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930B1 - 변전설비 차단기 - Google Patents

변전설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930B1
KR100830930B1 KR1020070000452A KR20070000452A KR100830930B1 KR 100830930 B1 KR100830930 B1 KR 100830930B1 KR 1020070000452 A KR1020070000452 A KR 1020070000452A KR 20070000452 A KR20070000452 A KR 20070000452A KR 100830930 B1 KR100830930 B1 KR 10083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m
frame
input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흥석
다니엘동훈정
Original Assignee
헤벨 주식회사
다니엘동훈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벨 주식회사, 다니엘동훈정 filed Critical 헤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05Charging means
    • H01H3/3015Charging means using c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설비 차단기용 수동조작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 차단기용 수동조작기는 전원공급을 받아 로드를 출몰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전동조작기를 커버하는 케이스의 상측으로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동 조작력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핸들 및 이 핸들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분기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는 차지 레버 그리고 차지 레버의 하 연장부 일측으로 일단이 돌출 구비되는 홀딩 레버로 된 레버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상·하로 분기 연장되는 연결부 및 이들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어 레버수단측을 향해 일단이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의 하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측에 구동 입력단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구동 출력단이 연장 형성되는 커넥팅 레버와, 상기 차지 레버의 일 방향 회전시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다단 압축되는 것에 의해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커넥팅 레버를 일 방향 연동 회동시키는 투입수단과, 상기 차지 레버의 역 방향 회전시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다단 압축되는 것에 의해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커넥팅 레버를 역 방향 연동 회전시키는 개방수단과, 상기 차지 레버의 정·역 회전 동작 완료후 선택적으로 투입수단 또는 개방수단을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변전설비 차단기용 수동조작기는 정·역 방향으로 핸 들을 회전시키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동작되므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하여 소형화 및 슬림화를 실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종전에 비해 설치 점유공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00452
변전소, 가스, 차단기, 스위칭

Description

변전설비 차단기{FOR AN INSTRUMENT OPERATE BY USING TRANSFORMER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 차단기기용 수동조작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바라본 요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서 바라본 요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후크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일 방향 회전 조작력에 의한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역 방향 회전 조작력에 의한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동조작기
3 : 전동 스위치부
10 : 레버수단
20 : 캠
30 : 커넥팅 레버
40 : 투입수단
50 : 개방수단
60 : 복귀수단
본 발명은 수동 조작력을 입력받는 정·역 레버 동작에 연동하여 투입 및 개방 동작이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변전설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조작력 발생원으로 사용하여 구조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실현시키면서 동시에 수동 조작력에 따른 안정되고 확실한 동작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변전설비 차단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과정에서의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전압으로 수요지까지 송전하게 되는데, 송전된 전력은 수요자에게 공급되기 전에 적정한 전압으로 변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도심과 교외를 불문하고 전력수요지에는 변압기 또는 변전소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변압기는 비교적 저전압으로 송전된 전력을 수요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전압으로 강압하여 수요자에게 직접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부분의 소자가 하나의 통 안에 수용되어 있는 일체형 장치이다.
그에 반하여, 상기 변전소는 송전소에서 비교적 고압으로 송전된 전력을 변 압기와 차단기 및 기타의 장치들을 거쳐 강압하여 수요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플랜트이다. 이때, 상기 변전소는 고압의 전력을 처리하므로, 선로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세기가 매우 강하며, 따라서, 아크발생이나 혼촉 등을 방지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자 및 선로들의 사이가 충분히 이격되거나 충분히 절연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변전소는 설치위치에 따라 옥외 변전소 및 옥내 변전소로 구분되는데, 대지의 단위면적 당 건물밀집도가 낮은 교외에서는 공간점유비용이 절연비용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소자 및 선로들의 사이를 충분히 이격시키는 방안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그에 따라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옥외 변전소를 노지 위에 노출되게 설치한다.
반면, 대지의 단위면적 당 건물밀집도가 높은 도심에서는 절연비용이 공간점유비용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소자 및 선로들의 사이를 충분히 절연시키는 방안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그에 따라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 GIS) 방식의 옥내 변전소를 설치한다. 고압계통 이상의 등급에서 변전설비의 전기회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차단 장치는 부하전류나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부하 개폐기 부분, 시험시나 점검시에 선로로부터 잘라 내기 위한 단로기 부분, 및 잘라 낸 부분을 접지하는 접지 개폐기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는 변전소의 주요 구성품인 차단기(GCB, Gas Circuit Breaker), 단로기(DS, Disconnecting Switch), 접지개폐기(ES, Earthing Switch), 피뢰기(Lightning Arrester), 주모선(메인 Bus)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절연성능이 우수하고, 불활성인 SF 6 가스를 충진하여, 변전소의 소형화 및 안전을 도모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송전,변전 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및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주 역할을 수행하는 차단기(CB)와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유지 보수점검을 위하여 개폐 장치내에 잔존하는 잔류전압 및 전류를 제거하는 접지 개폐장치는 물론, 기기의 점검 수리시 정전부분을 전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안전성 확보를 주목적으로 하면서 무부하 변압기의 여자전류 및 선로나 모선의 충전 전류 또는 루프전류 개폐의 성능을 가져야 하는 단로기 등의 기기가 구비되어 있다.
즉, 발전소에서 대략 20,000V 정도의 전압을 갖는 전기가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으로 승압되어 1차 변전소로 송전되고, 그 1차 변전소에서는 공급받은 전력을 22,900V로 강하시켜 2차 변전소 및 각 수용가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1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가공배전선과 지중 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통해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 수용가 및 각종 옥외 설치 변압기를 통해 저압 수용가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GIS) 중 차단기(GCB)는 차단부 조작방식에 따라, 유공압 조작방식과 스프링 조작방식으로 대별된다.
먼저 유공압 조작방식은 유체 또는 기체를 작동유체로 하여 큰 조작력을 얻 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조작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유공압의 기밀성을 안정되게 유지시켜야 하는 단점으로 인해 부피가 커지고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도에 따라 성능이 불균일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스프링 조작방식은 차단 및 투입 에너지원으로 탄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체 및 기체를 이용한 유공압 조작방식에 비해 조작력의 유지 및 조작장치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소형화가 어려워 한정된 공간에서의 설치의 곤란함과 설계의 자유도가 크게 제한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정비성이 대단히 곤란한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스프링 조작방식에서의 수동조작기 부분에 대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면서 간소하 구조를 통해 정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변전설비 차단기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조작력에 따른 동작 실시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수동조작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변전설비 차단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설비 차단기용 차단기는, 전원공급을 받아 로드를 출몰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전동조작기 를 커버하는 케이스의 상측으로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동 조작력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핸들 및 이 핸들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분기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는 차지 레버 그리고 차지 레버의 하 연장부 일측으로 일단이 돌출 구비되는 홀딩 레버로 된 레버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상·하로 분기 연장되는 연결부 및 이들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어 레버수단측을 향해 일단이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의 하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측에 구동 입력단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구동 출력단이 연장 형성되는 커넥팅 레버와; 상기 차지 레버의 일 방향 회전시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다단 압축되는 것에 의해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커넥팅 레버를 일 방향 연동 회동시키는 투입수단과; 상기 차지 레버의 역 방향 회전시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다단 압축되는 것에 의해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커넥팅 레버를 역 방향 연동 회전시키는 개방수단과; 상기 차지 레버의 정·역 회전 동작 완료후 선택적으로 투입수단 또는 개방수단을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차지 레버의 상 연장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캠측을 향해 연장되며 그 끝단에 확장된 푸시바가 구비되는 투입 인너가이드와, 상기 캠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투입 인너가이드와 슬라이드 끼움되어 상호 직선 운동을 하며 그 끝단에 멈춤바가 구비되는 투입 아웃가이드와, 상기 푸시바와 멈춤바 사이에 구비되는 투입 스프링 그리고 상기 캠 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부의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반원기둥의 걸림편과 그 일측에 푸시바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일핀을 구비한 후크핀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차지 레버의 하 연장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차지 레버의 하 연장부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가동핀에 일단이 축지지되고 타단은 캠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끝단에 확장된 푸시바가 구비되는 개방 인너가이드와, 상기 커넥팅 레버의 상 구동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개방 인너가이드와 슬라이드 끼움되어 상호 직선운동을 하며 그 끝단에 멈춤바가 구비되는 개방 아웃가이드와, 상기 개방 아웃가이드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홀딩 레버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래칫 플레이트와, 상기 푸시바와 멈춤바 사이에 구비되는 개방 스프링 및 상기 가동핀에 일단이 축지지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에 래칫 플레이트에서 돌출된 돌부가 끼움 안내되며 상면에는 캠측을 향하여 상향 만곡되는 곡면부가 형성된 릴리즈바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차지 레버의 상 연장부 일측과 홀딩 레버의 일측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후크핀의 일측으로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는 제1,2복귀스프링 및 상기 후크핀의 일단과 캠의 상 연결부 하측으로 프레임상에 연결되는 제3복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 차단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 차단기용 수동조작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바라본 요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서 바라본 요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후크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참조번호 1은 변전설비 차단기를 나타낸 것이고, 참조번호 3은 전동 조작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전원공급을 받아 선택적으로 출몰되는 로드(3')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설되며,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전동조작기(3)의 로드(3')는 커넥팅 레버(30)의 일단에 연결된 다.
한편, 참조번호 5는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프레임(5)은 상기 전동조작기(3)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부재이다.
참조번호 10은 레버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레버수단(10)은 상기 프레임(5)의 일측에 힌지축(11)을 통해 정·역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핸들(13)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13)은 작업자의 수동 조작력을 입력받는 부재로서 일종의 봉형태를 갖는 손잡이다.
또한, 상기 레버수단(10)에는 상기 핸들(13)과 일체로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분기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15a,15b)를 일체로 형성한 차지 레버(15)와, 상기 차지 레버(15)의 하 연장부(15b) 일측으로 일단이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일체로 연동 회전하는 홀딩 레버(17)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참조번호 20은 캠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캠(20)은 상·하로 분기 연장되는 상·하 연결부(21,2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상·하 연결부(21,23) 사이에는 레버수단(10)측을 향해 일단이 연장되는 지지부(25)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동되도록 부가 구비된다.
참조번호 30은 커넥팅 레버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커넥팅 레버(3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하게 상·하 배치되는 상구동 입력단(31) 및 하구동 입 력단(33)이 구비되고, 이 상구동 입력단(31)과 하구동 입력단(33)의 중간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구동 입력단(31)과 하구동 입력단(33) 사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동 출력단(35)이 구비된다.
참조번호 40은 투입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호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선 이동을 하는 투입 인너가이드(41) 및 투입 아웃가이드(43) 그리고 이들 투입 인너가이드(41)와 투입 아웃가이드(43) 사이에 구비되는 투입 스프링(4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투입 인너가이드(41)는 상기 차지 레버(15)의 상 연장부(15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캠(20)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끝단에 확장된 푸시바(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 아웃가이드(43)는 상술한 캠(20)의 상 연결부(2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투입 인너가이드(41)와 슬라이드 끼움되어 상호 직선 운동을 하며 그 끝단에 멈춤바(4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투입 스프링(45)은 상술한 푸시바(41')와 멈춤바(4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지 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투입 인너가이드(41)가 연동하면서 투입 스프링(45)을 압축한다.
한편, 부호 47은 도면에서 바라보면 캠(20)의 좌측편에 위치한 후크핀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때의 후크핀(47)은 상기 지지부(25)의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반원기둥 형상을 갖는 걸림편(47a)과, 이 걸림편(47a)의 일측에 푸시바(41')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일핀(47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조번호 50은 개방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개방수단(50)은 상술한 차지 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커넥팅 레버(30)를 역 방향 연동 회전시키는 탄성조립체이다.
이러한 개방수단(50)은 상술한 차지 레버(15)의 하 연장부(15b)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지 레버(15)의 하 연장부(15b)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가동핀(52)에 일단이 축지지되고 타단은 캠(20)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끝단에 확장된 푸시바(51')가 구비된 개방 인너가이드(5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 인너가이드(51)와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어 직선 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넥팅 레버(30)의 상구동 입력단(3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 인너가이드(51)와 슬라이드 끼움되며 상기 푸시바(51')와 대향되게 멈춤바(53')가 구비되는 개방 아웃가이드(5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방 아웃가이드(53)의 일측에 상기 홀딩 레버(17)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래칫 플레이트(57)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푸시바(51')와 멈춤바(53') 사이에는 개방 스프링(55)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핀(52)에 일단이 축지지되고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홀(미부호)이 형성된 래칫 플레이트(57)에서 돌출된 돌부(57')가 끼움 안내되며 상면에는 캠(20)측을 향하면서 상향 만곡되는 곡면부가 형성된 릴리즈바(59)가 구비된다.
참조번호 60은 복귀수단(60)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복귀수단(60)은 상 기 차지 레버(15)의 정·역 회전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투입수단(40) 또는 개방수단(50)을 위치 복귀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복귀수단(60)은 상기 차지 레버(15)의 상 연장부(15a) 일측과 홀딩 레버(17)의 일측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핀(47)의 일측으로 프레임(5)에 연결 고정되는 제1,2복귀스프링(61,63)을 구비하고, 이외에도 상기 후크핀(47)의 일단과 상기 캠(20)의 상 연결부(21) 하측 프레임 상에 연결되는 제3복귀 스프링(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복귀수단(60)은 탄성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투입수단(40) 및 개방수단(50)을 위치 복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스프링의 위치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일 방향 회전 조작력에 의한 투입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투입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버수단(10)을 구성하는 핸들(1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력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핸들(13)에 연동하여 차지 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게 되고 이 차지 레버(15)와 연결된 투입 인너가이드(41)가 투입 스프링(45)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투입 인너가이드(41)가 투입 스프링(45)을 압축시키고, 최대 압축 지점에서 투입 인너가이드(41)에 구비되어 있는 푸시바(41')가 후크핀(47)에 부착되어 있는 일핀(47b)을 밀음으로 인해 후크핀(47)을 반식PO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홀딩하고 있던 캠(20)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캠(20)는 압축된 투입 스프링(45)의 탄성력으로 투입 아웃가이드(43)에 이끌려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넥팅 레버(30)에 조립되어 있는 롤러(37)를 쳐서 커넥팅 레버(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투입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투입이 완료된 후에는 투입 스프링(45)은 제1복귀 스프링(61)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후크핀(47)도 제3복귀 스프링(65)에 의해 위치 복귀되어 상기 캠(20)을 홀드(Hold)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역 방향 회전 조작력에 의한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개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버수단(10)을 구성하는 핸들(13)을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력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핸들(13)에 연동하여 상기 차지 레버(15)가 시계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게 되고, 이 차지 레버(15)의 하 연장부(15b)가 가동핀(52)을 밀게 되며, 이로 인해 개방 인너가이드(51)가 개방 스프링(55)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개방 스프링(55)이 완전히 압축되면, 압축된 스프링의 하중으로 인해 개방 아웃가이드(53)가 커넥팅 레버(30)를 당기게 되며 이로 인해 커넥팅 레버(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개방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개방이 완료된 후에는 복귀수단(60)을 구성하는 제2복귀 스프링(63)에 의해 차지 레버(15) 및 개방 스프링(55)이 원위치로 복귀되며 홀딩 레버(17)도 복 귀 스프링(미부호)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변전설비 차단기용 수동조작기는 정·역 방향으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동작되므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하여 소형화 및 슬림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종전에 비해 설치 점유공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전원공급을 받아 로드를 출몰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전동조작기를 커버하는 케이스의 상측으로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동 조작력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핸들 및 이 핸들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분기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는 차지 레버 그리고 차지 레버의 하 연장부 일측으로 일단이 돌출 구비되는 홀딩 레버로 된 레버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상·하로 분기 연장되는 연결부 및 이들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어 레버수단측을 향해 일단이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의 하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측에 구동 입력단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구동 출력단이 연장 형성되는 커넥팅 레버와;
    상기 차지 레버의 일 방향 회전시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다단 압축되는 것에 의해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커넥팅 레버를 일 방향 연동 회동시키는 투입수단과;
    상기 차지 레버의 역 방향 회전시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다단 압축되는 것에 의해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커넥팅 레버를 역 방향 연동 회전시키는 개방수단과;
    상기 차지 레버의 정·역 회전 동작 완료후 선택적으로 투입수단 또는 개방수단을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차단기용 수동조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차지 레버의 상 연장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캠측을 향해 연장되며 그 끝단에 확장된 푸시바가 구비되는 투입 인너가이드와;
    상기 캠의 상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투입 인너가이드와 슬라이드 끼움되어 상호 직선 운동을 하며 그 끝단에 멈춤바가 구비되는 투입 아웃가이드와;
    상기 푸시바와 멈춤바 사이에 구비되는 투입 스프링 그리고 상기 캠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부의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반원기둥의 걸림편과 그 일측에 푸시바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일핀을 구비한 후크핀;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차단기용 수동조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차지 레버의 하 연장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차지 레버의 하 연장부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가동핀에 일단이 축지지되고 타단은 캠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끝단에 확장된 푸시바가 구비되는 개방 인너가이드와;
    상기 커넥팅 레버의 상 구동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개방 인너가이드와 슬라이드 끼움되어 상호 직선운동을 하며 그 끝단에 멈춤바가 구비되는 개방 아웃가이드와;
    상기 개방 아웃가이드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홀딩 레버가 선택적으로 걸 림되는 래칫 플레이트와;
    상기 푸시바와 멈춤바 사이에 구비되는 개방 스프링 및 상기 가동핀에 일단이 축지지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에 래칫 플레이트에서 돌출된 돌부가 끼움 안내되며 상면에는 캠측을 향하여 상향 만곡되는 곡면부가 형성된 릴리즈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차단기용 수동조작기.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차지 레버의 상 연장부 일측과 홀딩 레버의 일측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후크핀의 일측으로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는 제1,2복귀스프링 및 상기 후크핀의 일단과 캠의 상 연결부 하측으로 프레임상에 연결되는 제3복귀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차단기용 수동조작기.
KR1020070000452A 2007-01-03 2007-01-03 변전설비 차단기 KR10083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452A KR100830930B1 (ko) 2007-01-03 2007-01-03 변전설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452A KR100830930B1 (ko) 2007-01-03 2007-01-03 변전설비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930B1 true KR100830930B1 (ko) 2008-05-22

Family

ID=3966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452A KR100830930B1 (ko) 2007-01-03 2007-01-03 변전설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9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11B1 (ko) 2014-06-18 2014-10-30 (주) 창흥전력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KR20150000254A (ko) * 2013-06-24 2015-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KR20160081576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차단기
KR20220043392A (ko) * 2020-09-29 2022-04-05 김선우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563A (ko) * 1999-10-26 2001-05-15 이종수 회로차단기용 접점개폐장치
KR20030060204A (ko) * 2002-01-07 2003-07-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145kV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용 전동스프링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563A (ko) * 1999-10-26 2001-05-15 이종수 회로차단기용 접점개폐장치
KR20030060204A (ko) * 2002-01-07 2003-07-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145kV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용 전동스프링 구동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254A (ko) * 2013-06-24 2015-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KR102018872B1 (ko) * 2013-06-24 2019-09-0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KR101444811B1 (ko) 2014-06-18 2014-10-30 (주) 창흥전력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KR20160081576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차단기
KR101725088B1 (ko) 2014-12-31 2017-04-10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차단기
KR20220043392A (ko) * 2020-09-29 2022-04-05 김선우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KR102476858B1 (ko) * 2020-09-29 2022-12-12 김선우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2480B2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CN1645697B (zh) 电气装置、配电室以及配电盘
KR101037027B1 (ko) 진공차단기
EP1739802A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JP5826379B2 (ja) 開閉装置
US20080217153A1 (en) Insulating Body For a Medium-Voltage Switchgear Assembly
CN102290270A (zh) 用于固体绝缘断路器的联锁装置
KR100830930B1 (ko) 변전설비 차단기
CN101436470A (zh) 电开关设备及其操作装置
CN103166143B (zh) 一种固体绝缘环网柜
KR19990047296A (ko) 마그네틱 액튜에이터를 이용한 지중선로용 다회로자동 차단기
KR100714458B1 (ko) 변전설비용 차단기
KR10078570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505053B1 (ko) 다회로 차단기의 토글형 접지 스위치
KR100994793B1 (ko) 진공 인터럽터 방식 자동고장구간개폐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변전 장치
AU2003261668B2 (en) Drive mechanism for switch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it
KR200446093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진공차단기 링크구조
KR20000042114A (ko) 전력 기기용 링 메인 유니트의 접점 조작기구
KR101034555B1 (ko) 변전설비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CN211295963U (zh) 一种刀闸机构及包含其的10kV小型常压密封空气绝缘开关柜
KR20080063912A (ko) 변전설비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CN109741987B (zh) 一种zkw8-12型高压预付费装置
KR102483102B1 (ko) 다중 부하개폐기
KR100492754B1 (ko) 개폐기의 접점 조작 장치
CN219457502U (zh) 一种用于越区保护的直流快速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