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163Y1 -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163Y1
KR200264163Y1 KR2020010034287U KR20010034287U KR200264163Y1 KR 200264163 Y1 KR200264163 Y1 KR 200264163Y1 KR 2020010034287 U KR2020010034287 U KR 2020010034287U KR 20010034287 U KR20010034287 U KR 20010034287U KR 200264163 Y1 KR200264163 Y1 KR 200264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able
work
fixing device
bypass lin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10034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1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163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정전공사 과정에서 전원측과 부하측을 임시로 연결하여주는 바이패스라인에 관한 것으로, 무정전공사의 작업과정에서 바이패스라인(100)의 간선케이블(120)에 분기접속재(131)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110)의 전원을 사용자에게 직접 연결하여주는 분기케이블(130)의 고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무정전공사의 작업개소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판(10)과, 받침판 (10)의 상부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바(20), 수직바(20)의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부재(31)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바(30) 및, 수평바(30)의 둘레면에 클램핑식으로 결합되어 분기케이블(130)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클리트(40)로 이루어져,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이 고정장치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무정전작업이 수행되므로써, 분기케이블에 내장된 전선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작업안정성이 향상되어 무정전공사에 따른 작업공수 및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Device for fixing the bypass cable using no blackout process}
본 고안은 무정전공사 과정에서 전원측과 부하측을 임시로 연결하여주는 바이패스라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을 고정장치로 고정하여 분기케이블의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공사는, 가공배전선로의 공사구간내 분기선로나 특고압수용가 또는 변대주 등의 설비가 있는 경우 공사구간의 전원을 바이패스라인을 통해전원측(공급자)과 부하측(사용자)을 연결하여 공사구간 이후의 수용가에게 임시로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사방법의 하나이다.
즉,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100)에는, 전원공급라인(110)에 개폐기(12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간선케이블(120)과, 간선케이블(120)에 분기접속재(131)를 통해 부하측(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기케이블(1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라인(110)의 전원을 무정전상태에서 부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간선케이블(120)에 분기접속재(131)를 사용하여 분기케이블(130)을 연결하면, 전원공급라인(100)의 전원이 간선/분기케이블(120,130)을 통해 부하측(132)으로 직접 공급되어 정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분기케이블(130)은 분기접속재(131)를 통해 간선케이블(120)에 연결된 것으로서, 예컨대 분기케이블(130)이 공중에 뜬 상태에서 작업수행시 자체하중에 의해 구부러짐으로써, 내부전선 및 절연피복이 손상되어 수명을 저하시킴은 물론 무정전공사에 따른 작업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정전공사 과정에서 분기케이블을 별도의 고정장치로 고정하여 분기케이블의 손상을 예방시킴은 물론 작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무정전공사의 작업과정에서 바이패스라인의 간선케이블에 분기접속재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의 전원을 사용자에게 직접 연결하여주는 분기케이블의 고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무정전공사의 작업개소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판과, 받침판의 상부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바, 수직바의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바 및, 수평바의 둘레면에 클램핑식으로 결합되어 분기케이블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클리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무정전공사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본기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케이블 지지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와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케이블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업상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받침판 20 : 수직바
30 : 수평바 40 : 클리트
41 : 누름판 42 : 누름부재
43 : 클램프 44 : 오목홈
45 : 조작핸들 46 : 수평지지바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b)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케이블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도와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케이블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업상태도로서, 무정전공사의 작업과정에서 바이패스라인(100)의 간선케이블(120)에 분기접속재(131)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110)의 전원을 사용자에게 직접 연결하여주는 분기케이블(130)의 고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무정전공사의 작업개소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판(10)과, 받침판 (10)의 상부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바(20), 수직바(20)의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부재(31)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바(30) 및, 수평바(30)의 둘레면에 클램핑식으로 결합되어 분기케이블(130)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클리트(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 중 바이패스라인(100)의 전원공급라인(110)과 간선케이블(120)과 분기케이블(130)은 종래 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바이패스라인(100)의 작업개소의 현장여건에 따라 본 고안의 고정장치(1)를 설치함을 첨언한다.
그리고, 받침판(10)은, 고정장치(1)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플레이트형상의 부재로서, 설치개소의 현장여건에 관계없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철판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바(20)는, 받침판(10)의 상면중심부에 고정부재와 같은 접합수단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부재로서, 절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하여 누전과 같은 설비사고를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평바(30)는, 수직바(20)의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부재(31)를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절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하여 감전과 같은 인적사고를 방지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부재(31)는, 수직바(20)와 수평바(30)를 고정하는 부재로서, 용융아연도금과 같은 도금법으로 도금하여 부식을 방지시킴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직바(20)의 상단부와 수평바(30)의 하단부에 각각의 끼움돌기 또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클리트(cleat,40)는, 수평바(30)의 둘레면에 분기케이블과 대응하는 갯수로 장착된 케이블 고정부재로서, 그 몸체하부측에 수평바(30)의 둘레면을 따라 결합되는 클램프(43)가 형성되면서 그 몸체상부면에 분기케이블(130)을 수용하는 오목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리트(40)의 몸체에 지지대(47)를 통해 조작핸들(45)이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지지대(47)의 상단부에 조작핸들(45)의 작동과정에서 승강되는 수평지지바(46)가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수평지지바(46)의 몸체에 너트를 통해 누름부재(42)가 고정되며, 누름부재(42)의 하단부에 오목홈(44)으로 안착되는 분기케이블(130)을 압축하여 고정시키는 누름판(41)이 장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정전공사 과정에서 분기접속재(131)를 이용하여 간선케이블(120)과 분기케이블(130)을 연결하려는 경우, 일단 분기케이블(130)의 설치개소에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1)를 설치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물론, 고정장치(1)는, 수직바(20)와 수평바(30)를 분리하여 현장으로 운반가능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고정부재(31)를 이용하여 수직바(20)와 수평바(30)를 고정하여 고정장치(1)의 조립과정을 완료한다.
그런 다음, 클리트(40)의 몸체상면을 이루는 오목홈(44)내에 각각의 분기케이블(130)을 안착시키고, 조작핸들(45)을 조작하면, 수평지지바(46)의 하향과정에서 누름부재(4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던 누름판(41)이 분기케이블(130)을 압축하여 밀착시킨다.
이때, 클리트(40)는 절연체가 도금되었거나 또는 절연체로 성형된 상태이므로, 오목홈(44)내에 수용되어 누름판(41)에 의해 고정되어진 분기케이블(130)로부터 누전과 같은 설비사고가 근본적으로 차단된 상태이다.
한편, 무정전공사에 따른 작업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클리트(40)에 구비되어있는 조작핸들(45)를 역으로 조작하여 분기케이블(130)을 인출하고, 수직바(20)와 수평바(30)의 결합을 해체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후, 다른 작업개소로 이송하여 상기의 조립과정을 재실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에 의해 분기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무정전공사작업이 수행됨으로써, 분기케이블에 내장된 전선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작업안정성이 향상되어 무정전공사에 따른 작업공수 및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무정전공사의 과정에서 바이패스라인(100)의 간선케이블(120)에 분기접속재 (131)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공급라인(110)의 전원을 사용자에게 직접 연결하여주는 분기케이블(130)의 고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무정전공사의 작업개소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판(10)과, 받침판 (10)의 상부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바(20), 수직바(20)의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부재(31)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바(30) 및, 수평바(30)의 둘레면에 클램프(43)를 통해 결합되어 분기케이블(130)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클리트 (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클리트(40)는, 그 몸체측면에 장착된 조작핸들(45)의 작동과정에서 승강을 반복하는 누름판(41)을 통해 오목홈(44)내로 수용되는 분기케이블 (130)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수직바(20)와 수평바(30)는,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31)는, 그 둘레면이 용융아연도금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KR2020010034287U 2001-11-08 2001-11-08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KR200264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7U KR200264163Y1 (ko) 2001-11-08 2001-11-08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7U KR200264163Y1 (ko) 2001-11-08 2001-11-08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163Y1 true KR200264163Y1 (ko) 2002-02-19

Family

ID=7308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87U KR200264163Y1 (ko) 2001-11-08 2001-11-08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16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160A1 (ko) * 2010-07-26 2012-02-0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1583683B1 (ko) * 2015-08-04 2016-01-08 견금자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767344B1 (ko) * 2016-10-14 2017-08-10 임철호 고소작업차용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견인고정장치
KR101963688B1 (ko) 2018-12-03 2019-03-29 권정호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KR20210039852A (ko) *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연결 장치
KR20210143033A (ko) * 2020-05-19 2021-11-2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160A1 (ko) * 2010-07-26 2012-02-0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1122499B1 (ko) * 2010-07-26 2012-03-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1583683B1 (ko) * 2015-08-04 2016-01-08 견금자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767344B1 (ko) * 2016-10-14 2017-08-10 임철호 고소작업차용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견인고정장치
KR101963688B1 (ko) 2018-12-03 2019-03-29 권정호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KR20210039852A (ko) *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연결 장치
KR102249636B1 (ko) * 2019-10-02 2021-05-10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연결 장치
KR20210143033A (ko) * 2020-05-19 2021-11-2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20210148979A (ko) * 2020-05-19 2021-1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20210148978A (ko) * 2020-05-19 2021-1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20210148981A (ko) * 2020-05-19 2021-1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20210148983A (ko) * 2020-05-19 2021-1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20210148982A (ko) * 2020-05-19 2021-1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20210148980A (ko) * 2020-05-19 2021-1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355161B1 (ko) * 2020-05-19 2022-01-2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355169B1 (ko) * 2020-05-19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355166B1 (ko) * 2020-05-19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355168B1 (ko) * 2020-05-19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355164B1 (ko) * 2020-05-19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355165B1 (ko) * 2020-05-19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355167B1 (ko) * 2020-05-19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3011498A (es) Dispositivo para cambiar alambres dentro de postes electricos y metodo de distribucion de energia sin fallas de energia.
KR200264163Y1 (ko)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US20200389006A1 (en) Mounting Bracket Systems For Dead-End Utility Lines
CN211556498U (zh) 一种便于安装维护的配电柜
KR10179302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US6308477B1 (en) Telecommunications cabinet isolation, allocation and mounting system
KR200204895Y1 (ko) 정전방지용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200416492Y1 (ko)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CN101567528B (zh) 10千伏线路延伸60°~90°转角带电挂尽头作业的方法
KR100558607B1 (ko) 단상 및 3상 배전선로용 무정전 선로공법 및 그전선이선기구
CN209709182U (zh) 等电位联结预埋件
KR102526430B1 (ko) 클램프활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20010038566A (ko)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100499735B1 (ko) 전력선 이선을 위한 직선주 완금 엘피애자 고정장치
KR100396007B1 (ko) 4선용 pvc 인입애자
CN210041256U (zh) 一种电力运送的电缆固定挂钩
KR200364882Y1 (ko) 단상 및 3상 배전선로용 무정전 전선이선기구
KR20010038567A (ko)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내장클램프
KR102045756B1 (ko)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기구
KR20070055905A (ko) 송전 및 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CN112366590B (zh) 一种带电更换水平排列耐张电杆横担的更换工具及更换方法
CN215343035U (zh) 一种组合式改良型sl设备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