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254A -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254A
KR20150000254A KR1020130072477A KR20130072477A KR20150000254A KR 20150000254 A KR20150000254 A KR 20150000254A KR 1020130072477 A KR1020130072477 A KR 1020130072477A KR 20130072477 A KR20130072477 A KR 20130072477A KR 20150000254 A KR20150000254 A KR 2015000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drive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872B1 (ko
Inventor
변정무
김민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8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75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소형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입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레버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투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은,
베이스 프레임 내 상부에 마련되며, 동작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링 로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 상기 스프링 로드의 하부에 상기 스프링 로드와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 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하는 스프링 어셈블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의 상하 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접지 바가 연결되는 샤프트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Earth switch driving mechanism of load break switch}
본 발명은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소형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입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레버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투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가스절연 배전반은 송, 변전 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지락 및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하는 기기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가스절연 배전반은 우수한 절연 특성을 갖는 무미, 무취, 무독의 불활성 절연가스인 SF6 절연가스가 충진된 탱크형 금속용기 내에 차단부, 개폐부, 접지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절연 배전반은 통상 사용상태의 전로를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전기조작장치 등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과부하 및 단락시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하여 전류계통과 부하기기를 보호한다.
그리고 가스절연 배전반은 배전선로 상의 선로분기, 선로구분 및 부하 보호 기능을 하며, 도시권의 과밀지역, 지하철, 항만, 선박 등에 설치되어 수용가에 전력을 항시 무정전 상태로 공급 및 접속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은 기기 내부의 점검 및 부품 교체 시 안전을 위하여 주회로를 접지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동작 상태를 명확하게 알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접지 투입 개방 메커니즘으로 VCB, ACB 등의 차단기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사용하거나, 압축 스프링의 에너지를 충전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기존 VCB, ACB 등의 메커니즘을 접지 구동 메커니즘에 적용하기에는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며, 압축 스프링의 에너지를 충전하여 구동하는 방식은 스프링의 길이만큼 스프링 홀더의 크기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구동 메커니즘의 전체 크기가 커지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형으로 제작되는 가스절연 배전반 내부에 설치할 때, 메커니즘 높이가 제한적이어서 종래의 메커니즘을 적용하기에는 공간상의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소형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입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레버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투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은,
베이스 프레임 내 상부에 마련되며, 동작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링 로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 상기 스프링 로드의 하부에 상기 스프링 로드와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 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하는 스프링 어셈블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의 상하 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접지 바가 연결되는 샤프트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는 스프링 케이스에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스프링 로드와 연결되는 스프링 축; 및 상기 스프링 케이스 내에서 상기 스프링 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한수단은, 상기 스프링 케이스 내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며, 각각 상부 중심 홀 및 하부 중심 홀이 형성된 상부 고정판 및 하부 고정판과, 상기 스프링 축에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링 및 하부 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동 제한수단은 상기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은 상기 상부 지지판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링은 상기 하부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케이스의 상하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판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샤프트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접지 바가 결합되는 피동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판은 상기 스프링 로드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케이스에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되, 구동측 및 접지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구동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구동판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외부로 연장되어, 지시 바가 연결되는 지시 바 연결축이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동판은 상기 구동판과 판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판과 인접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로드에는 상기 제 2 구동판의 수직선상 상부에 위치하도록 인터록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구동판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와 맞물리는 인터록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가 완전히 동작을 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가 동작하도록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동작을 억제하는 홀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동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판과 기어 물림되는 구동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되는 구동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구동 홀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프레임에는 구동 기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판에는 상기 구동 기어 돌기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 홈이 형성된다.
다른 예로, 상기 피동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판과 기어 물림되는 피동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되는 피동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피동 홀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동 프레임에는 피동 기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동판에는 상기 피동 기어 돌기와 맞물리는 피동 기어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은 구조적으로 간단한바, 소형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은 투입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레버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바, 투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도 1의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전면 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후면 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프링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접지 측에서 본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피동판과 피동 홀드 수단을 분리한 상태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전면 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후면 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프링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접지 측에서 본 내부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피동판과 피동 홀드 수단을 분리한 상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은 스프링 로드(100), 스프링 어셈블리(200), 샤프트 어셈블리(3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 로드(100),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 및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0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는 동작 레버(20)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접지 바(30)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작 레버(20)가 마련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은 ‘구동측’으로, 상기 접지 바(30)가 마련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타측은 ‘접지측’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로드(100)에는 상기 동작 레버(20)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00)에는 접지 바(30)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동작 레버(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 로드(100)가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 로드(100)의 하부에 연결된 스프링 어셈블리(200)가 상기 스프링 로드(10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와 연결된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00)가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의 상하 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00)에 장착된 상기 접지 바(30)가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0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접지 온/오프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스프링 로드(10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내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 로드(100)에는 상기 동작 레버(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 축(1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로드(10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 축(110)은 상기 스프링 로드(100)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로드(100)에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내 상기 스프링 로드(100)의 하부에는 스프링 어셈블리(200)가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는 상기 스프링 로드(10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는 스프링 케이스(210)에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축(220)과 상기 스프링 케이스(210) 내에서 상기 스프링 축(220)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메인 스프링(230)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스프링 축(220)의 상단은 상기 스프링 로드(1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는 상기 스프링 케이스(2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23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수단(2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스프링(230)은 상기 이동 제한수단(240)에 의해 상기 스프링 케이스(210) 내에서의 상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스프링 축(22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 케이스(210) 내에서 압축 및 팽창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스프링(2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 지지판(231) 및 하부 지지판(232)이 더 설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230)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판(231) 및 상기 하부 지지판(232)은 상기 메인 스프링(3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상기 이동 제한수단(240)은 상기 스프링 케이스(210) 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상부 및 하부 중심 홀(241a, 242a)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고정판(241, 242), 상기 스프링 축(220)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스프링(230)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링(243, 2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링(243, 244)은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고정판(241, 242)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중심 홀(241a, 242a)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링(243, 244)은 상기 메인 스프링(23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프링 케이스(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축(220)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상부 링(243)은 상부 중심 홀(241a)을 통과하나, 메인 스프링(230)은 상부 고정판(241)에 의해 상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한편, 상기 스프링 축(220)의 이동과 함께 하부 링(244)도 함께 위로 이동되어, 스프링(230)은 상부 고정판(241)과 하부 링(244)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후, 스프링 케이스(210)가 위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 케이스(210)가 위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메인 스프링(230)은 팽창하게 된다.
반대로, 스프링 케이스(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축(220)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하부 링(244)은 하부 중심 홀(242a)을 통과하나, 메인 스프링(230)은 하부 고정판(242)에 의해 하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한편, 상기 스프링 축(220)의 이동과 함께 상부 링(243)도 함께 아래로 이동되어, 메인 스프링(230)은 하부 고정판(242)과 상부 링(243)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후, 스프링 케이스(21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 케이스(210)가 아래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메인 스프링(230)은 팽창하게 된다.
한편, 상부 지지판(231) 및 하부 지지판(232)이 설치되는 경우, 상부 지지판(231)이 상부 고정판(241)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 지지판(232)이 하부 고정판(242)에 의해 고정되어, 메인 스프링(230)의 이동이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링(243)은 상기 상부 지지판(231)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링(244)은 상기 하부 지지판(232)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00)가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00)는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의 상하 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00)는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 상세하게는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의 스프링 케이스(210)와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200)의 상하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판(310), 상기 구동판(31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판(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접지 바(30)가 연결되는 피동판(3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동판(320)에는 상기 접지 바(3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외부로 연장되는 샤프트(33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판(310)은 원판형으로서, 상기 스프링 케이스(210)에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구동판(311, 31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로드(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케이스(2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판(311)은 구동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구동판(312)는 접지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구동판(311)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외부로 연장되며, 지시 바(40)가 연결되는 지시 바 연결축(340)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시 바(4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상태가 접지 상태인지, 개방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동판(320)은 구동판(310)과 판 연결축(3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판(312)과 인접하여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로드(100)에는 상기 제 2 구동판(312)의 수직선상 상부에 위치하도록 인터록 레버(400)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구동판(312)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400)와 맞물리는 인터록 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지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 로드(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터록 레버(400)가 회전하고, 상기 제 2 구동판(3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터록 홈(313)이 이동되어, 상기 인터록 홈(313)에 상기 인터록 레버(400)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 2 구동판(312)이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접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의 동작을 살펴보면, 접지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동작 레버(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작 레버(20)의 회전과 함께 스프링 로드(100)가 로드 축(110)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게 된다.
스프링 로드(100)가 위로 회전하면, 스프링 로드(100)의 하부에 연결된 스프링 어셈블리(200)가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어셈블리(200)가 위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 어셈블리(200)와 연결된 샤프트 어셈블리(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샤프트 어셈블리(300)를 구성하는 샤프트(330)에 연결된 접지 바(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개방 상태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동작 레버(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작 레버(20)의 회전과 함께 스프링 로드(100)가 로드 축(110)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스프링 로드(100)가 아래로 회전하면, 스프링 로드(100)의 하부에 연결된 스프링 어셈블리(20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어셈블리(200)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 어셈블리(200)와 연결된 샤프트 어셈블리(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샤프트 어셈블리(300)를 구성하는 샤프트(330)에 연결된 접지 바(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회전 방향에 따른 접지 및 개방 상태는 본 실시 예에서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 스프링(230)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접지 바(30)가 회전하도록 하고, 이후 작업자의 의도에 의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접지 바(30)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홀드 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드 수단(500)은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가 완전히 동작을 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가 동작하여 접지 상태 또는 개방 상태가 되도록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동작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드 수단(500)은 상기 메인 스프링(230)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판(310) 및 상기 피동판(320)을 홀드하고 있는 구동 홀드 수단(510)과 피동 홀드 수단(52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홀드 수단(510)은 상기 구동판(3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판(310)과 기어 물림되는 구동 프레임(5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511)의 일측과 연결되는 구동 스프링(51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 프레임(511)에는 구동 기어 돌기(5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판(310)에는 다수의 구동 기어 홈(511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동 홀드 수단(520)은 상기 피동판(3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판(320)과 기어 물림되는 피동 프레임(52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 프레임(521)의 일측과 연결되는 피동 스프링(5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동 프레임(521)에는 피동 기어 돌기(5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동판(320)에는 다수의 피동 기어 홈(521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 홀드 수단(510)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판(311, 312) 중 어느 하나의 구동판과 임의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구동 홀드 수단(510)이 상기 제 1 구동판(311)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구동 프레임(511)과 상기 피동 프레임(521)은 상부에서의 눌림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구동 스프링(512)과 연결되는 구동 프레임(511)의 부위와 상기 피동 스프링(522)과 연결되는 피동 프레임(521)의 부위는 상측으로 곡면을 가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드 수단(5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접지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동작 레버(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작 레버(20)의 회전과 함께 스프링 로드(100)가 로드 축(110)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스프링 로드(100)가 위로 회전하면, 스프링 로드(100)의 하부에 연결된 스프링 어셈블리(200)가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어셈블리(200)가 위로 이동함에 따라 구동판(310)이 회전하는 경우, 구동판(310)에 형성된 구동 기어 홈(511b) 사이의 영역이 구동 프레임(511)에 형성된 구동 기어 돌기(511a)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 프레임(511)의 구동 스프링(512)과 연결된 부위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구동 스프링(512)이 팽창하여, 구동 프레임(511)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구동판(310)이 회전함에 따라 피동판(320)도 회전하게 되는데, 피동판(320)에 형성된 피동 기어 홈(521b) 사이의 영역이 피동 프레임(521)에 형성된 피동 기어 돌기(521a)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피동 프레임(521)의 피동 스프링(522)과 연결된 부위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피동 스프링(522)이 팽창하여, 피동 프레임(521)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 스프링(512)과 피동 스프링(522)의 팽창에 따른 힘에 의해 구동판(310)과 피동판(320)의 회전이 일정 억제된다.
하지만, 스프링 어셈블리(200)의 스프링(230)이 완전 충전되어, 구동 스프링(512)과 피동 스프링(522)의 힘보다 강하게 되면, 스프링(230)의 힘에 의해 구동판(310)과 회전판(320)은 회전되어, 다음 구동 기어 홈(511b) 및 피동 기어 홈(521b)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스프링(230)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구동판(310)과 피동판(3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의도에 의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역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후, 피동판(320)이 회전함에 따라, 피동판(320)의 샤프트(330)에 연결된 접지 바(30)가 회전하여 접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접지시키는 경우의 상기 홀드 수단(500)의 동작을 살펴보았으나, 반대의 경우, 즉 접지를 개방하기 위한 경우의 동작은 회전 방향만 다를 뿐 움직이는 동작은 같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을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프레임 20 : 동작 레버
30 : 접지 바 40 : 지시 바
100 : 스프링 로드 110 : 로드 축
200 : 스프링 어셈블리 210 : 스프링 케이스
220 : 스프링 축 230 : 메인 스프링
231 : 상부 지지판 232 : 하부 지지판
240 : 이동 제한수단 241 : 상부 고정판
241a : 상부 중심 홀 242 : 하부 고정판
242a : 상부 중심 홀 243 : 상부 링
244 : 하부 링 300 : 샤프트 어셈블리
310 : 구동판 311 : 제 1 구동판
312 : 제 2 구동판 313 : 인터록 홈
320 : 피동판 330 : 샤프트
340 : 지시 바 연결축 350 : 판 연결축
400 : 인터록 레버 500 : 홀드 수단
510 : 구동 홀드 수단 511 : 구동 프레임
511a : 구동 기어 돌기 511b : 구동 기어 홈
512 : 구동 스프링 520 : 피동 홀드 수단
521 : 피동 프레임 521a : 피동 기어 돌기
521b : 피동 기어 홈 522 : 피동 스프링

Claims (13)

  1. 베이스 프레임 내 상부에 마련되며, 동작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링 로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 상기 스프링 로드의 하부에 상기 스프링 로드와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 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하는 스프링 어셈블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의 상하 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접지 바가 연결되는 샤프트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는 스프링 케이스에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스프링 로드와 연결되는 스프링 축; 및
    상기 스프링 케이스 내에서 상기 스프링 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메인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한수단은, 상기 스프링 케이스 내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며, 각각 상부 중심 홀 및 하부 중심 홀이 형성된 상부 고정판 및 하부 고정판과,
    상기 메인 스프링 축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링 및 하부 링을 포함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수단은 상기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은 상기 상부 지지판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링은 상기 하부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케이스의 상하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판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샤프트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접지 바가 결합되는 피동판으로 구성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은 상기 스프링 로드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케이스에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되, 구동측 및 접지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구동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구동판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외부로 연장되어, 지시 바가 연결되는 지시 바 연결축이 마련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판은 상기 구동판과 판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판과 인접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로드에는 상기 제 2 구동판의 수직선상 상부에 위치하도록 인터록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구동판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와 맞물리는 인터록 홈이 형성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가 완전히 동작을 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가 동작하도록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동작을 억제하는 홀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판과 기어 물림되는 구동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되는 구동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구동 홀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레임에는 구동 기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판에는 상기 구동 기어 돌기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 홈이 형성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판과 기어 물림되는 피동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되는 피동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피동 홀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프레임에는 피동 기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동판에는 상기 피동 기어 돌기와 맞물리는 피동 기어 홈이 형성되는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KR1020130072477A 2013-06-24 2013-06-24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KR10201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477A KR102018872B1 (ko) 2013-06-24 2013-06-24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477A KR102018872B1 (ko) 2013-06-24 2013-06-24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54A true KR20150000254A (ko) 2015-01-02
KR102018872B1 KR102018872B1 (ko) 2019-09-06

Family

ID=5247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477A KR102018872B1 (ko) 2013-06-24 2013-06-24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644A (ko) *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이페스 전원차단기의 구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376A (ko) * 2004-02-27 2006-05-12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기체 절연 개폐기 어셈블리용 절연 접지 개폐기
KR200429022Y1 (ko) * 2006-06-16 2006-10-17 선도전기주식회사 가스절연 다회로 차단기용 접지조작기구
KR100770547B1 (ko) * 2006-12-27 2007-10-26 박정주 순시트립 기능을 구비한 자동형 3-포지션 부하개폐기
KR100830930B1 (ko) * 2007-01-03 2008-05-22 헤벨 주식회사 변전설비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376A (ko) * 2004-02-27 2006-05-12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기체 절연 개폐기 어셈블리용 절연 접지 개폐기
KR200429022Y1 (ko) * 2006-06-16 2006-10-17 선도전기주식회사 가스절연 다회로 차단기용 접지조작기구
KR100770547B1 (ko) * 2006-12-27 2007-10-26 박정주 순시트립 기능을 구비한 자동형 3-포지션 부하개폐기
KR100830930B1 (ko) * 2007-01-03 2008-05-22 헤벨 주식회사 변전설비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644A (ko) *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이페스 전원차단기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872B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8991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KR101158653B1 (ko)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JP2010115002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N110853952A (zh) 一种带内置隔离开关的柱上开关
EP1226596A1 (en) Compact-structure three-pole apparatus for electric stations
JP2017120772A (ja) リングメインユニット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EP2551876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KR20150000254A (ko)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EP3196908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ES2727685T3 (es) Interruptor de circuito de vacío
KR20160069338A (ko) 3-포지션 인터록 조절 장치
KR20090072580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접지개폐기 조작기구의연동장치
WO2015133025A1 (ja) ガス遮断器及びその投入動作用ばねの調整方法
KR101095016B1 (ko) 가스절연개폐기의 3-포지션 조작장치
WO2012101766A1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及びモールドスイッチの交換方法
CN202332627U (zh) 防止带负荷分、合隔离联锁装置
KR101963688B1 (ko)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KR20180069579A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20000074358A (ko) 가스 절연 배전반
KR101879339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JP2010252533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420586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pt 간이 단로부
KR100631004B1 (ko) 다회로 차단기의 접지장치
KR200482396Y1 (ko)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접점개폐 조작기구
KR101717659B1 (ko) 위치표시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