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811B1 -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811B1
KR101444811B1 KR1020140074032A KR20140074032A KR101444811B1 KR 101444811 B1 KR101444811 B1 KR 101444811B1 KR 1020140074032 A KR1020140074032 A KR 1020140074032A KR 20140074032 A KR20140074032 A KR 20140074032A KR 101444811 B1 KR101444811 B1 KR 10144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late
power switch
p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창현
염진섭
Original Assignee
(주) 창흥전력
주식회사 창성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창흥전력, 주식회사 창성전력 filed Critical (주) 창흥전력
Priority to KR102014007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26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01H31/32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with rectilinearly-movab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01H2033/426Details concerning the connection of the isolating driving rod to a metallic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로부터 변전소로 공급된 전력을 변전소 내에서 변전설비 및 수용가에 전력을 개폐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전설비 내부에 설치된 계전기 및 전자접촉기 등의 전기장치 교체 시 작업자의 감전위험 및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시간동안 전력개폐기가 OFF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력개폐기를 고정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Fixed device for electrical power switch driving rod}
본 발명은 발전소로부터 변전소로 송전된 특고압 전력을 변전소 내에서 변전설비 및 수용가(需用家)에 전달되는 전력을 개폐하는 전력개폐기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전설비 내부에 설치된 계전기 및 전자접촉기 등의 전기장치 교체 시 작업자의 감전위험 및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시간동안 전력개폐기가 OFF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력개폐기를 고정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를 살면서 전기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이와 같은 전기는 발전소에서 생성되는데 발전소에서 생성된 전력은 상당히 높은 전압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높은 전압을 가진 전력은 일반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소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일반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가능한 전압 낮추거나 전력의 성질을 바꾸기 위한 변전소가 설치된다.
상기된 변전소에 사용되는 변전설비는 변압기, 차단기, 과전압릴레이, 계전기 및 전자접촉기 등의 다양한 전기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된 전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전달되는 전력은 고전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외부와 접촉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GIS:Gas Insulated Switchgear)나 기타 다른 전력개폐기의 ON/OFF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때 가스절연개폐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은 전력개폐기를 통해 단로기(DS:Disconnecting Switch)에 의해 ON/OFF 된다.
도 1 의 (a)를 참조하면 변전설비 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는 다양한 전기장치(1)가 구비되고, 전기장치(1)에 공급되는 전력을 ON/OFF 하도록 전력개폐기와 연결되는 구동로드(2) 및 전력개폐기의 ON/OFF를 조작하도록 구동로드(2)를 이동시키는 로드구동모터(3)가 전기장치(1)에 설치된다. 또한 도 1 의 (b)를 참조하면 로드구동모터(3)와 연결된 연결링크(4)는 구동로드(2)와 연결되어 전력개폐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ON/OFF하도록 로드구동모터(3)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로드(2)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전기 및 전자접촉기 등의 각종 전기장치와 로드구동모터(3)는 일정사용기간이 지나면 노후 및 부식 등으로 인해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로드구동모터(3) 및 각종 전기장치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력개폐기를 OFF 상태로 유지시켜 전력을 차단한 후 교체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즉 작업자의 감전사고 및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로드(2)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전력을 OFF 상태로 유지한 후 구동로드(2)와 로드구동모터(3)를 분리하고 로드구동모터(3)와 전기장치를 탈착한 이후에 새로운 로드구동모터(3)와 전기장치 등을 설치하는 작업순서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순서로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구동로드(1)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력개폐기 연결접점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OFF 상태인 이격된 연결접점이 접촉되면서 고압의 전류가 가스절연개폐기 및 변전설비로 인가 된다. 따라서 교체작업 중이던 작업자가 인가된 고압전류에 노출되어 감전사고 및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특1993-0018799호 '스위치 보드' (공개일자 1993.09.22) 2. 공개특허공보 10-2011-0075544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공개일자 2011.07.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변전설비 내부에 설치된 계전기 및 전자접촉기 등의 다양한 전기장치를 교체할 때 변전설비 및 가스절연개폐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ON/OFF하는 전력개폐기가 항상 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 작업자의 감전위험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고정기구는 전압이나 전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전력개폐기(2000)와 연결되되, 내부에 구비되는 단로기(1100)와 상기 단로기(1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1110)와 상기 구동모터(111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제1 링크(1210) 및 제1 링크(1210)와 체결볼트(1220)에 의해 체결되는 제2 링크(1230)를 포함하는 단로기링크(1200)와 일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력개폐기(2000)와 체결되어 상기 단로기링크(1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력개폐기(2000)를 ON/OFF 하는 구동로드(1400)를 포함하는 변전설비(1000)에 있어서, 상기 변전설비(1000)의 측벽(1010)에 형성된 개구부(101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1220)의 직경과 적어도 동일하거나 큰 직경으로 관통되는 장공홀(210)이 형성되는 고정판(200);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판(200)에 체결되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1230)가 일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링크(123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지지핀(300);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지지핀(30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정판(200)에 체결되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1230)가 타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링크(1230)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2 지지핀(400); 상기 제1 링크(1210)와 상기 제2 링크(1230)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장공홀(210)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링크(1230)를 상기 고정판(200)에 고정시키는 결합핀(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삽입홀(510)이 관통 형성되는 제1 지지판(500); 상기 제1 지지판(500)과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삽입홀(610)이 관통 형성되는 제2 지지판(600); 상기 몸체(100)를 상기 개구부(101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삽입홀(510)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011)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가압핀(710) 및 상기 제2 삽입홀(610)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011)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제2 가압핀(7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하면이 상기 개구부(1011)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상면에 상기 제1 지지판(500) 및 제2 지지판(600)이 형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측판(120); 상기 제1 측판(120)과 마주보도록 상기 상판(11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200)이 고정되는 제2 측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측판(110)에는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가압핀(730)이 구비되되, 상기 제3 가압핀(730)이 회전하여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측판(130)이 상기 측벽(1010)의 일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측벽(1010)의 타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측벽(1010)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일측단의 종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공홀(210)에는 상기 제1 링크(1210)와 상기 제2 링크(1230)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제1 링크(1210) 및 제2 링크(1230)에서 체결볼트(1220)가 분리되면 연결이 해제된 상기 제1 링크(1210) 및 상기 제2 링크(1230)가 분리되기 전과 동일한 위치에 재결합되도록 상기 제1 링크(1210) 및 상기 제2 링크(1230)의 재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Marking)을 하기 위해 마킹홀(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핀(300)에는 일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의 후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의 후면과 인접한 상기 제1 지지핀(300)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링크(1230)가 고정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지지로드(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핀(400)에는 일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의 후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의 후면과 인접한 상기 제2 지지핀(400)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링크(1230)가 고정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지지로드(4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전설비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몸체 및 단로기링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지지핀과 제2 지지핀 및 결합핀를 통해 구동로드의 이동을 제한하여 전력개폐기가 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계전기 및 전자접촉기 등의 다양한 전기장치를 교체할 때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로드의 ON/OFF 상태를 확인한 후 구동로드를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먼저 구동로드를 고정한 후 작업이 진행되어 작업자의 감전사고 및 기기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가 ON/OFF 상태일 때의 구동로드와 연결링크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변전설비와 전력개폐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가 변전설비의 개구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와 연결링크의 연결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지지로드가 제2 연결링크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가 개구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변전설비와 전력개폐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가 변전설비의 개구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와 연결링크의 연결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지지로드가 제2 연결링크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가 개구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발전소로부터 전달받은 전류의 성질을 공장 및 가정에서 사용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전설비(1000)는 내부에 계전기, 전자접촉기, 차단기 및 단로기(1100) 등의 다양한 전기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변전설비(100)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는 외부로부터 고압의 전력를 전달받은 후 고압의 전류를 변환하여 전압이나 전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전력개폐기(2000)로 이송시킨다. 이때 전력개폐기(2000)로 전력을 이송시키는 것은 단로기(1100)의 구동모터(1110)의 구동에 의해 ON/OFF 될 수 있다. 전력개폐기(200)의 자세한 설명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903호' 를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을 참조하여 단로기(1100)와 전력개폐기(2000)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면, 단로기(1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1110)가 구비된다. 구동모터(1110)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step motor)나 서브모터(sevo motor)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111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1110)와 연결되는 단로기링크(1200)가 구비된다. 단로기링크(1200)는 구동모터(1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1210)와 제1 링크(1210)와 체결볼트(1220)에 의해 체결되는 제2 링크(123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링크(1230)와 전력개폐기(2000)는 구동로드(1400)에 의해 연결되는데, 구동로드(1400)의 일측은 연결핀(1300)에 의해 제2 링크(1230)와 체결되고, 타측이 전력개폐기(2000)와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110)의 회전에 따라 제2 링크(1230)가 회전하고 구동로드(1400)가 제2 링크(1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력개폐기(2000)는 ON/OFF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변전설비(1000)는 내부에 수용된 전기장치 등을 보호하기 위한 측벽(1010)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측벽(1010)에는 개구부(1011)가 형성된다. 개구부(1011)에는 몸체(100)가 억지끼움되거나 별도의 고정도구를 통해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몸체(100)의 측면에는 고정판(200)이 몸체(100)와 일체로 고정된다. 고정판(2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100)와 고정판(200)이 고정될 때 용접 접합되거나 별도의 체결너트 및 볼트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판(200)에는 적어도 체결볼트(122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갖는 장공홀(210)이 관통 형성된다. 이는 체결볼트(1220)가 장공홀(2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고정판(200)에는 제1 지지핀(300)이 설치된다. 제1 지지핀(300)은 고정판(200)을 관통하며 체결되는데, 이때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1 지지핀(30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지지핀(300)의 외측면에 제2 링크(1230)의 일측면과 밀착되면서 접촉된다. 따라서 제1 지지핀(300)이 회전하여 제2 링크(1230)의 일측면과 접촉되면 제2 링크(1230)가 일측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1 지지핀(300)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지지핀(30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링크(1230)의 일측면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제2 링크(1230)는 구동모터(1110)의 구동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도 4 를 참조하면 고정판(200)에는 제1 지지핀(300)과 일전간격 이격되는 제2 지지핀(400)이 설치된다. 제2 지지핀(400)도 제1 지지핀(300)과 동일하도록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판(200)에 체결된다. 제2 지지핀(400)이 회전하여 제2 지지핀(40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핀(400)의 외측면이 제2 링크(1230)의 타측면과 접촉되면서 제2 링크(123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한다. 따라서, 제1 지지핀(300)과 제2 지지핀(400) 모두 제2 링크(1230)의 일측과 타측면에 접촉되면 제2 링크(1230)는 회전이 저지되어 구동로드(14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제1 링크(1210)와 제2 링크(1230)가 분리되는 경우 제2 링크(1230)를 고정판(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장공홀(210)에 삽입되는 결합핀(800)이 구비된다. 결합핀(800)은 장공홀(210)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 링크(1230)를 관통한다. 이후 결합핀(800)의 끝단에는 결합너트(810)가 체결되고, 결합너트(810)에 토크를 가해 회전시키면 제2 링크(1230)와 고정판(200)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몸체(10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판(500)과 제2 지지판(600)이 형성된다. 제1 지지판(500)과 제2 지지판(600)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제1 지지판(500)에는 제1 삽입홀(510)이 관통 형성되고, 제1 삽입홀(51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지지판(600)도 제1 지지판(500)의 제1 삽입홀(510)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삽입홀(610)이 관통 형성되며, 제2 삽입홀(61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몸체(100)를 개구부(1011)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삽입홀(510)에 삽입되는 제1 가압핀(710)과 제2 삽입홀(610)에 삽입되는 제2 가압핀(720)이 형성된다. 제1 가압핀(710)는 회전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끝단이 개구부(1011)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제2 가압핀(720)도 회전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끝단이 제1 가압핀(710)의 끝단이 접촉된 개구부(1011)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개구부(1011)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몸체(100)가 개구부(1011)에 안착되면 제1 가압핀(710)과 제2 가압핀(720)을 회전시켜 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몸체(100)는 상판(110),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을 포함한다.
상판(110)은 하면이 개구부(1011)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상면에 제1 지지판(500) 및 제2 지지판(600)이 형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제1 측판(12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판(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2 측판(130)은 제1 측판(120)과 마주보도록 상판(110)의 타측에 형성되며, 후면에 고정판(200)이 고정 및 부착된다. 따라서 몸체(100)는 좌우측면과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개구부(1011)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제1 측판(120)에는 제3 가압핀(730)이 구비된다. 제3 가압핀(730)은 제1 측판(110)에 형성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3 삽입홀(121)에 삽입된다. 제3 가압핀(730)은 제3 삽입홀(121)에 안내되어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끝단이 측벽(1010)과 접촉된다. 제3 가압핀(73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가압핀(73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끝단이 측벽(1010)에 접촉되면 몸체(100)가 측벽과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고 반대로 타측으로 회전하여 끝단이 측벽(1010)과 이격되면 몸체(100)를 개구부(1011)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3 가압핀(730)은 제3 가압핀(7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헤드(731)와 헤드(7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제3 삽입홀(121)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732) 및 나사부(732)의 끝단에 형성되어 측벽(1010)과 접촉하는 가압부(733)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압부(733)는 종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가압부(733)의 끝단의 면적이 나사부(732)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제3 가압핀(730)이 회전하여 측벽(1010)을 가압할 때 보다 높은 가압력으로 측벽(1010)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제3 가압핀(730)이 측벽(1010)의 표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몸체(1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장공홀(210)에는 장공홀(210)와 연통되는 마킹홀(211)이 형성된다. 마킹홀(211)은 장공홀(2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마킹홀(211)을 통하여 제1 링크(1210) 및 제2 링크(1230)에 마킹(Marking)을 할 수 있다.
즉 도 5 의 (a)를 참조하면 단로기(1100)를 회전하여 전력개폐기(2000)를 OFF 시킨 후 몸체(100)를 좌우로 이동하여 체결볼트(1220)와 장공홀(210)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구동로드(14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1 지지핀(300)과 제2 지지핀(400)를 회전시켜 제2 링크(1230)의 좌우측을 지지한다. 이후 제1 링크(1210)와 제2 링크(1230)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체결볼트(1220)를 분리한다.
도 5 의 (b)를 참조하면 제1 링크(1210) 및 제2 링크(1230)가 분리되기 전과 동일한 위치에서 재결합되도록 제1 링크(1210) 및 제2 링크(1230)의 표면에 마킹(Marking)을 한다.
도 5 의 (c)를 참조하면 노후된 변전설비(1000)를 탈착하기 위해 제1 링크(1210)와 제2 링크(1230)를 분리한다. 이후 결합핀(800)을 고정판(200)의 장공홀(210)에 삽입하고 결합핀(800)의 끝단에 결합너트(810)를 체결하여 일정한 토크를 가해 결합핀(800)을 회전시켜 조여준다. 이후 새로 교체된 변전설비(1000)를 설치할 때 결합핀(800)을 분리하고, 제1 링크(1210)를 제2 링크(1230)에 체결시킨다. 이때 제1 링크(1210) 및 제2 링크(1230)가 탈착전 동일한 위치에 재결합되도록 마킹한 표식을 일치시킨 후 제1 링크(1210)를 제2 링크(1230)에 결합한다.
따라서, 구동로드(1400)를 제1지지핀(300)과 제2 지지핀(400) 및 결합핀(800)에 의해 고정판(200)에 고정함으로써 항상 전력개폐기(2000)가 OFF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노후된 변전설비(1000)를 탈착 및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1 지지핀(300)에는 제1 지지로드(310)가 구비된다. 제1 지지로드(310)는 일측이 제2 링크(1230)의 후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제2 링크(1230)의 후면과 인접한 제1 지지핀(300)의 끝단에 체결된다. 따라서, 제1 지지핀(300)이 회전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 지지로드(310)는 제2 링크(1230)의 후면과 접촉되어 제1 링크(1210)가 제2 링크(1230)에서 분리될 때 제2 링크(1230)를 고정시켜 좌우측 및 후방으로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핀(400)의 끝단에는 제2 지지로드(410)가 구비된다. 제2 지지로드(410)는 일측이 제2 링크(1230)의 후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제2 링크(1230)의 후면과 인접한 제2 지지핀(400)의 끝단에 체결된다. 따라서, 제2 지지로드(410)는 제1 지지로드(310)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진다.
도 7 을 참조하면 고정판(200)의 하측단에는 몸체(100)를 변전설비(1000)의 케이스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도록 돌출턱(220)이 돌출 형성된다. 이는 변전설비(1000)의 바닥판과 측벽(1010)의 접합부위에 용접부위(P)가 형성되는데, 돌출턱(220)이 돌출됨으로 인해 제2 측벽(120)이 용접부위(P)에서 돌출턱(220)의 돌출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측벽(10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는 변전설비(1000) 케이스의 측벽(1010)에 형성된 개구부(1011)에 고정되는 몸체(100)와 단로기링크(1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지지핀(300) 및 제2 지지핀(400)을 통해 구동로드(1400)의 이동을 제한하여 전력개폐기(2000) 및 단로기(1100)가 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계전기 및 전자접촉기 등의 다양한 전기장치를 교체할 때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 있다.
1000 : 변전설비 1100 : 단로기
1200 : 단로기링크 1300 : 연결핀
1400 : 구동로드 2000 : 전력개폐기
100 : 몸체 110 : 상판
120 : 제1 측판 130 : 제2 측판
200 : 고정판 210 : 장공홀
220 : 돌출턱 300 : 제1 지지핀
310 : 제1 지지로드 400 : 제2 지지핀
410 : 제2 지지로드 500 : 제1 지지판
600 : 제2 지지판 710 : 제1 가압핀
720 : 제2 가압핀 730 : 제3 가압핀
800 : 결합핀

Claims (6)

  1. 전압이나 전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전력개폐기(2000)와 연결되되, 내부에 구비되는 단로기(1100)와 상기 단로기(1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1110)와 상기 구동모터(111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제1 링크(1210) 및 제1 링크(1210)와 체결볼트(1220)에 의해 체결되는 제2 링크(1230)를 포함하는 단로기링크(1200)와 일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력개폐기(2000)와 체결되어 상기 단로기링크(1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력개폐기(2000)를 ON/OFF 하는 구동로드(1400)를 포함하는 변전설비(1000)에 있어서,
    상기 변전설비(1000)의 측벽(1010)에 형성된 개구부(101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1220)의 직경과 적어도 동일하거나 큰 직경으로 관통되는 장공홀(210)이 형성되는 고정판(200);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판(200)에 체결되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1230)가 일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링크(123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지지핀(300);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지지핀(30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정판(200)에 체결되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1230)가 타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링크(1230)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2 지지핀(400);
    상기 제1 링크(1210)와 상기 제2 링크(1230)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장공홀(210)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링크(1230)를 상기 고정판(200)에 고정시키는 결합핀(8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삽입홀(510)이 관통 형성되는 제1 지지판(500);
    상기 제1 지지판(500)과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삽입홀(610)이 관통 형성되는 제2 지지판(600);
    상기 몸체(100)를 상기 개구부(101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삽입홀(510)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011)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가압핀(710) 및 상기 제2 삽입홀(610)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011)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제2 가압핀(7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3. 제 2 항 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하면이 상기 개구부(1011)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상면에 상기 제1 지지판(500) 및 제2 지지판(600)이 형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측판(120);
    상기 제1 측판(120)과 마주보도록 상기 상판(11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200)이 고정되는 제2 측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측판(110)에는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가압핀(730)이 구비되되,
    상기 제3 가압핀(730)이 회전하여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측판(130)이 상기 측벽(1010)의 일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측벽(1010)의 타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측벽(1010)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일측단의 종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홀(210)에는 상기 제1 링크(1210)와 상기 제2 링크(1230)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제1 링크(1210) 및 제2 링크(1230)에서 체결볼트(1220)가 분리되면 연결이 해제된 상기 제1 링크(1210) 및 상기 제2 링크(1230)가 분리되기 전과 동일한 위치에 재결합되도록 상기 제1 링크(1210) 및 상기 제2 링크(1230)의 재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Marking)을 하기 위해 마킹홀(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2상기 제1 지지핀(300)에는 일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의 후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의 후면과 인접한 상기 제1 지지핀(300)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링크(1230)를 고정시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지지로드(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핀(400)에는 일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의 후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링크(1230)의 후면과 인접한 상기 제2 지지핀(400)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링크(1230)를 고정시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지지로드(4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KR1020140074032A 2014-06-18 2014-06-18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KR10144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032A KR101444811B1 (ko) 2014-06-18 2014-06-18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032A KR101444811B1 (ko) 2014-06-18 2014-06-18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811B1 true KR101444811B1 (ko) 2014-10-30

Family

ID=5199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032A KR101444811B1 (ko) 2014-06-18 2014-06-18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10B1 (ko) 2015-09-11 2015-12-14 (주)삼성이엔지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310A (ja) 2002-09-27 2004-04-15 Toshiba Corp 電流開閉器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830930B1 (ko) 2007-01-03 2008-05-22 헤벨 주식회사 변전설비 차단기
KR20130133554A (ko) * 2012-05-29 2013-12-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310A (ja) 2002-09-27 2004-04-15 Toshiba Corp 電流開閉器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830930B1 (ko) 2007-01-03 2008-05-22 헤벨 주식회사 변전설비 차단기
KR20130133554A (ko) * 2012-05-29 2013-12-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10B1 (ko) 2015-09-11 2015-12-14 (주)삼성이엔지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78820A (zh) 改进的固态开关装置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1444811B1 (ko)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KR200420968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3단 단로기 구동장치
KR101893593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477611B1 (ko) 변전설비용 단로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CN109192569B (zh) 一种三工位接地开关与断路器分闸间闭锁的控制方法
CN201886954U (zh) 新型极柱式三相高压隔离开关
CN108067609B (zh) 用于混铁车加盖的电气控制方法
CN108054060B (zh) 一种多适应性高压断路器异常紧急分闸装置
KR101282713B1 (ko) 3상의 퓨즈 동시개폐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CN102723222A (zh) 固定式高压开关柜连锁机构
CN105185615A (zh) 一种环网柜内开关远程操作工具
JP6616297B2 (ja) 通電装置
CN104183397A (zh) 一种防误操作开关机构
KR101577410B1 (ko)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CN202633146U (zh) 固定式高压开关柜连锁机构
CN209822540U (zh) 一种电动接地开关
KR101175076B1 (ko) 전원절환개폐기
KR101765087B1 (ko)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WO2013135708A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CN203882923U (zh) 一种快接式断路器
KR101542100B1 (ko) 단로기의 스위칭장치
CN113793777B (zh) 一种真空断路器触点操作机构
CN203367080U (zh) 电缆分支箱机械联锁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