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033A - 케이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3033A KR20210143033A KR1020200059935A KR20200059935A KR20210143033A KR 20210143033 A KR20210143033 A KR 20210143033A KR 1020200059935 A KR1020200059935 A KR 1020200059935A KR 20200059935 A KR20200059935 A KR 20200059935A KR 20210143033 A KR20210143033 A KR 202101430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fixing
- guide
- circumferential surfac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케이블을 삽입부에 고정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접활선 또는 무정전 활선 작업 시 바이패스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접활선 또는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바이패스케이블을 기존의 전력선에 접속시켜 전력 공급을 우회시킨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실시한 뒤 다시 바이패스 케이블을 철거하는 과정을 통해 실시된다.
한편, 바이패스케이블의 자중에 의한 탈락,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시공 과정에 걸쳐 바이패스케이블을 전주에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전주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지지 클리트들의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가지지 클리트의 경우, 체결부품의 접촉단면적이 부족하여 케이블 장악력이 떨어지거나, 작업의 용이함을 위해 바이패스케이블에 여유 길이를 두는 경우 바이패스케이블의 가요성으로 인한 꺾임 등에 의해 바이패스케이블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00149 호(2017.11.15 등록, 발명의 명칭: 무정전 바이패스용 가지지 클리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고정 작동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삽입부에 고정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측 둘레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부;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 시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는 제2관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1관통부; 상기 제2관통부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제1관통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는 이동제한부; 및 상기 이동제한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관통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접촉 시 상기 이동제한부의 단부를 상기 제2관통부로 삽입시키는 이동허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바디부는 상기 설정 방향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주에 고정되고, 상기 전주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제1고리부; 상기 제1고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측 둘레를 감싸는 제2고리부; 및 상기 제2고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제1장악부와 제2장악부의 상대위치 변경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갖는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어 활용 범위가 넓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제1장악부와 제2장악부에 의해 케이블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장악할 수 있어 꺾임 등에 따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이동부와 가압부의 다중에 걸친 가압작동에 의해 케이블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연결부, 지지부 등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한번의 조작만으로 작동부가 케이블의 외주면을 자동으로 가압시킴에 따라 복잡한 시공에 따른 시간, 비용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와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와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고정부(100), 삽입부(200), 작동부(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케이블(1)을 무정전 간접활선 시공 시 사용되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케이블(1)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치 고정이 필요한 통상적인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고정부(100)는 활선 작업 중인 전주(미도시)에 고정되어 후술할 삽입부(200)와 작동부(3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고정부(100)는 필요에 따라 방향,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부(1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전주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케이블(1), 삽입부(200), 작동부(300)의 무게에 따른 하중을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을 지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00)는 고정부(100)에 연결되고, 내부에 케이블(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삽입부(200)는 고정부(10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고정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부(200)는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되어 케이블(1)이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하고, 내부면에 케이블(1)의 일측 둘레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작동부(300)는 삽입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케이블(1)을 삽입부(200)에 고정시킨다. 작동부(300)는 슬라이드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삽입부(20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작동부(300)는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삽입부(200)에 안착된 케이블(1)의 일측 둘레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 둘레를 가압함으로써 케이블(1)을 삽입부(200)에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각 구성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는 제1고정부재(110), 제2고정부재(1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재(110)는 전주에 고정되고, 전주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전주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전주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110)는 전주와 마주보는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판 형상의 고정수단 등에 의해 전주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120)는 제1고정부재(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삽입부(200)와 연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재(120)는 제1고리부(121), 제2고리부(122), 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제1고리부(121)는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리부(121)는 제1고정부재(110)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제1고정부재(110) 둘레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1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재(110)의 내주면은 제1고정부재(110)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고리부(122)는 제1고리부(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고정부재(110)의 타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리부(122)는 제1고정부재(110) 둘레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고리부(121)가 감싸지 않는 제1고정부재(110)의 나머지 외주면에 밀착된다. 제2고리부(122)는 제1고리부(121)의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제1고리부(121)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제2고리부(122)는 타단부가 제1고리부(121)의 타단부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리부(122)는 제1고리부(121)와 함께 제1고정부재(110)의 외주면에 가압 고정된다.
결합부(123)는 제2고리부(122)로부터 연장되고, 삽입부(200)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23)는 대략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고리부(122)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고리부(12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고리부(122)에는 후술할 삽입부(200)에 구비되는 걸림부(211)가 연결될 수 있도록 걸림홀(124)이 제2고리부(12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와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200)는 연결부(210), 안착부(220),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연결부(210)는 고정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삽입부(200)의 구성을 고정부(100)와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10)는 걸림부(211)와, 연장부(212)를 포함한다.
걸림부(211)는 일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는 막대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걸림부(211)는 이러한 고리 형상의 일단부가 결합부(123)의 걸림홀(124)에 삽입됨에 따라 결합부(123)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211)의 직경은 걸림홀(124)의 직경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2)는 걸림부(21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걸림부(211)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폭이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장부(212)는 폭 방향으로 후술할 안착부(220)와 지지부(230)를 이격되게 배치시킴으로써 삽입부(200)로 하여금 케이블(1)이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안착부(220)는 연결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케이블(1)의 일측 둘레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220)는 연장부(212)의 일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내주면이 케이블(1)의 일측 둘레에 밀착된다.
안착부(220)의 내주면에는 케이블(1)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안착부(20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221)이 구비될 수 있다. 안착홈(221)의 길이는 케이블(1)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블(1)의 둘레의 절반 이하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220)의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한 손으로 작동부(300)를 조작하는 경우, 다른 한손으로 손잡이부(240)를 파지함으로써 삽입부(200)의 위치, 방향등이 변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230)는 연결부(210)로부터 연장되고, 안착부(220)와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작동부(3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0)는 연장부(212)의 타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안착부(220)와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지지부(230)에는 지지부(230)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3관통부(231)가 형성되어 후술할 작동부(300)에 구비되는 이동부(310)가 삽입된다. 제3관통부(23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이동부(310)를 나사 결합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부(31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지지부(230)에는 지지부(230)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안내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홀(232)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3관통부(2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안내홀(232)의 직경은 후술할 안내부재(321d)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4,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300)는 이동부(310), 가압부(320)를 포함한다.
이동부(310)는 삽입부(200)를 관통하여 케이블(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10)는 이동부재(311), 조절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311)는 대략 막대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일단이 제3관통부(231)로 삽입되어 지지부(230)의 내주면으로 돌출된다. 이동부재(31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3관통부(231)와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311)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시 이동로드(311)의 일단이 지지부(23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동부재(311)에는 이동부재(311)의 일단으로부터 이동부재(311)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313)은 이동부재(3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조절부(312)는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이동로드(311)의 타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12)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로드(311)의 타단에 연결된다. 조절부(312)는 이동로드(311)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이동로드(3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절부(312)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의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가압부(320)는 이동부(310)에 연결되어 삽입부(100) 내부에 케이블(1)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동부(100)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케이블(1)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20)는 가이드부(321), 가압부재(322), 탄성부(323)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21)는 이동부(310)에 연결되고, 이동부(310)가 이동됨에 따라 이에 연동되어 케이블(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21)는 "ㄷ"자 형상 형상의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개구된 측이 케이블(1)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폐쇄된 측이 이동부(310)의 이동부재(311)와 연결된다. 가이드부(321)는 이동부재(311)의 회전과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부재(311)의 일단이 단순 삽입, 접촉되는 것에 의해 이동부재(311)와 연결된다.
가이드부(321)에는 가이드부(321)의 양측면을 관통하고, 설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21a)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321a)이 연장되는 설정 방향은 후술할 가압부재(322)의 바디부(322a)가 가이드부(3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케이블(1)의 외주면과 근접하게 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321a)은 가이드부(321)의 길이방향과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321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323)과 근접한 일단부의 높이가 타단부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레일(321a)이 설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가이드부(321)의 폐쇄된 측의 내부면 역시 이에 대응되어 상승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21)에는 가이드부(321)의 폐쇄된 측을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관통부(321b)가 구비된다. 제2관통부(321b)는 이동부재(311)에 구비되는 삽입홀(313)과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관통부(321b)는 후술할 이동제한부(322c)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가이드부(321)의 일단에는 가이드부(321)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탄성부(323)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321d)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321d)는 중공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가이드부(321)의 폐쇄된 측의 일단에 연결된다.
가이드부(321)에는 가이드부(321)의 폐쇄된 측의 외측에 연결되고, 지지부(230)를 향해 연장되는 안내부재(321d)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321d)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부(230)의 안내홀(232)로 삽입된다. 안내부재(321d)는 안내홀(232)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어 복수개로 가이드부(3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안내부재(321d)는 가이드부(321)가 케이블(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이드부(321)를 이동부(310)의 양측에서 지지함에 따라, 가이드부(321)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322)는 케이블(1)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가이드부(321)에 설치된다. 가압부재(322)는 가이드부(3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부(321)의 이동에 의해 케이블(1)의 외주면에 접촉 시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케이블(1)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322)는 바디부(322a), 제1관통부(322b), 이동제한부(322c), 이동허용부(322d)를 포함한다.
바디부(322a)는 가이드부(3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322a)는 가이드부(321)의 내부 빈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321)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바디부(322a)는 바디부(322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322e)가 가이드부(321)의 가이드레일(321a)에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부(3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322a)는 가이드레일(321a)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안내된다.
바디부(322a)가 케이블(1)과 마주보는 면은 케이블(1)의 타측 둘레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바디부(322a)가 케이블(1)과 마주보는 면은 케이블(1)과의 접촉이 강화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치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22a)는 설정 방향, 즉 바디부(322a)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향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 가이드부(321)의 내부 측면 역시 설정 방향으로 향할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322a)는 슬라이드 작동시 탄성부(3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부(3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관통부(322b)는 가이드부(321)에 구비되는 제2관통부(321b)와 연통되도록 바디부(322a)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관통부(322b)는 바디부(322a)가 케이블(1)과 마주보는 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관통부(322b)는 폭 또는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2관통부(321b)에 비해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관통부(322b)는 후술할 이동허용부(322d)가 제2관통부(321b)로 삽입되어 바디부(322a)의 슬라이드 이동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관통부(322b)의 단면형상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동제한부(322c)는 제2관통부(321b)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가 제1관통부(322b)로 돌출되어 바디부(322a)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한부(322c)는 일단이 이동부(310)의 삽입홀(313)로 끼움 결합 등에 삽입되어 삽입홀(313)에 슬라이드 연결된다. 이동제한부(322c)는 타단이 삽입홀(313)과 연통된 제2관통부(321b)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관통부(321b)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동제한부(322c)의 타단은 제2관통부(321b)로부터 제1관통부(322b)를 향해 연장되어 바디부(322a)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동제한부(322a)는 케이블(1)의 설치 전 탄성부(323)에 의해 바디부(322a)가 설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제한부(322c)는 가이드부(321)의 폐쇄된 측의 내부면이 설정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우, 타단의 상부면이 이와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동제한부(322c) 일단에는 양단이 각각 이동제한부(322c)와 이동부재(311)에 접하고,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스프링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스프링은 가압부재(322a)가 케이블(1)로부터 가압해제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이동제한부(322c) 타단이 제1관통부(322b)로 삽입되어 바디부(322a)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허용부(322d)는 이동제한부(322c)에 접하도록 제1관통부(322b)에 설치되고, 케이블(1)의 외주면과 접촉 시 이동제한부(322c)의 단부를 제2관통부(321b)로 삽입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허용부(322d)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관통부(322b)로 삽입된다. 이동허용부(322d)의 일측은 이동제한부(322c)의 상부면에 접하고, 타측은 바디부(322a)의 상면으로부터 케이블(1)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다. 이동허용부(322d)는 제1관통부(322b)를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1관통부(322b)에 삽입된다. 이동허용부(322d)의 단면의 폭은 제2관통부(322b)의 단면의 폭보다 넓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관통부(322b)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부(323)는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23)는 탄성부몸체(323a), 탄성부재(323b)를 포함한다.
탄성부몸체(323a)는 막대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가이드부(321)에 구비되는 체결부(321d)에 삽입되어 일단이 바디부(322a)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탄성부재(323b)는 탄성부몸체(323a)의 외주면에 삽입되고, 양단이 각각 바디부(322a)와 체결부(321d)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탄성부재(323b)는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비되어 가압부재(322)의 바디부(322a)가 설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바디부(322a)를 가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전주의 작업 공간과 근접한 위치까지 인양된 케이블(1)을 삽입부(200) 내부로 삽입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1)은 안착부(220)와 지지부(230)가 마주보는 공간 사이로 삽입되고, 일측 둘레가 안착부(220)에 구비된 안착홈(221)에 안착된다.
이후 작업자는 작동부(300)를 이동시켜 케이블(1)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조절부(312)를 이동부재(311)의 원주방향 일측(도 7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이동부재(311)가 회전되고, 이동부재(3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이동부재(311)의 단부가 지지부(230)의 내주면으로부터 케이블(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부재(311)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부재(311)의 단부에 연결된 가압부(320) 역시 케이블(1)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된다. 이후 가압부(320)는 케이블(1)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케이블(1)을 삽입부(200) 내부에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20)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이동부(310)의 이동부재(311)의 단부에 연결된 가이드부(321)와 가압부재(322)는 이동부재(311)의 이동에 연동되어 케이블(1)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된다.
바디부(322a)가 케이블(1)의 외주면에 접촉되기 직전까지는 이동제한부(322c)가 제2관통부(321b)와 제2관통부(322b)를 모두 관통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바디부(322a)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된다.
이후 바디부(322a)가 케이블(1)의 외주면에 근접함에 따라 바디부(322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이동허용부(322d)가 가장 먼저 케이블(1)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 이동허용부(322d)는 제1관통부(322b)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이동제한부(322c)를 제2관통부(321b)로 삽입시킨다.
바디부(322a)가 케이블(1)의 타측 둘레에 완전히 접촉되면 이동허용부(322d)의 폭이 제1관통부(322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이동허용부(322d)는 하부면이 제1관통부(321b)와 제2관통부(322b)의 경계면과 나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동시에 이동제한부(322c)의 상단부는 제2관통부(322b)로 삽입되어 제1관통부(321b)와 제2관통부(322b)의 경계면과 나란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동제한부(322c)와 이동허용부(322d)의 경계면과 제1관통부(321b)와 제2관통부(322b)의 경계면이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바디부(322a)의 슬라이드 경로가 개방된다.
이후 바디부(322a)는 탄성부(323)의 탄성부재(323b)로부터 가이드부(321)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전달받는다. 바디부(322)는 이러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레일(321a)을 따라 가이드부(321)의 길이방향과 케이블(1)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의 벡터 합인 설정 방향(도 9 기준 우측 상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바디부(322a)는 케이블(1)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케이블(1)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케이블(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에 고정된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삽입부와 작동부의 상대위치 변경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갖는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어 활용 범위가 넓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삽입부와 작동부에 의해 케이블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장악할 수 있어 꺾임 등에 따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이동부와 가압부의 다중에 걸친 가압작동에 의해 케이블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연결부, 지지부 등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한번의 조작만으로 가압부재가 케이블의 외주면을 자동으로 가압시킴에 따라 복잡한 시공에 따른 시간, 비용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케이블
10 : 케이블 고정 장치
100 : 고정부 110 : 제1고정부재
120 : 제2고정부재 121 : 제1고리부
122 : 제2고리부 123 : 결합부
200 : 삽입부 210 : 연결부
211 : 걸림부 212 : 연장부
220 : 안착부 221 : 안착홈
230 : 지지부 231 : 제3관통부
232 : 안내홀 240 : 손잡이부
300 : 작동부 310 : 이동부
311 : 이동부재 312 : 조절부
313 : 삽입홀 320 : 가압부
321 : 가이드부 321a : 가이드레일
321b : 제2관통부 321c : 체결부
321d : 안내부재 322 : 가압부재
322a : 바디부 322b : 제1관통부
322c : 이동제한부 322d : 이동허용부
323 : 탄성부 323a : 탄성부몸체
323b : 탄성부재
100 : 고정부 110 : 제1고정부재
120 : 제2고정부재 121 : 제1고리부
122 : 제2고리부 123 : 결합부
200 : 삽입부 210 : 연결부
211 : 걸림부 212 : 연장부
220 : 안착부 221 : 안착홈
230 : 지지부 231 : 제3관통부
232 : 안내홀 240 : 손잡이부
300 : 작동부 310 : 이동부
311 : 이동부재 312 : 조절부
313 : 삽입홀 320 : 가압부
321 : 가이드부 321a : 가이드레일
321b : 제2관통부 321c : 체결부
321d : 안내부재 322 : 가압부재
322a : 바디부 322b : 제1관통부
322c : 이동제한부 322d : 이동허용부
323 : 탄성부 323a : 탄성부몸체
323b : 탄성부재
Claims (8)
-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삽입부에 고정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측 둘레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부;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 시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는 제2관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1관통부;
상기 제2관통부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제1관통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는 이동제한부; 및
상기 이동제한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관통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접촉 시 상기 이동제한부의 단부를 상기 제2관통부로 삽입시키는 이동허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바디부는 상기 설정 방향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주에 고정되고, 상기 전주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제1고리부;
상기 제1고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측 둘레를 감싸는 제2고리부; 및
상기 제2고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935A KR102355161B1 (ko) | 2020-05-19 | 2020-05-19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68A KR102355164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0A KR102355166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1A KR102355167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69A KR102355165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3A KR102355169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2A KR102355168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935A KR102355161B1 (ko) | 2020-05-19 | 2020-05-19 | 케이블 고정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4372A Division KR102355168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69A Division KR102355165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3A Division KR102355169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68A Division KR102355164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0A Division KR102355166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1A Division KR102355167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3033A true KR20210143033A (ko) | 2021-11-26 |
KR102355161B1 KR102355161B1 (ko) | 2022-01-25 |
Family
ID=78700407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9935A KR102355161B1 (ko) | 2020-05-19 | 2020-05-19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1A KR102355167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68A KR102355164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2A KR102355168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3A KR102355169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0A KR102355166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69A KR102355165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4371A KR102355167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68A KR102355164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2A KR102355168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3A KR102355169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70A KR102355166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KR1020210164369A KR102355165B1 (ko) | 2020-05-19 | 2021-11-25 | 케이블 고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7) | KR10235516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33487A (zh) * | 2022-05-20 | 2022-09-30 | 东营市南方电器有限责任公司 | 一种输电线路用滑扣式铝合金耐张线夹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4163Y1 (ko) * | 2001-11-08 | 2002-02-19 | 한국전력공사 |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
KR101757195B1 (ko) * | 2016-10-11 | 2017-07-11 | 주식회사 성진 |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
KR101800149B1 (ko) * | 2017-04-26 | 2017-12-20 | 황용임 | 무정전 바이패스용 가지지 클리트 |
-
2020
- 2020-05-19 KR KR1020200059935A patent/KR1023551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1-25 KR KR1020210164371A patent/KR1023551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25 KR KR1020210164368A patent/KR1023551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25 KR KR1020210164372A patent/KR1023551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25 KR KR1020210164373A patent/KR10235516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25 KR KR1020210164370A patent/KR1023551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25 KR KR1020210164369A patent/KR1023551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4163Y1 (ko) * | 2001-11-08 | 2002-02-19 | 한국전력공사 |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
KR101757195B1 (ko) * | 2016-10-11 | 2017-07-11 | 주식회사 성진 |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
KR101800149B1 (ko) * | 2017-04-26 | 2017-12-20 | 황용임 | 무정전 바이패스용 가지지 클리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33487A (zh) * | 2022-05-20 | 2022-09-30 | 东营市南方电器有限责任公司 | 一种输电线路用滑扣式铝合金耐张线夹 |
CN115133487B (zh) * | 2022-05-20 | 2023-08-15 | 东营市南方电器有限责任公司 | 一种输电线路用滑扣式铝合金耐张线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5161B1 (ko) | 2022-01-25 |
KR102355166B1 (ko) | 2022-02-08 |
KR20210148982A (ko) | 2021-12-08 |
KR102355167B1 (ko) | 2022-02-08 |
KR20210148980A (ko) | 2021-12-08 |
KR20210148983A (ko) | 2021-12-08 |
KR20210148978A (ko) | 2021-12-08 |
KR102355168B1 (ko) | 2022-02-08 |
KR102355169B1 (ko) | 2022-02-08 |
KR20210148979A (ko) | 2021-12-08 |
KR20210148981A (ko) | 2021-12-08 |
KR102355165B1 (ko) | 2022-02-08 |
KR102355164B1 (ko) | 2022-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5167B1 (ko) | 케이블 고정 장치 | |
US20190190171A1 (en) | Cam driven, spring loaded grounding clamp | |
KR102162545B1 (ko) |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 |
CN102155587A (zh) | 线缆夹具 | |
US9653903B2 (en) | Electrically conductive housing with cable strain relief and shield connection | |
KR200457438Y1 (ko) | 광 케이블 접속 장치 | |
CN107528261A (zh) | 一种连接可靠的电力检修辅助工具 | |
CN218300747U (zh) | 一种电网施工用导线支撑调节器 | |
JP3500029B2 (ja) | 作業用アームのバランス装置 | |
US6368145B1 (en) | Plug | |
KR20130058443A (ko) | 케이블 연결장치 | |
CN113991559B (zh) | 一种缆线固定用缆线夹 | |
KR102526895B1 (ko) | 케이블 지지장치 | |
KR101464079B1 (ko) | 파라솔 기울기 조절장치 | |
KR102682886B1 (ko) | 콘센트가 구비된 미용 트레이 | |
KR102653670B1 (ko) | 덕빌클램프에 체결이 용이한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 |
CN214227662U (zh) | 一种配电网辅助固定工具 | |
US20240327170A1 (en) | Lifting tool arrangement for lifting a component, tool for such a lifting tool arrangement and method for lifting a wind turbine component | |
CN221227081U (zh) | 一种便于调节的u型挂环 | |
KR102697549B1 (ko) |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 |
CN213827132U (zh) | 一种索具生产用机加工设备 | |
CN211114915U (zh) | 一种建筑施工用墙体支撑装置 | |
KR20110083123A (ko) | 애자용 전력케이블의 지지장치 | |
GB1596834A (en) | Cable installing and adjusting method | |
KR20210120488A (ko) | 인장 클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