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130B1 -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 Google Patents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130B1
KR102435130B1 KR1020210015235A KR20210015235A KR102435130B1 KR 102435130 B1 KR102435130 B1 KR 102435130B1 KR 1020210015235 A KR1020210015235 A KR 1020210015235A KR 20210015235 A KR20210015235 A KR 20210015235A KR 102435130 B1 KR102435130 B1 KR 10243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ubstation
booth
fixed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882A (ko
Inventor
김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01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1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6Electric power sub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점검구(42)를 갖는 부스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부스본체(41)의 점검구(42)를 복개하는 점검구 커버(43)가 형성되는 변전소 부스(40)와, 상기 변전소 부스(40) 내부에 구비되어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되는 원형단면의 도체(20)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도체고정장치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서 탈거하는 도체체결/탈거장치와, 도체(20)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도체이동장치(10)를 구비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체이동장치(10)는, 측면이 "┏┓"형상이고 상면은 전후방측으로 수평레일면을 이루는 수직기립된 판체인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을 갖고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전후방측 하부가 각각 상기 부스본체(41)의 점검구(42) 좌우측에 각각 삽입되면서 점검구(42) 상단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11aa,11ab)(11ba,11bb)을 각각 갖으며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전후방측선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결되면서 볼트결합되어 좌우측 폭을 조절연결하는 전후방측폭절장볼트(11c,11d)를 각각 갖으면서 점검구(42) 상단면에 고정지지되는 고정레일틀(11)이 형성되고,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고 외부로 테이타 전송이 이루어지는 판상의 직육면체로 좌우측면에는 카메라(12a,12b)가 각각 장착되고 전방 좌우측과 후방좌우측에서 각각 수평돌출되어 전후방모터(12c,12d)에 의해 정역회동되는 로울러축(12ca,12cb)(12da,12db)을 각각 갖으며 로울러축(12ca,12cb)(12da,12db) 각 선단에는 상기 고정레일틀(11)의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상면에 각각 안착되어 회동되는 궤도로울러(12cc,12cd)(12dc,12dd)를 갖고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상에서 전후방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컨트롤박스(12)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컨트롤박스(12) 전후방측 저면에 각각 수직되게 기립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하부로 신축되어 점검구(42)를 통해 승하강되는 전후방측사각신축바(13a,14a)를 갖는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의 전후방측사각신축바(13a,14a) 하단을 수평되게 연결하면서 내측에 중공(16b)이 형성된 전후방측연결관(16,16a)을 각각 갖고 전후방측연결관(16,16a) 중심측에는 정역회동모터(15)가 고정설치되면서 전후방측연결관(16,16a)의 중공(16b)을 통해 전후방구동축(15a,15b)이 전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치되어 돌출되며 전후방구동축(15a,15b) 각 선단에는 축결합부(17c)가 각각 축결합고정되고 그 하부에는 반원형상으로 절연체(30) 상의 도체(20)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반원리프팅링(17b)을 각각 갖는 전후방측도체인상틀(17,17a)이 형성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전소 부스 내에서 절연체 상에 고정설치되는 도체를 공지의 도체체결/탈거장치와 도체고정장치에 의해 탈거한 상태서 도체이동장치의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와 전후방측도체인상틀에 의해 도체를 들어오려 이동컨트롤박스와 고정레일틀에 의해 손쉽게 카메라에 의해 원격으로 이동조작하면서 교체할 수 있고, 도체에 절취부와 볼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 및 탈거할 수 있으며,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Transmission wiring automation facility structure of substation}
본 발명은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소 부스 내에서 절연체 상에 고정설치되는 도체를 공지의 도체체결/탈거장치와 도체고정장치에 의해 탈거한 상태서 도체이동장치의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와 전후방측도체인상틀에 의해 도체를 들어오려 이동컨트롤박스와 고정레일틀에 의해 손쉽게 카메라에 의해 원격으로 이동조작하면서 교체할 수 있고, 도체에 절취부와 볼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 및 탈거할 수 있으며,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압 변전소, 1차 변전소, 2차 변전소, 배전 변전소 따위로 나뉘며, 특수한 것으로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도 있다. 발전소나 변전소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의 주 보호장치로서 정상개폐는 물론 고장 발생시에도 과도한 전류를 신속하게 차단시켜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절연개폐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6440호(20060324 등록)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구조"(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차단기의 상측에 변류기를 배치하고, 변류기의 상측에 단로기를 배치하며, 단로기의 하부, 즉 변류기와 단로기의 중간에 수평형 접지개폐부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변류기는 변류기용 탱크의 하단에 변류기용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변류기용 스페이서의 중앙에 수직형 도체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단로기는 변류기용 탱크의 상단부와 가로질러 수평적으로 연통하도록 단로기용 탱 크를 설치하고, 단로기용 탱크의 일측에 단로기용 스페이서를 설치하며, 단로기용 스페이서의 중앙에는 수평형 도체를 설치하고, 수평형 도체의 중간에는 단로기용 고정접점부와 단로기용 가동접점부를 설치하며, 단로기용 가동접점부의 타단에는 절연로드와 단로기용 축을 연결하는 단로기용 조작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접지개폐기는 변류기용 탱크와 단로기용 탱크 사이에 접지개폐기용 탱크를 설치하고, 접지개폐기용 탱크에 접지부싱과 부스바를 연결하며, 부스바에는 상기한 수직형 도체의 중간에 설치한 접지개폐기용 고정접속부에 착탈 가능 하게 수평방향으로 접지개폐기용 가동접속부를 연결설치하고, 접지개폐기용 가동접속부의 타단에는 접지개폐기 용 축으로 연결하는 접지개폐기용 조작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변전소 부스 구조 개선 및 사고 복구 등의 작업이 요구되면 도체 등의 구성품을 공장으로 후송한 후, 재처리 및 현장 반입 등과 같은 순서에 따라 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도체를 탱크 내에서 분리할 때 작업자가 상기 도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인출하므로 상기 탱크 내부 구성품 및 상기 도체가 손상될 수 있으면서 교체 작업이 난해하고, 인력 소모와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952호(20160418 등록)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이하, '선행기술2'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변전소 부스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 베이스 상에 [0010] 직립된 상태로 나선 체결되는 나선부재, 나선부재에 구비되어 나선부재를 회전되게 하는 회전부재, 및 나선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부스 내부에 구비되는 도체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가스절연개폐장치 변전소에서 부스 내부의 대차로 지지한 상태에서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력과 소요 장비를 최소화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도체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절연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도체의 상부를 절취하여 평면부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체의 도전성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도체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체를 부스에 대하여 절연체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함에 있어서 도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을 통해 관통하는 볼트를 절연체에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체를 절연체에 고정하거나 도체를 절연체로부터 탈거하여 교체함에 있어서, 부스의 내경이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크지 않을 경우에는 절연체에 도체를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하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도체의 도전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절연체에 대한 도체의 고정하는 작업과 탈거하는 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단이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고 절곡 형성된 저면에 바퀴가 다수 구비되어, 변전소 부스(1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상에 직립된 상태로 나선 체결되는 나선부재(130), 상기 나선부재(130)에 구비되어 상기 나선부재(130)를 회전되게 하고, 외주면에 방사상의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나선부재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나선부재(130)와 별도로 구비되어 나선 체결된 도중에 위치 고정되는 회전부재(140), 및 상기 나선부재(13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10) 내부에 구비되는 도체(20)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하되, 상기 도체(20)의 직경에 따라 상기 도체(2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분할되며 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체(15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50)는, 상기 회전부재(14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 양측벽에 경사 또는 단차가 형성된 안내레일(152a)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레일(152a)에 안착부재(154)의 저면 홈이 결합되므로 이탈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지지체 본체(152), 상기 지지체 본체(15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체(20)의 외주면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분할되는 안착부재(154), 및 상기 안착부재(154)의 대향된 내측벽에 각각 형성된 홈(154b) 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을 조절하되, 양측으로 분할된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이 좁아지면 직경이 작은 도체(20)의 지지가 가능하고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이 넓어지면 직경이 큰 도체(20)의 지지가 가능하며, 지지대상이 되는 상기 도체(20)의 직경 및 곡률에 맞추어 상기 안착부재(154)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재(156) 및 체결부재(158)를 포함하는 대차(100)와; 상기 부스(10)는 상부에 점검구(12)가 형성된 부스 본체(11)와, 상기 점검구(12)를 복개하는 점검구 커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도체고정장치(200)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서 탈거하는 도체체결/탈거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체고정장치(200)는 상기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도체(20)의 외주면 하반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본체(211)와, 상기 하부지지대 본체(211)의 전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부(212)를 가지는 하부지지대(210)와, 상기 하부지지대(210)와 상하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체(20)의 외주면 상반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본체(221)와 상기 상부지지대 본체(221)의 전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부(222)를 가지는 상부지지대(220)와, 상기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의 하면에 고정되는 조임너트(230)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23)과 하부지지대(210)의 플랜지부(21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13)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너트(230)에 체결되며 머리부(241)의 하부에 와셔부(242)가 일체로 형성되는 조임볼트(240)와, 상기 조임볼트(240)의 머리부(241)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
(222)의 상면 사이에 장전되는 압축코일스프링(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임볼트(240)는 외주면에 링홈(243)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볼트관통공(223)에 위에서 아래로 관통되고 링홈(243)에 삽입되는 걸림링(244)이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의 하면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50)을 미리 끼워서 압축코일스프링(250)의 상, 하단이 조임볼트(240)의 와셔부(242) 하면과 상부지지대(220)의 플랜지부(222) 상면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대(210)의 상면에는 볼트관통공(2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걸림링(244)이 상하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링유동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체결/탈거장치(300)는 상기 점검구(12)에 삽입되는 고정판 본체(311)와, 상기 고정판 본체(311)의 외주부에서 전후좌우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2)의 가장자리에서 부스(11)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플랜지부(312)를 가지는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는 승강대(320)와, 상기 승강대(32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30)과, 상기 승강대(32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볼트(240)를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330)은 상기 고정판(310)을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판(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구동스크루(331)와, 상기 승강대(3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스크루(331)에 나사맞춤되는 승강구동너트(332)와, 상기 승강구동스크루(331)의 상단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승강구동모터(3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임볼트돌림수단(340)은 상기 절연체(30)의 중심부 직상방에서 상기 승강대(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341)과, 상기 구동축(341)의 전후 양측에서 상기 조임볼트(240)의 직상방에서 상기 승강대(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종동축(342)과, 상기 구동축(341)에 고정결합되는 구동기어(343)와, 상기 종동축(342)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343)에 맞물리는 종동기어(344)와, 상기 구동축(341)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동축(341)을 회전시키는 조임볼트돌림구동모터(345)와, 상기 종동축(342)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240)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볼트머리홈(347)이 형성되며 자화(磁化) 처리되어 상기 조임볼트(240)와 상부지지대(220) 및 압축코일스프링(250)을 흡착할 수 있는 박스렌치부(34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가 특허등록 제10-1721521호(2017.04.10.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는, 변전소 부스 내에 대차를 설치하여 도체를 승강시킴과 아울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차(100), 도체고정장치(200), 도체체결/탈거장치(300)를 구비하여 도체에 절취부와 볼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 및 탈거하도록 하였으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고장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고가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21521호(2017.04.1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전소 부스 내에서 절연체 상에 고정설치되는 도체를 공지의 도체체결/탈거장치와 도체고정장치에 의해 탈거한 상태서 도체이동장치의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와 전후방측도체인상틀에 의해 도체를 들어오려 이동컨트롤박스와 고정레일틀에 의해 손쉽게 카메라에 의해 원격으로 이동조작하면서 교체할 수 있고, 도체에 절취부와 볼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 및 탈거할 수 있으며,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점검구(42)를 갖는 부스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부스본체(41)의 점검구(42)를 복개하는 점검구 커버(43)가 형성되는 변전소 부스(40)와, 상기 변전소 부스(40) 내부에 구비되어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되는 원형단면의 도체(20)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도체고정장치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서 탈거하는 도체체결/탈거장치와, 도체(20)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도체이동장치(10)를 구비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체이동장치(10)는, 측면이 "┏┓"형상이고 상면은 전후방측으로 수평레일면을 이루는 수직기립된 판체인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을 갖고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전후방측 하부가 각각 상기 부스본체(41)의 점검구(42) 좌우측에 각각 삽입되면서 점검구(42) 상단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11aa,11ab)(11ba,11bb)을 각각 갖으며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전후방측선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결되면서 볼트결합되어 좌우측 폭을 조절연결하는 전후방측폭절장볼트(11c,11d)를 각각 갖으면서 점검구(42) 상단면에 고정지지되는 고정레일틀(11)이 형성되고,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고 외부로 테이타 전송이 이루어지는 판상의 직육면체로 좌우측면에는 카메라(12a,12b)가 각각 장착되고 전방 좌우측과 후방좌우측에서 각각 수평돌출되어 전후방모터(12c,12d)에 의해 정역회동되는 로울러축(12ca,12cb)(12da,12db)을 각각 갖으며 로울러축(12ca,12cb)(12da,12db) 각 선단에는 상기 고정레일틀(11)의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상면에 각각 안착되어 회동되는 궤도로울러(12cc,12cd)(12dc,12dd)를 갖고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상에서 전후방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컨트롤박스(12)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컨트롤박스(12) 전후방측 저면에 각각 수직되게 기립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하부로 신축되어 점검구(42)를 통해 승하강되는 전후방측사각신축바(13a,14a)를 갖는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의 전후방측사각신축바(13a,14a) 하단을 수평되게 연결하면서 내측에 중공(16b)이 형성된 전후방측연결관(16,16a)을 각각 갖고 전후방측연결관(16,16a) 중심측에는 정역회동모터(15)가 고정설치되면서 전후방측연결관(16,16a)의 중공(16b)을 통해 전후방구동축(15a,15b)이 전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치되어 돌출되며 전후방구동축(15a,15b) 각 선단에는 축결합부(17c)가 각각 축결합고정되고 그 하부에는 반원형상으로 절연체(30) 상의 도체(20)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반원리프팅링(17b)을 각각 갖는 전후방측도체인상틀(17,17a)이 형성되는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소 부스 내에서 절연체 상에 고정설치되는 도체를 공지의 도체체결/탈거장치와 도체고정장치에 의해 탈거한 상태서 도체이동장치의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와 전후방측도체인상틀에 의해 도체를 들어오려 이동컨트롤박스와 고정레일틀에 의해 손쉽게 카메라에 의해 원격으로 이동조작하면서 교체할 수 있고, 도체에 절취부와 볼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 및 탈거할 수 있으며,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의 이동컴트롤박스의 작동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의 전후방측도체인상틀의 작동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는, 상부에 점검구(42)를 갖는 부스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부스본체(41)의 점검구(42)를 복개하는 점검구 커버(43)가 형성되는 변전소 부스(40)와, 상기 변전소 부스(40) 내부에 구비되어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되는 원형단면의 도체(20)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공지의 도체고정장치(도시않음)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서 탈거하는 공지의 도체체결/탈거장치(도시않음)와, 도체(20)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도체이동장치(10)로 구성된다.
상기 도체이동장치(10)는, 고정레일틀(11)과, 이동컨트롤박스(12)와,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와, 전후방측도체인상틀(17,17a)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레일틀(11)은, 측면이 "┏┓"형상이고 상면은 전후방측으로 수평레일면을 이루는 수직기립된 판체인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을 갖고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전후방측 하부가 각각 상기 부스본체(41)의 점검구(42) 좌우측에 각각 삽입되면서 점검구(42) 상단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11aa,11ab)(11ba,11bb)을 각각 갖으며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전후방측선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결되면서 볼트결합되어 좌우측 폭을 조절연결하는 전후방측폭절장볼트(11c,11d)를 각각 갖으면서 점검구(42) 상단면에 고정지지된다.
상기 이동컨트롤박스(12)는,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고 외부로 테이타 전송이 이루어지는 판상의 직육면체로 좌우측면에는 카메라(12a,12b)가 각각 장착되고 전방 좌우측과 후방좌우측에서 각각 수평돌출되어 전후방모터(12c,12d)에 의해 정역회동되는 로울러축(12ca,12cb)(12da,12db)을 각각 갖으며 로울러축(12ca,12cb)(12da,12db) 각 선단에는 상기 고정레일틀(11)의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상면에 각각 안착되어 회동되는 궤도로울러(12cc,12cd)(12dc,12dd)를 갖고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상에서 전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는, 상기 이동컨트롤박스(12) 전후방측 저면에 각각 수직되게 기립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하부로 신축되어 점검구(42)를 통해 승하강되는 전후방측사각신축바(13a,14a)를 갖는다.
상기 전후방측도체인상틀(17,17a)은, 상기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의 전후방측사각신축바(13a,14a) 하단을 수평되게 연결하면서 내측에 중공(16b)이 형성된 전후방측연결관(16,16a)을 각각 갖고 전후방측연결관(16,16a) 중심측에는 정역회동모터(15)가 고정설치되면서 전후방측연결관(16,16a)의 중공(16b)을 통해 전후방구동축(15a,15b)이 전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치되어 돌출되며 전후방구동축(15a,15b) 각 선단에는 축결합부(17c)가 각각 축결합고정되고 그 하부에는 반원형상으로 절연체(30) 상의 도체(20)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반원리프팅링(17b)을 각각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전소 부스 내에서 절연체 상에 고정설치되는 도체를 공지의 도체체결/탈거장치와 도체고정장치에 의해 탈거한 상태서 도체이동장치의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와 전후방측도체인상틀에 의해 도체를 들어오려 이동컨트롤박스와 고정레일틀에 의해 손쉽게 카메라에 의해 원격으로 이동조작하면서 교체할 수 있고, 도체에 절취부와 볼트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균일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 및 탈거할 수 있으며,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도체이동장치
11 : 고정레일틀
12 : 이동컨트롤박스
13,14 :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
15 : 정역회동모터
17,17a : 전후방측도체인상틀
20 : 도체
30 : 절연체
40 : 변전소 부스

Claims (1)

  1. 상부에 점검구(42)를 갖는 부스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부스본체(41)의 점검구(42)를 복개하는 점검구 커버(43)가 형성되는 변전소 부스(40)와, 상기 변전소 부스(40) 내부에 구비되어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되는 원형단면의 도체(20)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도체고정장치(10)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체(30)의 상단에서 탈거하는 도체체결/탈거장치와, 상면은 전후방측으로 수평레일면을 이루는 수직기립된 판체인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을 갖고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전후방측 하부가 각각 상기 부스본체(41)의 점검구(42) 좌우측에 각각 삽입되면서 점검구(42) 상단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연장되어 점검구(42) 상단면에 고정지지되는 고정레일틀(11)이 형성되고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고 외부로 테이타 전송이 이루어지는 판상의 직육면체로 좌우측면에 카메라(12a,12b)가 각각 장착되고 전방 좌우측과 후방좌우측에서 각각 수평돌출되어 전후방모터(12c,12d)에 의해 정역회동되는 로울러축(12ca,12cb)(12da,12db)을 각각 갖으며 로울러축(12ca,12cb)(12da,12db) 각 선단에는 상기 고정레일틀(11)의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상면에 각각 안착되어 회동되는 궤도로울러(12cc,12cd)(12dc,12dd)를 갖고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상에서 전후방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컨트롤박스(12)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컨트롤박스(12) 전후방측 저면에 각각 수직되게 기립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하부로 신축되어 점검구(42)를 통해 승하강되는 전후방측사각신축바(13a,14a)를 갖는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가 형성되어 도체(20)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도체이동장치(10)를 구비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체이동장치(10)의 고정레일틀(11)은, 측면이 "┏┓"형상이고 양단부에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11aa,11ab)(11ba,11bb)을 각각 더 갖으며 좌우측레일프레임(11a,11b) 전후방측선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결되면서 볼트결합되어 좌우측 폭을 조절연결하는 전후방측폭절장볼트(11c,11d)를 각각 더 갖고;
    상기 전후방측승강유압실린더(13,14)의 전후방측사각신축바(13a,14a) 하단을 수평되게 연결하면서 내측에 중공(16b)이 형성된 전후방측연결관(16,16a)을 각각 갖고 전후방측연결관(16,16a) 중심측에는 정역회동모터(15)가 고정설치되면서 전후방측연결관(16,16a)의 중공(16b)을 통해 전후방구동축(15a,15b)이 전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치되어 돌출되며 전후방구동축(15a,15b) 각 선단에는 축결합부(17c)가 각각 축결합고정되고 그 하부에는 반원형상으로 절연체(30) 상의 도체(20)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반원리프팅링(17b)을 각각 갖는 전후방측도체인상틀(17,17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KR1020210015235A 2021-02-03 2021-02-03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KR10243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235A KR102435130B1 (ko) 2021-02-03 2021-02-03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235A KR102435130B1 (ko) 2021-02-03 2021-02-03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882A KR20220111882A (ko) 2022-08-10
KR102435130B1 true KR102435130B1 (ko) 2022-08-23

Family

ID=8284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235A KR102435130B1 (ko) 2021-02-03 2021-02-03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1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57B1 (ko) * 2006-07-26 2007-07-10 백대현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KR101574647B1 (ko) 2015-01-13 2015-12-04 성우전기(주) 변전소의 메인 부스 교체 장치
KR101721521B1 (ko) * 2016-08-08 2017-04-10 (주)이림엔지니어링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230A (ko) * 2015-01-13 2016-07-21 백두전기 (주)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57B1 (ko) * 2006-07-26 2007-07-10 백대현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KR101574647B1 (ko) 2015-01-13 2015-12-04 성우전기(주) 변전소의 메인 부스 교체 장치
KR101721521B1 (ko) * 2016-08-08 2017-04-10 (주)이림엔지니어링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882A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67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ofitting a circuit breaker
US4367512A (en) Transportable power supply substation
CN104584347B (zh) 气体绝缘开闭装置
KR100824584B1 (ko)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1721521B1 (ko) 변전소의 변전 배선 설비구조
KR100399545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435130B1 (ko)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KR101574647B1 (ko) 변전소의 메인 부스 교체 장치
KR101689225B1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철거장치
KR20160087230A (ko)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방법
JP6169219B1 (ja) ブッシング更新装置、及びブッシング更新システム
KR20200137373A (ko) 전선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KR101587952B1 (ko) 변전소의 부스내 도체 교체 작업용 대차
JP465781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の組立方法およびガス絶縁開閉装置の組立装置
CN102983515B (zh) 一种可实现微调的gis设备整间隔移动装置
CN202917875U (zh) 一种可实现微调的gis设备整间隔移动装置
CN105490207A (zh) 一种高压绝缘线路接地挂环安装工具
KR101829577B1 (ko) 부싱 설치 장치
CN218102493U (zh) 一种可升降母线导体安装设备
CN219779281U (zh) 无级同心度纠偏的易维护ipb外壳过渡对接装置
CN218431467U (zh) 一种用于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的运输装置
CN212085642U (zh) 一种滚轮抽出式开关柜
KR20170062619A (ko) 케이블 교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교체방법
CN219031514U (zh) 一种具有适应性的电力设施安装运转装置
CN220086732U (zh) 一种预制舱及箱式变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0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113

Effective date: 2022062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