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683B1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3683B1 KR101583683B1 KR1020150110148A KR20150110148A KR101583683B1 KR 101583683 B1 KR101583683 B1 KR 101583683B1 KR 1020150110148 A KR1020150110148 A KR 1020150110148A KR 20150110148 A KR20150110148 A KR 20150110148A KR 101583683 B1 KR101583683 B1 KR 1015836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 hinge
- tray
- distribution cables
- power distribu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을 각각 지지하며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와, 상기 접속부를 감싸는 전후 한 쌍의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용 하프파이프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한 쌍의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가 장착되는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절연재질로 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를 압박하게 되므로 접속부의 절연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에 결합된 클램프기구는 제1 및 제2 트레이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와 그 접속부를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접속부를 보호하여 접속불량과 아크발생을 방지하고, 아크비산과 연쇄적인 아크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위에 대한 전기절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접속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속불량이나 아크의 발생, 아크 발생에 따른 주변 배전케이블의 손상, 절연파괴, 연쇄적인 아크 발생, 그리고 이로 인한 정전사태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의 전력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위해서는 도로변에 설치된 전신주를 이용한 가공 배전선로 시설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가공 배전선로 시설은 안전상의 이유와 도시 미관상의 이유로 지중 배전선로 시설로 대체되고 있다.
지중 배전선로 시설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매설된 지중터널(1)의 양측 내벽에 복수 층의 선반(2)을 설치하고, 각 층의 선반(2)에 복수개의 트레이(3)를 안착하여 각 트레이(3)마다 배전케이블(4)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중 배전선로 시설은 지중터널(1)의 길이가 배전케이블(4)로 사용되는 케이블의 단위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배전케이블(4)을 지중터널(1)의 전장(全長)에 걸쳐서 하나의 단위 배전케이블로 구성할 수 있으나, 지중터널(1)의 길이가 단위 배전케이블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배전케이블(4)을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전케이블로 구성하게 된다.
배전케이블(4)을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전케이블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단위 배전케이블(4a, 4b)을 서로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하여야 한다.
종래 단위 배전케이블(4a, 4b)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함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배전케이블(4a, 4b)의 절연피복(5a, 5b)을 박리하여 도체(6a, 6b)가 노출되게 한 다음, 양측 도체(6a, 6b)를 압착슬리브(7)로 압착하여 양측 도체(6a, 6b)가 압착슬리브(7)에 의해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압착슬리브(7)를 절연재(8)로 피복하고, 최종적으로 절연재(8)와 양측 절연피복(5a, 5b)의 단부를 열가소성 수지로 된 절연튜브(9)를 씌우고 열을 가하여 절연튜브(9)가 절연재()와 양측 절연피복(5a, 5b)에 밀착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전케이블 접속 방법에서는 접속부위가 절연재(8)와 절연튜브(9)로 피복하는 것으로서 전기절연성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지만 기계적 강도면에서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취약하게 되어 접속부위의 접속불량이 발생하게 될 염려가 있으며, 접속불량에 따라 아크가 발생하게 될 경우 주변으로 비산되면서 주변의 다른 배전케이블(4)을 훼손시키고 절연이 파괴되어 연쇄적인 아크발생으로 정전사태 및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지중 배전시설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8224호(201.08.23. 등록)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지하에 매설되는 특고압 전력을 송배전하는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면서 기구적으로 안정되게 고정시켜 누전, 방전, 감전, 단전의 발생을 방지하는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특고압 배전용 특고압 케이블을 양쪽 울타리가 형성한 안착부에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다수의 하단돌기로 특고압 케이블의 도전체와 접촉하여 기구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하단브래킷부 및 하단브래킷부의 일측 끝 부분과 힌지축봉으로 힌지 결합하며 힌지축봉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단브래킷부의 상측면에 포개지면서 양쪽 울타리의 어느 하나와 톱니 결합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하고 안착부에 안착된 특고압 케이블의 도전체와 다수의 상단돌기로 접촉하여 기구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단브래킷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지하에서 특고압을 전송하는 배전용 지중전선과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접속하여 누전, 방전, 감전 등의 발생을 방지하며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고정시켜 돌발적인 단전의 발생을 방지하고 긴급한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개의 하단돌기가 구비된 하단브래킷부와, 복수개의 상단돌기가 구비된 상단브래킷부로 구성되어 하단돌기와 상단돌기가 배전케이블의 도체에 접촉되도록 한 것으로서 하단브래킷부와 상단브래킷부가 하단돌기와 하단돌기를 완전히 감싸지 못하고 개방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접속부에 접속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아크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아크는 주변으로 비산되면서 주변의 다른 배전케이블에 영향을 주게 되어 연쇄적인 아크 발생과 이로 인한 정전사태와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위에 대한 전기절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접속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속불량이나 아크의 발생, 아크 발생에 따른 주변 배전케이블의 손상, 절연파괴, 연쇄적인 아크 발생, 그리고 이로 인한 정전사태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위에 대한 전기절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접속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속불량이나 아크의 발생, 아크 발생에 따른 주변 배전케이블의 손상, 절연파괴, 연쇄적인 아크 발생, 그리고 이로 인한 정전사태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을 각각 지지하며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와, 상기 접속부를 감싸는 전후 한 쌍의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용 하프파이프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한 쌍의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가 장착되는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는 서로 맞닿는 양단부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교합턱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기구는 클램프베이스와,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일측에 힌지A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레버와,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타측에 힌지B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이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클램핑레버와, 상기 핸들레버의 중간부에 상단이 힌지C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레버의 중간부에 힌지D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는 양측에 상기 클램프베이스가 장착되는 클램프장착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우측단을 제2 트레이의 좌측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단을 제1 트레이의 우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동지지수단은 상기 제2 트레이의 좌측단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힌지편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우측단에 돌출 형성된 가동힌지편 및, 상기 고정힌지편과 가동힌지편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착결합수단은 상기 제1 트레이의 우측단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단에 돌출 형성된 탈착편 및, 상기 고정편과 탈착편을 연결하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을 각각 지지하며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와, 상기 접속부를 감싸는 전후 한 쌍의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용 하프파이프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한 쌍의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가 장착되는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절연재질로 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를 압박하게 되므로 접속부의 절연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에 결합된 클램프기구는 제1 및 제2 트레이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와 그 접속부를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접속부를 보호하여 접속불량과 아크발생을 방지하고, 아크비산과 연쇄적인 아크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가 적용된 지중 배선시설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클램프기구가 언클램핑되고,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개방되어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 양측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클램프기구가 언클램핑되고,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개방되며, 클램프기구와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로부터 회피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클램프기구가 클램핑되고,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0은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와 클램핑레버의 단면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종래 지중 배전선로 시설을 보인 종단면도,
도 12는 종래 배전케이블의 접속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가 적용된 지중 배선시설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클램프기구가 언클램핑되고,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개방되어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 양측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클램프기구가 언클램핑되고,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개방되며, 클램프기구와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부로부터 회피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클램프기구가 클램핑되고,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단위 배전케이블의 접속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0은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와 클램핑레버의 단면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종래 지중 배전선로 시설을 보인 종단면도,
도 12는 종래 배전케이블의 접속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는 트레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지중터널과 선반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배전케이블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과 각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트레이(30, 40)는 2개씩만 도시하고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가 적용되는 지중 배전시설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을 각각 지지하며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부(5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트레이(30) 및 제2 트레이(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부(50)는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절연피복(11, 21)을 박리하여 노출된 도체(12, 22)를 접속하는 압착슬리브(51)와, 상기 압착슬리브(51)와 도체(12, 22)를 감싸는 절연재(52) 및, 상기 절연재(52)와 절연피복(11, 21)의 단부에 씌워지며 가열에 의하여 상기 절연재(52)와 절연피복(11, 21)의 단부에 압착되는 절연튜브(5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절연튜브(53)를 감싸는 전후 한 쌍의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부(50)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한 쌍의 클램프(300); 및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30, 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300)가 장착되는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는 서로 맞닿는 양단부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교합턱(110, 210)을 구비하여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를 폐쇄되었을 때 교합턱(110, 210)이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전기절연성과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클램프기구(300)는 클램프베이스(310)와, 상기 클램프베이스(310)의 일측에 힌지A(H1)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레버(320)와, 상기 클램프베이스(310)의 타측에 힌지B(H2)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이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클램핑레버(330)와, 상기 핸들레버(320)의 중간부에 상단이 힌지C(H3)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레버(330)의 중간부에 힌지D(H4)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레버(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310)는 좌우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클램핑레버(330)가 삽입되고, 상기 핸들레버(320)는 좌우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클램프베이스(310)의 좌우 양측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310)의 하단에는 상기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40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절곡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레버(320)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부재는 상단에서 접합되어 절연커버(321)가 씌워진다. 상기 절연커버(321)는 작업자가 핸들레버(320)를 조작할 때 감전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클램핑레버(330)는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파이프 형태의 강철심재(101, 201)와 상기 강철심재(101, 201)에 피복되는 절연재(102, 202)로 구성하여 전기절연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레버(330)를 강철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강철심재(101, 201)를 상기 클램핑레버(330)의 선단에 용접하여 강철심재(101, 201)와 클램핑레버(330)가 일체화되도록 한 다음 절연재(102, 202)를 피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클램핑레버(330)에도 절연재(102, 202)가 피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중간레버(340)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클램핑레버(330)의 양측 내면에 접함과 아울러 상기 핸들레버(320)의 양측 외면에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각 힌지A, B, C, D(H1, H2, H3, H4)가 삽입되는 힌지공들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하되 이에 대한 도면부호와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400)는 양측에 상기 클램프베이스(310)가 장착되는 클램프장착부(411)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4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우측단을 제2 트레이(40)의 좌측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42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좌측단을 제1 트레이(30)의 우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결합수단(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클램프장착부(411)에는 상기 클램프베이스(310)가 장착되는데 클램프베이스(310)의 장착용 절곡편(311)에 형성된 볼트관통공(312)을 관통하는 장착볼트(312)를 클램프장착부(411)에 형성된 볼트체결공(41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클램프기구(300)를 베이스플레이트(41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회동지지수단(420)은 상기 제2 트레이(40)의 좌측단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힌지편(4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우측단에 돌출 형성된 가동힌지편(422) 및, 상기 고정힌지편(421)과 가동힌지편(422)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4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탈착결합수단(430)은 상기 제1 트레이(30)의 우측단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4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좌측단에 돌출 형성된 탈착편(432) 및, 상기 고정편(431)과 탈착편(432)을 연결하는 결합핀(4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핀(433)의 일단에는 결합핀(433)을 탈착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링(434)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의하여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을 접속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램프기구(300)의 핸들레버(320)를 바깥쪽으로 밀고 당기면, 핸들레버(320)가 클램프베이스(310)에 대하여 힌지A(H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핸들레버(320)의 중간부에 상단이 힌지C(H3)로 연결된 중간레버(340)가 핸들레버(320)와 함께 힌지A(H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중간레버(340)의 하단은 클램핑레버(330)의 중간부에 힌지D(H4)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간레버(340)가 클램핑레버(330)를 위로 당기게 되고, 클램핑레버(330)는 클램프베이스(310)에 대하여 힌지B(H2)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램핑레버(330)의 선단에 결합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다(이상, 도 3 및 도 4 참조).
이 상태에서 탈착결합수단(430)을 구성하는 고정편(431)과 탈착편(432)로부터 결합핀(433)을 인출하면, 클램프기구(300)와 이에 결합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가 제2 트레이(40)에 대하여 회동지지수단(420)을 구성하는 고정힌지편(421)과 가동힌지편(422) 및 힌지핀(42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는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부(50)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벌어지고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을 접속하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을 접속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이 완료되면, 클램프기구(300)와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를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편(431)과 탈착편(432)을 일치시킨 다음 고정편(431)과 탈착편(432)에 결합핀(433)을 끼움으로써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와 클램프기구(300)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부(50)의 전후측에 위치하도록 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상태에서 클램프기구(300)의 핸들레버(320)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고 당기면, 핸들레버(320)가 클램프베이스(310)에 대하여 힌지A(H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핸들레버(320)의 중간부에 상단이 힌지C(H3)로 연결된 중강레버(340)가 핸들레버(320)와 함께 힌지A(H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중간레버(340)의 하단은 클램핑레버(330)의 중간부에 힌지D(H4)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간레버(340)가 클램핑레버(330)를 접속부(50) 방향으로 밀게 되고, 클램핑레버(330)는 클램프베이스(310)에 대하여 힌지B(H2)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램핑레버(330)의 선단에 결합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레버(320)의 중심축선(CL1)이 데드라인(Dead-ling)(DL)에 일치하는 상태가 되면,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는 접속부(50)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절연피복(11, 21)을 감싸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레버(320)의 중심축선이 데드라인(DL)을 넘어가게 되면, 중간레버(340)의 중심축선(CL2)은 핸들레버(320)의 중심축선(CL1)보다 더 넘어가게 되면서 클램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이상 도 7 및 도 8 참조).
따라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는 클램핑기구(300)의 클램핑 작용에 의하여 서로 강하게 결합되면서 접속부(50)의 절연튜브(53)의 외주면과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절연피복(11, 21)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는 단부에 형성된 교합턱(110, 210)이 서로 맞물리면서 더욱 안정적인 상태로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의하면 절연재질로 된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부(50)를 압박하게 되므로 접속부(50)의 절연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에 결합된 클램프기구(300)는 제1 및 제2 트레이(30, 40)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과 그 접속부(50)를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접속부(50)를 보호하여 접속불량과 아크발생을 방지하고, 아크비산과 연쇄적인 아크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 30, 40 : 제1 및 제2 트레이
50 : 접속부
100, 200 :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
300 : 클램프기구 310 : 클램프베이스
320 : 핸들레버 330 : 클램핑레버
340 : 중간레버 400 :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
410 : 베이스플레이트 420 : 회동지지수단
430 : 탈착결합수단
50 : 접속부
100, 200 :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
300 : 클램프기구 310 : 클램프베이스
320 : 핸들레버 330 : 클램핑레버
340 : 중간레버 400 :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
410 : 베이스플레이트 420 : 회동지지수단
430 : 탈착결합수단
Claims (1)
-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을 각각 지지하며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부(50)의 길이에 대응하여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트레이(30) 및 제2 트레이(40)와, 상기 접속부(50)를 감싸는 전후 한 쌍의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와; 제1 및 제2 단위 배전케이블(10, 20)의 접속부(50)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한 쌍의 클램프(300); 및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30, 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300)가 장착되는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는 서로 맞닿는 양단부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교합턱(110, 210)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기구(300)는 클램프베이스(310)와, 상기 클램프베이스(310)의 일측에 힌지A(H1)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레버(320)와, 상기 클램프베이스(310)의 타측에 힌지B(H2)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이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및 보강용 하프파이프(100, 2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클램핑레버(330)와, 상기 핸들레버(320)의 중간부에 상단이 힌지C(H3)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레버(330)의 중간부에 힌지D(H4)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레버(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식 클램프 마운트(400)는 양측에 상기 클램프베이스(310)가 장착되는 클램프장착부(411)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4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우측단을 제2 트레이(40)의 좌측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42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좌측단을 제1 트레이(30)의 우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결합수단(4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동지지수단(420)은 상기 제2 트레이(40)의 좌측단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힌지편(4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우측단에 돌출 형성된 가동힌지편(422) 및, 상기 고정힌지편(421)과 가동힌지편(422)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4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착결합수단(430)은 상기 제1 트레이(30)의 우측단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4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좌측단에 돌출 형성된 탈착편(432) 및, 상기 고정편(431)과 탈착편(432)을 연결하는 결합핀(4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148A KR101583683B1 (ko) | 2015-08-04 | 2015-08-04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148A KR101583683B1 (ko) | 2015-08-04 | 2015-08-04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3683B1 true KR101583683B1 (ko) | 2016-01-08 |
Family
ID=5517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0148A KR101583683B1 (ko) | 2015-08-04 | 2015-08-04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368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5518B1 (ko) * | 2019-01-02 | 2019-10-01 | 유정남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KR102091059B1 (ko) | 2019-08-23 | 2020-03-20 | (주) 대경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로의 접속 커넥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4163Y1 (ko) * | 2001-11-08 | 2002-02-19 | 한국전력공사 |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
KR20080009899A (ko) * | 2006-07-25 | 2008-01-30 | (주)익스팬텔 | 케이블 컨넥터 커버 |
KR101178224B1 (ko) | 2012-05-02 | 2012-08-29 | 이종훈 |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
-
2015
- 2015-08-04 KR KR1020150110148A patent/KR1015836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4163Y1 (ko) * | 2001-11-08 | 2002-02-19 | 한국전력공사 |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
KR20080009899A (ko) * | 2006-07-25 | 2008-01-30 | (주)익스팬텔 | 케이블 컨넥터 커버 |
KR101178224B1 (ko) | 2012-05-02 | 2012-08-29 | 이종훈 |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5518B1 (ko) * | 2019-01-02 | 2019-10-01 | 유정남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KR102091059B1 (ko) | 2019-08-23 | 2020-03-20 | (주) 대경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로의 접속 커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0677B1 (ko) |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 |
US9455541B2 (en) | Recessed movable jaws for connecting a plug-in unit to a busway | |
TWI360145B (ko) | ||
KR102091059B1 (ko) | 지중배전선로의 접속 커넥터 | |
PT1504508E (pt) | Instalação de comutação equipada com uma barreira para isolamento eléctrico | |
KR102381232B1 (ko) |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 |
KR101583683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
US10256620B2 (en) | Sleeve for shielding electrical joint | |
KR101210518B1 (ko) | 가공 송배전 선로 지지용 절연 완철 | |
TW201037932A (en) | Vacuum insulated switch gear | |
KR102632133B1 (ko) | 가스 절연 변전 설비를 위한 전기 접지 스위치 장치 | |
KR101134222B1 (ko) | 초고압케이블 중간접속함의 에폭시유니트 전극과 도체 슬리브의 연결구조 | |
JP2014066666A (ja) | 導電棒および変流器一次試験の試験方法 | |
KR20080034266A (ko) |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 |
KR20140062998A (ko) | 컷아웃스위치의 휴즈홀더 교체장치 | |
CN217425486U (zh) | 一种辅助接线装置 | |
CN104380416B (zh) | 电流开关装置 | |
KR20150008603A (ko) | 배전반용 커넥터 | |
KR102357558B1 (ko) |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 |
JP2004319416A (ja) | 地中配電用気中モールド開閉器 | |
JP5601981B2 (ja) | 開閉装置用仮送電ケーブル接続構造 | |
JP2005285534A (ja) | 断路器 | |
JP5241593B2 (ja) | 通電装置 | |
JP2024068442A (ja) | スイッチギヤの防護板 | |
KR101966786B1 (ko) | 일체형 구조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중간 접속함용 도체 연결 슬리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