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987A - 천공 또는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천공 또는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987A
KR20020020987A KR1020010039769A KR20010039769A KR20020020987A KR 20020020987 A KR20020020987 A KR 20020020987A KR 1020010039769 A KR1020010039769 A KR 1020010039769A KR 20010039769 A KR20010039769 A KR 20010039769A KR 20020020987 A KR20020020987 A KR 20020020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workpiece
vacuum
die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다야스유키
후루타마코토
Original Assignee
카키모토 마사카주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키모토 마사카주,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키모토 마사카주
Publication of KR20020020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9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26F2210/08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of ceramic green sheets,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상처에 약한 매우 섬세한 공작물의 천공 또는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B)나 비통기성의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B)가 미끄럼 접촉면과의 완충재로 되어서 상처에 약한 매우 섬세한 공작물(W)을 보호한다.

Description

천공 또는 절단장치{PUNCHING OR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천공 또는 절단장치, 더욱 상세히는 상처에 약한 매우 섬세한 공작물을 천공하는 천공장치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프린트기판이나 플렉시블기판, 세라믹그린시트 등의 펀칭업계에서는, 다양한 공작물(천공대상체)이 출현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상처에 매우 약한 섬세한 공작물이 있다.
그 공작물의 일례로서는, 액정확산방사시트가 있다. 이 시트는 미세한 상처에도 빛의 반사각 등에 지장을 가져와서 사용불능으로 되어 버린다.
그런데, 천공장치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그 종류로서는 테이블면의 일부를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할 수 있는 진공테이블로 구성하고, 그 공작물에 부착되어 있는 천공대상부(마크)를 펀치 바로 아래에 인위적으로 이동시킨 후, 그 마크의 보정량(CCD카메라와 2값화하는 화상처리장치)을 산출하고, 그 후, 푸트스위치(foot switch)나 터치스위치 등으로 작동하는 진공테이블에서 공작물을 흡착하여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천공대상부를 펀치 바로 아래에 고정밀도로 센터링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펀치가 하강하여 천공하는 반수동 타입(A타입). 진공홀더에 공작물을 흡착하고, 이 진공홀더를 측면에서 보아 コ형상을 이루는 펀칭유닛이나 펀치유지금형과 다이유지금형을 보유하는 천공다이(갱다이, 그리드다이)의 공작물 반송공간에 삽입하고, 그 공작물홀더를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천공대상부나 천공에리어에 천공한다(B타입). 또는, 롤원반에서 공작물인 테이프 형상물을 풀림장치로 소정길이로 풀어내면서 권취장치로 권취하는 도중에 상기 펀칭유닛이나 천공다이를 설치하고, 그 펀칭유닛이나 천공다이가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천공한다(C타입). 등이다.
모두 공통되는 점은, 천공대상인 공작물이 진공테이블, 그 주위의 메인테이블, 펀칭유닛의 하반부, 다이유지금형에 미끄럼 접촉하는 것이다.
이들, 미끄럼 접촉면은 면정밀도가 높다고 하여도 금속제이므로 경도가 있고, 공작물에 대하여 결코 우수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고, 게다가 코너부가 반드시 존재하고, 때로는 능선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어, 그들로 스치고 걸려서 상처나거나, 진공테이블에 있어서는 흡인력에 의해서 호퍼형상을 이루는 흡인구 가장자리에서 상처나 버리는 실상이 있었다.
또, 롤원반의 테이프형상물을 취급하는 타입의 선행기술로서, 일본국 특허공고 평7-47279호 공보, 동 47280호 공보와 같이 롤원반에서 테이프형상물을 소정길이로 풀어낼 때에 그 풀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진공패드를 배치하고, 그 진공패드로 테이프형상물을 흡착유지하여 그 진공패드간의 테이프형상물 부분을 천공부로 천공가공하는 천공장치나,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3990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원반을 풀어내면서 소정길이 치수로 테이프형상물을 컷트하고, 절단된 공작물을 일단 공급측의 진공테이블로 흡착유지하여 그 진공테이블에서 X·Y축선 제어이동 가능한 이동기구 선단의 진공홀더에 그 절단된 공작물을 수취하고, 천공부까지 반송하여 그 천공부에서 천공가공하고, 다시 반출측의 진공테이블에 그 가공완료의 공작물을 주고받아 그 공작물을 언로더(배출수단)로 외부로 배출하는 천공장치 등도 존재하지만, 이들 진공패드, 진공테이블, 진공홀더에 있어서도 그 공작물이 흡인력에 의해서 호퍼형상을 이루는 흡인구 가장자리에서 상처나 버린다.
또, 절단장치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허등록번호 제2948587호 공보와 같이 롤원반에서 풀려나오는 테이프형상물의 길이방향의 에지(edge)를 윗쪽으로 위치하는 에지확인수단으로 확인한 때, 컷터로 절단하기 전공정에서 테이프형상물을 진공테이블로 흡착하여 풀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θ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테이프형상물을 절단하는 절단장치 등도 존재하지만, 이 선행기술에 있어서도 이들 진공테이블에 있어서도, 그 공작물이 흡인력에 의해서 호퍼형상을 이루는 흡인구 가장자리에서 상처나 버릴 위험이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처에 약한 매우 섬세한 공작물의 천공에 우수한 천공 또는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천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소재의 피복고정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제2실시형태의 소재의 피복고정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제3실시형태의 천공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제4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5실시형태의 정면도로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절단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천공장치 4 : 다이홀더
14 : 다이 14a : 펀치구멍
2, 2' : 진공테이블 12 : 안내구
5 : 메인테이블 7 : 펀칭유닛
13 : 펀치 B : 부드러운 소재
400 : 진공패드 700 : 진공홀더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된 기술적 수단은,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 가능한 진공테이블로 공작물을 흡착하고, 그 진공테이블을 제어이동하여 동 진공테이블에 개구되어 있는 안내구 내에 위치하는 다이홀더의 다이와, 그 위쪽에 위치하여 하강하는 펀치로 공작물에 천공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 진공테이블의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는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덧붙여서, 다이의 펀치구멍 이외의 다이 및 다이홀더의 표면, 진공테이블 주위의 메인테이블의 표면도,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여도 좋은 것이다.
여기서,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라는 것은, 두께를 0.1㎜~0.9㎜정도로 하는 통기성을 보유하는 실크, 나일론 등의 부직, 직포 또는 다공질의 연질수지피막 등을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진공테이블과 같이 흡착기능을 구비시킬 필요가 없는 다른 공작물 미끄럼 접촉부(진공테이블 주위의 메인테이블이나 펀칭유닛의 하반부, 다이유지금형 등의 표면)에 피복하는 박육형상(0.1㎜~0.9㎜정도 두께)의 부드러운 소재는 굳이 비통기성의 소재이어도 관계 없는 것이다.
또, 너무 지나치게 두꺼우면(1㎜이상으로 되면), 펀치가 공작물에 접촉할 천공초기압을 받아서 공작물이 소재 내로 끌어넣어지게 되어 천공정밀도를 나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상기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그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가 완충재로 되어서, 상처에 약한 매우 섬세한 공작물을, 호퍼형상을 이루는 흡인구 가장자리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진공테이블을 제어이동할 때에 그 주위에 존재하는 경도가 있는 메인테이블 표면, 다이 및 다이홀더의 표면과의 직접적인 미끄럼 접촉을 회피한다.
또, 공작물 또는 펀치를 보유하는 펀칭유닛, 천공다이가 수평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공작물에 천공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 다이의 펀치구멍을 제외하고 공작물의 미끄럼 접착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는 경우도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천공할 때에 공작물, 또는 펀칭유닛, 천공다이를 제어이동하면 반드시 공작물은 펀칭유닛의 하반부, 천공다이의 다이유지금형에 미끄럼 접촉한다. 그 미끄럼 접촉면을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피복하여 미끄럼 접촉시의 공작물을 상기 하반부 표면, 다이유지금형 표면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진공테이블, 다이 및 다이홀더, 메인테이블, 펀칭유닛, 천공다이에 있어서, 공작물의 미끄럼 접촉면을 박리가능하게 피복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는, 각 부위의 코너부를 공작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미끄럼 접촉하는 각 부위에는 반드시 코너부가 존재하고, 그 코너부가 노출되면 그 부분에서 공작물에 손상을 준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너부도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피복한다.
또한, 롤원반으로부터 풀림기구로 소정길이 풀어내면서 그 테이프형상물을 풀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진공패드로 흡착하고, 그 진공패드간의 테이프형상물을 천공부에서 천공가공하는 천공장치나, 롤원반으로부터 테이프형상물을 풀림기구로 소정길이로 풀어내면서 그 테이프형상물을 절단하고, 그 절단된 공작물을 진공홀더로 흡착하여 천공부로 반송하고, 천공부에서 소정의 천공가공을 행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도, 진공패드의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으면 마찬가지로 유효하다.
또, 절단장치로서는, 롤원반으로부터 테이프형상물을 풀림기구로 소정길이로풀어내고, 이 풀림기구의 하류측에 진공패드를 배치하고, 에지확인수단으로 테이프형상물이 풀림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경사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을 때, 진공테이블에서 그 테이프형상물을 흡착하여 풀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θ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테이블의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어도 유효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천공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도 4는 본 발명 천공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도 5는 제3실시형태를, 도 6은 제4실시형태를, 도 7은 제5실시형태를,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절단장치의 실시형태를 각각 나타내고, 우선 제1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부호 A는 천공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천공장치(A)는 책상형상의 기대(機臺)(A1)의 상면을 테이블(1)로 하고, 그 중앙부를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 가능한 진공테이블(2)로 구성하고, 그 기대(A1)의 배부(背部)에서 진공테이블(2)의 위쪽에 이르도록 지지기체(A2)를 설치하고, 그 지지기체(A2)의 선단부에 CCD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센터링수단(10)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센터링수단(10)과 진공테이블(2)의 사이에서 동축으로 되도록 스윙(swing)하는 흔들림제어가능한 스윙암(3)을 구비하고, 또한 진공테이블(2)의 중공부에 개구한 안내구(12)에 위치하는 다이홀더(4)에 지지되는 다이(14)를 상기 센터링수단(10)과 동축상에 보유하고 있고, 센터링수단(10)의 시야범위에 공작물(W)의 타겟마크를 인위적으로 위치시키면 진공테이블(2)에서 그 공작물(W)을 흡착하여 센터링수단(10)으로 연계하는 화상처리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그 촬상을 2값화하고, 그 2값화 화상을 모니터(100) 화면상에서 심사하여 그 타겟마크의 중심위치를 센터링하고, 센터링 데이터를 가지고 공작물(W)을 흡착유지하는 진공테이블(2)이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센터링한 후, 센터링수단(10)과 다이(14)의 동축환경에서 스윙하여 도피하고 있던 스윙암(3)이 동축상에 복귀하고, 타동구동원(200)의 구동력을 받아서 상하로 움직여서 스윙암(3) 자체가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그 스윙암(3)으로 지지되고 있는 펀치(13)가 공작물(W)에 천공하는 주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부호 300은 진공테이블(2)의 X·Y축선 방향으로의 제어기구이다. 또, 이 진공테이블(2)은 또한 θ방향으로도 제어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은 것이다.
이 천공장치(A)에 있어서, 상기 진공테이블(2), 그 진공테이블(2) 주위의 메인테이블(5), 또한 펀치구멍(14a)를 제외한 다이(14) 및 다이홀더(4) 각각의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의 부드러운 소재(B)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다.
진공테이블(2), 메인테이블(5), 펀치구멍(14a)을 제외한 다이(14) 및 다이홀더(4)의 표면으로서의 박리가능한 피복고정수단(6)은 양면접착테이프나 점착력이 약한 건성의 점착재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테이블(2), 메인테이블(5)을 개별로 피복하지 않고 진공테이블(2)과 메인테이블(5)을 함께 큰 면적의 소재(B)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여도 좋다.
이 경우, 메인테이블(5)과 소재(B)의 점착력으로 진공테이블(2)의 X·Y축선방향의 제어이동이 저해되는 것이 염려되지만 X·Y축선 방향의 제어이동 범위는 극히 조금인 것이기 때문에 소재(B)의 탄성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미세한 상처에도 빛의 반사각 등에 지장을 가져와서 사용불능으로 되는 액정확산방사시트 등의 공작물(W)을 진공테이블(2)의 흡인구(22) 가장자리로부터 방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테이블(5) 표면이나 다이(14), 다이홀더(4) 표면과의 미끄럼 접촉이 회피되어 촉성에 대하여 섬세함이 요구되는 공작물(W)의 상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소재(B)의 박리가능한 피복고정수단(6)으로서는, 도 4의 제2실시형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대상물(진공테이블, 메인테이블)의 내주 가장자리와 외주 가장자리 부분에 고리형의 구덩이(16)를 요설하고, 그 구덩이(16)에 소재(B)의 내가장자리 근방과 외가장자리 근방 부분을 끌어넣도록 탄성링재(26)를 빼고 꽂을 수 있게 끼워붙여 소재(B)를 고정하는 방법이어도 좋은 것이다.
다이홀더(4)에 상기 소재(B)를 박리가능하게 피복하는 경우에는, 외주 가장자리부분에 고리형의 구덩이(16)를 요설하고, 그 구덩이(16)에 소재(B)의 외가장자리 근방부분을 끌어넣도록 탄성링재(26)를 빼고 꽂을 수 있게 끼워붙여 그 소재(B)를 고정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를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는 공작물(W)을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펀칭유닛(7)에 장착되어 있는 펀치(도시하지 않음)로 그 공작물(W)의 소정위치에 원하는 형상의 천공을 실시하는 천공장치(A)를 나타내고 있다.
이 펀칭유닛(7)은, 주지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コ자형을 이루게 되고, 상반부(17)에 펀치를, 하반부(27)에 그 펀치에 대응하여 다이홀더(4)를 각각 장착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펀칭유닛(7)의 사이드에 펀칭유닛(7)을 이용하여 센터링용 카메라를 장착한 카메라유닛(8)을 병설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이 테이블(9)에 후방에서 절결형성한 오목부(19)에 후방으로부터 하반부(27)의 표면이 테이블(9)의 표면과 같은 면으로 되도록 꽂아넣기세트하여 천공장치(A)를 구성하고 있다.
이 천공장치(A)에 있어서도, 공작물(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의 공작물홀더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다)(W)의 미끄럼 접촉면인 테이블(9) 표면, 펀칭유닛(7)의 하반부(17) 표면(상면), 카메라유닛(8)의 하반부(18) 표면(상면)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방법으로써 부드러운 박육형상의 소재(B)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통기성을 보유할 필요는 없고, 통기·비통기에 관계없이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이면 되는 것이다.
다이(14)에 있어서도 펀치구멍을 제외하고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피복대상물인 각 부위의 코너부도 공작물(W)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소재(B)를 돌아서 들어가게 하여 박리가능하게 피복하도록 하면 만전이다. 그 때, 피복고정수단은 도 3, 도 4 어느쪽의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지만, 양면테이프는 피복대상물의 측단면에, 또 탄성링재를 끼워붙이는 구덩이도 피복대상물의 측단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미세한 상처에도 빛의 반사각 등에 지장을 주어 사용불능으로 되는 액정확산방사시트 등의 공작물이 천공대상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하는 공작물을 펀치유지금형과 다이유지금형을 보유하는 천공다이(갱다이, 그리드다이)의 공작물 반송공간에 삽입하면서 천공하는 천공장치, 또한 롤원반으로부터 공작물인 테이프형상물을 풀림장치에서 소정길이로 풀어내면서 권취장치에서 감는 도중에 상기 펀칭유닛이나 천공다이(갱다이, 그리드다이)을 설치하고, 그 펀칭유닛이나 천공다이(갱다이, 그리드다이)가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천공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도, 공작물의 미끄럼 접촉면을 상기 소재(B)(비통기성이어도 좋다)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고, 공작물이 가요성을 보유하는 결과, 진공홀더로 흡착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진공홀더의 표면을 상기하는 소재(통기성을 보유한다)(B)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제4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예에서 명기한 일본국 특허공고 평7-47279호 공보, 동 47280호 공보의 일부를 추출하여 명시한 것이고, 부호 400은 롤원반으로부터 테이프형상물(공작물)(W)을 소정길이로 풀어낼 때에 그 풀림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쌍의 진공패드, 7은 그 한쌍의 진공패드(400, 400)간의 천공대상부에 천공가공을 가하는 천공부(펀칭유닛)이고, 그 진공패드(400, 400)로 테이프형상물(공작물)(W)을 흡착유지하고, 그 진공패드(400, 400)간의 테이프형상물 부분(공작물)(W)을 천공부(펀칭유닛)(7)로 천공가공하는 구성이고, 이 진공패드(400, 400)의 흡인구를 산재형상으로 개구한표면을 상기하는 각 실시형태와 같이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도시하지 않음)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제5실시형태를 서술하면, 상기 종래예에서 명기한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3990호 공보의 일부를 추출하여 명시한 것이고, 부호 500은 테이프형상물(공작물)(W)을 소정길이로 풀어내는 풀림장치, 600은 컷터, 2는 컷터(600)로 절단되는 절단공작물(W1)을 공급측에서 흡착하는 진공테이블, 700은 그 진공테이블(2)에서 절단공작물(W1)을 수취천공부(펀칭유닛)(7)에 반송하여 소정의 천공가공을 행하게 하는 이동기구 선단의 진공홀더, 2'는 천공가공후의 절단공작물(W1)을 수취하는 반출측의 진공테이블이고, 그들 진공테이블(2, 2'), 진공홀더(700)의 흡인구를 산재형상으로 개구한 표면을 마찬가지의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도시하지 않음)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다.
또, 도 8은 절단장치의 실시형태이고, 상기 종래예에서 명기한 일본 특허등록번호 제2948587호 공보의 일부를 추출하여 명시하고, 부호 800은 롤원반의 풀림장치, 600은 컷터, 2는 컷터(600)와 풀림기구(800)의 사이에 배치된 X·Y축·θ방향으로 제어이동 가능한 진공테이블, 900은 풀려지는 테이프형상물(공작물)(W)의 양 길이가장자리를 감지하는 에지확인수단이고, 풀림기구(800)에서 테이프형상물(공작물)(W)을 소정길이로 풀어낼 때에 에지확인수단(900, 900)으로 테이프형상물(공작물)(W)의 에지(길이가장자리측)를 검출하고, 어긋남이 있는 경우에는 일단 진공테이블(2)에서 테이프형상물(공작물)(W)을 흡착하고나서 풀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θ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상기 컷터(600)로 테이프형상물(공작물)(W)을 절단하는 구성이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진공테이블(2)의 흡인구를 산재형상으로 보유하는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도시하지 않음)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다.
또한, 이 제4, 제5 및 절단장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재의 피복고정수단은 상기하는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에서 상술한 방법 중, 적절한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이므로, 미세한 상처라도 생기면 상품가치가 없어지는 공작물(예컨대 상기 액정확산시트)에 매우 우수한 천공장치나 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의 미끄럼 접촉면을 박리가능한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그 미끄럼 접촉면인 진공테이블의 표면, 주위의 메인테이블의 표면, 펀칭유닛의 하반부 표면, 다이유지금형 표면, 다이홀더 등 표면을 굳이 면정밀도 좋게 마무리할 필요가 없어져서 가공비용의 저감도 기대할 수 있다.
또, 공작물(테이프형상물을 포함한다)을 일단 흡착유지시키는 진공테이블, 진공패드, 진공홀더를 구비한 천공장치나 절단장치의 그 흡착부재의 표면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피복하고 있어, 미세한 상처가 나면 상품가치가 없어지는 공작물의 천공장치 또는 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박리가능하므로 범용 공작물의 천공장치로서 그대로 사용가능하여, 미세한 상처라도 나면 상품가치가 없어지는 공작물 전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7)

  1. X·Y축선 방향으로 제어이동 가능한 진공테이블로 공작물을 흡착하고, 그 진공테이블을 제어이동하여 그 진공테이블에 개구되어 있는 안내구 내에 위치하는 다이홀더의 다이와, 그 위쪽에 위치하여 하강하는 펀치로 공작물에 천공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 진공테이블의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이의 펀치구멍 이외의 다이 및 다이홀더의 표면, 진공테이블 주위의 메인테이블의 표면도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3. 공작물 또는 펀치를 보유하는 펀칭유닛과, 천공다이가 수평방향으로 제어이동하여 공작물에 천공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 다이의 펀치구멍을 제외하고 공작물의 미끄럼 접촉면을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테이블, 다이 및 다이홀더, 메인테이블, 펀칭유닛, 천공다이에 있어서, 공작물의 미끄럼 접촉면을 박리가능하게 피복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는 각 부위의 코너부도 공작물로부터보호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5. 롤원반으로부터 풀림기구로 소정길이로 풀어내면서 그 테이프형상물을 풀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진공패드로 흡착하고, 그 진공패드간의 테이프형상물을 천공부에서 천공가공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 그 진공패드의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6. 롤원반으로부터 테이프형상물을 풀림기구로 소정길이로 풀어내면서 그 테이프형상물을 절단하고, 그 절단된 공작물을 진공홀더로 흡착하여 천공부에 반송하고, 천공부에서 소정의 천공가공을 행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 진공패드의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7. 롤원반으로부터 테이프형상물을 풀림기구로 소정길이로 풀어내고, 이 풀림기구의 하류측에 진공테이블을 배치하고, 에지확인수단으로 테이프형상물이 풀림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경사져 있는 것을 확인했을 때, 진공테이블에서 그 테이프형상물을 흡착하여 풀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θ방향으로 제어이동하는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테이블 표면을, 통기성을 보유하는 박육형상의 부드러운 소재로 박리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KR1020010039769A 2000-09-13 2001-07-04 천공 또는 절단장치 KR20020020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78613A JP2002086395A (ja) 2000-09-13 2000-09-13 穿孔または切断装置
JPJP-P-2000-00278613 2000-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987A true KR20020020987A (ko) 2002-03-18

Family

ID=1876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769A KR20020020987A (ko) 2000-09-13 2001-07-04 천공 또는 절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086395A (ko)
KR (1) KR20020020987A (ko)
CN (1) CN1342548A (ko)
TW (1) TW52208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57B1 (ko) * 2006-07-26 2007-07-10 백대현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KR20190043716A (ko) * 2017-10-19 2019-04-29 (주)엘노아 타공 장치
KR20190043715A (ko) * 2017-10-19 2019-04-29 (주)엘노아 타공 장치
KR102269607B1 (ko) * 2021-04-16 2021-06-24 윤상욱 유리 절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0831B4 (de) * 2003-01-10 2006-10-26 Groz-Beckert Kg Stanzeinrichtung für Green Sheets
CN100439054C (zh) * 2006-06-15 2008-12-03 久允工业股份有限公司 切断焊接有硬质颗粒钢带的方法
CN102059721B (zh) * 2010-11-25 2013-11-13 重庆大学 利用透明胶纸固定加工料的数控冲花打孔方法
EP3085502B1 (de) * 2015-04-21 2017-11-01 Müller Martini Holding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inrichtung für die durchführung von schneidoperationen offener formatkanten eines druckproduktes
CN106200562A (zh) * 2016-08-29 2016-12-07 枣庄新中兴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全自动薄膜打孔控制系统
CN112140198B (zh) * 2020-08-28 2022-05-10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碳纤维圆筒薄壁件群孔的加工夹具及装夹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57B1 (ko) * 2006-07-26 2007-07-10 백대현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KR20190043716A (ko) * 2017-10-19 2019-04-29 (주)엘노아 타공 장치
KR20190043715A (ko) * 2017-10-19 2019-04-29 (주)엘노아 타공 장치
KR102269607B1 (ko) * 2021-04-16 2021-06-24 윤상욱 유리 절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86395A (ja) 2002-03-26
TW522085B (en) 2003-03-01
CN1342548A (zh)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0987A (ko) 천공 또는 절단장치
WO2005104201A1 (ja) 吸着装置
JP4272501B2 (ja) フィルム供給装置およびフィルム貼着システム
US6341808B1 (en) Flexible sheet handling apparatus
KR100606231B1 (ko) 가요성을 갖는 공작물의 천공장치
JP2001283169A5 (ko)
KR100770411B1 (ko) 커버레이 부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3072367A3 (en) Versatile, aligning stencil structure
JP3201516B2 (ja) 穿孔装置
ATE159680T1 (de) Lochvorrichtung für pflaster
CN111601757B (zh) 产品搬运装置以及产品搬运系统
JP2585298Y2 (ja) チップボンディング装置におけるワーク吸着部
JP3130272B2 (ja) 穿孔装置
JP2000164536A (ja) チャックテーブル
KR20170038652A (ko) 시트 부착 장치 및 부착 방법, 그리고 접착 시트 원단
JP2001350130A (ja) 液晶表示素子用フィルム切断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フィルム
JP2005039114A (ja) 半導体ウェーハ移し替え装置
US20130152755A1 (en) Holding sheet and cutting apparatus
JP2007283445A (ja) 吸着ノズル
EP3401278B1 (en) 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JPS63312036A (ja) 吸着保持方法
JP2005045109A (ja) 半導体ウェーハ移し替え装置
JP2019046982A (ja) テープ貼着装置およびテープ貼着方法
JP2009010150A (ja) 板状物の切削方法
JP2001315846A (ja) キャリア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