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88B1 -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 Google Patents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88B1
KR101963688B1 KR1020180154012A KR20180154012A KR101963688B1 KR 101963688 B1 KR101963688 B1 KR 101963688B1 KR 1020180154012 A KR1020180154012 A KR 1020180154012A KR 20180154012 A KR20180154012 A KR 20180154012A KR 101963688 B1 KR101963688 B1 KR 101963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using
terminal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호
Original Assignee
권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호 filed Critical 권정호
Priority to KR102018015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또는 컷아웃스위치, 저압선로 등의 교체시 무정전상태에서 용이하게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무정전작업용 분기함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구비하는 함체; 일측이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전면을 덮는 도어;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 내로 삽입된 분기선 또는 인입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하측에 형성하는 단자블럭; 및 상기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블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정전작업용 분기함{BRANCH FOR UNINTERRUPTIBLE OPERATION}
본 발명은 무정전작업용 분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 또는 컷아웃스위치, 저압선로 등의 교체시 무정전상태에서 용이하게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무정전작업용 분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1대나 2대 또는 3개의 변압기를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진 변대의 변압기를 무정전 상태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화하기 위해 단상 변압기 3대 또는 3상 변압기 1대가 설치된 무정전 차량을 이용하여 주상변압기의 1차측 특고압 선로를 무정전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1차측에 연결하고, 무정전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2차측에는 저압선로를 연결하므로써 무정전 상태로 주상변압기를 교체하는 방법(이하 방법1)을 활용하거나, 3대의 주상변압기 중 교체하지 않는 나머지 2대의 주상변압기로부터 교체하고자 하는 변압기 전원을 가상으로 만들어 공급하는 위상변환기를 구성하여 변압기 2차측 저압선로에 연결함으로써 무정전상태에서 주상 변압기를 교체하는 방법(이하 방법2)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방법 1)에 의한 무정전 변압기 교체방법은 특고압을 직접 무정전 차량에 연결하고 해체하여야 하므로 특고압 활선공이 필요하고 별도의 활선차량이 필요하며 주상변압기 교체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고압을 이용하므로 상당한 위험이 따르며, (방법 2)에 의한 무정전 변압기 교체방법은 위상변환기용 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3상 변대에서만 가능할 뿐 아니라, 교체하고자 하는 변압기 측부에 활선상태의 변압기가 존재함으로써 충전부 방호를 위한 별도의 활선작업이 소요되고 또한 특고압이 근접된 장소에서 변압기 교체가 진행됨으로써 작업 위험에 따른 능률저하와 안전상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었다.
또한, 기존의 경우, 무정전공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함체 내의 단자블럭에 접속된 인입선을 모두 풀어 이동용 변압기차의 2차측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963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416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변압기 또는 컷아웃스위치, 저압선로 등의 교체시 무정전상태에서 용이하게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함체와 함체를 개폐시키는 도어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한 무정전작업용 분기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작업용 분기함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구비하는 함체; 일측이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전면을 덮는 도어;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 내로 삽입된 분기선 또는 인입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하측에 형성하는 단자블럭; 및 상기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블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함체의 상측면을 관통하고 삽입된 하측이 상기 함체 내측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상측에 형성되되,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절개면이 형성되며 체결시 상기 외부 전력선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면의 저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단자홀; 및 상기 단자홀의 내측에 삽입 위치되되, 전단에 상기 외부 전력선의 단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면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후단에 상기 단자홀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결속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숫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함체는, 잠금 수단이 설치되는 일측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탱부; 상기 지탱부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과 하부,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두 개씩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4 개의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외측면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지지 바아를 포함하는,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상부 체결홈;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 및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전단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분기선과 인입선 간, 분기선과 분기선 간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변압기 또는 컷아웃스위치, 저압선로 등을 무정전상태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무정전공법시 이동용변압기차의 2차측과 각 인입선간을 별도로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그에 따 라 작업시간의 단축 등을 통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작업용 분기함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단자블럭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단자블럭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함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의 충격 흡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이용한 저압선로 분기함의 무정전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작업용 분기함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작업용 분기함(1)은, 함체(10), 도어(20), 단자블럭(30)(도 2 참조) 및 접속단자(40)를 포함한다.
함체(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3)를 구비하며, 전면이 도어(20)에 의해 개폐되어 내부 공간이 밀폐되며, 내부 공간에 단자블럭(30)이 설치되고, 상부에 접속단자(40)이 설치된다.
도 1의 경우에는 윈도우(13)가 도어(20)에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도 1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함체(10)에 윈도우(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20)는, 일측이 함체(10)의 개방된 전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함체(10)의 전면을 덮어 함체(10)를 개폐시키며, 함체(10)의 내부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3)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20)는, 함체(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그 저면이 개방되며 전주의 완금 등에 장착 설치될 수 있다.
단자블럭(30)은, 함체(10) 내에 설치되며, 함체(10) 내로 삽입된 분기선(11) 또는 인입선(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50)를 하측에 형성한다(도 2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블럭(30)은, 함체(1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구(16)(도 5 참조)를 통해 인입된 분기선(11) 또는 인입선(12)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단자부(50)가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단자블럭(3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접속단자(40)는, 함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단자블럭(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단자(40)는, 그 내측에 위치시켜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44)가 구비되고, 커버(44)를 함체(10)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45)가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44) 및 체결부재(45)는, 혼촉 방지 및 빗물, 먼지 등으로부터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44)의 경우 외부 전력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공(46)이 형성된다. 물론, 접속단자(40)에 외부 전력선이 미접속된 경우 커버(44)는 밀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체결부재(45)는, 접속단자(40) 주변에 돌기형태로 형성되어, 커버(44)가 이 결속돌기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정전작업용 분기함(1)은, 분기선과 인입선 간, 분기선과 분기선 간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변압기 또는 컷아웃스위치, 저압선로 등을 무정전상태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무정전공법시 이동용변압기차의 2차측과 각 인입선간을 별도로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그에 따 라 작업시간의 단축 등을 통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단자블럭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블럭(30)은, 함체(1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분기선(11) 또는 인입선(12)을 각각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측에 단자홀(50a)과 숫단자(50b)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단자부(50)가 형성된다.
단자홀 (50a)은, 단자블럭(30)에 소정 깊이를 갖는 원형공으로 형성되되, 그 중심부에 관통공(51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원형공 내측에 분기선(11) 또는 인입선(12)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절개면(52a)이 형성되며, 너트(53b)에 결속시 분기선(11) 또는 인입선(12)이 견고히 접속되도록 절개면(52a) 저면에 안착홈(53a)이 형성된다.
숫단자(50b)는 단자홀(50a) 내측에 삽입 위치되되, 그 일측은 분기선(11) 또는 인입선(12) 단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공(51b)이 형성되고, 너트(53b) 결속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개면(52a)에 내재되는 걸림돌기(52b)가 형성되며, 그 타측은 나사산을 형성하여 단자홀(50a)의 관통공(51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너트(53b)에 의해 결속된다.
따라서, 숫단자(50b)의 삽입공(51b)에 분기선(11) 또는 인입선(12) 단부를 삽입시킨 다음 외측에서 너트(53b)를 조이면, 숫단자(50b)의 걸림돌기(52b)가 절개면(52a)에 내재된 상태이므로 회동이 억제된 채 단자홀(50a)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분기선(11) 또는 인입선(12)이 안착홈(53a)에 안착됨으로써 단자블럭(30)에 견고히 접속된다.
그리고 단자블럭(30)은 필요에 따라 1렬 내지 3렬로 설치되며, 3렬의 경우 3상 전원이 각 단자블럭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는 도 1의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속단자(40)는, 체결부(41), 단자홀(42) 및 숫단자(43)를 포함한다.
체결부(41)는,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며, 함체(10)에 천공된 관통공(14)에 일부분 삽입되어 함체(10) 내측에서 너트(42a)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일측에 단자홀(42)이 형성된다.
단자홀(42)은, 체결부(41)의 일측단에 형성되되, 그 중심부에 관통공(43a)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절개면(44a)이 형성되며, 결속너트(43b) 체결시 외부 전력선을 견고히 접속시킬 수 있도록 절개면(44a) 저면에 안착홈(45a)이 형성된다.
숫단자(43)는, 단자홀(42) 내측에 삽입 위치되되, 그 일측단은 외부 전력선의 단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공(41b)이 형성되고, 결속너트(43b) 체결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개면(44a)에 내재되는 걸림돌기(42b)가 형성되며, 그 타측단은 단자홀(42)의 관통공(43a)을 통과해 외부로 돌출되어 결속너트(43b)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숫단자(43)의 삽입공(41b)에 외부 전력선의 단부를 삽입시킨 다음 외측에서 결속너트(43b)를 조이면, 숫단자(43)의 걸림돌기(42b)가 절개면(44a)에 내재된 상태이므로 회동이 억제된 채 단자홀(42)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외부 전력선이 안착홈(45a)에 안착됨으로써 4접속단자(40)에 견고히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접속단자(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41)의 일측단에 단자홀(42)이 복수 개 구비되고, 이중 하나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하나는 무정전작업시 바이패스케이블 또는 이동용변압기차 2차측을 접속하거나 기타 외부 전력선을 접속하기 위한 예비단자이다.
그리고 접속단자(40)는, 필요에 따라 1개 내지 3개 설치되며, 3개 설치된 경우 3상 전원이 각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5는 도 1의 함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함체(10)는, 하우징(15) 및 충격 흡수부(100)를 형성한다.
하우징(15)은, 함체(10)의 다른 일측(즉, 잠금수단(21)이 설치되는 도어(20)의 다른 일측과 대향하는 부분)(도 1 참조)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며, 충격 흡수부(100)의 형태에 대응하는 공간을 내측에 형성하여 충격 흡수부(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하우징(15)은, 본 발명의 크기 등에 대응하여 두 개 이상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충격 흡수부(100)는, 하우징(15)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며, 도어(20)가 닫히는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 흡수부(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6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도 5의 충격 흡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부(100)는, 지탱부(110), 진동 흡수부(120), 연결 플레이트(130), 연장 플레이트(140), 4 개의 회동부(150) 및 두 개의 지지 바아(160)를 포함한다.
지탱부(110)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111), 제2플레이트(112), 제3플레이트(113) 및 제4플레이트(114)를 포함하며, 각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진동 흡수부(120)가 설치되고, 각각의 플레이트들이 연결 플레이트(130)에 의하여 서로 체결된다.
이때, 제1플레이트(111), 제2플레이트(112), 제3플레이트(113) 및 제4플레이트(114)는, 각각의 후단을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로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각각의 공간에 진동 흡수부(120)가 설치됨으로써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 흡수부(120)는, 지탱부(110)의 각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흡수부(12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130)는, 제1플레이트(111)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112)의 상부 사이, 제2플레이트(112)의 전단과 제3플레이트(113)의 전단 사이, 제3플레이트(113)의 하부와 제4플레이트(114)의 하부 사이, 및 제4플레이트(114)의 전단과와 제1플레이트(111)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111), 제2플레이트(112), 제3플레이트(113) 및 제4플레이트(114)를 “+”형태로 연결 설치한다.
즉, 연결 플레이트(130)는, 각 플레이트의 상부, 하부 또는 전단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연결 부위가 회동함으로써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하여 각 플레이트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 플레이트(130)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111), 제2플레이트(112), 제3플레이트(113)와 제4플레이트(114)가 상호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는 버틸 수 있을 것이나, 임계 진동 또는 임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버티지 못하고 각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된 연결 플레이트(130)가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130)는, 제1플레이트(111), 제2플레이트(112), 제3플레이트(113)와 제4플레이트(114)를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경우보다 진동 또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140)는, 제1플레이트(111)의 상부(즉, 상부 날개)와 전단(즉, 전단 날개), 제2플레이트(112)의 상부와 전단, 제3플레이트(113)의 전단과 하부, 및 제4플레이트(114)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회동부(150) 방향으로 두 개씩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140)는, 회동부(150)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부 또는 하부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140)는, 제2 상부 체결홈(1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1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1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1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141)(도 7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회동부(150)는,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140)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서로 대향하는 지지 바아(160)의 각 내측면에 설치(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된다.
지지 바아(160-1, 360-2)는, 회동부(150)의 외측면이 설치되며, 하우징(15)의 공간에서 다른 지지 바아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회동부(150)에 의하여 지지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충격 흡수부(100)의 각각의 구성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100)는, 도어(20)의 잦은 개폐에 따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111)는, 플레이트 본체(1111),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1112), 제2 상부 체결홈(1113),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1114) 및 제2 전단 체결홈(1115)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111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며, 상부 날개에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1112) 및 제2 상부 체결홈(1113)을 형성하고, 전단 날개에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1114) 및 제2 전단 체결홈(1115)을 형성한다.
제1 상부 체결홈(1112)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1111)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130)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2 상부 체결홈(1113)은, 제1 상부 체결홈(11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1 전단 체결홈(1114)은,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1111)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130)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한다.
제2 전단 체결홈(1115)은, 제1 전단 체결홈(1114)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140)는, 제2 상부 체결홈(1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1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1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1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14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130) 역시, 상술한 연장 플레이트(140)의 슬라이딩 홈(141)과 동일한 구조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111)는, 그 설치 위치만을 달리하는 제2플레이트(112), 제3플레이트(113) 또는 제4플레이트(11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제2플레이트(112), 제3플레이트(113) 또는 제4플레이트(11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술적 구성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작업이 가능한 저압선로 분기함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상변압기(60)로부터 전압 강하된 전기를 수용가에 공급하는 경우, 함체(10) 외측면에 구비된 접속단자(40)에 주상변압기(60)로부터 연장 형성된 인하선(61)을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접속단자(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함체(10) 내의 단자블럭(3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단자블럭(30)의 단자부(50)에 인입선(12)을 접속시킬 경우 수용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상변압기(60) 또는 컷아웃스위치(7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배전선로(80)부터 선로를 개방하여야 한다. 이때, 정전으로 인한 수용가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무정전공법을 실시한다.
기존의 경우, 무정전공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함체 내의 단자블럭에 접속된 인입선을 모두 풀어 이동용 변압기차의 2차측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정전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이동용변압기차(90)를 이용하여 1차측(91;특고압)은 배전선로(80)와 접속 하고 2차측(92;저압)은 함체(10) 외측면에 구비된 접속단자(40)의 예비 단자홀(42)에 접속시켜 주상변압기(60)와 병렬 운전 상태를 만든다.
이후, 주상변압기(60)의 1차측 컷아웃스위치(70) 및 2차측 인하선(61)을 분리하여 주상변압기(60)를 무전압상태로 한 후 주상변압기(60)를 교체한다.
여기서, 컷아웃스위치(70)에 대한 교체작업은, 주상변압기(60)의 교체 작업으로부터 당업들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함체(10) 내의 단자블럭(30)에 접속된 인입선(12)들을 풀 필요없이 이동용변압기차(90)의 2차측(92)을 함체(10)의 접속단자(40)의 예비 단자홀(42)에 접속시킴으로써, 무정전상태로 수용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10: 함체
11: 분기선 12: 인입선
13: 윈도우 14: 관통공
15: 하우징 20: 도어
30: 단자블럭 40: 접속단자
41: 체결부 42: 단자홀
42a: 너트 42b: 걸림돌기
43: 숫단자 43a: 관통공
43b: 결속너트 44: 커버
44a: 절개면 45: 체결부재
45a: 안착홈 46: 인출공
50: 단자부 50a: 단자홀
51a: 관통공 52a: 절개면
53a: 안착홈 50b: 숫단자
51b: 삽입공 52b: 걸림돌기
53b: 너트 60: 주상변압기
70: 컷아웃스위치 80: 배전선로
90: 이동용변압기차 100: 충격 흡수부
110: 지탱부 111: 제1플레이트
1111: 플레이트 본체 1112: 제1 상부 체결홈
1113: 제2 상부 체결홈 1114: 제1 전단 체결홈
1115: 제2 전단 체결홈 120: 진동 흡수부
130: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140: 연장 플레이트
150: 회동부 160: 지지 바아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구비하는 함체;
    일측이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전면을 덮는 도어;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 내로 삽입된 분기선 또는 인입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하측에 형성하는 단자블럭; 및
    상기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블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함체의 상측면을 관통하고 삽입된 하측이 상기 함체 내측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상측에 형성되되,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절개면이 형성되며 체결시 상기 외부 전력선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면의 저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단자홀; 및
    상기 단자홀의 내측에 삽입 위치되되, 전단에 상기 외부 전력선의 단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면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후단에 상기 단자홀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결속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숫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는,
    잠금 수단이 설치되는 일측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탱부;
    상기 지탱부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과 하부,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두 개씩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4 개의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외측면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지지 바아를 포함하는,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상부 체결홈;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 및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전단 체결홈을 포함하는,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는,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KR1020180154012A 2018-12-03 2018-12-03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KR101963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012A KR101963688B1 (ko) 2018-12-03 2018-12-03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012A KR101963688B1 (ko) 2018-12-03 2018-12-03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688B1 true KR101963688B1 (ko) 2019-03-29

Family

ID=6589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012A KR101963688B1 (ko) 2018-12-03 2018-12-03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273A (ko) 2021-05-27 2022-12-06 한국전력공사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17U (ko) * 1998-11-26 1999-02-25 조규백 광심선 분배함
KR200264163Y1 (ko) 2001-11-08 2002-02-19 한국전력공사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KR20060009501A (ko) * 2004-07-26 2006-02-01 양희성 무정전작업이 가능한 저압선로 분기함
KR20080002963U (ko) 2007-01-26 2008-07-30 김형찬 무정전 변압기 교체용 이동형 유피에스 차와 이를 이용한배전용 변압기 교체작업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17U (ko) * 1998-11-26 1999-02-25 조규백 광심선 분배함
KR200264163Y1 (ko) 2001-11-08 2002-02-19 한국전력공사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KR20060009501A (ko) * 2004-07-26 2006-02-01 양희성 무정전작업이 가능한 저압선로 분기함
KR20080002963U (ko) 2007-01-26 2008-07-30 김형찬 무정전 변압기 교체용 이동형 유피에스 차와 이를 이용한배전용 변압기 교체작업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273A (ko) 2021-05-27 2022-12-06 한국전력공사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8891B1 (en) Switchgear enclosure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US20090180242A1 (en) Electrical cabinet assembly and seal assembly therefor
CA2792021A1 (en) Fused disconnect switch with terminal opening cover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KR101963688B1 (ko)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CN204424192U (zh) 断路器
KR101297551B1 (ko) 내아크 특성강화 모듈러 수배전반
KR102212005B1 (ko)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1667639B1 (ko) 3-포지션 인터록 조절 장치
KR200494261Y1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KR100960365B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US2688716A (en) Electric control center
US4281227A (en) Drawout switchgear with blow-out prevention device
CN209561898U (zh) 带有散热防护结构的开关柜
KR10246693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KR20170079301A (ko) 배전반
WO2021090420A1 (ja) 真空開閉器およびスイッチギヤ
JP5751000B2 (ja) 配電盤
KR102235942B1 (ko)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CN216818230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断路器
JP3131499U (ja) スケルトン型低圧配電盤
KR102018872B1 (ko)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 구동 메커니즘
KR200429022Y1 (ko) 가스절연 다회로 차단기용 접지조작기구
KR200486925Y1 (ko) 방진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