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279B1 -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279B1
KR101984279B1 KR1020180041203A KR20180041203A KR101984279B1 KR 101984279 B1 KR101984279 B1 KR 101984279B1 KR 1020180041203 A KR1020180041203 A KR 1020180041203A KR 20180041203 A KR20180041203 A KR 20180041203A KR 101984279 B1 KR101984279 B1 KR 10198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erminal box
optical cable
groov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링크
Priority to KR102018004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은, 광케이블이 감겨 보관되는 복수의 트레이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트레이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부 단자함; 상기 하부 단자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을 향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구가 구비된 상부 단자함; 상기 상부 단자함에서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의 대향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 케이블을 복수의 인출선으로 분기시키는 분기 어댑터; 상기 분기 어댑터를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단자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선이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구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Optical cable terminal box with multi-layer tray}
본 발명은 다세대 주택이나 개인주택 또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층 트레이를 통해 내부에 복수의 광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어 대용량 지원이 가능한 광케이블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유선통신망을 구축함에 있어서, 전화국으로부터 각 세대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선로는 전화국에서 공급되는 국선(광케이블)이 전신주에 설치된 옥외 단자함을 통해 분기되고 분기된 인입선들이 각 세대의 건물 벽 등에 설치되는 옥내용 단자함에 이르게 되고 옥내용 단자함에서 통신선을 세대 내에 필요한 장소(방, 거실 등)에 공급함으로 각 세대의 말단 단말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다세대 주택에 통신 라인을 공급하기 위해 기존의 동 케이블 옥외 단자함을 외부의 전신주 등에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환경의 변화, 그리고 사용자들의 욕구 증대로 인해 초고속 광대역 정보통신 환경, 유비쿼터스 환경의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고,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동 케이블로는 한계가 있어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가구에 통신선로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광케이블 역시 동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전신주 등에 설치되는 옥외 단자함을 통해 각 가정에 통신선로를 공급한다.
상기 광케이블을 각 가정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케이블을 여러 가닥으로 나누고 이를 각 가정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한 가닥의 광케이블이 여러 가닥으로 나뉘는 부분은 매우 복잡하므로 이를 잘 정리하여 단자함에 내장하고 상기 단자함을 외부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광케이블 단자함이라 한다.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단자함 내부에 광케이블이 감겨 보관되는 트레이나 거치대를 1단으로만 구비하는 경우가 많아 다세대 주택과 같이 밀집된 곳에 많은 수의 연결을 제공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61552호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에는 케이블 출입공(5)이 형성된 측벽(4)과 상기 측벽의 뒤쪽에 형성되는 배면판(3)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가 동선 접속부(6)로 형성되는 몸체케이스(1)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패널(2)로 구성되는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자함의 내부에 광섬유를 설치할 수 있는 광섬유 설치부(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으로서, 기존의 동케이블용의 단자함에 광섬유용의 단자함을 겸용할 수 있도록 광섬유 설치부를 구비하고, 기존의 동케이블의 배선로를 광케이블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광통신망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은 단순하게 기존의 단자함에 광섬유 설치부만이 추가된 것으로서, 광섬유를 분할하여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트레이와 관련된 다른 구성이 고려되지 않아 활용에 다소 한계점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국내 등록특허 제 10-1480760호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에는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을 동시 수용 가능하고 배선정리가 용이한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에 있어서,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이 각각 인입되는 광케이블인입구(111)와 동케이블인입구(112), 광인입선과 동인입선을 본체함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광인입선인출구(121)와 동인입선인출구(122), 퀵클립단자들을 수용하는 퀵클립단자 수용부(130)와 광분기함을 수용하는 광분기함 수용부(140), 인입된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이 각각 광분기함 수용부와 퀵클립단자 수용부로 안정되게 배선되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홀더(150)와 본체함 내부에 배치되는 통신선들의 정리및 배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선가이드(160)와 본체덮개(200)와 힌지결합 하기 위한 제1 힌지결합수단(170)과 덮개를 닫은 후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체결공(180)과 본체덮개의 걸림돌기와 결합하는 걸림턱(181)과 광분기함과 착탈 구조로 결합하기 위해 본체함 저면에 형성된 제1체결수단(190)을 포함하는 본체함(100); 본체함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2힌지 결합수단(210)과 본체함의 체결공(180)과 결합하여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잠금장치(220)와 본체함의 걸림턱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230), 국선 동/광케이블에 대한 회선정보를 기록하는 회선정보표시부(240)를 포함하는 본체덮개(200); 광분기하는 RN(Remote Node)을 수용하는 RN 수용부(310)와 광코어선들의 배선을 돕는 광코어 수용부(320)와 본체함에 인입된 광케이블을 광분기함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구(330)와 RN에 의해 분기된 광코어선들을 광분기함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구(340)와 인출된 광코어선들과 광인입서들을 상호 연결하는 광케이블 아답터(350)와 본체함과 착탈 구조로 결합하기 위한 광분기함 저면에 형성된 제2체결수단(360)을 포함하는 광분기함(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기함이 착탈 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옥외용 단자함의 경우, 광통신선의 확장이나 제거를 탄력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단순한 탈착기능만을 추가한 것이므로 본원이 목적으로 하는 대용량 단자함 구성을 제공하기에는 다소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광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어 대용량 지원이 가능한 다층 트레이 방식의 광케이블용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로부터 분기 어댑터로 이어지는 광케이블이 구비된 라인을 따라 신호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광케이블 사이를 효과적으로 벌려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스플리터를 활용하여 대용량 분배가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은, 광케이블이 감겨 보관되는 복수의 트레이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트레이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부 단자함; 상기 하부 단자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을 향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구가 구비된 상부 단자함; 상기 상부 단자함에서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의 대향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 케이블을 복수의 인출선으로 분기시키는 분기 어댑터; 상기 분기 어댑터를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단자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선이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구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분기 어댑터는, 2개의 스플리터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되, 상기 스플리터가 마주보는 부위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스플리터에 접촉하는 변보다 돌출된 외측에 위치한 변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횡단면을 갖되 상기 광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경사진 양 측 부위에 위치하는 스플리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단자함의 둘레 부위에는, 2개의 상기 스플리터 사이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된 복수의 관통홈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홈을 통과한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반대 측에 위치한 상기 접속단자를 향해 교차하는 형태로 상기 접속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상부 단자함은, 상기 관통홈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홈을 통과한 광케이블이 걸쳐지는 것으로서, 상기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연장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홈에 나사산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기립된 기립면과, 상기 기립면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광케이블이 걸쳐지는 경사면이 반복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에 의하면,
1) 대용량 지원이 가능한 다층 트레이 방식의 광케이블용 단자함을 제공하고,
2) 트레이로부터 분기 어댑터로 이어지는 광케이블이 구비된 라인을 따라 신호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광케이블 사이를 효과적으로 벌려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토록 하며,
3) 2개의 스플리터를 활용하여 대용량 분배가 가능한 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에서 상부 단자함과 하부 단자함을 연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광 분기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광 분기 어댑터 주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교차 거치대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교차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트레이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에서 상부 단자함과 하부 단자함을 연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광케이블(10) 단자함은, 광케이블(10)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구(101)가 구비된 상부 단자함(100)과, 상기 상부 단자함(1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케이블(10)이 감겨 보관되는 복수의 트레이(210)가 힌지를 매개로 다층구조로 연결된 트레이 어셈블리(200) 및, 상기 상부 단자함(100)의 타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케이블(10)을 복수의 인출선(20)으로 분기시키는 광 분기 어댑터(300)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200)가 수용되는 트레이(210) 수용공간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단자함(100)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단자함(400) 및, 상기 광 분기 어댑터(300)를 개폐 가능하게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출선(20)이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구(501)가 구비된 덮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광케이블(10) 단자함의 구조는 닫힌 상태로 외부에서 볼 때,(다시 말해 커버와, 상부 단자함(100) 및 하부 단자함(400)을 닫았을 때,) 하나의 상자와 같은 형상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은 도면을 기준으로 확인 가능하다.
광케이블(10) 단자함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상부 단자함(100)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상부 단자함(100)은 광케이블(10) 단자함에서 사용되는 주요 구성인 분기 어댑터(300)와 트레이 어셈블리(200)가 모두 장착되는 베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분기 어댑터(300)는 광케이블(10)을 복수의 인출선(20)으로 분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트레이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트레이(210)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것으로서, 각각의 트레이(210)마다 광케이블(10)이 코일 형태로 감겨 보관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반적인 광케이블(10) 단자함은 하나의 트레이(210)가 사용되거나 혹은 트레이(210)가 없이 하부 단자함(400) 상에 케이블을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복수의 광케이블(10)이 좁은 공간에 말려있게 되어 추후 유지보수 시 광케이블(10) 해체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원의 경우 하나의 단자함에서 연결할 수 있는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대용량 구조를 적용하기 위한 복수의 트레이(210) 구조를 활용한다.
이러한 트레이(210)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2개 이상의 트레이(210)를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일 측에 힌지를 적용하여 개방이 용이한 구성을 갖추게 된다. 물론 이때 일 측에 힌지가 적용되었다면, 그 반대 측에는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잠금 구성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광 분기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분기 어댑터(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기 어댑터(300)는 2개의 스플리터(310)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되는데, 각 스플리터(310)는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10)(인입선)이 인입된 상태에서 이 광케이블(10)을 분할하여 복수의 인출선(20)으로 나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스플리터(310)를 통해 8개의 인출선(20)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총 16개의 인출선(20)이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스플리터(310)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을 따라 돌출되어 광케이블(10)이 인입되는 접속단자(321)가 구비된 스플리터 돌출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스플리터(310)에 접촉하는 변보다 외측에 위치한 변의 폭이 좁은 내광외협(內狂外狹)한 형상으로 구성되되, 광케이블(10)이 접속되는 접속단자(321)는 경사변이 위치한 영역에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단자함(100)의 둘레 부위에도 2개의 스플리터(310) 사이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과 만나는 영역에서 이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된 복수의 관통홈(110)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난 예시를 활용하면, 관통홈(110)은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관통홈(110)을 통과한 광케이블(10)은,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반대 측에 위치한 접속단자(321)를 향해 ‘혹은 'V'와 같은 형상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접속단자(321)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스플리터(310)에 두 개의 접속단자(321)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접속단자(321)에도 광케이블(10)이 접속될 수 있는 세부단자를 복수 개 구비토록 할 수 있어 용량증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단자함에 적용 가능한 크기만큼 얼마든지 용량의 증가가 가능한 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러한 광케이블(10)과 스플리터(310)의 연결구조는 한 가지 문제점을 갖게 되는데, 바로 광케이블(10)이 서로 엇갈린 형태로 위치하게 되면, 엇갈리는 부위에서 각각의 광케이블(10)이 서로 신호 간섭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충분한 피복을 입혀 이러한 간섭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겠지만, 이는 근본적인 간섭 방지 대책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회피구조가 적용될 필요가 있다.
도 4는 광 분기 어댑터 주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러한 간섭 회피구조의 제 1 실시예로서, 관통홈(1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단자함(100)에도 관통홈(110)에 나사산(111)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갖춘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각각 서로 다른 높이로 각각 연장된 상태에서 관통홈(110)과 연통된 중공부를 통해 광케이블(10)이 통과하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관통홈(110)마다 서로 다른 높이로 연장된 돌출부(120)가 구비되면, 광케이블(10)이 이러한 돌출부(120)에 구비된 중공부를 통과하여 접속단자(321)를 향해 연결되는데, 각각의 돌출부(120)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광케이블(10)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높이 차이로 인해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여기서 돌출부(120)의 상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기립된 기립면(121)과, 이 기립면(121)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광케이블(10)이 걸쳐지는 경사면(122)이 반복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기(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면에서 보이듯이 일종의 톱니 형태를 갖추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톱니에서 경사면(122)에 광케이블(10)이 걸쳐질 수 있어, 앞선 나사산(111)을 활용하게 되면 돌출부(120)는 나사산(111) 결합을 통해 관통홈(110)으로부터 일정 수준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 때 앞선 걸림돌기(123) 중 어느 하나의 경사면(122)에 걸쳐진 상태로 회전시켜 각 광케이블(10)이 흐느적거리지 않고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 때에 회전시킨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 등의 별도의 스토퍼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 구성을 통해 각 광케이블(10)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교차 거치대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 단자함(100)에서 광케이블(10)이 교차하는 영역을 향해 장착되는 교차 거치대(130)의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교차 거치대(130)는, 상부 단자함(100)에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131)와, 이 고정 베이스(131)에 장착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132) 및, 제 1 높이에서 기둥(132)의 측면을 관통하여 어느 하나의 광케이블(10)이 통과하는 제 1 홈(133)과,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에서 제 1 홈(13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둥(132)의 측면을 관통하여 다른 하나의 광케이블(10)이 통과하는 제 2 홈(13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두 개의 홈을 통해 광케이블(10)이 두 방향으로 교차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기둥(132) 구성으로서, 특히 각각의 홈이 형성된 높이가 달라 강제적으로 두 광케이블(10)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추게 한다.
물론, 이 구성에서 제 1 홈(133)과 제 2 홈(134) 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로 제 3 홈(미도시) 등의 홈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둥(132)은 제 1 홈(133)을 포함하는 제 1 기둥(135)과, 제 2 홈(134)을 포함하는 제 2 기둥(136)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을 갖출 수도 있는데, 이는 앞선 돌출부(120)의 회전 구성과 마찬가지로, 광케이블(10)에 텐션을 적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활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 1 기둥(135)의 외주면에서 제 1 홈(133)의 입구 사이 및 제 2 기둥(136)의 외주면에서 제 2 홈(134)의 입구 사이에는 기둥 보조체(139)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기둥 보조체(139)는 제 1 기둥(135)과 제 2 기둥(136)의 외주면에서 ‘’가 눕혀진 형상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기둥(135)과 제 2 기둥(136) 각각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판상의 웨브(137)(web)와, 제 1 기둥(135)과 제 2 기둥(136)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연장되어 웨브(137)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플랜지(1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플랜지(138)는 가장 낮게 위치한 것은 고정 베이스(131)와 접촉하는데 활용되며, 가장 높게 위치한 것은 덮개(500)에 접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둥 보조체(139)에서 웨브(137)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보다 플랜지(138)의 돌출된 길이가 더 길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 시 광케이블(10)을 플랜지(138)에 감는데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교차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나아가, 교차 거치대(130)에는 기둥(132)의 단부에서 덮개(500)를 향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해당 부위를 마루(140)라고 명명한다. 이 마루(140)는 도면에서는 교차 거치대(130)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 체적이 큰 부위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과장된 표현이며, 단순히 교차 거치대(130)의 기둥(132)이 길게 증가된 것을 기본으로, 이로부터 파생된 일종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신축성 재질로서 마루(140)에 일 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 단은 광케이블(10)의 일 측에 고정되는 와이어(1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마루(140)의 경우 그 형상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없고, 다만 와이어(141)는 마루(140)에 고정되기 위해 별도로 고정수단(미도시)이나 결합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광케이블(10)의 일 측에 고정되기 위해서도 별도의 고정수단 혹은 결합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다시 마루(140)에는 덮개(5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LED(144)가 장착되는 연장부(1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어(141)의 일 측에는 광케이블(10)과 접속단자(321) 사이의 연결 상태에 따라 와이어(141)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142)와 이 장력센서(142)에서 측정된 장력의 고저에 따라 LED(144)의 발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장력센서(142)는 광케이블(10)이 접속단자(321)에 접속된 상태에서 충분한 텐션을 갖도록 당겨지면 와이어(141)는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광케이블(10)이 접속단자(321)로부터 접속이 해제되면, 와이어(141)는 광케이블(10)이 느슨해짐에 따라 초기상태의 장력보다 작은 장력이 감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장력의 변화를 통해 광케이블(10)의 접속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 상태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광케이블(10)이 접속단자(321)로부터 접속이 해제되었을 때에 LED(144)를 발광시켜 문제가 발생한 단자함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트레이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분기 어댑터(300) 구성 외에도 기본적으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트레이 어셈블리(200)의 구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트레이 어셈블리(200)는 힌지를 매개로 상부 단자함(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트레이(210)가 안착되는 판상의 가이드 베이스(221)와, 이 가이드 베이스(22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로 기립 연장되어 가이드 베이스(221)에 안착됨과 동시에 복수의 트레이(210)의 측부에 접하는 가이드 벽체(222)로 구성되는 트레이 가이드(220)가 더 구비된다.
앞선 설명에서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복수의 트레이(210)를 트레이 어셈블리(200)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트레이(210)를 한 번 더 감싸 각 트레이(210)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커버링 구성으로서 트레이 가이드(220)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 트레이 가이드(220)는 복수의 가이드 벽체(222)를 통해 트레이(210)의 측부를 감싸게 되는데,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부 단자함(100)의 인입구(101) 수에 맞추어 트레이 가이드(220)를 구성하게 되면, 트레이 가이드(220)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공간을 통해 하나의 인입구(101)에서 인입된 광케이블(10)이 하나의 공간을 통과하여 트레이(210)로 유입될 수 있는 개별 유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가이드 벽체(222)는 트레이(210)의 측부를 감싸는 역할 외에도 상부 단자함(100)의 인입구(101)로부터 트레이(210)로 유입되는 광케이블(10)이 지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따라서 이 가이드 벽체(222)의 내측 면에는 이러한 통로 형성을 보조할 수 있도록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트레이(210)의 측부를 향한 면인 가이드 벽체(222)의 내측 면에는 신축성 재질의 제 1 패드층(601)과, 이 제 1 패드층(601)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비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패드층(602)으로 구성되는 가이드 패드(600)가 구비된다.
가이드 패드(600)는 광케이블(10)이 가이드 벽체(222)에 직접 닿지 않고 이 가이드 패드(600)에 닿은 상태로 광케이블(1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비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패드층(602)을 통해 광케이블(10)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가이드 벽체(222) 주변에 접하는 다른 광케이블(10)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신축성 재질의 제 1 패드층(601)을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케이블(10)을 보호한다.
나아가, 제 1,2 패드층(601, 602) 사이이자, 바람직하게는 제 2 패드층(602)에서 제 1 패드층(601)과의 경계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 2 패드층(602)의 내측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 홈(603)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패드 홈(603)이 제 1,2 패드층(601, 602)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 2 패드층(602)에만 형성되더라도 후술할 패드 홈(603)에 구비되는 흡습체(605)에 의해 신축성 재질의 제 1 패드층(601)이 밀려나 도면과 같은 단면을 갖게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패드 홈(603)은 추가적으로 패드 홈(603)의 일 측으로부터 제 2 패드층(602)의 외측이자 광케이블(10)과 접촉되는 표면을 향해 분기된 복수의 분기 홈(604)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홈(604)의 내부에는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성 재질의 흡습체(605)가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흡습체(605)를 통해 단자함 내부의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흡습체(605)는 제 1 패드층(601)과 함께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어 광케이블(10)을 보호하는 역할을 보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여기서 트레이(210)의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바닥을 형성하는 판상의 트레이 베이스(21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의 개방홈(214)을 구비한 상태에서 트레이 베이스(211)의 둘레를 따라 기립 연장된 트레이 측벽(212) 및, 이 트레이 측벽(212)의 연장 단부에서 일정 간격마다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복수의 후크(21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방홈(214)의 경우 앞선 가이드 벽체(222) 사이로 유입된 광케이블(10)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홈(214)을 통해 유입되어 트레이 베이스(211)에 감겨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이며, 나아가 트레이 베이스(211)에 감겨 보관된 광케이블(10)이 다시 트레이(210) 외측으로 유출되는 출구의 역할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광케이블(10)이 트레이 베이스(211)에 감겨 보관될 때, 가이드 벽체(222)에 형성된 후크(213)를 통해 감겨진 상부가 걸리게 되어 일정 높이로 감길 수 있게 됨으로써 다른 층에 위치한 트레이(210)에 광케이블(10)이 영향을 주는 것을(예를 들어 너무 높게 감겨지는 등의 현상)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각의 상기 트레이(210)마다 트레이 측벽(212)의 외주면에서 개방홈(214)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트레이 측벽(212)의 기립방향을 따라 돌출된 인출 가이드(2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인출 가이드(215)는 트레이 측벽(212)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걸림턱으로서 각 트레이(210)마다 개방홈(214)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개방홈(214)을 통과하여 트레이 측벽(21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광케이블(10)이 인출 가이드(215)와 접하는 위치까지 위치시킨 후, 인출 가이드(215)와 접하는 위치에서 꺾여 상부(상부 단자함(100)(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관통홈(1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트레이(210)마다 외주면을 따라 광케이블(10)이 연장된 길이가 다르며, 특히 도면에서 나타난 것처럼 순차적인 거리를 적용하게 되면 이 광케이블(10)들이 서로에게 받을 간섭 영향을 보다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광케이블 20: 인출선
100: 상부 단자함 101: 인입구
110: 관통홈 111: 나사산
120: 돌출부 121: 기립면
122: 경사면 123: 걸림돌기
130: 교차 거치대 131: 고정 베이스
132: 기둥 133: 제 1 홈
134: 제 2 홈 135: 제 1 기둥
136: 제 2 기둥 137: 웨브
138: 플랜지 139: 기둥 보조체
140: 마루 141: 와이어
142: 장력센서 143: 연장부
144: LED 145: 컨트롤러
200: 트레이 어셈블리 210: 트레이
211: 트레이 베이스 212: 트레이 측벽
213: 후크 214: 개방홈
215: 인출 가이드 220: 트레이 가이드
221: 가이드 베이스 222: 가이드 벽체
300: 분기 어댑터 310: 스플리터
320: 스플리터 돌출부 321: 접속단자
400: 하부 단자함 500: 덮개
501: 인출구 600: 가이드 패드
601: 제 1 패드층 602: 제 2 패드층
603: 패드 홈 604: 분기 홈
605: 흡습체

Claims (12)

  1.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으로서,
    광케이블이 감겨 보관되는 복수의 트레이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트레이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부 단자함;
    상기 하부 단자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케이블이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을 향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구가 구비된 상부 단자함;
    상기 상부 단자함에서 상기 트레이 수용공간의 대향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 케이블을 복수의 인출선으로 분기시키는 분기 어댑터;
    상기 분기 어댑터를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단자함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선이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구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 어댑터는, 2개의 스플리터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되, 상기 스플리터의 마주보는 일 부위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스플리터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접촉면의 양 끝단에서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광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2개의 단자면을 포함하는 스플리터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단자함의 둘레 내측 부위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된 복수의 관통홈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홈을 통과한 상기 광케이블이 교차하는 형태로 상기 접속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단자함은, 상기 관통홈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홈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기립된 기립면과, 상기 기립면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이 반복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자함에서 상기 광케이블이 교차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판상의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제 1 높이에 위치한 부위를 관통하여 어느 하나의 상기 광케이블이 통과하는 제 1 홈과,
    상기 제 1 높이와 다른 제 2 높이에 위치한 상기 기둥 부위를 상기 제 1 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다른 하나의 상기 광케이블이 통과하는 제 2 홈이 형성된 교차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제 1 홈을 포함하는 제 1 기둥과, 상기 제 1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홈을 포함하는 제 2 기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기둥 각각의 상하단부에서 직경이 넓어지는 플랜지와,
    상기 제 1,2 기둥 각각에서 상기 제 1,2 홈의 개구 주변에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 사이를 연결하는 판상의 웨브(web)를 포함하는 기둥 보조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거치대는,
    신축성 재질로서 양 단부에 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기둥에 일 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 단은 상기 광케이블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LED가 장착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교차 거치대는,
    상기 와이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와,
    상기 장력센서에서 측정된 장력의 변동 여부에 따라 상기 LED의 발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힌지를 매개로 상기 상부 단자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트레이가 안착되는 판상의 가이드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로 기립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베이스에 안착된 상기 트레이의 측부에 접하는 가이드 벽체를 포함하는 트레이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체의 내측 면에는,
    신축성 재질의 제 1 패드층과,
    상기 제 1 패드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비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패드층 및,
    상기 제 2 패드층에서 상기 제 1 패드층과의 경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2 패드층의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 홈과,
    상기 패드 홈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 2 패드층의 표면을 향해 분기된 복수의 분기 홈 및,
    상기 패드 홈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흡습성 재질의 흡습체를 포함하는 가이드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판상의 트레이 베이스와,
    개방홈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기립 연장된 트레이 측벽 및,
    상기 트레이 측벽에서 일정 간격마다 상기 트레이의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복수의 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KR1020180041203A 2018-04-09 2018-04-09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KR10198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03A KR101984279B1 (ko) 2018-04-09 2018-04-09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03A KR101984279B1 (ko) 2018-04-09 2018-04-09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279B1 true KR101984279B1 (ko) 2019-05-30

Family

ID=6667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203A KR101984279B1 (ko) 2018-04-09 2018-04-09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7278A1 (en) * 2019-11-01 2021-05-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lecommunication enclos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2910A1 (en) * 2007-10-01 2010-06-10 Clearfield, Inc. Modular optical fiber cassette
KR200457438Y1 (ko) * 2009-10-19 2011-12-20 빛샘전자주식회사 광 케이블 접속 장치
KR20180028273A (ko) * 2016-09-08 2018-03-16 빛샘전자주식회사 커넥터형 접속함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2910A1 (en) * 2007-10-01 2010-06-10 Clearfield, Inc. Modular optical fiber cassette
KR200457438Y1 (ko) * 2009-10-19 2011-12-20 빛샘전자주식회사 광 케이블 접속 장치
KR20180028273A (ko) * 2016-09-08 2018-03-16 빛샘전자주식회사 커넥터형 접속함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7278A1 (en) * 2019-11-01 2021-05-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lecommunication enclo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71105U1 (ru) Оптоволоконн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терминал
US7574093B2 (en) Outside plant enclosure with pivoting fiber trays
JP2010527463A (ja) 光ファイバの接続及び配線のための筐体
RU2371743C2 (ru) Модульная каб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линий связи
JP2012503785A (ja) 摘出可能なオーガナイザーを備えたファイバー分配エンクロージャ
JP2009527005A (ja) スイング・フレームとモジュール終端パネルを有するファイバ分配ハブ
JP2009527006A (ja) 外部アクセス可能な接地端子を有するファイバ分配ハブ
US10274692B2 (en) Optical termination module, optical termination assembly with said optical termination module and electric cabinet with said optical termination module
JP4766486B2 (ja) 光接続箱
US5093886A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CN104934912B (zh) 一种网络布线系统、桥架及可装卸配线装置
KR101984279B1 (ko)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US10502914B2 (en) Stackable telecommunication cabinet construction
EP3317707B1 (en) Optical termination box and assembly
KR101694313B1 (ko)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AU2011250832B8 (en) Optical transition box
WO2021017490A1 (zh) 一种终端盒
RU181686U1 (ru) Разветвитель
KR10183733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2103213B1 (ko)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CN210690903U (zh) 一体化盘纤盒
CN211348757U (zh) 一种电力光纤配线柜
NL2006704C2 (nl) Optische telecommunicatiekabel en haspel voorzien van telecommunicatiekabel.
JP2008203466A (ja) 光接続箱及び光配線システム
JP2007334158A (ja) 光配線盤およびジャンパコード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