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336B1 -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336B1
KR101837336B1 KR1020170005864A KR20170005864A KR101837336B1 KR 101837336 B1 KR101837336 B1 KR 101837336B1 KR 1020170005864 A KR1020170005864 A KR 1020170005864A KR 20170005864 A KR20170005864 A KR 20170005864A KR 101837336 B1 KR101837336 B1 KR 10183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able
adapter
adapter plate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대
Original Assignee
권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대 filed Critical 권용대
Priority to KR102017000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 G02B6/4494
    • G02B6/446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69Security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은, 광케이블을 복수의 광인입선으로 분기시켜 고정하는 광인입선가이드가 포함되는 제1 어댑터판과, 상기 제1 어댑터판과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광인입선을 복수의 광인출선으로 분기시키는 광분기어댑터를 포함하는 제2 어댑터판으로 구성되는 어댑터모듈; 전면 일 측에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인입구와, 상기 광케이블이 분기된 광인출선을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광케이블인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어댑터모듈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함입된 메인수용부가 형성된 하부하우징; 후면 일 측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후면 일 측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내측에 상기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도록 함입된 보조수용부가 형성된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과 맞닿는 면을 밀폐시키는 가스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Description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Optical Fiber Cable Accommodated Terminal Box Having Enhanced Tightness}
본 발명은 다세대 주택이나 개인주택 또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밀성을 향상시킨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유선통신망을 구축함에 있어서, 전화국으로부터 각 세대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선로는 전화국에서 공급되는 국선(광케이블)이 전신주에 설치된 옥외 단자함을 통해 분기되고 분기된 인입선들이 각 세대의 건물벽등에 설치되는 옥내용 단자함에 이르게 되고 옥내용 단자함에서 통신선을 세대 내에 필요한 장소(방, 거실 등)에 공급함으로 각 세대의 말단 단말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다세대 주택에 통신 라인을 공급하기 위해 기존의 동케이블 옥외 단자함을 외부의 전신주 등에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환경의 변화, 그리고 사용자들의 욕구 증대로 인해 초고속 광대역 정보통신 환경, 유비쿼터스 환경의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고,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동케이블로는 한계가 있어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가구에 통신선로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광케이블 역시 동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전신주 등에 설치되는 옥외 단자함을 통해 각 가정에 통신선로를 공급한다.
상기 광케이블을 각 가정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케이블을 여러 가닥으로 나누고 이를 각 가정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한 가닥의 광케이블이 여려 가닥으로 나뉘는 부분은 매우 복잡하므로 이를 잘 정리하여 단자함에 내장하고 상기 단자함을 외부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광케이블 단자함이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단자함(일명:FTTH용 광단자함)은 광섬유의 접속, 분기 및 정리를 위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설되지 않고 통상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며, 광어댑터, 커넥터, 케이블 등이 내장되어 광케이블의 융착접속, 기계식접속 또는 커넥터접속과 같은 접속기능과 접속부 보호기능 및 인입/인출기능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1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함체(10) 측면에는 광케이블(C1)이 끼워지도록 광케이블 인입구(11)가 형성되고, 이 광케이블 인입구(11)의 맞은편에는 최종가입자와 접속되어 있는 광옥외선(C2)이 끼워지는 복수의 광옥외선 인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0)의 전면에는 커버(20)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함체(10)의 배면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편(13)이 형성되고 이 지지편(13)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커버(20)가 전면을 향하도록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함체(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13)의 체결공(14)으로 체결볼트를 결합시켜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체(10)의 내부에는 광어댑터 패널(30)이 설치된다. 이 광어댑터 패널(30)에는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와 출력단자(31b)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광어댑터(31)가 설치된다.
따라서, 함체(10)를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11)에 광케이블(C1)을 끼워 함체(10)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인입된 광케이블(C1)의 외부피복을 벗겨 다수의 광섬유 클러스터(이하 "광섬유"라 함)로 분기시키고 이를 다시 스플리터(S)를 이용하여 8가닥의 광섬유 단위로 재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를 커넥터(32a)를 이용하여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에 각각 결합시키면 광케이블(C1)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후, 함체(10)에 형성된 광옥외선 인입구(12)에 광옥외선(C2)을 각각 끼운 후 상기 광옥외선(C2)을 커넥터(32b)를 이용하여 광어댑터 출력단자(31b)에 각각 결합시키면 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함체(10)의 내부에는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11)를 통해 함체(10) 내부로 인입된 광케이블(C1)이 광섬유들로 분기되어 상기 광섬유들이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에 각각 연결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상기 광섬유들이 엉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패널(30)의 일 측에 분기된 광섬유들이 지지되는 정리부재(40)가 설치된다.
종래의 이러한 광케이블 단자함은 여러 개의 광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광어댑터 패널(30)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수리 및 교체 등의 작업이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케이블 단자함의 기밀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체(10)의 외부 일부를 둘러싸는 밴드를 부착하는 등의 추가구성을 더 필요로 하거나 혹은 빗물이나 눈 등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기밀성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광케이블 단자함 자체의 빠른 수명저하로 인해 단자함 내부에 내장된 광케이블 및 관련 부품의 빠른 부식과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또한 고장이나 주기적인 점검 시에도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추가장치를 제거하고 이를 다시 장착하는 과정에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 상승을 유발할 뿐이었기 때문에 유지보수/ 관리적 측면에서 불편함과 경제적 낭비 요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61552호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에는 케이블 출입공(5)이 형성된 측벽(4)과 상기 측벽의 뒤쪽에 형성되는 배면판(3)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가 동선 접속부(6)로 형성되는 몸체케이스(1)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패널(2)로 구성되는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자함의 내부에 광섬유를 설치할 수 있는 광섬유 설치부(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으로서, 기존의 동케이블용의 단자함에 광섬유용의 단자함을 겸용할 수 있도록 광섬유 설치부를 구비하고, 기존의 동케이블의 배선로를 광케이블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광통신망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에 관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은 단순하게 기존의 단자함에 광섬유설치부만이 추가된 것으로서, 기존 단자함의 활용으로 인해 광통신선을 사용할 수 있다고는 하더라도 여전히 내부배선의 어려움과 기밀성면에서 만족하지 못한 성능을 나타낸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국내 등록특허 제 10-1480760호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에는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을 동시 수용 가능하고 배선정리가 용이한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에 있어서,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이 각각 인입되는 광케이블인입구(111)와 동케이블인입구(112), 광인입선과 동인입선을 본체함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광인입선인출구(121)와 동인입선인출구(122), 퀵클립단자들을 수용하는 퀵클립단자 수용부(130)와 광분기함을 수용하는 광분기함 수용부(140), 인입된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이 각각 광분기함 수용부와 퀵클립단자수용부로 안정되게 배선되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홀더(150)와 본체함 내부에 배치되는 통신선들의 정리및 배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선가이드(160)와 본체덮개(200)와 힌지결합 하기위한 제1 힌지결합수단(170)과 덮개를 닫은 후 잠금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체결공(180)과 본체덮개의 걸림돌기와 결합하는 걸림턱(181)과 광분기함과 착탈구조로 결합하기 위해 본체함저면에 형성된 제1체결수단(190)을 포함하는 본체함(100); 본체함과 힌지결합하기 위한 제2힌지 결합수단(210)과 본체함의 체결공(180)과 결합하여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잠금장치(220)와 본체함의 걸림턱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230), 국선 동/광 케이블에 대한 회선정보를 기록하는 회선정보표시부(240)를 포함하는 본체덮개(200); 광분기하는 RN(Remote Node)을 수용하는 RN 수용부(310)와 광코어선들의 배선을 돕는 광코어 수용부(320)와 본체함에 인입된 광케이블을 광분기함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구(330)와 RN에 의해 분기된 광코어선들을 광분기함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구(340)와 인출된 광코어선들과 광인입서들을 상호 연결하는 광케이블 아답터(350)와 본체함과 착탈구조로 결합하기 위한 광분기함 저면에 형성된 제2체결수단(360)을 포함하는 광분기함(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옥외용 단자함의 경우, 광통신선의 확장이나 제거를 탄력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단순한 탈착기능만을 추가한 것이므로 본원이 목적으로 하는 케이블 내장의 용이성 및 기밀성의 향상을 추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 사이에 가스켓을 더 포함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킨 광케이블용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케이블이 인출되는 위치를 가스켓을 통과시키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분기어댑터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광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복합적인 구성을 통해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내부 배선이 유지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은, 광케이블을 복수의 광인입선으로 분기시켜 고정하는 광인입선가이드가 포함되는 제1 어댑터판과, 상기 제1 어댑터판과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광인입선을 복수의 광인출선으로 분기시키는 광분기어댑터를 포함하는 제2 어댑터판으로 구성되는 어댑터모듈; 전면 일 측에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인입구와, 상기 광케이블이 분기된 광인출선을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광케이블인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어댑터모듈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함입된 메인수용부가 형성된 하부하우징; 후면 일 측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후면 일 측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내측에 상기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도록 함입된 보조수용부가 형성된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과 맞닿는 면을 밀폐시키는 가스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면 일 측에는, 고정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 단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면 일 측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은 상부로 최대 회동하였을 때 상기 고정걸림턱에 끼움 결합되는 잠금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제1 어댑터판의 후면 일 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측면부에는 상기 제1 어댑터판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광케이블인출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면 중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광케이블인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광인출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광인출선관통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인출선관통공의 내측에는,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내부돌기가 상기 광인출선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광인출선관통공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분기어댑터는, 길이방향의 전측면에 상기 광인출선을, 후측면에 상기 광인입선을 각각 끼움 연결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복수의 분배접속부와, 상기 분배접속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입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광케이블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을 1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수용부의 내측 표면에서 방사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인입선가이드는, 상기 제1 어댑터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상기 광인입선이 적어도 1회 이상 감겨 보관되는 원형리브와, 복수의 가림벽이 일렬로 나열된 것으로서, 서로 이웃한 가림벽 사이에 상기 원형리브를 통과한 광인입선을 하나씩 삽입하여 정렬시키는 정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어댑터판의 하면에는, 상기 정렬리브를 통과한 상기 광인입선을 추가로 적어도 1회 이상 감아 보관하는 보조원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어댑터판의 상면에는, 상기 광분기어댑터를 거쳐 분기된 복수의 광인출선을 거치하는 것으로서, 좌우로 각각 복수의 경사벽이 일렬로 나열되어 서로 이웃한 경사벽 사이에 상기 광인출선을 하나씩 삽입하여 정렬시키는 분배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벽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중앙벽부와, 상기 중앙벽부의 양 끝단에서 각각 상기 제2 어댑터판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가로지르는 중앙선을 향해 절곡 연장된 그립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리브는, 상기 분배리브의 상면을 덮는 벽부덮개부와, 상기 벽부덮개부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그립벽부에 의해 상기 광인출선과 상기 중앙벽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벽부고정돌기가 형성된 리브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벽에서 상기 그립벽부가 연장 형성된 방향의 반대측 표면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복수개의 표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광인출선의 삽입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앙벽부는, 상기 광인출선이 최초로 삽입되는 부위가 상기 중앙선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광인출선이 배출되는 부위는 상기 중앙선이 위치한 반대측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에 의하면,
1) 가스켓을 더 적용하여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광케이블용 단자함을 제공하고,
2) 광케이블이 인출되는 부분을 가스켓을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관통된 내부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케이블이 끼워진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케이블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돌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단자함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내부 구조를 제공토록 하며,
3) 광분기어댑터를 이중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어댑터층 마다 광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적용하고, 나아가 고정 이외에도 광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칸막이구성을 더 제공하여 수리 및 보수의 용이성을 갖는 내부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광케이블 단자함을 펼친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어댑터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광케이블인출구의 상세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하부하우징의 메인수용부 및 제1 어댑터판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1 어댑터판의 상면 및 제2 어댑터판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2 어댑터판의 상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경사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경사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광케이블 단자함을 펼친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어댑터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발명과 도면의 설명에 앞서 본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은 다음과 같다. 단자함이 닫힌 형태를 기준으로 할 때, 광케이블인입구(210) 및 광케이블인출구(220)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 그 반대를 후방이라 하며, 이에 따라 나머지 측면은 각각 좌측과 우측이 된다. 또한, 지면을 향한 방향을 하방, 그 반대측 방향을 상방이라 명하고, 이에 따라 면을 명명함에 있어서도 각 방향의 이름에서 방향 대신 면을 붙인 것을 활용하여 설명토록 하겠다.
광케이블(500) 단자함은, 광케이블(500)을 분기시키는 어댑터모듈(100)과, 이 어댑터모듈(100)이 담겨진 상태에서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하우징(200)과,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하우징(300) 및 하부하우징(200)과 상부하우징(300) 사이의 맞닿는 면을 밀폐시키는 가스켓(400)으로 구성된다.
하부하우징(200)의 경우, 어댑터모듈(100)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함입된 메인수용부(201)를 포함하는데, 이 메인수용부(201)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모듈(100)이 내장될 뿐만 아니라 어댑터모듈(100)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별도의 거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하부하우징(200)에는 광케이블(500)이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인입구(210)가 전면에 형성된다. 광케이블(500)의 경우 겉을 감싸는 피복에 복수개의 광통신선이 내장되도록 구성되는데, 광케이블(500) 하나당 내장된 광통신선의 개수는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한 광통신선의 개수에 따라 이 광케이블인입구(210)의 개수 또한 유동적으로 적용 가능하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광케이블인입구(210)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하부하우징(200)에는 광케이블(500)에서 분기된 광인출선(520)을 다시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광케이블인출구(220)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광케이블인출구(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해당 광케이블(500) 단자함이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광인출선(520)의 개수와 동일한 수량의 광케이블인출구(22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부하우징(300)의 경우 어댑터모듈(100)이 내장된 하부하우징(200)의 상면을 덮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광케이블인입구(210) 및 광케이블인출구(220)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로서, 상부하우징(300)이 상하로 회동되어 여닫이 기능을 갖더라도 광케이블(500)이나 광인출선(520)이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하부하우징(200)의 후면 일 측과 힌지 등의 회동수단을 통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상부하우징(300) 또한 후술하겠지만 어댑터에 포함된 광분기어댑터(1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갖는 보조수용부(301)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부하우징(300)과 하부하우징(200) 사이에 어댑터모듈(100)이 내장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광케이블(500)단자함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어댑터모듈(100)에 대해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어댑터모듈(100)은 제1 어댑터판(110)과 제2 어댑터판(120)이 서로 겹쳐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 때, 앞선 설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200)의 일 측에 어댑터모듈(100)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내장된다고 하였는데, 이 어댑터모듈(100) 또한 내부적으로 보면 제1 어댑터판(110)과 제2 어댑터판(120)이 단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으나, 서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회동하기 위해 결합된 위치를 살펴보면,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으나, 광케이블(500)이 유입된 직후 복수개의 광인입선(510)으로 분기시켜 제1 어댑터판(110)에 끼운 상태에서 제2 어댑터판(120)을 거쳐 분기된 광인출선(520)을 다시 광케이블인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빼내어야 하는 바, 결합위치는 광케이블인입구(210)와 광케이블인출구(220)에 가까운 전면측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제1 어댑터판(110)의 경우, 하부하우징(200)의 메인수용부(201)에 가장 먼저 내장된 것으로서, 표면 일 측에 광케이블(500)로부터 분기된 광인입선(5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광인입선가이드(111)가 형성된다. 즉, 광케이블인입구(210)를 통과한 광케이블(500)을 해체하여 복수의 광인입선(510)으로 나누되, 각각의 광인입선(510)을 이 광인입선가이드(111)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제1 어댑터판(110)이 하부하우징(200)에 결합되는 형태를 설명하면, 제1 어댑터판(110)의 후면 일 측에는 걸림돌기(112)가 형성되고, 하부하우징(200)의 내측 측면부 중 제1 어댑터판(110)이 내장되었을 때 이 걸림돌기(11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돌기(112)와 결합되는 고정부(20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어댑터판(110)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갖출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 어댑터판(120)은 제1 어댑터판(110)과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광분기어댑터(12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광분기어댑터(121)는 일 측에 광인입선(510)이 연결되고, 타 측에는 광인출선(520)이 연결되어 광인입선(510)을 광인출선(520)으로 변환하여 분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통해 광케이블(500) 단자함에 인입된 광케이블(500)이 복수의 광인출선(520)으로 분기되어 광케이블(500) 단자함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다만, 이 광케이블(500) 단자함은 통신선 등 외부의 충격이나 먼지, 수분 등으로부터 약한 배선이 내장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단자함의 개방이 가능하더라도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기 위해 외부에 별도의 밀폐용 잠금띠를 두르거나 커버를 씌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필요 이상으로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부피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보수나 수리에 있어서도 일일이 해체하기 위한 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광케이블(500) 단자함에서 하부하우징(200)과 상부하우징(300) 사이에는 별도의 가스켓(4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켓(400)의 경우 연질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과 같이 사이공간을 밀폐할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물리적 결합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가스켓(400)은 하부하우징(2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단순하게 재질적 특성을 통해 상부하우징(300)과 하부하우징(200) 사이를 밀폐시킬 수도 있겠지만, 일 면에 돌기 또는 함입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하우징(300)의 외주면 둘레에는 이에 대응되는 함입부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상부하우징(300)과 하부하우징(200) 사이에 가스켓(400)이 더 포함되더라도 둘 사이를 완벽하게 잠금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더 필요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별도의 잠금수단(230)을 더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 잠금수단(230)의 적용을 위해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우선 상부하우징(300)의 전면 일 측에는 고정걸림턱(310)이 더 형성된다. 이 고정걸림턱(310)은 잠금수단(230)의 일 측이 걸려 잠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되어 하부하우징(200)에는 일 단이 하부하우징(200)의 전면 일 측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타 단은 상부로 최대 회동하였을 때 고정걸림턱(310)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수단(23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잠금수단(230)의 형태는 ‘ㄱ’또는 ‘ㄷ’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일 단이 하부하우징(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잠금수단(230)의 회동에 따라 걸림턱에 잠금수단(230)이 걸림으로써 물리적인 잠금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잠금수단(230) 일 측에 패스너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부하우징(300)에서 잠금수단(230)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이자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추가로 삽입홈(미도시)을 더 형성하여 잠금수단(230)을 상부로 최대 회동시켜 고정걸림턱(310)에 끼워 결합하였을 때, 추가로 패스너를 삽입함으로써 잠금상태를 고정하는 결합방식이 더 적용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으로서 잠금수단(230)이 하부하우징(200)과 연결된 부위에 스프링을 적용하여 누름 방식으로도 쉽게 잠금상태와 잠금해제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 더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잠금구성을 통해 광케이블(500)단자함의 잠금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잠금구성이 구비되었다면, 추가적으로 외부로부터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내부가 차단되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가스켓(400)의 구성을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광케이블인출구의 상세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광케이블인출구(220)를 하부하우징(200)의 전면 중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렇게 광케이블인출구(220)가 외주면 둘레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되면, 가스켓(400)을 통과하여야만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외부로 광인출선(520)을 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스켓(400)에도 광케이블인출구(22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광인출선(520)이 관통할 수 있는 광인출선관통공(410)을 더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광인출선관통공(410)의 경우 가스켓(400)의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광인출선(520)이 삽입되는 경우 광인출선(520)의 외부 표면에 밀착되어 광케이블(500) 단자함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광인출선관통공(410)의 내측에는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돌기(411)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내부돌기(411)가 일종의 장애물 역할을 함으로써 의해 광인출선관통공(410)에 광인출선(520)이 끼워지지 않은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내부로 진입하려는 이물질의 유입을 일부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되는 것이다.
이것으로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기밀성을 높이는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만, 이러한 구성이 있더라도 광케이블(500) 단자함에 직접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부 구성 또한 어느 정도의 대비는 갖추고 있어야 한다.
도 6은 하부하우징의 메인수용부 및 제1 어댑터판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 어댑터판의 상면 및 제2 어댑터판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제2 어댑터판의 상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다시 광분기어댑터(121)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광분기어댑터(121)는 길이방향의 전측면에는 광인출선(520)을, 후측면에는 광인입선(510)이 끼움결합되어 둘을 연결시키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복수의 분배접속부(122)와, 이 분배접속부(12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입된 안착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분배접속부(122)는 광인출선(520)과 광인입선(510)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소켓이라 할 수 있으며, 안착부(123)는 이 분배접속부(122)가 부착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분배접속부(122)와 안착부(123)는 단순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겠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기둥형상의 지지대와 이 지지대에 걸려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고정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회동고정수단이 적용된다면, 분배접속부(122)로부터 광인출선(520) 및 광인입선(510)을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과정이 더욱 쉽게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광분기어댑터(121)를 더욱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여닫이형 덮개부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 덮개부재에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각 분배접속부(122)가 위치하는 위치마다 번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맨 처음으로 돌아가, 광케이블(500)이 최초로 광케이블(500) 단자함에 유입된 시점으로부터 이 광케이블(500)을 고정하는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광케이블인입구(210)를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500)을 1차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메인수용부(201)의 내측 표면에 방사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고리(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고정고리(420)는 광케이블(500) 자체를 감아 고정시킬 수도 있겠으나, 광케이블(500)의 피복을 벗겨 복수의 광인입선(510)으로 분기시킨 경우에도 복수의 광인입선(510)을 마치 하나의 광케이블(500)과 같이 다루어 고정고리(420)에 감아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방사형태로 배치되어있기 때문에,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서 엉키거나 꼬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장나거나 문제가 생긴 배선을 골라 제거하기에도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1 어댑터판(110)에는 광인입선가이드(111)가 위치한다고 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광인입선(510)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원형리브(113)가 포함된다. 이 원형리브(113)는 제1 어댑터판(11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광케이블(500) 또는 광인입선(510)을 고정고리(420)에 감은 이후 남은 광인입선(510) 또는 고정고리(420)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내부로 인입된 광케이블(500)로부터 분기된 광인입선(510)을 제1 어댑터판(110)의 상면으로 올려 원형리브(113)에 감도록 하는 것이다. 이 작업으로 인해 적어도 1회 이상 광인입선(510)이 광케이블(500) 단자함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원형리브(113)에 감긴 이후 남아있는 광인입선(510)을 추가로 삽입하여 정렬할 수 있도록 정렬리브(1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정렬리브(114)는 일종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광인입선(510)이 내장될 수 있는 최대 수량만큼의 칸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정렬리브(114)의 경우, 광케이블(500)이 유입되는 전면보다는 유입되는 반대편인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또한 제1 어댑터판(110)의 회동에 의해 걸리적거리거나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제2 어댑터판(120)의 하면에도 보조원형리브(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보조원형리브(130)는 제1 어댑터판(110)에 형성된 원형리브(113)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정렬리브(114)를 통과한 광인입선(510)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제1 어댑터판(110)과 제2 어댑터판(120)에 각각 원형리브(113)와 보조원형리브(130)가 형성됨으로서 두 개의 어댑터판(110, 120)에 각각 감겨 고정되는 효과로 인해 외부 충격에도 광인입선(51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어댑터판(110) 혹은 제2 어댑터판(120) 만을 회동시켜 고장부위를 찾아 분해할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광케이블(500)이 인입된 이후 고정고리(420)에 1차적으로 고정이 가능하며, 제1 어댑터판(110)의 원형리브(113) 및 정렬리브(114)를 통해 2차적으로 고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2 어댑터판(120)의 보조원형리브(130)를 통해 3차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구성이다. 다만, 제1 어댑터판(110)의 원형리브(113) 및 정렬리브(114)만이 필수적인 구성이고, 그 외 고정고리(420)나 보조원형리브(130)는 필요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내부 배선의 정리필요성과 외부 영향정도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 어댑터판(120)의 상면에는 광분기어댑터(121)를 거쳐 분기된 복수의 광인출선(520)이 거치되는 분배리브(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 광분기어댑터(121)는 광인입선(510)과 광인출선(520)을 각각 연결하는 일종의 소켓이라고 하였다. 광인입선(510)의 경우, 앞선 구성을 통해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제 나머지 광인출선(520)의 내부 고정구조인 분배리브(140)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분배리브(140)는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호의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경사벽(141)이 일렬로 나열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배리브(140)도 이웃한 경사벽(141)과 경사벽(14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광인출선(520)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배리브(140) 또한 최대로 수용될 수 있는 광인출선(520)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광인출선(520)이 끼워지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 때, 경사벽(141)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중앙벽부(142)와, 이 중앙벽부(142)의 양 끝단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그립벽부(143)로 구성된다. 그립벽부(143)를 다시 설명하면, 제2 어댑터판(120)을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가로지르는 중앙선이 있다고 할 때, 중앙벽부(142)의 양 끝단에서 이 중앙선을 향해 절곡된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것을 의미한다.
먼저 중앙벽부(142)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기울어진 각도는 각 경사벽(141)이 동일하거나 혹은 약간씩 차이를 가질 수도 있다. 경사벽(141)이 동일하게 형성된다면 경사벽(141) 사이에 끼워져 보관되는 광인출선(520)이 모두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위치로 정렬될 것이다. 또, 경사벽(141)의 기울어진 각도가 약간씩 차등되는 경우에는 광인출선(520)이 서로 다른 방향과 다른 위치로 정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광인출선(520)의 경우, 이 분배리브(140)를 통해 제2 어댑터판(120)에 고정되며 더 나아가 하부하우징(200)의 전면에 위치한 광케이블인출구(220)를 통해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이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광케이블(500) 단자함의 내부에 고정되면서 그 형태를 정리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경사벽(141)의 기울어진 각도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추가로 그립벽부(143)가 중앙벽부(142)의 양 끝단에 더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립벽부(143) 또한 경사벽(141)과 경사벽(141) 사이에서 광인출선(520)을 한 번 더 압박하여 광인출선(520)이 고정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광인출선(520)이 분배리브(140)에 삽입된 이후 아예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리브커버(150)를 더 추가할수도 있다. 리브커버(150)는 분배리브(140)의 상면을 덮는 벽부덮개부(151)와, 벽부덮개부(151)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그립벽부(143)에 의해 중앙벽부(142)와 광인출선(5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벽부고정돌기(152)로 구성된다. 즉, 앞선 그립벽부(143)가 형성되면, 도면을 통해 짐작할 수 있듯이 중앙벽부(142)와 광인출선(52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남게 되는데, 이 공간을 리브커버(150)의 고정을 위한 홈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홈은 광인출선(520)의 수량에 따라 증가하게 되므로, 리브커버(150)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는 경사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그립벽부(143)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그립벽부(143)가 연장된 길이나 형태를 조절하면 광인출선(520)의 기울기 또한 추가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성질을 더욱 활용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즉, 경사벽(141)에서 그립벽부(143)가 연장 형성된 방향의 반대측 표면을 활용하는 것인데, 이 표면에 라운드지게 돌출된 복수개의 표면돌기(144)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표면돌기(144)가 형성되면, 표면돌기(144)가 형성된 위치보다 이웃한 표면돌기(144)와 표면돌기(144) 사이의 함입된 부위에 광인출선(520)이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면돌기(144)를 다수 개 형성하게 된다면, 광인출선(520)이 위치하는 삽입높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경사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른 구성으로서, 중앙벽부(142)의 기울기도 부분별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광인출선(520)이 최초로 삽입되는 부위는 중앙선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한다. 이렇게 기울임을 주게 되면, 광인출선(520)이 삽입되는 부위가 더욱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를 더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인출선(520)이 배출되는 부위는 중앙선이 위치한 반대측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광인출선(520)이 배출되는 부위의 기울여진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광인출선(520)이 배출되면서 광케이블인출구(220)로 바로 향할 수 있는 위치 또는 엇갈린 위치에 있는 광케이블인출구(220)로 유도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광인출선(520)의 권선방법을 살펴보면, 광인출선(520)이 분배리브(140)에 삽입된 이후 바로 마주보는 광케이블인출구(220)으로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보조걸림고리(600)에 끼워져 엇갈린 위치에 있는 광케이블인출구(220)에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엇갈림 방식의 권선방법은 일직선 방식의 권선방법보다 권선형태의 유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권선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내부에서 과도하게 엉키거나 엇갈린 형태로 광인출선(520)을 부착하지 않고 일직선으로 부착하더라도 고정이 용이하고 배선이 미려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장 발생이나 점검 상황에서도 기존 광케이블(500) 단자함과 달리 한 눈에 들어오는 배선구조로 인해 분해 및 조립작업면에서도 유용함을 갖출 수 있어 내부 배선구조에서의 상당한 이점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어댑터모듈 110: 제1 어댑터판
111: 광인입선가이드 112: 걸림돌기
113: 원형리브 114: 정렬리브
120: 제2 어댑터판 121: 광분기어댑터
122: 분배접속부 123: 안착부
130: 보조원형리브 140: 분배리브
141: 경사벽 142: 중앙벽부
143: 그립벽부 144: 표면돌기
150: 리브커버 151: 벽부덮개부
152: 벽부고정돌기 200: 하부하우징
201: 메인수용부 202: 고정부
210: 광케이블인입구 220: 광케이블인출구
230: 잠금수단 300: 상부하우징
301: 보조수용부 310: 고정걸림턱
400: 가스켓 410: 광인출선관통공
411: 내부돌기 420: 고정고리
500: 광케이블 510: 광인입선
520: 광인출선 600: 보조걸림고리

Claims (15)

  1.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으로서,
    광케이블을 복수의 광인입선으로 분기시켜 고정하는 광인입선가이드가 포함되는 제1 어댑터판과, 상기 제1 어댑터판과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광인입선을 복수의 광인출선으로 분기시키는 광분기어댑터를 포함하는 제2 어댑터판으로 구성되는 어댑터모듈;
    전면 일 측에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인입구와, 상기 광케이블이 분기된 광인출선을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광케이블인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어댑터모듈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함입된 메인수용부가 형성된 하부하우징;
    후면 일 측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후면 일 측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내측에 상기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도록 함입된 보조수용부가 형성된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과 맞닿는 면을 밀폐시키는 가스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광인입선가이드는,
    상기 제1 어댑터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상기 광인입선이 적어도 1회 이상 감겨 보관되는 원형리브와, 복수의 가림벽이 일렬로 나열된 것으로서 서로 이웃한 가림벽 사이에 상기 원형리브를 통과한 광인입선을 하나씩 삽입하여 정렬시키는 정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댑터판의 상면에는,
    상기 광분기어댑터를 거쳐 분기된 복수의 광인출선을 거치하는 것으로서, 좌우로 각각 복수의 경사벽이 일렬로 나열되어 서로 이웃한 경사벽 사이에 상기 광인출선을 하나씩 삽입하여 정렬시키는 분배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면 일 측에는,
    고정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 단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면 일 측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은 상부로 최대 회동하였을 때 상기 고정걸림턱에 끼움 결합되는 잠금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잠금수단이 위치하는 반대측인 후면 일 측에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후면 일 측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힌지의 내부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잠금수단이 상기 고정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상부하우징이 상기 하부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방향으로 자동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판의 후면 일 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측면부에는 상기 제1 어댑터판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인출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면 중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광케이블인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광인출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광인출선관통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인출선관통공의 내측에는,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내부돌기가 상기 광인출선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광인출선관통공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기어댑터는,
    길이방향의 전측면에 상기 광인출선을, 후측면에 상기 광인입선을 각각 끼움 연결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복수의 분배접속부와,
    상기 분배접속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입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광케이블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을 1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수용부의 내측 표면에서 방사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판의 하면에는,
    상기 정렬리브를 통과한 상기 광인입선을 추가로 적어도 1회 이상 감아 보관하는 보조원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중앙벽부와,
    상기 중앙벽부의 양 끝단에서 각각 상기 제2 어댑터판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가로지르는 중앙선을 향해 절곡 연장된 그립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리브는,
    상기 분배리브의 상면을 덮는 벽부덮개부와,
    상기 벽부덮개부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그립벽부에 의해 상기 광인출선과 상기 중앙벽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벽부고정돌기가 형성된 리브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에서 상기 그립벽부가 연장 형성된 방향의 반대측 표면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복수개의 표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광인출선의 삽입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벽부는,
    상기 광인출선이 최초로 삽입되는 부위가 상기 중앙선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광인출선이 배출되는 부위는 상기 중앙선이 위치한 반대측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20170005864A 2017-01-13 2017-01-13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1837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64A KR101837336B1 (ko) 2017-01-13 2017-01-13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64A KR101837336B1 (ko) 2017-01-13 2017-01-13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336B1 true KR101837336B1 (ko) 2018-03-12

Family

ID=6172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864A KR101837336B1 (ko) 2017-01-13 2017-01-13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656A (ko) * 2018-04-05 2019-10-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분배함
KR102536624B1 (ko) * 2022-04-18 2023-05-26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초고속 인터넷과 연계한 정보통신의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31B1 (ko) * 2009-07-14 2010-03-16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단자함에서의 광케이블 분기방법
KR101480760B1 (ko) * 2014-11-26 2015-01-12 (주)비디씨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31B1 (ko) * 2009-07-14 2010-03-16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단자함에서의 광케이블 분기방법
KR101480760B1 (ko) * 2014-11-26 2015-01-12 (주)비디씨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656A (ko) * 2018-04-05 2019-10-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분배함
KR102525785B1 (ko) * 2018-04-05 2023-04-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분배함
KR102536624B1 (ko) * 2022-04-18 2023-05-26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초고속 인터넷과 연계한 정보통신의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0152C (en) Optical connection terminal having port mapping scheme
JP2010527463A (ja) 光ファイバの接続及び配線のための筐体
US6721484B1 (en) Fiber optic network interface device
US7480437B2 (en) Fiber access terminal
US20210231897A1 (en) House box with mounting surface for mounted access
KR101694313B1 (ko)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183733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1695269B1 (ko)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KR20090012698A (ko) 가입자 인입용 광케이블 성단시 소형의 접속점 보호장치 및이를 장착한 광케이블 단자함
KR100750350B1 (ko) 세대단자함에 이용되는 소형광분배함과 이를 이용한소형광분배함의 설치방법
CN1981226A (zh) 光纤接入终端
KR20170095431A (ko) 광 케이블 어셈블리 일체형 광접속함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05463Y1 (ko) 광분기함
US6314230B1 (en) Fiber interconnection assembly
JP2007086180A (ja) 成端キャビネット
JP4368285B2 (ja) 光コネクタローゼット
KR200481262Y1 (ko) 광심선접속 단자함
CN113267861B (zh) 适配器的面板组件
US20230280540A1 (en) Cable enclosure assembly having receiving area configured to alternatively receive cable retainer and cable adapter to allow plurality of configurations
US11320617B2 (en) Connection box and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cables
RU2723915C1 (ru) Оптическая муфта и терминальный модуль для оптической муфты (варианты)
KR200391401Y1 (ko) 세대단자함에 이용되는 소형광분배함
KR101928784B1 (ko) 절연구조의 광케이블 분기함
KR100975001B1 (ko)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KR20230103501A (ko) 광케이블 외피홀더 및 가공용 광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