지지하고, 도체 중 제1 도체(22a)에 제2 도체(22b)를 결합하게 된다.
도체 중 제1 도체의 후단을 대차 상에 안착 후 선단 외부를 지지하는 공정은 도체(20)의 선단을 크레인이 구비된 외부 대차 등을 통해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체(20)의 후단을 부스(10) 내주면을 청소한 후 대차(100)의 지지체(140) 상에 안착시키는 것이다.
도체 중 제1 도체에 제2 도체를 결합하는 공정은 제1 도체(22a)의 선단을 크레인이 구비된 외부 대차 등을 통해 지지중인 상태에서 접점 구성을 위해 상기 제1 도체(22a)의 선단에 제2 도체(22b)의 후단을 선반식 대차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절연체 상에 도체를 고정하는 공정은 대차(100)를 하강시켜 절연체(30) 상에 위치시킨 후 도체(20)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한 후 내부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이때, 대차(100)는 상기 대차(100)의 구성인 회전부재(140)의 핸들을 잡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단에 위치된 지지체(150)의 높이를 하강시켜 도체(20)를 절연체(30) 상에 위치시킨다.
결합 상태를 점검하는 공정은 도체(20) 및 절연체(30)의 결합 상태를 점검하여 접촉 저항 측정을 통해 내부 접점이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100)에서 다른 실시예의 지지체(150)는 지지체 본체(152), 안착 부재(154), 조작 부재(156) 및 체결 부재(158)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부재(154)가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간격 조절을 통해 도체(20)의 직경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한 구조이다.
지지체 본체(152)는 회전부재(14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 양측벽에 경사 또는 단차가 형성된 안내 레일(152a)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 레일(152a)에 안착 부재(154)의 저면 홈이 결합되므로 이탈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안착 부재(154)는 도체(20)의 외주면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향된 상면에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으로, 양측으로 분할되어 간격에 따라 안착 가능한 상기 도체(20)의 직경 조절이 가능하다. 즉, 안착 부재(154)의 간격이 좁아지면 직경이 작은 도체(20)의 지지가 가능하고,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이 넓어지면 직경이 큰 도체(20)의 지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154)의 대향된 내측벽에는 홈(154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홈(154b) 내에 조작 부재(156)의 양단부 및 체결 부재(158)가 위치된다.
조작 부재(156)는 안착 부재(154)의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안착 부재(154)를 일률적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조작 부재(156)는 안착부재(154)의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부(156)와 상기 회전부(156)의 양측면에 나선 방향이 대칭 형태로 이루어진 나선부(156a)가 각각 형성된다.
체결 부재(158)는 양측 안착부재(154)의 홈(154b) 입구에 각각 삽입되어 조작부재(156)의 나선부(156a)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홀이 형성되는 너트 형태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체(150)는 도체(20)의 직경에 따라 안착 부재(154)의 간격을 조작부재(156)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도체(2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20은 절연체(30)에 대한 도체(20)의 탈거를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는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도체고정장치(200)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서 탈거하는 도체체결/탈거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스(10)는 상부에 점검구(12)가 형성된 부스 본체(11)와, 상기 점검구(12)를 복개하는 점검구 커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점검구(12)는 양측 절연체(30)의 위치를 커버하는 범위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점검구 커버(13)는 상기 점검구(12)에 삽입되는 커버 본체(14)와, 상기 커버 본체(14)의 외주부에서 전후좌우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2)의 가장자리에서 부스 본체(1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15)로 구성된다.
상기 점검구 커버(13)는 상기 점검구(12)의 가장자리에서 부스 본체(11)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기 플랜지부(15)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16)와, 상기 볼트(16)에 체결되는 너트(17)에 의하여 부스 본체(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볼트(16)는 부스 본체(11)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부스 본체(11)의 외주면과 점검구 커버(13)의 플랜지부(15)의 내주면 사시에는 점검구(12) 가장자리를 따라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개스킷 또는 패킹(도시생략)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30)는 상기 부스(10)의 내주면 바닥에 하단이 고정된다. 상기 절연체(30)는 통상적인 애자의 재료로 사용되는 자기(Porcelain), 유리, 또는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체고정장치(200)는 상기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도체(20)의 외주면 하반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본체(211)와, 상기 하부지지대 본체(211)의 전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부(212)를 가지는 하부지지대(210)와, 상기 하부지지대(210)와 상하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체(20)의 외주면 상반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본체(221)와 상기 상부지지대 본체(221)의 전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부(222)를 가지는 상부지지대(220)와, 상기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의 하면에 고정되는 조임너트(230)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23)과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13)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너트(230)에 체결되는 조임볼트(240)와, 상기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의 상면 사이에 장전되는 압축코일스프링(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210)와 상부지지대(220)는 금속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절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절연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210)는 상기 절연체(3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의 하면에 고정되는 조임너트(230)는 하부지지대(2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플랜지부(212)에 매설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임볼트(240)는 압축코일스프링(250)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머리부(241)의 하부에 와셔부(242)가 일체로 형성된 와셔달린 육각머리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임볼트(240)와 상부지지대(220)는 조임볼트(240)를 들어 올릴 때 상부지지대(220)가 함께 들리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임볼트(240)에는 링홈(243)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243)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하면에 걸리는 걸림링(244)이 결합된다.
상기 걸림링(244)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볼트관통공(223)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c-링 또는 e-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임볼트(240)는 그 하단부를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볼트관통공(223)에 위에서 아래로 관통시킨 다음, 링홈(243)에 걸림링(244)을 삽입하여 걸림링(244)이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의 하면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임볼트(240)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50)을 미리 끼워둠으로써 압축코일스프링(250)의 상, 하단이 각각 조임볼트(240)의 와셔부(242) 하면과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 상면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210)의 상면에는 볼트관통공(2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걸림링(244)이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유동홈(214)이 형성된다.
상기 링유동홈(214)의 깊이는 상기 걸림링(244)의 두께보다 큰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50)의 하단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도체체결/탈거장치(300)는 상기 점검구(12)에 삽입되는 고정판 본체(311)와, 상기 고정판 본체(311)의 외주부에서 전후좌우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2)의 가장자리에서 부스 본체(11)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플랜지부(312)를 가지는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는 승강대(320)와, 상기 승강대(32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30)과, 상기 승강대(32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볼트(240)를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310)은 상기 복수개의 볼트(133)와, 상기 볼트(133)에 체결되는 너트(134)에 의하여 부스 본체(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판(310)은 상기 점검구 커버(13)와 동일한 크기와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310)는, 점검구 커버(13)를 부스 본체(11)에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16)에 체결되어 있던 너트(17)를 분리하고, 점검구 커버(13)를 탈거한 다음, 고정판 본체(311)를 점검구(12)에 삽입하고, 볼트(16)를 플랜지부(312)에 관통시킨 다음, 볼트(16)에 너트(17)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부스(1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승강대(320)는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상판(321)과 하판(322)으로 구성되어 상판(321)과 하판(322) 사이에 상기 구동기어(360)와 종동기어(37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판(321)과 하판(322)은 양측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볼트(323)와 너트(324)에 의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구동수단(330)은 상기 고정판(310)을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판(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구동스크루(331)와, 상기 승강대(3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스크루(331)에 나사맞춤되는 승강구동너트(332)와, 상기 승강구동스크루(331)의 상단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승강구동모터(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너트(332)는 전장에 걸쳐서 승강구동스크루(331)의 수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단 일부에만 암나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구동너트(332)의 하단은 상기 승강대(320)의 상판(321)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모터(333)는 하단부에 모터플랜지(334)를 형성하여 볼트(335)와 너트(336)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310)의 상면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310)의 상면에는 모터플랜지(334)에 대응하는 모터마운트(337)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마운트(337)에 상기 볼트(335)의 하단을 용접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은 상기 절연체(30)의 중심부 직상방에서 상기 승강대(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341)과, 상기 구동축(341)의 전후 양측에서 상기 조임볼트(240)의 직상방에서 상기 승강대(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종동축(342)과, 상기 구동축(341)에 고정결합되는 구동기어(343)와, 상기 종동축(342)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343)에 맞물리는 종동기어(344)와, 상기 구동축(341)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동축(341)을 회전시키는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와, 상기 종동축(34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에 대응하는 볼트머리홈(347)이 형성되며 자화(磁化) 처리된 박스렌치부(3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343)와 종동기어(344)는 각각 구동축(341)과 종동축(342)에 키(key)를 이용하거나 스플라인(spline)을 이용하는 통상적인 축과 기어의 결합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는 상기 승강대(320)의 하판(322) 하면에 장착되어 모터축이 상기 구동축(341)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승강대(320)의 하판(322)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박스렌치부(346)는 통상적인 육각머리볼트를 돌리는 데에 사용되는 박스렌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스렌치부(346)는 강자성체로 성형한 후 자화처리함으로써 상기 조임볼트(240)를 자력에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박스렌치부(346)에 의한 흡착력은 조임볼트(240)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대(220)와 압축코일스프링(250)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크기로 한다.
상기 승강구동모터(333)와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는 고정판(310)에 설치된 배터리 등의 전원장치(도시생략)를 전원으로 할 수 있으며, 고정판(310)에 설치된 스위치(도시생략)에 의하여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도체고정장치(200)에 의하여 도체(20)를 절연체(30)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상태는, 절연체(30) 상에 고정된 하부지지대(210)의 하부지지대 본체(211)에 도체(20)가 안착되고, 그 위에 상부지지대(220)가 씌워지며 조임너트(230)와 조임볼트(240)에 의하여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와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가 결합되어 도체(20)가 하부지지대(210)와 상부지지대(22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다(도 15 및 도 17 참조).
이때, 상기 조임볼트(240)의 와셔(242)와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 상면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250)이 장전되어 있으므로 도체(20)는 압축코일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부지지대(210)와 상부지지대(220) 사이에 탄성적으로 조여지는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조임볼트(240)가 상부지지대(220)의 볼트관통공(223)에 삽입됨과 아울러 링홈(243)에 걸림링(244)이 삽입되어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의 하면에 걸린 상태이며, 조임볼트(240)의 와셔(242)와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 상면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250)이 장전된 상태로 되어 조임볼트(240)와, 상부지지대(220) 및 압축코일스프링(250)이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는 상태이다.
한편, 부스(10)에는 복수개의 볼트(16)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17)에 의하여 점검구 커버(13)를 부스 본체(11)에 결합하여 점검구(12)가 부스 커버(13)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볼트(16)로부터 너트(17)를 해체하여 점검구 커버(13)를 부스 본체(11)로부터 탈거한다.
점검구(12)로부터 부스 커버(13)가 탈거되면, 도체체결/탈거장치(300)는 승강대(320)를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상승시킨 상태에서 고정판(310)의 고정판 본체(311)를 점검구(12)에 삽입함과 아울러 플랜지부(312)를 볼트(16)와 너트(17)에 의하여 부스 본체(11)에 고정한다(도 16 및 도 18 참조).
이때, 고정판(310)에 설치되어 있는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의 박스렌치부(346)는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의 직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판(310)에 설치된 스위치(도시생략)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구동수단(330)의 승강구동모터(333)를 상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스크루(331)와 구동너트(332)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구동너트(332)와, 이에 결합된 상판(321)과 하판(322)로 이루어진 승강대(320), 승강대(320)에 설치된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의 박스렌치부(346)가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 직상방에 위치하고 있었으므로 박스렌치부(346)의 볼트머리홈(347)이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를 향해 하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가 박스렌치부(346)의 볼트머리홈(347)에 삽입된다(도 19 참조).
이 상태에서 고정판(310)에 설치된 스위치(도시생략)의 조작에 의하여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를 상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승강구동모터(333)를 상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축(3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축(341)에 구동기어(343)와 종동기어(344)에 의하여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는 종동축(34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종동축(342)의 하단에 결합된 박스렌치부(34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트머리홈(347)에 삽입된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조임볼트(240)가 조임너트(230)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승강구동수단(330)의 승강구동모터(333)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구동스크루(3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승강구동스크루(331)와 승강구동너트(332)의 나사작용으로 승강구동너트(332)와, 이에 결합된 상판(321)과 하판(322)로 이루어진 승강대(320), 승강대(320)에 설치된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승강구동모터(333)와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를 제어하는 제어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하여 조임볼트(240)가 너트(230)로부터 완전히 풀렸을 때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가 정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대(320)가 일정 높이로 상승하였을 때 승강구동모터(333)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조임볼트(240)가 조임너트(230)로부터 풀리면서 상승하게 되고, 승강구동모터(333)와 승강구동스크루(331) 및 승강구동너트(332)의 작용으로 승강대(320)가 상승하게 된다.
조임볼트(240)가 조임너트(230)로부터 완전히 풀린 후에도 승강구동모터(333)는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대(320)와 박스렌치부(346)가 계속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박스렌치부(346)는 자화 처리되어 있으므로 조임볼트(240)가 박스렌치부(346)에 자력으로 흡착되어 함께 상승하게 되고, 조임볼트(240)는 걸림링(324)에 의하여 상부지지대(220)와 하나의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부지지대(220)도 함께 상승하게 되어 도체(2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도 20 참조).
이와 같이 도체(20)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대차(100)와 크레인(도시생략)에 의하여 도체(20)를 교체할 수 있다.
교체된 도체(20)는 하부지지대(210)의 하부지지대 본체(211)에 안착된 상태로 된다.
도체(20)의 교체가 완료되면, 상기 스위치(도시생략)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330)의 승강구동모터(333)를 상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구동스크루(331)와 승강구동너트(332)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승강대(320)와, 이에 결합되어 있는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이 하강된다.
이때, 상기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의 박스렌치부(346)의 볼트머리홈(347)에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가 삽입되어 있고 조임볼트(240)는 박스렌치부(346)의 자력에 의하여 흡착되어 있고, 조임볼트(240)와 상부지지대(220) 및 압축코일스프링(250)는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조임볼트(240)와 상부지지대(22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위치(도시생략)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축(34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축(341)에 구동기어(3430와 종동기어(344)를 통해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는 종동축(342)이 시게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종동축(342)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박스렌치부(34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박스렌치부(346)의 볼트머리홈(347)에 삽입됨과 아울러 박스렌치부(346)의 자력에 의하여 흡착되어 있는 조임볼트(2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임볼트(240)와 상부지지대(220)가 하강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조임볼트(240)의 하단이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13)을 통해 조임너트(230)에 이르게 되면, 조임볼트(240)가 조임너트(230)에 체결되며, 상부지지대(220)가 도체(20)의 외주면 상반부에 씌워지게 되고, 압축코일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여지게 되어 도체(20)가 하부지지대(210)와 상부지지대(220) 사이에 고정된다(도 19 참조).
여기서 승강구동수단(330)의 승강구동모터(333)는 제어수단(도시생략)에 의하여 상부지지대(220)가 도체(20)의 외주면 상반부를 씌워지는 시점에서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의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임볼트(240)가 조임너트(230)에 완전히 조여지는 시점에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도체(20)의 교체과정에서도 대차(100)와 크레인(도시생략)과 협동하여 교체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체(20)의 교체가 완료되면, 볼트(16)로부터 너트(17)를 해체하여 고정판(310)을 부스 본체(11)로부터 탈거하면, 고정판(310)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대(320), 승강구동수단(330), 조림볼트돌림수단(340)을 모두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볼트(16)와 너트(17)를 이용하여 점검구 커버(13)를 부스 본체(11)에 결합함으로써 도체(20)의 교체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는 절연체(30)에 대한 도체(20)의 고정 및 탈거를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부스(10) 내의 도체(20)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차 110: 베이스
120: 보강부재 130: 나선부재
140: 회전부재 150: 지지체
200: 도체고정장치 210: 하부지지대
220: 상부지지대 230: 조임너트
240: 조임볼트 250: 압축코일스프링
300: 도체체결/탈거장치 310: 고정판
320: 승강대 330: 승강구동수단
340: 조임볼트돌림수단

Claims (1)

  1. 양단이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고 절곡 형성된 저면에 바퀴가 다수 구비되어, 변전소 부스(1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상에 직립된 상태로 나선 체결되는 나선부재(130), 상기 나선부재(130)에 구비되어 상기 나선부재(130)를 회전되게 하고, 외주면에 방사상의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나선부재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나선부재(130)와 별도로 구비되어 나선 체결된 도중에 위치 고정되는 회전부재(140), 및 상기 나선부재(13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10) 내부에 구비되는 도체(20)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하되, 상기 도체(20)의 직경에 따라 상기 도체(2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분할되며 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체(15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50)는, 상기 회전부재(14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 양측벽에 경사 또는 단차가 형성된 안내레일(152a)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레일(152a)에 안착부재(154)의 저면 홈이 결합되므로 이탈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지지체 본체(152), 상기 지지체 본체(15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체(20)의 외주면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분할되는 안착부재(154), 및 상기 안착부재(154)의 대향된 내측벽에 각각 형성된 홈(154b) 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을 조절하되, 양측으로 분할된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이 좁아지면 직경이 작은 도체(20)의 지지가 가능하고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이 넓어지면 직경이 큰 도체(20)의 지지가 가능하며, 지지대상이 되는 상기 도체(20)의 직경 및 곡률에 맞추어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재(156) 및 체결부재(158)를 포함하는 대차(100)와;
    상기 부스(10)는 상부에 점검구(12)가 형성된 부스 본체(11)와, 상기 점검구(12)를 복개하는 점검구 커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도체고정장치(200)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서 탈거하는 도체체결/탈거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체고정장치(200)는 상기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도체(20)의 외주면 하반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본체(211)와, 상기 하부지지대 본체(211)의 전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부(212)를 가지는 하부지지대(210)와, 상기 하부지지대(210)와 상하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체(20)의 외주면 상반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본체(221)와 상기 상부지지대 본체(221)의 전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부(222)를 가지는 상부지지대(220)와, 상기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의 하면에 고정되는 조임너트(230)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23)과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13)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너트(230)에 체결되며 머리부(241)의 하부에 와셔부(242)가 일체로 형성되는 조임볼트(240)와, 상기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의 상면 사이에 장전되는 압축코일스프링(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임볼트(240)는 외주면에 링홈(243)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볼트관통공(223)에 위에서 아래로 관통되고 링홈(243)에 삽입되는 걸림링(244)이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의 하면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50)을 미리 끼워서 압축코일스프링(250)의 상, 하단이 조임볼트(240)의 와셔부(242) 하면과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 상면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대(210)의 상면에는 볼트관통공(2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걸림링(244)이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유동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체결/탈거장치(300)는 상기 점검구(12)에 삽입되는 고정판 본체(311)와, 상기 고정판 본체(311)의 외주부에서 전후좌우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2)의 가장자리에서 부스(11)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플랜지부(312)를 가지는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는 승강대(320)와, 상기 승강대(32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30)과, 상기 승강대(32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볼트(240)를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330)은 상기 고정판(310)을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판(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구동스크루(331)와, 상기 승강대(3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스크루(331)에 나사맞춤되는 승강구동너트(332)와, 상기 승강구동스크루(331)의 상단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승강구동모터(3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은 상기 절연체(30)의 중심부 직상방에서 상기 승강대(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341)과, 상기 구동축(341)의 전후 양측에서 상기 조임볼트(240)의 직상방에서 상기 승강대(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종동축(342)과, 상기 구동축(341)에 고정결합되는 구동기어(343)와, 상기 종동축(342)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343)에 맞물리는 종동기어(344)와, 상기 구동축(341)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동축(341)을 회전시키는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와, 상기 종동축(342)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240)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볼트머리홈(347)이 형성되며 자화(磁化) 처리되어 상기 조임볼트(240)와 상부지지대(220) 및 압축코일스프링(250)을 흡착할 수 있는 박스렌치부(34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KR1020160100751A 2016-08-08 2016-08-08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KR10172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751A KR101721521B1 (ko) 2016-08-08 2016-08-08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751A KR101721521B1 (ko) 2016-08-08 2016-08-08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521B1 true KR101721521B1 (ko) 2017-04-10

Family

ID=5858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751A KR101721521B1 (ko) 2016-08-08 2016-08-08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9584A (zh) * 2017-10-26 2018-03-02 国网江苏省电力公司镇江供电公司 一种变压器呼吸器更换用辅助支架
CN112260117A (zh) * 2020-09-25 2021-01-22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咸宁供电公司 变电站主控室变电二次检修调试前的二次安全防护方法
CN114582573A (zh) * 2022-03-02 2022-06-03 萍乡市新田电瓷制造有限公司 一种高压线路柱式瓷绝缘子及其制造方法
KR20220111882A (ko)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조이테크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440B1 (ko) 2004-09-03 2006-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구조
KR100861092B1 (ko) * 2008-03-24 2008-09-30 주식회사 동명전력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고정대
KR100872555B1 (ko) * 2008-03-24 2008-12-08 (주)새롬전기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뎁터
KR101587952B1 (ko) 2015-04-03 2016-01-22 대왕전기(주)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
KR20160087230A (ko) * 2015-01-13 2016-07-21 백두전기 (주)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440B1 (ko) 2004-09-03 2006-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구조
KR100861092B1 (ko) * 2008-03-24 2008-09-30 주식회사 동명전력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고정대
KR100872555B1 (ko) * 2008-03-24 2008-12-08 (주)새롬전기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뎁터
KR20160087230A (ko) * 2015-01-13 2016-07-21 백두전기 (주)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방법
KR101587952B1 (ko) 2015-04-03 2016-01-22 대왕전기(주)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9584A (zh) * 2017-10-26 2018-03-02 国网江苏省电力公司镇江供电公司 一种变压器呼吸器更换用辅助支架
CN107749584B (zh) * 2017-10-26 2024-04-23 国网江苏省电力公司镇江供电公司 一种变压器呼吸器更换用辅助支架
CN112260117A (zh) * 2020-09-25 2021-01-22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咸宁供电公司 变电站主控室变电二次检修调试前的二次安全防护方法
CN112260117B (zh) * 2020-09-25 2024-05-03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咸宁供电公司 变电站主控室变电二次检修调试前的二次安全防护方法
KR20220111882A (ko)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조이테크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KR102435130B1 (ko) * 2021-02-03 2022-08-23 주식회사 조이테크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CN114582573A (zh) * 2022-03-02 2022-06-03 萍乡市新田电瓷制造有限公司 一种高压线路柱式瓷绝缘子及其制造方法
CN114582573B (zh) * 2022-03-02 2024-03-15 萍乡市新田电瓷制造有限公司 一种高压线路柱式瓷绝缘子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521B1 (ko)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CN103563035B (zh) 接地开关
JP5147992B2 (ja) 電力開閉装置
US8796570B2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US8307545B1 (en) Lightweight portable electrical equipment racking tool
US20180083513A1 (en) Motor control center unit with retractable stab assembly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1657267B1 (ko)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CN108199286B (zh) 一种500kV GIS断路器操作机构拆装和运输小车及使用方法
KR20160066965A (ko) 부싱형 변류기를 적용한 배전반
KR20160087230A (ko)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방법
WO2021031258A1 (zh) 一种高压开关柜系统及其高压开关柜更换方法
KR101587952B1 (ko)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
KR101640016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019744B1 (ko)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교체 장치
KR101471847B1 (ko) 인입/인출형 고체절연 개폐장치
CN211351454U (zh) 一种开关柜电动底盘车丝杠进给装置
CN113257641B (zh) 采用组合操作机构的超快速分闸断路器
KR101829577B1 (ko) 부싱 설치 장치
KR102435130B1 (ko)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CN103928814A (zh) 高压设备接地线用的接地枪
KR101477611B1 (ko) 변전설비용 단로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KR102415451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CN211879285U (zh) 一种户外高压隔离开关
CN219779281U (zh) 无级同心度纠偏的易维护ipb外壳过渡对接装置
KR200488346Y1 (ko) 단로기의 얼라인먼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