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267B1 -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267B1
KR101657267B1 KR1020160064985A KR20160064985A KR101657267B1 KR 101657267 B1 KR101657267 B1 KR 101657267B1 KR 1020160064985 A KR1020160064985 A KR 1020160064985A KR 20160064985 A KR20160064985 A KR 20160064985A KR 101657267 B1 KR101657267 B1 KR 10165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gear
elbow
hous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욱
Original Assignee
태성전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9467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572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전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전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지중선 케이블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저압으로 변화하며, 이를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지상변압기나, 지상변압기 사이에 설치된 지상개폐기에서 지중선 케이블이 연결된 엘보 접속구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틀과; 엘보접속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좌우, 전후, 상하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틀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조절부와; 개폐기에 설치된 엘보접속부를 탄성력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조절부에 설치되는 탄성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본 발명에 의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는 필요한 구동을 위하여 22.9kv의 지상변압기 전면에 고정할 수 있는 좌우이동볼트와, 전후이동부, 높이조절부를 통해 전후 방향, 좌우방향,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절하여 탄성분리부에 의해 엘보접속부를 탄성력에 의해 분리토록 이루어져, 상기의 고정틀, 전후이동부, 높이조절부 및 엘보접속부의 무게가 가볍게되어 성인 1명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Elastic method elb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nderground uninterruptible method}
본 발명은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2.9kv 지중배전선로의 변압기 교체, 지중선 특고압케이블 교체, 지상개폐기 등의 신설 및 교체 작업시 배전선로나 수용가의 전원의 끊김 없이 무정전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상기기의 엘보 접속부를 활선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분리 또는 연결할 수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로에는 가정이나 산업용 각종 설비로 전력공급 시에 발전소로부터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에서 가정이나 산업용 각종 설비에 적합한 220/380V의 저압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 지상설치형 변압기(이하 '변압기'로 약칭함)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압기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노후, 이러한 노후에 따른 내부기기의 교체/보수작업 및 노후화나 과부하에 의하여 변압기에 이상(고장) 발생이나 용량의 증설을 위하여 신설 변압기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변압기를 교체하는 경우에 무정전 변압기 교체차량을 이용하여 전원을 활선 상태로 연결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과 같은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계속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공법, 즉 바이패스 시스템(by-pass system)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지상변압기의 무정전 교체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무정전 공법은 변압기의 특고압측 케이블과 저압측 케이블을 각각 분리하여 이동용 변압기차에 활선 상태로 연결하여 전원을 계속 공급하면서 이상(고장)변압기를 교체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변압기의 특고압측 케이블(1차측)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선된 케이블 선단에 구비된 좌, 우측 엘보접속재(H1A~H3A)(H1B~H3B)가 변압기(1)의 일측 좌, 우에 대칭 위치하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의 높이를 각각 달리 형성하고 각 부싱(B)의 부싱인서트(B/I)에 결합되어 접속 연결되는데, 상기 엘보접속재를 부싱(B)에서 분리 즉, 도 2와 같이 좌측엘보접속재(H1A~H3A)는 변압기(1)에 이미 조립되고 일측이 이동용 변압기차에 접속 연결된 케이블정션(5)에 접속되어 활선 상태로 분리되고, 우측 엘보접속재(H1B~H3B)는 절연플러그(SOP:6)에서 분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정전 변압기 교체방식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변압기에 접속하고 있는 엘보접속재를 활선 상태로 분리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엘보접속재의 개폐는 활선상태에서 핫스틱(hot stick)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분리 및 접속을 행하였다.
이러한 수작업 방식은 엘보접속재의 개방시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작업자에게 피해를 주는 안전사고는 물론 정전, 아크지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엘보접속재를 변압기에서 분리(빼어낼) 시에 신속하고 정확한 센터링에 의한 정밀 수평이동은 물론 분리 거리가 적어도 250mm 이상이 되어야 아크가 따라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나, 수작업에 의한 엘보접속재의 분리는 이러한 정밀한 작업과 거리 유지는 물론 신속한 분리작업이 어려운 관계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2007-122001호(2007.12.28. 공개)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며, 변압기(1)의 부싱(B)에 접속된 엘보접속재의 분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케이블차와 일측이 연결된 케이블정션(5)을 변압기(1)의 파킹스탠드(4)를 이용하여 장착된 정션고정대(3)에 토글클램프(T)로 임시 장착한 상태에서 활선상태로 분리된 좌측의 엘보접속재(H1A)을 상기 케이블정션(5)의 일측 부싱인서트에 접속하여 분리하는 과정의 반복으로 나머지의 엘보접속재(H2A,H2A)를 활선상태로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압기(1)의 파킹스탠드(4)에 장착되는 절연플러그(6)에 상기 과정과 동일하게 좌측의 엘보접속재(H1B~H3B)를 분리 접속하는 과정을 행한 후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신설변압기에 엘보접속재를 접속하여 교체된다.
이러한 변압기의 엘보접속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분리/접속을 위해 적용된 선행기술인 '엘보접속재활선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변압기에 설치되는 다수 프레임의 기대, 이 기대에서 지상이동 및 수직승강 동작을 구현하는 기대이동승강수단과, 기대좌우이동수단 및 엘보개폐수단,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모든 구성요소가 기대에 복잡하게 구성된 단일체의 중량물로 되어 있어 변압기의 설치/해체작업시에 여러명의 작업인력이 소요되어 운반 및 설치/해체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 엘보접속재의 개폐에 따른 엘보개폐수단의 이동위치의 좌표설정이 수작업, 즉 변압기의 상단에 좌우(X축) 좌표용 자를 부착하고 엘보개폐수단의 엘보 구속부의 위치 설정을 위하여 좌표설정용 탐침을 부착하고 엘보의 조작고리부에 맞추어 좌표를 설정함으로서 좌표설정에 따른 많은 시간의 소요는 물론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있었다.
셋째, 기대에 단일체로 구성됨으로서 구성수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복잡하게 제공되고,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케이블의 처리작업이 복잡한점, 이러한 요인에 의해 엘보개폐수단의 이동에 따른 시야 확보가 어려워서 엘보접속재의 개폐작업이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따른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842321호(2008.06.30. 공고)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는 통상의 변압기 전면에 착탈자재로 조립 가능한 안내지지틀과, 이 안내지지틀의 양측에 구성되어 Y축이동을 안내하는 Y축안내부와, 이 Y축안내부에 연결되어 Y축이동을 안내하는 좌표이동틀 및 이 좌표이동틀에서 X축이동하는 X축이동안내판과 이 X축이동안내판과 상기 좌표이동틀의 XY축 이동 좌표값을 설정하는 좌표세팅조작부를 포함하는 XY축이동조정수단; X축이동안내판에 착탈자재로 조립되고 변압기의 엘보접속재(H1A~H3A,H1B~H3B)의 개폐(분리/접속)를 위한 전/후진동작의 엘보구속부를 포함하는 엘보개폐수단; 좌표세팅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좌표이동틀의 Y축이동제어 및 X축이동안내판의 X축이동제어와 엘보개폐수단의 엘보구속부 전후진(Z축)이동을 제어하는 좌표이동제어수단이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또 따른 선행기술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여 변압기 전면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물론 상기와 같은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원거리에서 좌표이동제어수단을 이용하여 X축과 Y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엘보구속수단이 엘보에 정확하게 결합이 어려운 것은 물론 엘보구속수단을 엘보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자가 엘버결합수단의 위치를 일일이 구두로 이야기하면서 위치를 조정해 엘보구속수단을 엘보접속재에 결합하여 분리시키거나 또는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2007-104760호(2007.10.29. 공개)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07-122001호(2007.12.28. 공개) 특허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0842321호(2008.06.30. 공고) 특허문헌 4: 공개특허공보 제2010-093201호(2010.08.25. 공개) 특허문헌 5: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3306호(2011.02.08. 공개) 특허문헌 6: 등록특허공보 제10-1613894호(2016.04.20. 공고)
본 발명은 22.9kv의 지중배선선로의 무정전공법을 위한 지상변압기의 엘보 접속부를 장비 자체에 내장시켜 제어되는 탄성력을 바탕으로 엘보 접속부를 개폐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동력 지원없이 자체적인 탄성력을 발생시켜 동작되도록 하여 작업현장의 단순성을 확보하고, 간단하고 정밀한 조작으로 쉽게 22.9kv의 지중배전선로 상의 지상변압기의 엘보 접속부를 활선 상태에서 분리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에 있어서,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틀과; 엘보접속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좌우, 전후, 상하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틀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조절부와; 개폐기에 설치된 엘보접속부를 탄성력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조절부에 설치되는 탄성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틀은, 일측에 다리가 설치되어 높이를 조절하여 개폐기 함체 전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개폐기 함체 전면의 둘레에 위치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함체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전후이동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제1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조절부는 탄성분리부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이동부와; 탄성분리부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고정틀에 설치되는 전후이동부와; 엘보접속부에 결합하여 분리할 때 탄성분리부의 높낮이를 조절이 할 수 있도록 전후이동부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좌우이동부는 전후이동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탄성분리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좌우이동핸들을 가지며 고정틀의 수평프레임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볼트와; 좌우이동볼트 측단에 결합하여 수평프레임 상부에 베어링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브래킷과; 좌우이동볼트에 의해 전후이동부의 위치가 가변 될 시에 이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우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후이동부는, 수평프레임(1100)에 설치된 좌우이동볼트에 결합하여 개폐기 함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베이스와; 전후이동패널을 개폐기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베어링이 설치된 제2브래킷에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전후이동베이스에 설치되는 좌우이동볼트와; 좌우이동볼트의 측면에 위치되어 전후이동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후이동레일과; 개폐기 함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좌우이동볼트에 의해 이동되고, 전후이동레일에 가이드 되는 전후이동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는, 전후이동부의 전후이동패널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베이스패널과; 탄성분리부를 엘보접속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직베이스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볼트와; 수직이동볼트의 측면에 위치되어 수직이동패널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수직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레일과; 수직이동레일에 가이드 되면서 수직이동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패널과; 탄성분리부의 하우징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패널을 가지며 수직이동패널 전면에 복수로 설치되는 받침대와; 탄성분리부의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받침대 상방향에 위치되어 수직이동패널에서 회동 가능하게 걸림구를 가지며 설치되는 고정대와; 받침대와 고정대 사이에서 하우징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패널에 설치되어 고정대의 걸림구와 결합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는, 엘보접속부를 탄성에 의해 분리할 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를 가지며 받침대와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엘보접속부를 탄발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압축부재를 가지며 설치되는 압축부와; 탄발에 의해 엘보접속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압축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엘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축부는, 랙기어의 가이드 및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고정부재와; 랙기어의 가이드 및 탄성이 발생되도록 하우징고정부재 일측에 위치되어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체와; 랙기어의 가이드 및 탄성이 발생되도록 제1지지체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체와; 랙기어의 가이드 및 탄성이 발생되도록 제2지지체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제3지지체와; 제2지지체에 결합하여 제1지지체와 하우징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하우징 내측에 위치되는 랙기어와; 랙기어에 탄발력이 발생되도록 스프링을 가지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에 체결되어 하우징고정부재와 제3지지체에 측단이 각각 고정되어 하우징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의 탄성봉과; 제1지지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고정부재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측에 위치되는 제1조정봉과; 제2지지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3지지체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측에 위치되는 제2조정봉; 및 랙기어를 이동시켜 탄성봉에 결합한 스프링을 압축해 탄성에 의해 엘보접속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고정부재에 결합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고정부재는, 제1조정봉과 결합하는 조정봉결합홀과, 랙기어가 이동하는 제1랙기어결합공 및 압축부재가 결합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체와; 제1고정체와 일정 거리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탄성봉이 결합되는 제2고정체와; 랙기어의 기어가 표출되도록 결합공이 구성되어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부재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랙기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1고정체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축부재는, 제1고정체에 고정볼트에 의해 설치되어 원통부재의 결합공에 위치되는 압축부재몸체와; 압축부재몸체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
Figure 112016050882239-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어회전부재와; 기어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압축부재몸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1기어와; 제1기어의 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고정체와; 기어회전부재를 지지하여 제1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기어고정체 상부에 설치되는 압축핸들과; 제1기어와 치합하여 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압축부재몸체 내측에 축설되어 원통부재의 결합공에 위치되는 제2기어와; 제1기어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압축부재몸체 내측에 복수로 설치되는 기어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축부재는, 압축부재몸체 상부에 설치한 압축핸들을 왕복으로 이동시켜 기어회전부재에 의해 제1기어가 회전되고,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2기어가 회전하면서 랙기어를 이동시켜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탄발력이 랙기어에 작용되게 엘보결합부에 결합한 엘보접속부를 개폐기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는 필요한 구동을 위하여 22.9kv의 지상변압기 전면에 고정할 수 있는 좌우이동볼트와, 전후이동부, 높이조절부를 통해 전후 방향, 좌우방향,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절하여 탄성분리부에 의해 엘보접속부를 탄성력에 의해 분리토록 이루어져, 상기의 고정틀, 전후이동부, 높이조절부 및 엘보접속부의 무게가 경량화되어 성인 1명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종래와 같이 구동을 위해 외부로부터 동력수단이 장비에 지원되는 유, 공압방식과 달리 본 발명은 자체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엘보 접속부를 분리 및 결합하므로 설치작업이 단순화되어 무정전공사를 위한 준비작업이 매우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의 복잡성을 현저히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어 작업자의 안정성과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압기의 특고압 케이블 연결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보여주는 발췌 측면도.
도 3은 변압기에 정션 및 절연 플러그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고정틀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전후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탄성분리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도 8의 탄성분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탄성분리부의 압축부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해제핸들과 기어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도 8의 엘보결합부의 구성은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가 엘보접속부에 결합하기 직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가 엘보접속부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에 의해 엘보접속부가 분리된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에 의해 개폐기의 절연플러그에 엘보접속부를 결합시키기 직전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에 의해 절연플러그에 엘보접속부가 결합된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분리부의 압축부재가 상황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는 고정틀(1000)과, 이동조절부(2000), 탄성분리부(300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고정틀은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고정틀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고정틀(1000)은 개폐기 함체 전면에 위치되도록 사각틀 형태로 수평프레임(1100)을 구성하고, 상기 개폐기 함체의 전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홈(1210)이 형성된 사각 틀 형태의 수직프레임(1200)이 수평프레임(1100)에 상부 일측에 구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100)과 수직프레임(1200)은 전체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100)이 함체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100)의 하방향에 지지대(130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300)는 수평프레임(1100)의 일측에서 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대(1301)와 수평프레임(1100)과 제1지지대(1301)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130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100)과 제1지지대(1301)는 제1체결볼트(1310)로 결합하고, 수평프레임(1100)과 제1지지대(1301)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1302)는 복수의 제2체결볼트(1320)로 고정한다.
상기 제1체결볼트(1310)와 제2체결볼트(1320)가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00)에 형성되는 볼트공(미도시)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지지대(1300)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프레임(1100) 일측에는 개폐기 함체의 전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다리(1400)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다리(1400)는 고정구(1420)가 설치된 가이드관(1410)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관(1410)에 결합된 다리(14000)는 고정구(1420)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져 수평프레임(1100)이 개폐기 함체 전면에서 수평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조절부(2000)는 도 5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도 4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조절부(2000)는 좌우이동부(2100), 전후이동부(2200) 및 상하이동부(230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이동부(2100)는 도 5와 같이 구성되고, 도 5는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고정틀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좌우이동부(2100)는 상기 수평프레임(1100) 상부에는 전후이동부(2200) 및 탄성분리부(30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틀(1000)에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동부(2100)는 수평프레임(1100) 상부에 전후이동부(2200) 및 탄성분리부(30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이동핸들(2111)이 결합한 좌우이동볼트(2110)가 구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볼트(2110)의 측단에는 베어링(2113)이 설치된 제1브래킷(2112)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좌우이동볼트(2110)는 베어링(2113)이 설치된 제1브래킷(2112)에 결합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의해 탄성분리부(300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좌우이동볼트(2110)의 측면 쪽에 위치는 복수의 좌우이동레일(2114)이 수평프레임(1100)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이동레일(2114)에는 전후이동부(2200)가 결합되어 좌우이동볼트(2110)의 회전에 의해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전후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전후이동부(2200)는 수평프레임(1100) 상부에 위치되는 전후이동베이스(2210)를 구성하고, 상기 전후이동베이스(2210)의 하부에는 전후이동너트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좌우이동볼트(2110)에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전후이동베이스(2210)에는 제1가이드슈(2212)를 복수로 설치하여 수평프레임(1100)에 설치한 좌우이동레일(2114)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전후이동베이스(2210)의 상부에는 탄성분리부(30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후이동핸들(2221)이 설치된 전후이동볼트(2220)가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볼트(2220)의 측단에는 베이링(2223)이 설치된 복수의 제2브래킷(2222)이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브래킷(2222)은 전후이동베이스(2210)의 상부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볼트(2220)가 설치된 측면 쪽에는 복수의 전후이동레일(2230)이 위치되어 전후이동베이스(2210)에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동볼트(2220)와 전후이동레일(2230)에는 이동 가능하게 전후이동패널(2240)이 결합되고, 상기 전후이동패널(2240)의 하부에는 전후이동너트부재(2241)와 제2가이스슈(2242)가 설치되어 전후이동볼트(2220)와 전후이동레일(2230)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전후이동패널(2240)은 전후이동볼트(2220)의 일측에 결합된 전후이동핸들(2221)을 회전시키면, 복수의 제2브래킷(2222)에 결합된 전후이동볼트(2220)가 회전하고, 상기 전후이동볼트(2220)에 결합된 전후이동너트부재(2241)가 이동되면서 상부에 결합된 전후이동패널(2240)의 위치를 이동시켜 높이조절부(2300)와 탄성분리부(3000)가 엘보접속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후이동패널(2240)의 위치가 가변 될 때, 전후이동패널(2240)의 하부에 설치한 제2가이스슈(2242)가 전후이동레일(2230)을 따라 가이드 된다. 상기와 같이 전후이동패널(2240)은 전후이동너트부재(2241)와 제2가이스슈(2242)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분리부(3000)를 엘보접속부에 체결이 용이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23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도 7은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2300)는 전후이동패널(2240)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직베이스패널(2310)을 볼트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수직베이스패널(2310)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직베이스패널(2310)의 일측에는 탄성분리부(3000)가 엘보접속부의 높이에 맞도록 설정하기 위하여 수직이동핸들(2321)이 일측에 설치된 수직이동볼트(2320)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이동볼트(23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측단에 베어링(2323)이 결합된 제3브래킷(2322)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수직이동핸들(2321)을 작업자가 회전시키면 제3브래킷(2322)에 결합되는 수직이동볼트(2320)를 베어링(2323)에 가이드 되면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볼트(2320) 측면 쪽에는 복수의 수직이동레일(233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레일(2330)은 하기에서 설명할 수직이동패널이 안정적으로 이동이 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수직이동볼트(2320)에는 수직이동패널(234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패널(2340)에는 상하이동너트부재(2311)가 설치되어 수직이동볼트(2320)의 회전에 의해 수직이동패널(2340)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패널(2340)이 수직이동볼트(23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직이동레일(233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3가이드슈(2312)를 설치한다. 상기 제3가이드슈(2312)는 수직이동레일(2330)에 결합하여 수직이동볼트(2320)에 의해 이동되는 수직이동패널(234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이동패널(2340)의 전면에는 받침대(2350)가 일정 거리가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2350)의 전면에는 받침패널(2351)을 설치하며, 상기 받침패널(2351)에는 고정클립(238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패널(2340) 전면 상부 중앙에는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대(236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2360)의 일측에는 걸림구(2370)를 설치하여 고정클립(2380)과 결합해 탄성분리부(30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2360)가 'ㄱ'자 형태로 위치되었을 때 이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부재(2341)가 수직이동패널(2340) 상부에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이동패널(2340)의 전면에 설치되는 받침대(2350)와 고정대(2360)는 탄성분리부(30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즉, 일정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2350)에 탄성분리부(3000)가 위치되면, 상기 고정대(2360)가 힌지를 축을 회전하여 탄성분리부(3000)의 하우징(311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클립(2380)이 고정대(2360) 일측에 설치한 걸림구(2370)에 결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클립(2380)은 받침패널(2351) 일측에 클립브래킷을 설치하고, 클립브래킷(2381)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클립핸들(2382)을 설치하며, 상기 클립핸들(2382)에는 회전 가능하게 클립고리(2383)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클립(2380)은 상기 클립고리(2383)를 고정대(2360)에 설치한 걸림구(2370)에 걸은 상태에서 클립핸들(2382)을 클립브래킷(2381)을 축으로 회전시켜 받침대(2350)와 고정대(2360)에 의해 탄성분리부(3000)의 하우징(3110)을 고정한다.
상기 탄성분리부(3000)의 전체 구성은 도 8과 같이 구성이 이루어지고, 세부 구성은 도 9 내지 11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4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탄성분리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탄성분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탄성분리부의 압축부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해제핸들과 기어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분리부(3000)는 받침대(2350)에 올려져 고정대(2360)에 의해 고정되는 하우징(3110)과, 하우징(3110) 내측에 설치되어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압축부(3300)와, 엘보접속부를 탄발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압축부(3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엘보결합부(35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110)에는 압축부(3300)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하여 완충부(3110)를 설치한다.
상기 완충부(3110)는 하우징(3110) 일측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쇼버고정판(3120)이 설치되고, 상기 쇼버고정판(3120)의 일측에는 완충가이드(3130)가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압축부(3300)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쇼버고정판(3120)과 완충가이드(3130)에 설치되는 완충쇼버(3140)를 포함한다.
상기 쇼버고정판(3120)은 하우징(3110)의 일측에 결할 수 있도록 다단의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다단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하우징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3121)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쇼버(3140)가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312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3122)이 형성된 외측에는 복수의 볼트공(3123)이 형성되어 상기 완충가이드(3130)가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충가이드(3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이드홈(3122)이 형성된 일측에 고정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완충쇼버(3140)의 완충결합부재(3141)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쇼버(3140)는 쇼버고정판(3120)의 가이드홈(3122)에 결합하여 완충가이드(3130)에 의해 지지 될 수 있도록 'ㅏ'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위치공(미부호)과 쇼버고정공(3142)이 형성된 완충결합부재(3141)를 구성하고, 상기 쇼버고정공(3142)에는 압축부(3300)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실린더(3143)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실린더(3143)는 압축부(330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쇼버고정공(3142)에 나사 결합하는 실린더로드(3144)가 형성된 완충실린더(3143)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실린더(3143) 일측에는 완충러버(3145)가 설치되어 압축부(3300)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충러버(3145)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결합부재(31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공(미부호)에 결합하는 조정핸들(314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정핸들(3146)은 완충결합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완충실린더 및 완충러버의 위치를 가변시켜 랙기어(3350)가 후퇴될 때 상기 완충실린더(3143)와 랙기어(335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기에서 설명할 기어고정부재(3316)를 랙기어(3350)의 요홈에서 분리하여 랙기어(3350)가 탄성에 의해 엘보접속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110) 외측에 포크 형태로 구성되는 해제핸들(3150)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핸들(3150)은 핸들브래킷(316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브래킷(3160)은 하우징(3110) 외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10)의 외부 일측에는 해제핸들(3150)이 구성되고, 상기 해제핸들(3150)은 하우징(3110) 일측에 설치된 핸들브래킷(41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압축부(3300)의 압축상태를 해제하여 랙기어(3350)가 탄성에 의해 하우징(311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부(3300)는 쇼버고정판(3120)이 설치된 하우징(3110)의 타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고정부재(3310)와, 하우징고정부재(3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체(3320)와, 제1지지체(3320)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지지체(3330)와, 제2지지체(33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지지체(3340)와, 하우징고정부재(3310), 제1지지체(3320), 제2지지체(3330) 및 제3지지체(3340)에 축설되어 압축부재(3400)에 의해 절연플러그가 설치된 방향 또는 절연플러그가 설치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기어(3350)와; 하우징고정부재(3310)와 제3지지체(3340)에 각각의 끝단이 결합하여 스프링(3370)이 압축될 시에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랙기어(335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봉(3360)과; 탄성이 발생하도록 탄성봉(3360)에 결합하는 복수의 스프링(3370)과, 스프링(337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고정부재(3310)에 설치되는 제1조정봉(3380)과, 스프링(337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지지체(3330)와 제3지지체(334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조정봉(339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고정부재(3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10)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공(미부호)이 형성된 원형의 제1고정체(3311)를 구성하고, 상기 제1고정체(3311)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하우징(31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2고정체(3312)가 구성되며, 제1고정체(3311)와 제2고정체(3312) 사이에 원통형의 원통부재(3314)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재(3314)에는 결합공(3315)을 형성하여 랙기어(3350)의 기어가 표출되며, 제1고정체(3311)의 체결공으로 인입되어 랙기어(3350)의 요홈에 결합해 랙기어(335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랙기어(3350)의 요홈에서 분리되어 탄성에 의해 랙기어(3350)가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기어고정부재(3316)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고정부재(3316)는 제1고정체(3311)의 결합홈(미부호)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체결합부재(3316a)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체결합부재(3316a)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이동체(3316b)를 설치하며, 이동체(3316b)의 일측에 지지돌기(3316c)를 설치하면, 지지돌기(3316c)가 설치된 이동체(3316b)의 타측에는 걸림편(3316d)을 형성하여 포크형태로 형성된 해제핸들(3150)이 걸려지도록 하며, 고정체결합부재(3316a)와 지지돌기(3316c) 사이에 탄성부재(3316e)를 설치하여 이동체(3316b)가 항상 랙기어(335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체(3311)와 제2고정체(3312)에는 다수의 홀(미부호)을 형성하여 제1조정봉(3380) 및 탄성봉(3360)이 결합된다.
상기 랙기어(335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스프링(3370)을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핸들(3450)이 결합된 압축부재(3400)가 제1고정체(3311)와 제2고정체(3312) 사이에서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랙기어(3350)에는 제1결합핀(3351)과 제2결합핀(3352)을 제2고정체(3312)와 제1지지체(3320) 및 제2지지체(3330)와 제3지지체(3340) 사이에 각각 설치한다.
상기 제1결합핀(3351)은 랙기어(3350)가 엘보접속부 쪽으로 이동할 때 제2지지체(3330)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여 탄성봉(3360)에 결합한 스프링(3370)을 압축시켜 탄성에 의해 랙기어(3350)가 이동할 때 엘보접속부를 절연플러그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결합핀(3352)은 랙기어(3350)가 절연플러그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지지체(3320)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여 탄성봉(3360)에 결합한 스프링(3370)을 압축시켜 탄성에 의해 랙기어(3350)가 이동할 때 엘보접속부를 절연플러그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부재(3400)는 원통부재(3314) 결합공(3315)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제1고정체(3311)에 압축부재몸체(3410)가 고정되고, 압축부재몸체(3410) 내측 상부에는 힌지 설치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기어회전부재(3420)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회전부재(3420)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부재몸체(34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1기어(3430)가 축설되고, 상기 제1기어(3430)를 회전시켜 랙기어(3350)가 이동하면서 스프링(3370)이 압축될 수 있도록 제1기어(3430)에 압축핸들(3450)을 갖는 기어고정체(3440)가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3430)의 하방향에 위치되어 랙기어(3350)와 치합 되도록 압축부재몸체(3410)에 회전 가능하게 제2기어(3460)가 축설되고, 상기 압축부재몸체(3410) 내부 측단에는 제1기어(34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어고정편(3470)이 복수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핸들(3450)의 하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 크기로 홀(미부호)을 형성하고, 홀의 내측에는 지지체스프링(3452)을 설치하며, 상기 지지체스프링(3452)에 지지되면서 기어회전부재(3420)의 상부에 일측 단이 밀착되어 제1기어와 취합하였을 때 그 상태를 고정하는 회전부재지지체(3451)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압축부재(3400)에 의해 이동되는 랙기어(3350) 일측에 결합하여 엘보접속부를 스프링(3370)의 탄성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엘보접속부에 엘보결합부(3500)를 결합한다.
상기 엘보결합부(3500)는 중앙을 중심으로 두 개로 나누어지도록 결합몸체(3510)를 구성하고, 두 개로 나누어진 결합몸체(3510)가 결합되도록 몸체결합공(3520)을 복수로 형성하며, 복수로 이루어진 결합몸체(3510)에는 엘보접속부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엘보위치홈(3520)을 'ㄱ'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3350)가 입설 될 수 있도록 랙기어결합공(3530)을 형성하여 엘보위치홈(3520)과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랙기어(3350)가 결합되는 랙기어결합공(3530)의 직각방향으로 핀결합공(3540)을 형성하여 결합몸체(3510)에 형성한다.
또한, 두 개로 나누어진 결합몸체(3510)를 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몸체체결구(3560)를 설치한다. 상기 몸체체결구(3560)는 회동 가능하게 걸림고리(3562)를 가지며 결합몸체(3510)에 설치되는 손잡이(3561)와, 상기 손잡이(3561)의 걸림고리(356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몸체(3510) 상부에 설치되는 고리걸림구(356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의 작용을 탄성분리부를 중심으로 도 13 내지 18에 도시한 구성을 통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가 엘보접속부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가 엘보접속부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에 의해 엘보접속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에 의해 개폐기의 절연플러그에 엘보접속부를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탄성분리부에 의해 절연플러그에 엘보접속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분리부의 압축부재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 내지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엘보접속부를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을 보면, 개폐기의 함체 전면에 고정틀(1000)을 설치한 후 개폐기에 설치된 엘보접속부에 엘보결합부(3500)를 결합한다.
상기 고정틀(1000)은 수평프레임(1100)을 함체 전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리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평프레임(1100)을 수평 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프레임(110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프레임(1200)을 함체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걸림홈(1210)이 함체 상부에 걸리도록 설치한다.
상기 함체의 전면에 수평프레임(1100)과 수직프레임(12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지지대(130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1300)는 제1체결볼트(1310)와 제2체결볼트(1320)를 통해 고정하여 수평프레임이 함체의 전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100)과 수직프레임(1200)이 함체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두 개로 나누어진 엘보결합부(3500)의 결합몸체(3510)를 분리한 상태에서 엘보접속부의 측면에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핀(미도시)을 몸체결합공(3511)에 삽입하여 결합몸체(3510)를 엘보접속부에 고정한다.
상기 엘보접속부에 엘보결합부(35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엘보결합부(3500)의 일측에 형성한 랙기어결합공(3530)에 랙기어(3350)가 위치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데, 이때 작업자는 높이 또는 좌우 위치 중 어느 하나를 먼저 맞춘 상태에서 랙기어(3350)가 엘보결합부(3500)에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좌우 위치를 먼저 맞춘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해 엘보접속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작업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함체의 전면에 고정틀(1000)을 설치한 상태에서 수평프레임(1100)에 설치한 좌우이동핸들(2111)을 조작해 좌우이동볼트(2110)가 회전에 의해 전후이동베이스(2210)를 이동시켜 랙기어(3350)의 위치를 조정한다.
즉, 상기 좌우이동핸들(2221)을 회전시키면, 제1브래킷(2222)에 결합되어 있는 좌우이동핸들(2111)은 제자리 회전하면서 전후이동베이스(2210) 하부에 설치된 전후이동너트부재(2241)를 좌우이동볼트(2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전후이동너트부재(2241)가 설치된 전후이동베이스(2210)는 제1가이드슈(2211)와 결합된 전후이동레일(2230)에 가이드 되면서 전후이동베이스(2210)가 이동되어 랙기어(335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랙기어(3350)의 좌우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직이동핸들(2321)을 회전시키면, 수직이동핸들(2321)의 회전에 의해 제3브래킷(2322)에 결합된 수직이동볼트(2320)가 회전하면서 상하이동너트부재(2311)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때 상기 상하이동너트부재(2311)가 결합된 수직이동패널(2340)이 수직이동볼트(23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수직이동패널(2340)의 하부에 설치된 제3가이드슈(2312)가 결합 된 수직이동레일(233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직이동패널(2340)이 수직이동볼트(23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수직이동패널(2340)의 전면에 설치된 받침대(2350)와 고정대(2360)에 결합된 탄성분리부(3000)가 함께 이동되어 랙기어(3350)가 엘보결합부(350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이동볼트(2110)와 높이조절부(2300)를 통해 좌우 방향 및 상하방향을 조절하여 랙기어(33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엘보결합부(3500)의 랙기어결합공(3530)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작업자는 탄성분리부(3000)의 압축핸들(3450)을 조작하여 기어고정체(3440)에 설치된 기어회전부재(3420)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제1기어(3430)에 치압된다.
이때, 도면을 중심으로 기어회전부재(3420)의 왼쪽을 제1기어(3430)와 치압되도록 한 상태에서는 랙기어(3350)가 하우징(3110) 쪽으로 이동되고, 기어회전부재(3420)의 오른쪽을 제1기어(3430)와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랙기어(3350)는 엘보접속부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기어회전부재(3420)의 오른쪽을 제1기어(3430)와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압축핸들(3450)을 압축부재몸체(3410)에서 회동시키면, 기어고정체(3440)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기어회전부재(3420)가 제1기어(3430)와 치합되면서 회전한다.
상기 기어회전부재(3420)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3430)는 치합된 제2기어(3460)를 회전시키고, 제2기어(3460)와 치합된 랙기어(335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기어(3460)에 의해 이동되는 랙기어(3350)에 결합된 제2결합핀(3351)에 의해 제2지지체(3330)가 함께 절연플러그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3370)을 압축시키고, 상기 스프링(3370)은 탄성봉(3360)에 가이드 된다.
상기 압축핸들(3450)의 왕복 운동에 의해 제1기어(3430)와 제2기어(3460)에 의해 랙기어(3350)가 하우징(3110) 일측으로 돌출되면, 제1고정체(3311)에 설치한 기어고정부재(3316)가 랙기어(3350)에 형성된 요홈에 결합되어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면서 엘보접속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랙기어(3350)의 일측이 엘보결합부(3500)의 랙기어결합공(353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랙기어(3350)가 엘보결합부(3500)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핀결합공(3540)으로 핀을 인입시켜 랙기어(3350)의 핀공(미부호)에 결합되어 랙기어(3350)와 엘보접속부가 결속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랙기어(3350)와 엘보결합부(3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기어고정부재(3316)에 결합되어 있는 해제핸들(3150)을 핸들브래킷(316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기어고정부재(3316)가 제1고정체(3311)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랙기어(3350)의 요홈에 체결된 상태가 분리된다.
상기 체결상태가 해제되면서 랙기어(3350)는 탄성봉(3360)에 설치된 스프링(3370)이 이완되면서 제2지지체(3330)를 하우징(31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랙기어(3350)도 함께 이동된다.
상기 랙기어(3350)가 하우징(3110)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엘보결합부(3500)가 함께 이동되고, 이때 엘보결합부(3500)에 결합된 엘보접속부가 절연플러그에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변압기 등을 교체하는데, 이때 가정이나 사물실에는 전기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활선 상태를 유지하면서 변압기등을 교체하므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단전에 의한 불편함이 없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절연플러그에 다시 상기 엘보접속부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압축부재(3400)의 기어고정체(3440)를 도면을 중심으로 우측에 회전시켜 제1기어(3430)와 맞물리도록 하며, 이때,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한 기어고정편(3470)에 의해 제1기어(3430)가 한쪽으로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랙기어(3350)가 하우징(3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완충부(3110)에 의해 간섭이 일어나 이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3100)에 형성한 구멍(미부호)으로 조정핸들(3146)을 인입시켜 완충결합부재(3141)와 결합된다.
상기 완충결합부재(3141)와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핸들(3141) 회전시켜 완충쇼버(3140)를 하우징(3100)의 상부 쪽으로 이동시켜 랙기어(3350)와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기어고정편(3470)을 제1기어(3430)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압축핸들(3450)을 왕복 이동시키면 제1기어(3430)는 도 18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제1기어(3430)와 맞물린 제2기어(3460)가 연동 회전하면서 랙기어(3350)를 하우징(3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랙기어(3350)에 결합된 제1결합핀(3351)이 이동하면서 제1지지체(3320)를 하우징(3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프링(3370)을 압축시킨다.
상기 랙기어(3350)가 일정 길이로 이동되면, 기어고정부재(3316)에 결합되어 있는 해제핸들(3150)이 랙기어(3350) 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결합하여 랙기어(3350)의 이동된 상태를 고정한다.
상기 해제핸들(3150)에 의해 렉기어(3350)가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절연플러그의 일측에 엘보접속부를 이동조절부(2000)의 좌우이동부(2100), 전후이동부(2200), 높이조절부(2300)를 조절하여 그 위치를 정확하게 맞춘다.
상기 절연플러그의 일측에 엘보접속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기어고정부재(3316)에 결합되어 있는 해제핸들(3150)을 핸들브래킷(316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해제핸들(3150)이 랙기어(3350)의 요홈에서 이탈되고, 해제핸들(3150)과 고정이 풀린 랙기어(3350)는 절연플러그가 위치한 방향으로 스프링(3370)에 의해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엘보접속부가 절연플러그에 결합 된다.
상기의 압축부재(3400)가 상황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는 도 18을 기준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제핸들(34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기어(3430)에 압축부재몸체(3410)에 복수로 설치된 기어고정편(3470)이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엘보접속부에 탄성분리부(3000)의 랙기어(3350)가 후퇴 또는 전진하기 위한 위치이거나 또는 엘보접속부에 엘보결합부(3500)만을 결합한 상태에서 랙기어(3350)를 엘보결합부(3500)에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이다.
그리고 제1기어(3430)의 기어고정편(3470)이 접촉한 상태 즉, 도면상 왼쪽에 위치한 기어고정편(3470)이 제1기어(3430)에 밀착된 상태는, 제1기어(3430)가 하우징(3100)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고 엘보접속부가 위치한 방향으로만 제1기어(34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제1기어(343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보접속부가 위치한 방향쪽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져 랙기어(3350)가 도면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즉, 엘보접속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이때에는 엘보접속구에 엘보결합부(35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랙기어(3350)를 엘보겹합부(3500)의 내측으로 인입시켜 핀(미도시)에 의해 엘보결합부(3500)와 랙기어(335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여 탄성에 의해 랙기어(3350)가 후퇴하면서 엘보접속구를 절연플러그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도 18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위치하는 기어고정편(3470)이 제1기어(3430)에 밀착되면, 제1기어(3430)는 기어고정편(3470)이 밀착된 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므로 회전을 할 수 없고, 기어고정편(3470)이 밀착되지 않은 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진다.
다시 설명하면, 제1기어(3430)의 오른쪽에 위치한 기어고정편(3470)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제1기어(3430)가 엘보접속부 쪽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고, 반대방향인 하우징(3100) 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랙기어(3350)는 하우징(3100) 내측 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상기 랙기어(3350)가 하우징(3100) 내측으로만 이동되는 경우에는 엘보접속부를 절연플러그에서 이탈시켜 이를 다시 절연플러그에 결합시키고자 할 때 상기와 같은 과정이 일어난다. 또한, 하우징(3100) 내측에 설치한 완충부(3110)는 랙기어(3350)와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가 이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엘보접속부가 절연플러그에 결합이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엘보접속부에 결합된 엘보결합부(3500)를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활선 상태에서도 작업자에게 해가 되지 않으면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가정, 사무실, 공장 등으로 공급되는 전기가 끊기지 않고 계속 공급되므로 전기를 사용하는 수용가로부터 정전에 의한 민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축핸들(444)을 이동시켜 결합하거나 또는 전후이동부(2200)를 조작하여 결합시키므로 작업자는 활선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감전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는 변압기의 무정전 교체시에 엘보접속부의 분리가 간단하고 구성부재를 파트별로 분리구성하여 사용시에 조립에 의한 사용으로 작업이동 및 설치, 보관이 용이한 효과 및 엘보접속부의 정밀한 분리작업으로 안전성이 보장되는 효과 및 조작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1000: 고정틀 1100: 수평프레임
1200: 수직프레임 1210: 걸림홈
1300: 지지대 1301: 제1지지대
1302: 제2지지대 1310: 제1체결볼트
1320: 제2체결볼트 1400: 다리
1410: 고정구 1420: 가이드관
2000: 이동조절부 2100: 좌우이동부
2110: 좌우이동볼트 2111: 좌우이동핸들
2112-: 제1브래킷 2113: 베어링
2114: 좌우이동레일 2200: 전후이동부
2210: 전후이동베이스 2211: 제1가이드슈
2220: 좌우이동볼트 2221: 좌우이동핸들
2222: 제1브래킷 2223: 베어링
2230: 전후이동레일 2240: 전후이동패널
2241: 전후이동너트부재 2242: 제2가이드슈
2300: 높이조절부 2310: 수직베이스패널
2311: 상하이동너트부재 2312: 제3가이드슈
2320: 수직이동볼트 2321: 수직이동핸들
2322: 제3브래킷 2323: 베어링
2330: 수직이동레일 2340: 수직이동패널
2341: 자석부재 2350: 받침대
2351: 받침패널 2360: 고정대
2370: 걸림구 2380: 고정클립
2381: 클립브래킷 2382: 클립핸들
2383: 클립고리 3000; 탄성분리부
3100: 하우징 3110: 완충부
3120: 쇼버고정판 3121: 나사
3122: 가이드홈 3123: 볼트공
3130: 완충가이드 3140: 완충쇼버
3141: 완충결합부재 3142: 쇼버고정공
3143: 완충실린더 3144: 실린더로드
3145: 완충러버 3146: 조정핸들
3150: 해제핸들 3160: 핸들브래킷
3300: 압축부 3310: 하우징고정부재
3311: 제1고정체 3311a: 조정봉결합홀
3311b: 제1랙기어결합공 3312: 제2고정체
3314: 원통부재 3315: 결합공
3316: 기어고정부재 3316a: 고정체결합부재
3316b: 이동체 3316c: 지지돌기
3316d: 걸림편 3317e: 탄성부재
3312: 제2고정체 3320: 제1지지체
3330: 제2지지체 3340: 제3지지체
3350: 랙기어 3351: 제1결합핀
3352: 제2결합핀 3360: 탄성봉
3370: 스프링 3380: 제1조정봉
3390: 제2조정봉 3400: 압축부재
3410: 압축부재몸체 3420: 기어회전부재
3430: 제1기어 3440: 기어고정체
3450: 압축핸들 3451: 회전부재지지체
3452: 지지체스프링 3460: 제2기어
3470: 기어고정편 3500: 엘보결합부
3510: 결합몸체 3511: 몸체결합공
3520: 엘보위치홈 3530: 랙기어결합공
3540: 핀결합공 3560: 몸체체결구
3561: 손잡이 3562: 걸림고리
3563: 고리걸림구

Claims (11)

  1.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에 있어서,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틀(1000)과;
    엘보접속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좌우, 전후, 상하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고정(1000)틀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조절부(2000)와;
    개폐기에 설치된 엘보접속부를 탄성력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조절부(2300)에 설치되는 탄성분리부(30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00)은,
    일측에 다리(1400)가 설치되어 높이를 조절하여 개폐기 함체 전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100)과;
    개폐기 함체 전면 둘레에 위치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100)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200)과;
    수평프레임(1100)과 수직프레임(1200)이 함체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1300)와;
    전후이동부(2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100)에 상부에 베어링(2113)이 설치된 제1브래킷(2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볼트(2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2000)는
    탄성분리부(300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틀(100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이동부(2100)와;
    탄성분리부(3000)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고정틀(1000)에 설치되는 전후이동부(2200)와;
    엘보접속부에 결합하여 분리할 때 탄성분리부(3000)의 높낮이를 조절이 할 수 있도록 전후이동부(2200)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2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2100)는
    전후이동부(2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탄성분리부(30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좌우이동핸들(2111)을 가지며 고정틀(1000)의 수평프레임(110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볼트(2110)와;
    좌우이동볼트(2110) 측단에 결합하여 수평프레임(1100) 상부에 베어링(2113)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브래킷(2112)과;
    좌우이동볼트(2112)에 의해 전후이동부(2200)의 위치가 가변 될 시에 이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100)에 설치되는 좌우이동레일(21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2200)는,
    수평프레임(1100)에 설치된 좌우이동볼트(2110)에 결합하여 개폐기 함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베이스(2210)와;
    전후이동패널(2240)을 개폐기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베어링(2223)이 설치된 제2브래킷(2222)에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전후이동베이스(2210)에 설치되는 좌우이동볼트(2220)와;
    좌우이동볼트(2220)의 측면에 위치되어 전후이동베이스(22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후이동레일(2230)과;
    개폐기 함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좌우이동볼트(2220)에 의해 이동되고, 전후이동레일(2230)에 가이드 되는 전후이동패널(22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300)는,
    전후이동부(2200)의 전후이동패널(224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베이스패널(2310)과;
    탄성분리부(3000)를 엘보접속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직베이스패널(2310)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볼트(2320)와;
    수직이동볼트(2320)의 측면에 위치되어 수직이동패널(2340)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수직베이스패널(2310)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레일(2330)과;
    수직이동레일(2330)에 가이드 되면서 수직이동볼트(2320)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패널(2340)과;
    탄성분리부(3000)의 하우징(31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패널(2351)을 가지며 수직이동패널(2340) 전면에 복수로 설치되는 받침대(2350)와;
    탄성분리부(3000)의 하우징(31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받침대(2350) 상방향에 위치되어 수직이동패널(2340)에서 회동 가능하게 걸림구(2370)를 가지며 설치되는 고정대(2360)와;
    받침대(2350)와 고정대(2360) 사이에서 하우징(3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패널(2351)에 설치되어 고정대(2360)의 걸림구(2370)와 결합하는 고정클립(23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분리부(3000)는,
    엘보접속부를 탄성에 의해 분리할 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3110)를 가지며 받침대(2350)와 고정대(2360)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3110)과;
    엘보접속부를 탄발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압축부재(3400)를 가지며 설치되는 압축부(3300)와;
    탄발에 의해 엘보접속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압축부(3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엘보결합부(3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3300)는,
    랙기어(3350)의 가이드 및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31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고정부재(3310)와;
    랙기어(3350)의 가이드 및 탄성이 발생되도록 하우징고정부재(3310) 일측에 위치되어 하우징(3110) 내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체(3320)와;
    랙기어(3350)의 가이드 및 탄성이 발생되도록 제1지지체(3320)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하우징(3110) 내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체(3330)와;
    랙기어(3350)의 가이드 및 탄성이 발생되도록 제2지지체(3330)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하우징(3110) 내측에 설치되는 제3지지체(3340)와;
    제2지지체(3330)에 결합하여 제1지지체(3320)와 하우징고정부재(3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하우징(3110) 내측에 위치되는 랙기어(3350)와;
    랙기어(3350)에 탄발력이 발생되도록 스프링(3370)을 가지며 제1지지체(3320)와 제2지지체(3330)에 체결되어 하우징고정부재(3310)와 제3지지체(3340)에 측단이 각각 고정되어 하우징(3100)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의 탄성봉(3360)과;
    제1지지체(33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프링(3370)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고정부재(3310)에 설치되어 하우징(3100) 내측에 위치되는 제1조정봉(3380)과;
    제2지지체(33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프링(3370)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3지지체(3340)에 설치되어 하우징(3100) 내측에 위치되는 제2조정봉(3390); 및
    랙기어(3350)를 이동시켜 탄성봉(3360)에 결합한 스프링(3370)을 압축해 탄성에 의해 엘보접속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고정부재(3310)에 결합하는 압축부재(3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고정부재(3310)는,
    제1조정봉(3380)과 결합하는 조정봉결합홀(3311a)과, 랙기어(3350)가 이동하는 제1랙기어결합공(3311b) 및 압축부재(3400)가 결합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체(3311)와;
    제1고정체(3311)와 거리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탄성봉(3360)이 결합되는 제2고정체(3312)와;
    랙기어(3350)의 기어가 표출되도록 결합공(3315)이 구성되어 제1고정체(3311)와 제2고정체(3312)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부재(3314)와;
    스프링(3370)의 탄성에 의해 랙기어(335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1고정체(3311)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고정부재(33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3400)는,
    제1고정체(3311)에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하여 원통부재(3314)의 결합공(3315)에 위치되는 압축부재몸체(3410)와;
    압축부재몸체(3410)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
    Figure 112016050882239-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어회전부재(3420)와;
    기어회전부재(342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압축부재몸체(34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1기어(3430)와;
    제1기어(3430)의 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고정체(3440)와;
    기어회전부재(3420)를 지지하여 제1기어(34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기어고정체(3440) 상부에 설치되는 압축핸들(3450)과;
    제1기어(3430)와 치합하여 랙기어(335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압축부재몸체(3410) 내측에 축설되어 원통부재(3314)의 결합공(3315)에 위치되는 제2기어(3460)과;
    제1기어(3430)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압축부재몸체(3410) 내측면에 복수로 설치되는 기어고정편(3470);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3400)는,
    압축부재몸체(3410) 상부에 설치한 압축핸들(3450)을 왕복으로 이동시켜 기어회전부재(3420)에 의해 제1기어(3430)를 회전되게 하고,
    제1기어(3430)의 회전에 의해 제2기어(3460)가 회전하면서 랙기어(3350)를 이동시켜 스프링(3370)의 압축에 의한 탄발력이 랙기어(3350)에 작용되게 하여 엘보결합부(3500)에 결합한 엘보접속부를 개폐기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KR1020160064985A 2016-05-26 2016-05-26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KR10165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985A KR101657267B1 (ko) 2016-05-26 2016-05-26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985A KR101657267B1 (ko) 2016-05-26 2016-05-26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267B1 true KR101657267B1 (ko) 2016-09-13

Family

ID=5694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985A KR101657267B1 (ko) 2016-05-26 2016-05-26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2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902B1 (ko) * 2016-09-26 2016-11-10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관절형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KR101877902B1 (ko) * 2017-07-10 2018-07-12 견금자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2014049B1 (ko) * 2019-04-11 2019-08-23 서영곤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및 연결방법
KR200496743Y1 (ko) * 2020-11-12 2023-04-1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단자함 미세 정렬장치
CN116799708A (zh) * 2023-08-24 2023-09-22 东北林业大学 一种可调节型电力线缆支架
CN116825478A (zh) * 2023-08-31 2023-09-29 福乐电气有限公司 一种干式变压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760A (ko) 2006-04-24 2007-10-29 흡 윤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선의 무정전공법
KR20070122001A (ko)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0842321B1 (ko) 2007-03-26 2008-06-30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20100093201A (ko) 2009-02-16 2010-08-25 흡 윤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20110113306A (ko) 2010-04-09 2011-10-17 강오건설 주식회사 온돌 시공용 몰딩
KR101613894B1 (ko) 2015-09-30 2016-04-20 주식회사 평일 폴 타입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760A (ko) 2006-04-24 2007-10-29 흡 윤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선의 무정전공법
KR20070122001A (ko)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0842321B1 (ko) 2007-03-26 2008-06-30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20100093201A (ko) 2009-02-16 2010-08-25 흡 윤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20110113306A (ko) 2010-04-09 2011-10-17 강오건설 주식회사 온돌 시공용 몰딩
KR101613894B1 (ko) 2015-09-30 2016-04-20 주식회사 평일 폴 타입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902B1 (ko) * 2016-09-26 2016-11-10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관절형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KR101877902B1 (ko) * 2017-07-10 2018-07-12 견금자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2014049B1 (ko) * 2019-04-11 2019-08-23 서영곤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및 연결방법
KR200496743Y1 (ko) * 2020-11-12 2023-04-1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단자함 미세 정렬장치
CN116799708A (zh) * 2023-08-24 2023-09-22 东北林业大学 一种可调节型电力线缆支架
CN116799708B (zh) * 2023-08-24 2023-10-31 东北林业大学 一种可调节型电力线缆支架
CN116825478A (zh) * 2023-08-31 2023-09-29 福乐电气有限公司 一种干式变压器
CN116825478B (zh) * 2023-08-31 2023-11-21 福乐电气有限公司 一种干式变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267B1 (ko)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CN209133912U (zh) 一种隔离式配电箱
KR101017093B1 (ko)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0842321B1 (ko)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CN110350414B (zh) 一种高压开关柜系统及其高压开关柜更换方法
CN112018654B (zh) 一种肘型缆头拔出装置
KR101674902B1 (ko) 관절형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KR10144488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처짐방지장치
CN101626150B (zh) 接地线卡具转换工具
CN106019150A (zh) 发电机试验夹紧装置
KR101405148B1 (ko) 송전, 배전, 변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래킷 높이조절장치
KR101640016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CN203377158U (zh) 新型真空断路器灭弧室组件装配装置
KR101765087B1 (ko)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CN204992001U (zh) 电动升降的高空接地装置
KR101877902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2251963B1 (ko) 3상 활선엘보개폐장치
CN110474255A (zh) 一种电缆终端应力锥的安装装置与安装方法
CN103683057A (zh) 一种高压隔离开关机构抱箍的专用更换工具
KR102664841B1 (ko) 변압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CN220896067U (zh) 一种便于安装电气设备的开关柜
CN220107266U (zh) 一种便于维修和拆装的气控柜
CN220954932U (zh) 一种隔离开关横担
CN219477430U (zh) 高压组合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05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106

Effective date: 20181023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