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457B1 -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 Google Patents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457B1
KR100737457B1 KR1020060070099A KR20060070099A KR100737457B1 KR 100737457 B1 KR100737457 B1 KR 100737457B1 KR 1020060070099 A KR1020060070099 A KR 1020060070099A KR 20060070099 A KR20060070099 A KR 20060070099A KR 100737457 B1 KR100737457 B1 KR 100737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vacuum molding
support plate
fram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대현
Original Assignee
백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대현 filed Critical 백대현
Priority to KR102006007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2Moulds having 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진공성형물이 안착된 서포트플레이트의 하방에 왕복운동하는 절단기구가 구비되어 진공성형물의 절단예정부를 절단하여 다수개의 천공을 형성하는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함몰 형성된 절단예정부(320)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진공성형물(300)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200)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절단예정부(320)를 절단하는 절단기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진공성형, 절단, 왕복, 후처리

Description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 Apparatus and method and product for post treatment of vacuum forming product }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성형 되는 진공성형물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서포트플레이트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절단기구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프레임 200. 서포트플레이트
220. 관통구 240. 장착구
300. 진공성형물 300'. 유공판넬
320. 절단예정부 322. 통공
400. 고정기구 420. 고정플레이트
440. 실린더 442. 실린더로드
460. 완충부재 500. 절단기구
520. 절단모터 522. 회전축
540. 회전톱 560. 무빙플레이트
600. 이송기구 620. 엘엠가이드
622. 레일 624. 블럭
640. 볼스크류 642. 스크류로드
644. 너트 646. 지지브라켓
660. 이송모터 680. 베벨기어
700. 컨트롤박스 720. 조작반
본 발명은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진공성형물이 안착된 서포트플레이트의 하방에 왕복운동하는 절단기구가 구비되어 진공성형물의 절단예정부를 절단하여 다수개의 천공을 형성하는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성형은 가열연화된 시트와 금형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시트를 금형에 밀착시켜 일정한 형태를 얻는 방법으로, 다양한 플라스틱제품을 성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진공성형에 의한 진공성형물은 필요에 따라서 천공을 형성하여야할 때도 있는데, 진공성형의 특성상 진공성형 작업시에는 진공성형물에 천공을 형성할 수 없으며, 진공성형 후에 별도의 상기 진공성형물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후처리 가공이 필요하게 된다.
예컨데, 상기 진공성형물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에 의해 절단작업으로 상기 진공성형물에 천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진공성형물의 크기가 작고 천공의 수가 적은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후처리 작업은 작업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뿐만 아니라 작업공의 숙련정도 또는 상황에 따라 불량발생율의 차이가 있으므로 전체적인 생산성 및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진공성형물의 크기가 비교적 크거나, 상기 진공성형물에 형성되는 천공의 수가 비교적 많을 경우에는 프레스 장치를 이용한 펀칭이나 열선에 의한 가열 방식으로 상기 진공성형물에 천공을 형성하는 후처리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진공성형물에 다수의 천공을 형성하는 후처리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장치에 상기 진공성형물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금형을 형성한 후에 상기 진공성형물을 안착시켜 상기 프레스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천공을 한 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성형물에 다수의 천공을 형성하는 후처리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진공성형물이 안착되기 위한 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성형물에 천공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열선을 설치하여 상기 진공성형물의 안착시 상기 열선과 접촉하는 부분을 녹여 상기 진공성형물에 다수의 천공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천공을 형성하는 후처리 작업시에는 비교적 고가의 프레스 장치를 구성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진공성형물의 크기가 클 경우 이에 따른 금형의 크기가 커짐은 물론 프레스 장치 또한 상대적으로 대형으로 구성하여야만 하므로 장치를 구성하는데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동시에 많은 천공을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프레스 작업시 과부하가 걸릴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과부하는 제품의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됨은 물론 공차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하중의 전달로 인한 금형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금형의 빈번한 교체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열선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의 일부를 녹여서 천공을 형성하는 후처리 작업에서는 상기 진공성형물 전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상기 열선과 접촉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진공성형물을 누르는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보다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하게 되며, 상기 진공성형물을 일정하게 누르지 못할 경우 상기 진공성형물에 형성되는 천공의 크기와 형상이 일정하지 않아 불량발생 및 품질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진공성형물의 일부를 열선에 의해 녹임으로써 작업시 유해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고온의 열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시 작업자의 신체와 접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등 작업환경이 열악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진공성형물이 안착된 서포트플레이트의 하방에 왕복운동하는 절단기구가 구비되어 진공성형물의 절단예정부를 절단하여 다수개의 천공을 형성하는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는, 함몰 형성된 절단예정부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진공성형물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절단예정부를 절단하는 절단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는, 외형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진공성형물의 일측에 함몰형성되는 절단예정부가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성형물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에 안착된 진공성형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기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하방을 지나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하방으로 노출된 진공성형물의 절단예정부를 절단하는 절단기구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기구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송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는 상기 진공성형물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공성형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진공성형물의 절단예정부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되는 관통구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절단기구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절단모터와; 상기 절단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의 절단예정부를 절단하는 회전톱과; 상기 절단모터의 장착을 지지하며 상기 이송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하방에서 왕복운동하는 무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기구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하방에 길게 형성되며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엘엠가이드 와;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일측에 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회전축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를 수평이동시키는 볼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로드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로드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하 승강을 조절하는 실린더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진공성형물과 선택적으로 접촉 고정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방법은, 진공성형물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에 형성된 절단예정부가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진공성형물을 안착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에 안착된 진공성형물을 고정하는 고정기구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을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는 절단기구에 의해 상기 절단예정부를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고정기구의 상승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해제단계의 완료 후에는 상기 절단예정부가 절단된 진공성형물을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로부터 꺼내는 취출단계가 더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제품은,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에 의하면, 생산비용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 효과와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외형은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고정기구(400)와 절단기구(500) 및 이송기구(600) 등의 장착을 지지하는 한편, 전체적인 외형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철제 파이프 또는 잔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절단기구(500)와 이송기구(600)가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상단 좌우측 대략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대략 '
Figure 112006053587334-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 상부의 상면에는 서포트플레이트(200)가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는 진공 성형된 진공성형물(3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것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성형 되는 진공성형물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서포트플레이트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진공성형물(300)과 서포트플레이트(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일례로 공사현장 또는 도로에 설치되는 가설방음벽의 일구성인 유공판넬(300')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진공성형물(300)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가설방음벽은 공사현장과 작업장 또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음의 방지는 물론 먼지 또는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설방음벽은 그 사용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소음방지를 위한 가설방음벽은 전면과 후면이 판넬로 형성되고, 상기 판넬의 사이에 흡음재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가설방음벽의 외측둘레면에는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이 구비된다.
상기 가설방음벽의 전후 양면 또는 일면은 유공판넬(3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유공판넬(300')은 상기 가설방음벽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유공판넬(300')에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3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322)은 상기 유공판넬(300')에 도달하는 소음을 흡수 분산하여 소음을 소멸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음향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도 3 에서 볼 때 일정간격 마다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유공판넬(300')은 비교적 길이가 긴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필름상태의 플라스틱수지를 진공성형하여 형성하게 되며, 상기 유공판넬(300')에는 상방(도 3 에서 볼 때)으로 함몰 형성된 절단예정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절단예정부(32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절단기구(500)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절단예정부(320)의 단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통공(322)이 자연스럽게 천공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는 상기 진공성형물(300) 즉 상기 유공판넬(300')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유공판넬(300')의 크기와 대응하거나 다소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공판넬(300')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유공판넬(300')의 요철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는 다수의 관통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20)는 상기 유공판넬(300')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절단예정부(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220)는 상기 절단예정부(320)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형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단예정부(3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절단예정부(3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배열을 가지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 상기 유공판넬(300')이 안착될 경우 상기 유공판넬(300')의 절단예정부(320)가 서포트플레이트(200)의 관통구(220)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절단예정부(320)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으로 다소 돌출되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구(2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구(24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는 상기 프레임(100) 상부의 상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는 진공성형물(3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해당하는 진공성형물(300)의 후처리 작업시에 상기 프레임(1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진공성형물(300)의 후처리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다시 도 1 내지 도 4 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100) 상부에는 고정기구(4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기구(400)는 상기 서포트프레임(100)에 안착된 상기 진공성형물(3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플레이트(420)와 실린더(440) 그리고 완충부재(46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20)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상기 진공성 형물(300)의 상면을 누르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와 대응하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면에는 완충부재(460)가 장착된다.
상기 완충부재(460)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면 전체를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 장착된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스폰지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진공성형물(300)과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함은 물론 비교적 고른 표면을 갖지 못하는 상기 진공성형물(3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 상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한쌍의 실린더(440)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44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20)의 상하 승강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양측단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실린더로드(442)의 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420)의 양측단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420)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44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실린더(440)의 동작을 위한 컴프레서와 같은 유공압 기기들이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더 장착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에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100) 하부의 일측에는 절단기구(500)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기구(500)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유공판넬(3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절단예정부(320)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모터(520)와 회전톱(540) 그리고 무 빙플레이트(560)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모터(520)는 상기 회전톱(54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하면에 장착되며, 회전축(522)이 상기 무빙플레이트(560)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상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축(522)의 상단에는 회전톱(540)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522)은 상기 절단예정부(320)의 절단을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형의 회전톱(540)이 채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절단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편, 상기 무빙플레이트(56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이송기구(600)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도 3 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며, 상기 왕복운동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를 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6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톱(540)의 상단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면으로부터 대략 2~5mm 가량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할 이송기구(600)에 장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이송기구(600)는 상기 절단기구(500)의 수평방향 왕복운동을 위한 것으로, 엘엠가이드(620)와 볼스크류(640) 그리고 이송모터(660)로 구성되며, 이하 도 3 내지 도 5 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엘엠가이드(620)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보다 원활한 이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무빙플레이트(560)가 이동되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 기 절단기구(5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톱(540)의 좌우 수평방향의 스트로크보다는 더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단예정부(320)의 절단을 위해 상기 회전톱(540)의 좌우 수평방향 스트로크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엘엠가이드(620)는 일반적으로 레일(622)과 블럭(624)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일(622)이 상기 프레임(100) 하부의 전단부와 후단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624)은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하면 전단과 후단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60)는 상기 레일(622)을 따라서 원할하게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엘엠가이드(620)에 장착된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상방에는 볼스크류(640)가 장착된다. 상기 볼스크류(640)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6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후단부에 위치한 엘엠가이드(62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엘엠가이드(620)의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볼스크류(640)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브라켓(646)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 하부의 상단에 고정되며, 스크류로드(642)와 너트(644)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로드(642)는 상기 엘엠가이드(62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의 환봉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644)는 상기 스크류로드(642)를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하는 것으로,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로드(6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64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56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로드(64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 하부의 우측에는 이송모터(660)가 장착된다. 상기 이송모터(660)는 상기 스크류로드(642)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로드(642)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모터(66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로드(642)의 회전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로드(642)와 상기 이송모터의 회전축은 베벨기어(680)로 연결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대략 중앙부에는 컨트롤박스(700)와 조작반(720)이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700)와 조작반(720)은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된 상기 고정플레이트(420)의 승강과 상기 회전톱(540)의 회전수 및 스크류로드(642)의 회전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장치의 작동 및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진공 성형물의 후처리를 위해서는 우선 진공선형제품 후처리 장치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고정기구(400)의 상기 고정플레이트(420)는 실린더(440)의 동작 전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기구(500)는 상기 프레임(100) 하부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회전톱(540)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좌측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이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상기 진공성형물(300)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성형물(300)이 안착된 상태를 상기 유공판넬(30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공판넬(300')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와 형합될 수 있도록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공판넬(300')에서 돌출 형성된 상기 절단예정부(320)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관통구(220)로 삽입되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안착단계(S100)]
상기 유공판넬(300') 즉,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조작반(720)을 조작하여 상기 고정기구(4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실린더(440)가 작동하게 되며, 상기 실린더로드(442)가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442)에 결합된 상기 고정플레이트(42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20)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상단에까지 하강하게 되면, 상기 고정플레이트(420) 하면의 완충부 재(460)가 상기 진공성형물(300)을 상방에서 눌러 상기 진공성형물(300)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고정기구(400)에 의해서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고정이 완료되는 한편,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으로 상기 절단예정부(320)가 보다 확실하게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고정단계(S200)]
상기 고정기구(400)에 의한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고정완료 후에는 상기 절단기구(500)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기구(500)의 작동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으며,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고정기구(400)의 동작 후 일정시간 뒤에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절단기구(5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절단모터(520)가 작동하게 되며, 상기 절단모터(520)의 작동으로 상기 절단모터(520)의 회전축과 연결된 상기 회전톱(54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톱(54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절단기구(500)는 이송기구(600)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모터(660)가 작동하게 되며, 상기 이송모터(6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로드(64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로드(642)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너트(644)는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에서 우측(도 6 에서 볼 때)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너트(644)는 상기 절단기구(500)의 무빙플레이트(56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무빙플레이트(560)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무빙플레이트(560)는 상기 엘엠가이드(620)에 안착된 상태가 되어 보다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6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톱(540) 또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톱(540)의 이동시 상기 회전톱(540)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을 지나치게 되며, 상기 회전톱(540)과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 사이의 간격은 2~5mm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을 지나는 회전톱(540)에 의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 하방으로 노출된 절단예정부(320)가 절단된다. 즉, 상기 절단기구(5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한번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절단예정부(320)가 모두 절단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절단예정부(320)의 절단으로 상기 진공성형물(300) 즉, 상기 유공판넬(300')에는 다수의 통공(322)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기구(500)가 상기 프레임(100) 하부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완전하게 이동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진공성형물(300) 절단예정부(320)의 절단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절단단계(S300)]
상기 절단기구(500)가 상기 프레임(100) 하부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이송기구(600)의 작동은 중지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기구(400)가 작동하여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즉, 상기 실린더(4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드(442)가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442)와 결합된 상기 고정플레이트(420)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20)의 상승으로 상기 진공성형물(300)을 상방에서 누르는 구속력이 해제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20)는 상기 프레임(100) 상부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고정해제단계(S400)]
상기 고정기구(400)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진공성형물(300)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로부터 취출되어 다른 작업을 위해 운반 또는 보관된다. [취출단계(S500)]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로부터 취출된 진공성형물(300)은 후처리가 완료된 상태가 된다. 예컨데 상기 유공판넬(300')의 경우에는 상기 절단예정부(320)의 단부가 모두 절단되어 다수의 통공(322)이 형성됨으로써 후처리 작업이 완료된 유공판넬(300')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연속적인 후처리 작업을 위해서는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취출 후 다시 상기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후처리 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다만, 상기 절단기구(500)는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절단예정부(320)를 절단하게 된다.
즉, 상기 절단기구(500)의 1회 왕복운동으로 상기 절단예정부(320)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300)를 2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을 위한 절단예정부가 다수개 형성 된 진공성형물을 서포트플레이트에 안착시키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하방으로 돌출된 절단예정부를 절단기구의 수평왕복운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진공성형물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절단예정부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하면과 인접하여 지나는 상기 절단기구의 회전톱에 의해서 모두 절단되어 상기 진공성형물에 천공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톱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진공성형물에 천공을 형성하는 후처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한명의 작업자 만으로 진공성형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한명의 작업자가 2대 이상의 후처리 장치를 조작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건비의 절감은 물론 작업 속도의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에 안착되는 고정부재는 고정기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비교적 크기가 큰 진공성형물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작업중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기 절단예정부의 보다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불량 발생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균일한 사이즈의 천공이 형성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단부재에 의해 절단되어 스크랩이 되는 상기 절단예정부의 일부분은 100%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재료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회전톱날에 의해 상기 절단예정부가 절단됨으로 작업자는 불필요하게 상기 진공성형물에 추가의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절단 전후에 상기 진공성형물을 안착하거나 취출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편의성은 물론 작업안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절단기구에 의해 상기 절단예정부가 절단되는 후처리 방식은 열선에 의한 후처리 방식에 비해 전혀 연기 또는 유해 가스등을 발생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환경의 개선은 물론 환경오염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함몰 형성된 절단예정부(320)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진공성형물(300)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200)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절단예정부(320)를 절단하는 절단기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300)의 후처리 장치.
  2. 외형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진공성형물(300)의 일측에 함몰형성되는 절단예정부(320)가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성형물(300)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진공성형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기구(400)와;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을 지나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으로 노출된 진공성형물(300)의 절단예정부를 절단하는 절단기구(5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기구(50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송기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는,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종류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절단예정부(320)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되는 관통구(220)가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구(500)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절단모터(520)와;
    상기 절단모터(520)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절단예정부(320)를 절단하는 회전톱(540)과;
    상기 절단모터(520)의 장착을 지지하며 상기 이송기구(600)와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하방에서 왕복운동하는 무빙플레이트(5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600)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하방에 길게 형성되며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엘엠가이드(620)와;
    상기 무빙플레이트(560)의 일측에 너트(644)가 구비되며, 상기 너트(644)를 관통하는 스크류로드(642)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560)를 수평이동시키는 볼스크류(640)와;
    상기 스크류로드(642)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로드(64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모터(6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400)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42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20)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420)의 상하 승강을 조절하는 실린더(44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20)의 하면에 구비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진공성형물(300)과 선택적으로 접촉 고정하는 완충부재(4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장치.
  8. 진공성형물(300)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절단예정부(320) 가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진공성형물(300)을 안착하는 안착단계(S100)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진공성형물(300)을 고정하는 고정기구(400)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300)을 고정하는 고정단계(S200)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를 따라 이동하는 절단기구(500)에 의해 상기 절단예정부(320)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300)와;
    상기 고정기구(40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진공성형물(300)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단계(S400)의 완료 후에는,
    상기 절단예정부(320)가 절단된 진공성형물(300)을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0)로부터 꺼내는 취출단계(S500)가 더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기재된 진공성형물(300)의 후처리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진공성형물의 후처리 제품.
KR1020060070099A 2006-07-26 2006-07-26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KR10073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099A KR100737457B1 (ko) 2006-07-26 2006-07-26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099A KR100737457B1 (ko) 2006-07-26 2006-07-26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457B1 true KR100737457B1 (ko) 2007-07-10

Family

ID=3850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099A KR100737457B1 (ko) 2006-07-26 2006-07-26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882A (ko) *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조이테크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987A (ko) * 2000-09-13 2002-03-18 카키모토 마사카주 천공 또는 절단장치
JP2002316357A (ja) 2001-04-20 2002-10-29 Kodama Chemical Industry Co Ltd 真空成形用金型
KR20040059927A (ko) * 2002-12-30 2004-07-06 지승광 건물의 바닥구조물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0068724A (ko) 2003-01-27 2004-08-02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키 패드 사출 제품의 패드 커팅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987A (ko) * 2000-09-13 2002-03-18 카키모토 마사카주 천공 또는 절단장치
JP2002316357A (ja) 2001-04-20 2002-10-29 Kodama Chemical Industry Co Ltd 真空成形用金型
KR20040059927A (ko) * 2002-12-30 2004-07-06 지승광 건물의 바닥구조물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0068724A (ko) 2003-01-27 2004-08-02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키 패드 사출 제품의 패드 커팅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882A (ko) *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조이테크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KR102435130B1 (ko) * 2021-02-03 2022-08-23 주식회사 조이테크 변전소의 변전 배선 자동화 설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1222A1 (zh) C型钢的成型和冲孔的生产线及其加工工艺
CN204322184U (zh) 自动化裁断机
CN110102665B (zh) 一种具有连续供给功能的汽车挡泥板加工装置
JP2014161878A (ja) プレス型のスクラップ排出装置
CN111873051B (zh) 一种聚氨酯隔音板加工方法
KR100737457B1 (ko)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CN106736571B (zh) 导轨锯切冲孔装置
CN104842198B (zh) 一种外轮廓需铣削的工件的底座可调夹具
CN104875043B (zh) 一种外轮廓需铣削的长形工件的夹具
JP2008272765A (ja) スクラップカッター付きトリミングプレス装置
CN206048520U (zh) 中空复合板开孔机
KR102117949B1 (ko) 프레스금형의 스크랩 배출장치
JP4987373B2 (ja) 切断装置
CN211762174U (zh) 一种木工数控侧孔机
CN211248101U (zh) 一种叠合板制造用钢筋截短装置
JP2004141979A (ja) パンチ・レーザ複合機
CN211218881U (zh) 一种挤压机出口铝材剪切设备
CN209597996U (zh) 一种半成品车号牌冲压成型模具
CN110802266A (zh) 一种挤压机出口铝材剪切设备
CN208162389U (zh) 冲压模具
CN214394832U (zh) 一种人造砖石用切割机
CN110773673A (zh) 一种叠合板制造用钢筋截短装置
CN110695204A (zh) 一种索具生产用全自动模具
CN216578612U (zh) 一种保温板自动化打孔机
CN211165481U (zh) 具有减噪和减震功能的模具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