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438Y1 - 광 케이블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438Y1
KR200457438Y1 KR2020090013568U KR20090013568U KR200457438Y1 KR 200457438 Y1 KR200457438 Y1 KR 200457438Y1 KR 2020090013568 U KR2020090013568 U KR 2020090013568U KR 20090013568 U KR20090013568 U KR 20090013568U KR 200457438 Y1 KR200457438 Y1 KR 200457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housing
modul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073U (ko
Inventor
신동우
박종선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3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43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4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G02B6/483Installation of aeri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 케이블 접속 장치를 개시한 것으로서, 광 케이블 접속 모듈이 내장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잠금 모듈이, 제 2 하우징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제 1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요(凹)부 형상의 잠금 홈이 형성된 잠금 레버; 및 제 2 하우징에 제공되며, 그리고 잠금 레버의 회전에 의해 잠금 홈과 억지 끼워 맞춤되는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를 가지는 레버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광 케이블, 접속, 하우징, 가설, 여장판, 록킹, 중심인장선

Description

광 케이블 접속 장치{OPTICAL CABLE CONNECTION APPARATUS}
본 고안은 광 케이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선형 가공 케이블 접속 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국과 가입자간을 광 케이블로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접속지점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점들에는 광 케이블용 접속 자재들 예컨데, 광 케이블 접속 함체류나 광 중간절체함 또는 공단자함 등이 설치되어 광 케이블간을 서로 연결시켜 준다.
광케이블 접속 자재들은 서로 끊어져 있는 광 케이블들을 서로 연결시켜줄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의하여 접속 부위가 열화 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은 광 케이블의 접속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는 서로 마주보며, 내부에 광 케이블 접속 모듈이 내장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잠금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요(凹)부 형상의 잠금 홈이 형성된 잠금 레버;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홈과 억지 끼워 맞춤되는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를 가지는 레버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은 회전 방식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레버 록킹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반대 측을 향하는 수 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록킹부는 상기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의 반대 측에 제공되며, 상기 잠금 레버와 상기 제 1 하우징의 힌지 결합 축이 삽입 고정되는 일부 개구된 링 형상의 힌지 축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레버는 요(凹)부 형상의 단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레버 록킹부는 상기 잠금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하우징 상단부의 복수의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잠금 레버의 상부 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로드 형상의 레버 핸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 핸들러는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잠금 홈과 상기 레버 록킹부의 상기 잠금 돌기가 억지 끼워 맞춤되도록 상기 잠금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잠금 레버의 상부 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로드 형상의 레버 핸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 핸들러는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잠금 홈과 상기 레버 록킹부의 상기 잠금 돌기가 억지 끼워 맞춤되도록 상기 잠금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잠금 레버의 상부 면 중심부에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레버 핸들러는 상기 홀들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로드들; 상기 제 1 로드들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로드들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로드들; 및 상기 제 2 로드들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 3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우징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광 케이블의 접속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 장치(1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 장치(10)는 하우징(100)과 가설 모듈(2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가설 모듈(200)에 의해 가공 지선(GW, Ground Wire)에 고정되고, 하우징(100)에는 접속될 광 케이블(OC, Optical Cable)이 인입된다. 광 케이블(OC)은, 하우징(100)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인입되고 접속 시공된다. 시공 완료 후, 하우징(100)은, 광 케이블(OC)의 연결 부위 및 광 섬유의 접속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가설 모듈(200)은, 하우징(100)이 공중에 가설되도록 하우징(100)을 가공 지선(GW)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 상단의 복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설 모듈(200)은 하우징(100) 상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는 시공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가설 모듈(200)은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에 따라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가설 모듈(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설 모듈(200)은 제 1 및 제 2 연결 부재(220, 240), 그리고 제 1 체결 부재(260)를 포함한다. 제 1 연결 부재(220)는 가공 지선(GW)을 파지한다. 제 2 연결 부재(240)는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제 1 연결 부재(2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 제 1 연결 부재(220)는 제 1 체결 부재(260)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240)에 결합된다.
제 1 연결 부재(220)는 가동판(222)과 파지부(230)를 포함한다. 가동판(222)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변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동판(222)의 하단부에는 제 1 체결 홀(223)이 관통 형성되고, 제 1 체결 홀(223)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222)의 상단부에는 제 1 파지 홀(225)이 관통 형성되고, 제 1 파지 홀(225)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판(222)의 좌우 양 측면에는 가이드 돌기(2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230)는 가공 지선(GW)을 파지하도록 가동판(222)에 제공된다. 파지부(230)는 가동판(222)의 상단으로부터 '∩'자 모양으로 연장된 파지판(232)을 가진다. 파지판(232) 상에는, 가동판(222)의 제 1 파지 홀(225)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 2 파지 홀(233)이 형성된다. 제 2 파지 홀(233)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장공 형상의 홀일 수 있다. 가동판(222)에 형성된 제 1 파지 홀(225)과, 파지판(232)에 형성된 제 2 파지 홀(233)에는 제 2 체결 부재(234)가 삽입된다. 제 2 체결 부재(234)는 외주 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 나사일 수 있다.
가공 지선(GW)이 파지판(232)의 곡선부에 삽입된 후, 제 2 체결 부재(234)가 제 1 및 제 2 파지 홀들(225,233)에 체결되면, 제 1 연결 부재(220)가 가공 지선(GW)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240)는 고정판(242)과 가이드부(250)를 포함한다. 고정판(242)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변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고정판(242)의 하단부에는 고정 홀들(24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242)이 하우징(100)의 벽면에 접한 상태에서, 고정 홀들(243)에 체결 나사가 체결되면, 고정판(242)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250)는 제 1 연결 부재(220)의 가동판(22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 도록 고정판(242)에 제공된다. 가이드부(250)는 고정판(242)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가이드 플레이트들(252)과, 제 1 가이드 플레이트들(252)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 플레이트들(254)을 가진다. 가동판(222)이 고정판(242)과 가이드부(250) 사이에 삽입되면, 제 1 가이드 플레이트들(252)은 가동판(222)의 양 측면을 지지하고, 제 2 가이드 플레이트들(254)은 가동판(222)의 배면을 지지한다.
제 1 가이드 플레이트들(252)에는 가동판(22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의 가이드 홀(253)이 형성되고, 가이드 홀(253)에는 가동판(22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27)가 삽입된다. 가이드 돌기(227)는 가동판(22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가동판(222)이 위쪽으로 이동할 경우, 가이드 돌기(227)가 가이드 홀(253)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면, 가동판(222)의 이동이 멈추어진다. 그리고, 가동판(222)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 가이드 돌기(227)가 가이드 홀(253)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면, 가동판(222)의 이동이 멈추어진다.
고정판(242)에는 가동판(222)의 상하 이동에 따른 제 1 체결 홀(223)의 이동 궤적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 체결 홀들(245)이 관통 형성되며, 제 2 체결 홀들(245)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222)은 제 1 체결 홀(223)이 제 2 체결 홀들(245) 중 어느 하나의 홀에 정렬되도록 이동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체결 홀(223, 245)에 제 1 체결 부재(260)가 삽입되면, 가동판(222)이 고정판(242)에 결합된다. 제 1 체결 부재(260)는 외주 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 나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설 모듈(200)은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에 따라 가변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가 먼 경우, 제 1 체결 홀(223)이 제 2 체결 홀들(245) 중 가장 위쪽의 홀에 정렬되도록 가동판(222)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체결 홀들(223,245)에 제 1 체결 부재(260)를 체결한다.(도 3a) 이와 반대로,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가 가까운 경우, 제 1 체결 홀(223)이 제 2 체결 홀들(245) 중 가장 아래쪽의 홀에 정렬되도록 가동판(222)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체결 홀들(223,245)에 제 1 체결 부재(260)를 체결한다.(도 3b)
하우징(100)은, 가설 부재(200)에 의해 가공 지선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 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개폐될 수 있다.
도 4는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은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방식에 개폐될 수 있다. 가설 부재(200)는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 1 하우징(100a)은 가설 부재(200)에 의해 가공 지선에 고정되므로, 하우징(100)은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이 닫히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100b)은 잠금 모듈(300)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그리고, 광 케이블의 접속 시공을 위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100b)은 잠금 모듈(300)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잠금 모듈(300)은 잠금 레버(320)와, 레버 록킹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레버(320)는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레버 록킹부(340)는 제 2 하우징(100b)의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잠금 레버(320)가 힌지 결합에 의해 레버 록킹부(340)를 향해 회전되고, 레버 록킹부(340)와 결합되면,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이 잠금 상태로된다.
도 5는 도 4의 잠금 레버와 제 1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잠금 레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잠금 레버가 제 1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잠금 레버(320)는 몸체(322)와 가동 힌지부(324)를 포함한다. 몸체(322)는 'ㄱ'자 모양의 유선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몸체(322)의 상하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가동 힌지부(324)가 결합된다. 가동 힌지부(324)는 몸체(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부에는 잠금 레버(320)의 가동 힌지부(324)가 힌지 결합 되는 고정 힌지부(110)가 제공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힌지부(324)가 고정 힌지부(110)에 힌지 결합되고, 가동 힌지부(324)와 고정 힌지부(110)의 홀들(미도시)에 힌지 축(326)이 결합됨으로써, 잠금 레버(320)가 제 1 하우징(100a)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가동 힌지부(324)가 결합되는 몸체(322)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요(凹)부 형상의 잠금 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홈(323)은 후술할 레버 록킹부(340)의 잠금 돌기(342)에 끼워 맞춤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잠금 레버(320)의 몸체(322)의 중앙부 상면에는 복수 개의 홀들(325)이 형성될 수 있다. 홀들(325)에는 도 8에 도시된 레버 핸들러(360)가 삽입된다. 레버 핸들러(360)는 잠금 레버(320)가 레버 록킹부(340)에 결합되도록 잠금 레버(320)를 회전시킨다. 레버 핸들러(320)는 홀들(235)에 삽입되는 제 1 로드들(362a, 362b)과, 제 1 로드들(362a, 362b)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홀들(325)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로드들(364a, 364b), 그리고 제 2 로드들(364a, 364b)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 3 로드(3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제 2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0a는 도 9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b는 도 9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레버 록킹부(340)는 잠금 레버(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 하우징(100b) 상단부의 복수의 지점에 일렬로 제공될 수 있다. 레버 록킹부(340)는 제 1 레버 록킹부(340a)와 제 2 레버 록킹부(340b)를 포 함하며, 레버 록킹부(340)는 제 2 하우징(100b) 상단의 중앙 영역과,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레버 록킹부(340b)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레버 록킹부(340a)는 제 2 레버 록킹부(340b)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레버 록킹부(340a)는 제 2 하우징(100b) 상단부의 상면에 제공되는 잠금 돌기(342a)를 가진다. 잠금 돌기(342a)는 철(凸)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의 반대 측을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잠금 돌기(342a)의 철(凸)부 형상은 잠금 레버(320)의 잠금 홈(323)의 요(凹)부 형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잠금 돌기(342a)는 잠금 레버(320)의 회전에 의해 잠금 레버(320)의 잠금 홈(323)과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제 2 레버 록킹부(340b)는 제 2 하우징(100b) 상단부의 상면에 제공되는 잠금 돌기(342b)를 가진다. 잠금 돌기(342b)는 철(凸)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의 반대 측을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잠금 돌기(342b)의 철(凸)부 형상은 잠금 레버(320)의 잠금 홈(323)의 요(凹)부 형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잠금 돌기(342b)는 잠금 레버(320)의 회전에 의해 잠금 레버(320)의 잠금 홈(323)과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그리고,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342b)의 반대 측에는 힌지 축 고정 부재(344b)가 제공될 수 있다. 힌지 축 고정 부재(344b)는 일부가 개구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힌지 축 고정 부재(344b)에는 잠금 레버(320)와 제 1 하우징(100a)의 힌지 결합 축(도 7의 도면 참조 번호 326)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잠금 레버(320), 레버 록킹 부재(340) 및 레버 핸들러(360)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 100b)의 잠금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3은 클립 핸들을 이용한 하우징의 잠금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이 닫힌 상태에서, 잠금 레버(320)는 제 2 하우징(100b)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잠금 레버(320)가 일정 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잠금 레버(320)의 홀(325)에 레버 핸들러(360)가 삽입된다. 레버 핸들러(360)가 제 2 하우징(100b)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잠금 레버(310)가 회전하여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을 잠금 상태가 되도록한다.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의 잠금 해제는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2의 레버 핸들(360)의 동작에 의해 도 13의 잠금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하우징 잠금 과정에서의 잠금 레버와 레버 록킹부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잠금 레버(320)와 제 1 하우징(100a)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 축(도 7의 도면 참조 번호 326)이 레버 록킹부(340)의 힌지 축 고정 부재(344b)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 레버(320)가 제 2 하우징(100b)을 향해 회전하면, 잠금 홈(323)의 일측의 돌출부가 잠금 돌기(342b)의 모서리부와 접촉한다. 잠금 홈(323)과 잠금 돌기(342b)의 접촉으로 인해 잠금 레버(320)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에, 잠금 레버(320)는 외력의 작용이 없이 자체로 회전할 수 없게된다.(도 14a)
이때, 잠금 레버(320)에 레버 핸들러(360)를 삽입하고, 레버 핸들러(36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면, 잠금 홈(323)의 일측의 돌출부가 잠금 돌기(342b)의 모서리부를 타고 넘어 회전한다.(도 14b)
계속해서, 레버 핸들러(36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면, 잠금 레버(320)가 회전하며, 잠금 레버(320)는 잠금 홈(323)에 레버 록킹부(340)의 잠금 돌기(342b)가 삽입될 때까지 회전된다. 잠금 돌기(342b)의 잠금 홈(323)으로의 삽입은 일종의 억지 끼워 맞춤으로, 레버 핸들러(360)를 이용한 외력의 작용에 의해 잠금 홈(323)에 잠금 돌기(342b)가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잠금 레버(320)의 몸체(322) 내측면은 제 2 하우징(100b)의 외측 면에 접촉된다.(도 14c)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6은 도 4의 광 케이블 접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케이블 가스켓(120), 케이블 홀더(130) 및 심선 보호용 가스켓(140)은 제 1 하우징(100a)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으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수만큼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가스켓(120), 케이블 홀더(130) 및 심선 보호용 가스켓(140)은 제 1 하우징(100a)의 좌우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광 케이블은 가장 내측에 위치한 원추 형상의 케이블 가스켓(120)을 통해 제 1 하우징(100a)으로 인입되며, 인입되는 광 케이블은 케이블 홀더(130)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심선 보호용 가스켓(140)은 케이블 홀더(130)의 외측에 위치한 광 케이블의 부분을 감싼다.
제 1 하우징(100a)에 인입된 광 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400)에 의해 고정되고, 광 섬유 심선은 여장판(510)에서 접속 및 여장 처리된다.
도 17은 도 16의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연결 로드와 제 1 고정판의 사시도이며, 도 19a 및 도 19b는 도 16의 제 2 고정판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400)은 브라켓(410), 연결 로드(420), 제 1 및 제 2 고정판(430,440) 그리고 체결 부재(460)를 포함한다. 브라켓(410)은 길이 방향이 중심인장선(CSM, Central Strength Member) 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의 내벽에 설치된다.
연결 로드(420)는 길이 방향이 브라켓(4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고, 브라켓(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로드(420)는 브라켓(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로드(420)의 단부에는 제 1 고정판(430)이 연결된다. 제 1 고정판(430)과 마주보도록 제 2 고정판(440)이 제공되며, 제 1 고정판(430)과 제 2 고정판(440)의 사이에는 중심인장선(CSM)이 위치한다. 제 2 고정판(440)의 제 1 고정판(430)과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인장선(CSM)이 삽입되는 삽입 홈(4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판(430)에는 암나사 홀(432)이 형성되고, 제 2 고정판(440)에는 암나사 홀(432)에 정렬된 체결 홀(444)이 관통 형성된다. 체결 홀(444)은 중심인장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판(440) 상의, 삽입 홈(442)을 중심으로 체결 홀(444)의 반대 편에는 제 1 고정판(430)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측판(450)이 연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측판(450)은 제 1 고정판(430)을 향해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체결 부재(460)는 중심인장선이 고정되도록 제 2 고정판(440)을 제 1 고정판(430)에 가압한다. 체결 부재(460)는 외주 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 나사일 수 있으며, 체결 부재는 체결 홀(444)을 관통하여 암나사 홀(432)에 나사 결합된다.
광 섬유 심선은, 중심인장선이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400)에 고정된 상태에 서, 여장판(510)에서 접속 및 여장 처리된다. 여장판(510)은, 여장판 지지 부재(520)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제 1 하우징(100a)에 반출입될 수 있다.
도 21은 여장판 지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도 21의 "C" 부분을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여장판 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여장판 지지 모듈(500)은 여장판(510), 여장판 지지 부재(520) 및 록킹 부재(540)를 포함한다. 여장판(510)은 광 케이블의 광 섬유 심선을 접속하고, 여장판(510)은 여장판 지지 부재(5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여장판(510)은 여장판 지지 부재(520)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에 반출입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에 반입된 여장판 지지 부재(520)는 록킹 부재(540)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여장판 지지 부재(520)는 지지판(522), 가동 힌지부(524) 및 스토퍼(526)를 포함한다. 지지판(522)에는 여장판(510)이 놓이고, 지지판(522)은 제 1 하우징(100a)에 회전 방식에 의해 반출입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지지판(522)에는 가동 힌지부(524)가 제공되고, 제 1 하우징(100a)에는 고정 힌지부(150)가 제공된다. 가동 힌지부(524)는 회전 축(미도시)이 삽입되는 홀들이 대향 면에 형성된 'ㄷ'자 형상을 가지고, 지지판(522)에 결합된다. 고정 힌지부(150)는 로드 형상을 가지며, 제 1 하우징(100a)의 내벽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고정 힌지부(150)는 'ㄷ'자 형상 의 가동 힌지부(524) 내측에 삽입되고, 가동 힌지부(524)와 고정 힌지부(150)는 회전 축(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토퍼(526)는 가동 힌지부(524)의 개방된 하부에 제공되며, 여장판 지지 부재(520)가 제 1 하우징(100a)으로부터의 반출시, 고정 힌지부(150)와의 접촉에 의해 지지판(52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록킹 부재(540)는 잠금부(550)와 걸림턱(570)을 포함한다. 잠금부(550)는 누르는 힘을 이용한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걸림턱(570)에 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550)는 누름판(552), 걸림 돌기(554) 및 요철부(556)를 포함한다. 누름판(552)은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며, 지지판(552)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 돌기(554)는 누름판(552)의 단부에 결합되며, 후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누름판(552)의 가압면에는 요철부(55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570)은 제 1 하우징(100a)의 내측 상부벽으로부터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여장판 지지 모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6은 걸림 돌기가 걸림 턱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광 섬유 심선의 접속이나 여장 처리 등과 같은 시공 작업시, 지지판(522)은 회전되어 제 1 하우징(100a)으로부터 반출될 수 있 다.(도 24) 그리고 시공 작업의 완료시, 지지판(522)은 회전되어 제 1 하우징(100a)에 반입될 수 있으며(도 25), 이때 지지판(522)은 걸림 돌기(554)와 걸림 턱(570)의 결합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에 록킹될 수 있다.(도 26) 지지판(522)의 회전에 의해, 걸림 돌기(554)의 외측 면이 걸림 턱(570)에 접촉할 수 있고, 걸림 턱(570)의 외측 면이 경사면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지지판(522)의 더 이상의 회전에 의해 걸림 돌기(554)가 걸림 턱(570)을 타고 넘어 걸림 턱(5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가설 모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잠금 레버와 제 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잠금 레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잠금 레버가 제 1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레버 핸들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 2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잠금 모듈을 이용한 하우징의 잠금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하우징 잠금 과정에서의 잠금 레버와 레버 록킹부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하우징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4의 광 케이블 접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연결 로드와 제 1 고정판의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6의 제 2 고정판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20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여장판 지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C" 부분을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여장판 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여장판 지지 모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걸림 돌기가 걸림 턱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우징 200: 가설 부재
300: 잠금 모듈 320: 잠금 레버
340: 레버 록킹부 360: 레버 핸들러
400: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 500: 여장판 지지 모듈
510: 여장판 520: 여장판 지지 부재
550: 잠금부 554: 걸림 돌기
570: 걸림 턱

Claims (7)

  1. 서로 마주보며, 내부에 광 케이블 접속 모듈이 내장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잠금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요(凹)부 형상의 잠금 홈이 형성된 잠금 레버;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홈과 억지 끼워 맞춤되는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를 가지는 레버 록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은 회전 방식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레버 록킹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반대 측을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버 록킹부는 상기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의 반대 측에 제공되며, 상기 잠금 레버와 상기 제 1 하우징의 힌지 결합 축이 삽입 고정되는 일부 개구된 링 형상의 힌지 축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는 요(凹)부 형상의 단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레버 록킹부는 상기 잠금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하우징 상단부의 복수의 지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의 상부 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로드 형상의 레버 핸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 핸들러는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잠금 홈과 상기 레버 록킹부의 상기 잠금 돌기가 억지 끼워 맞춤되도록 상기 잠금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잠금 레버의 상부 면 중심부에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레버 핸들러는,
    상기 홀들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로드들;
    상기 제 1 로드들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로드들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로드들; 및
    상기 제 2 로드들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 3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5. 서로 마주보며, 내부에 광 케이블 접속 모듈이 내장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잠금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요(凹)부 형상의 잠금 홈이 형성된 잠금 레버;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홈과 억지 끼워 맞춤되는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를 가지는 레버 록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은 회전 방식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레버 록킹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반대 측을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잠금 레버는 요(凹)부 형상의 단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레버 록킹부는 상기 잠금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하우징 상단부의 복수의 지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의 상부 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로드 형상의 레버 핸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 핸들러는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잠금 홈과 상기 레버 록킹부의 상기 잠금 돌기가 억지 끼워 맞춤되도록 상기 잠금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잠금 레버의 상부 면 중심부에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레버 핸들러는,
    상기 홀들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로드들;
    상기 제 1 로드들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로드들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로드들; 및
    상기 제 2 로드들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 3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KR2020090013568U 2009-10-19 2009-10-19 광 케이블 접속 장치 KR200457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68U KR200457438Y1 (ko) 2009-10-19 2009-10-19 광 케이블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68U KR200457438Y1 (ko) 2009-10-19 2009-10-19 광 케이블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73U KR20110004073U (ko) 2011-04-27
KR200457438Y1 true KR200457438Y1 (ko) 2011-12-20

Family

ID=4420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568U KR200457438Y1 (ko) 2009-10-19 2009-10-19 광 케이블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4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574A2 (ko) 2009-03-26 2010-09-30 Yun Kwan-Sik 지방의 체내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동물용 담즙산염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KR101984279B1 (ko) * 2018-04-09 2019-05-30 주식회사 파워링크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23Y1 (ko) * 2013-02-19 2014-04-01 빛샘전자주식회사 커넥터형 접속함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821B1 (ko) * 1996-05-31 2000-01-15 이계철 환경 피해 방지용 통신 단자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821B1 (ko) * 1996-05-31 2000-01-15 이계철 환경 피해 방지용 통신 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574A2 (ko) 2009-03-26 2010-09-30 Yun Kwan-Sik 지방의 체내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동물용 담즙산염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KR101984279B1 (ko) * 2018-04-09 2019-05-30 주식회사 파워링크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73U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438Y1 (ko) 광 케이블 접속 장치
CN103250315A (zh) 应变减轻装置
TW201547115A (zh) 電插塞連接器
KR200457341Y1 (ko) 이중커버를 갖는 광단자함
WO2019208650A1 (ja) 碍子分離工法並びにこの工法で用いられる柱上吊上げ装置、碍子支持具、対電柱固定具及び掛吊具
KR101129558B1 (ko)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
WO2014200145A1 (ko) 잠금장치
KR20210042600A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20090002595U (ko) 광접속분배함
KR200457959Y1 (ko) 광 케이블 접속 장치
KR200457881Y1 (ko) 광 케이블 접속 장치
US20100314266A1 (en) Housing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gas stopper
CN106972291B (zh) 一种插接式电表接线夹
KR102403918B1 (ko) 모듈내장형 광케이블 단자함
KR100887419B1 (ko) 송·배전선용 클램프
JP5856449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WO2019206210A1 (zh) 一种光纤配线架柜
KR200452999Y1 (ko) 통합형 리모트 노드
US20170322385A1 (en) Telecommunications zone enclosure
JP3123594U (ja) クロージャ
CN212277858U (zh) 一种桥架供电及信号传输模块
KR102334208B1 (ko)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WO2013103207A1 (en) Optical cable terminal box
KR200363041Y1 (ko) 광통신용 옥외함체
JP5188273B2 (ja) ケーブル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