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269B1 -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 Google Patents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269B1
KR101695269B1 KR1020160114235A KR20160114235A KR101695269B1 KR 101695269 B1 KR101695269 B1 KR 101695269B1 KR 1020160114235 A KR1020160114235 A KR 1020160114235A KR 20160114235 A KR20160114235 A KR 20160114235A KR 101695269 B1 KR101695269 B1 KR 10169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copper
junction box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인택
김학기
Original Assignee
임인택
김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인택, 김학기 filed Critical 임인택
Priority to KR102016011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케이블이 설치되는 동단자함과 광케이블이 설치되는 광단자함을 하나의 단자함에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급속히 늘어나는 FTTH 가입자를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고, 감소하고 있는 일반 동 가입자를 함께 수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된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의 대체 공사가 원활할 뿐만 아니라 신규설치시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한편,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도시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을 별도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경제적 낭비요인을 줄일 수 있고, 기존의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을 설치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배선의 복잡함, 회선 장애, 단자함 유지보수 및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와, 증가하는 FTTH 가입자에 맞춰 증설가능한 광섬유정리함을 이용하여 광통신선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는 효과및 덮개의 개폐가 다단으로 이루어져 우천시에도 유지보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을 하나의 함체에 설치함으로써 도시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Outdoor integrated multi-junction box}
본 발명은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케이블이 설치되는 동단자함과 광케이블이 설치되는 광단자함을 하나의 단자함에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급속히 늘어나는 FTTH 가입자를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고, 감소하고 있는 일반 동 가입자를 함께 수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된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의 대체 공사가 원활할 뿐만 아니라 신규설치시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한편,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도시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먼저, 유선통신망을 구축함에 있어서, 전화국으로부터 각 세대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선로는 전화국에서 공급되는 국선(동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이 전신주에 설치된 옥외 단자함을 통해 분기되고 분기된 인입선들이 각 세대의 건물벽등에 설치되는 옥내용 단자함에 이르게 되고, 옥내용 단자함에서 통신선을 세대내에 필요한 장소(방, 거실 등)에 공급함으로 각 세대의 말단 단말에 연결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유선통신망은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다세대 주택에 통신 라인을 공급하기 위해서 기존의 동케이블 옥외 단자함을 외부의 전신주에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환경의 변화, 그리고 사용자들의 욕구 증대로 인해 초고속 광대역 정보통신 환경, 유비쿼터스 환경의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고,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동케이블로는 한계가 있어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가구에 통신선로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은 동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전신주 등에 설치되는 옥외 단자함을 통해 각 가전에 통신선로를 공급하는데, 상기 광케이블을 각 가정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케이블을 여러가닥으로 나누고 이를 각 가정으로 공급한다.
즉, 상기 광케이블은 여러 가닥으로 나뉘어지는 부분이 매우 복잡하므로 이를 잘 정리하여 단자함에 내장하고, 상기 단자함을 외부 전신주 등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광케이블 옥외 단자함이라 한다.
이러한, 광케이블 옥외 단자함은 기존의 동케이블 옥외 단자함 옆에 별도로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설치구조는 외부 전신주나 건물 벽면에 동케이블 단자함과 광케이블 단자함이 이중으로 설치됨으로써,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 관리에 있어 인력 및 비용적인 측면 등을 포함한 문제점들에 의해 불편함을 초래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61552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62948호에 각각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과 "옥내용 동케이블 및 광케이블 겸용 단자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을 하나의 단자함에 설치한다는 기술사상만이 있을 뿐이고, 기존의 동케이블 단자함에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이어서 단자함의 기본구조가 동케이블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이 상태에서 광케이블을 추가 설치하다보니 배선의 복잡화, 배선간 간섭문제 등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는 한편, 옥내용 단자함을 제시하고 있어 옥외용 단자함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이에, 종래기술이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0760호에는 동축케이블 통신단자부와 광케이블 통신단자부를 동시에 수용하고, 배선의 복잡화, 배선간 간섭문제, 단자함 유지보수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광분기함을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 광통신선 확장이나 축소 필요시 또는 고장으로 인한 해당부품 교체시 탄력적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한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이 개시되어 있으나, 옥외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특성상 옥외의 환경에 의한 부식 또는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광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구조가 부족하여 작업자가 광케이블을 절단 및 연장하여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629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076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6155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전신주에는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이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이 복잡하게 설켜서 회선 장애가 발생하고, 신규증설 및 유지보수가 번거롭고, 이에 따라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이 하나의 단자함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늘어나는 FTTH 가입자와 감소하는 동 가입자에 맞춰 쉽게 신규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 단자함 대체 공사시 공정이 원활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옥외의 특성상 강우, 바람, 충격, 자외선 등으로부터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을 보호할 수 있는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되, 사다리꼴 형상인 와 함체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광섬유정리함 및 함체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동접속단자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함체는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상부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복수 개의 스톱홀이 형성된 개폐조절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함체는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과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동케이블(2)이 관통되는 동케이블홀과 동케이블홀의 양측에 형성되어 UTP케이블이 인출되는 UTP케이블홀 및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어 광섬유정리함을 통과한 드롭케이블이 인출되는 드롭케이블홀을 포함하여 구현되고, 상기 광섬유정리함은 함체의 내부 상측에 돌출되어 권취공간이 형성되는 권취부와 함체의 내부 상측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권취부를 개폐하는 광케이블정리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광케이블정리부는 하부면 일측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원형트랩과 하부면 일측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스플리터고정부 및 하부면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타원형트랩을 포함하여 구현되고, 상기 광섬유정리함은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가 고정결합되는 슬롯패널을 포함하여 구현되며, 상기 함체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60 내지 8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은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을 별도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경제적 낭비요인을 줄일 수 있고, 기존의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을 설치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배선의 복잡함, 회선 장애, 단자함 유지보수 및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와, 증가하는 FTTH 가입자에 맞춰 증설가능한 광섬유정리함을 이용하여 광통신선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는 효과및 덮개의 개폐가 다단으로 이루어져 우천시에도 유지보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동단자함과 광단자함을 하나의 함체에 설치함으로써 도시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을 나타낸 저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덮개를 개방한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슬롯패널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본 발명은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케이블과 광케이블을 하나의 함체(10)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동케이블 단자함과 광케이블 단자함이 각각 별도로 설치됨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인 배선의 복잡함, 회선 장애, 단자함 유지보수 및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가하는 FTTH 가입자에 맞춰 광통신선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고, 우천시에도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도시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광케이블과 통케이블을 수용하는 함체(10)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60 내지 8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옥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강우, 바람, 외부충격, 자외선 등으로부터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되, 사다리꼴 형상인 함체(10);와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광섬유정리함(20); 및 함체(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동접속단자판(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함체(10)는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상부에 상부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12a)에 의해 결합되어 개폐되는 덮개(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덮개(12)는 상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1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1)는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복수 개의 스톱홀(11a-1)이 형성된 개폐조절부(11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함체(10)는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광케이블(1)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13);과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동케이블(2)이 관통되는 동케이블홀(14);과 동케이블홀(14)의 양측에 형성되어 UTP케이블(3)이 인출되는 UTP케이블홀(18); 및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어 광섬유정리함(20)을 통과한 드롭케이블(1')이 인출되는 드롭케이블홀(1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케이블홀(13), 동케이블홀(14), 드롭케이블홀(15)은 각각 광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이 관통되되, 함체(10)의 내측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내부에 형성되어 인입된 광케이블(1), UTP케이블(3)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링(11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섬유정리함(20)은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돌출되어 권취공간(21a)이 형성되는 권취부(21);와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권취부(21)를 개폐하는 광케이블정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케이블정리부(22)는 하부면 일측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원형트랩(22a);과 하부면 일측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스플리터고정부(22b); 및 하부면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타원형트랩(22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광섬유정리함(20)은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23a)가 고정결합되는 슬롯패널(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함체(10)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60 내지 8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함체(10)는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되, 사다리꼴 형상인 것으로서, 전신주의 외주연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후면에 결합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사다리꼴 형상을 가짐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함체(10)의 표면 즉, 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부로 이동되어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이 유지되어 외부의 이물질, 빗물 등이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광케이블과 동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함체(10)의 외부면 즉, 표면은 발수코팅되어 우천시 빗물이 더욱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체(10)의 재질은 60 내지 80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및 20 내지 40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데, 상기 함체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열화에 강하고, 방수성능이 우수하며, 변색이 적을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열성을 부여하여 함체(1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함체(10)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을 구성하는 코팅층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에폭시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는 기계적 성질과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온 변화와 외부 충격에 노출되는 단자함의 내충격성,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에 벤즈옥사진계, 벤조트리아졸계, HALS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자외선 안정제를 첨가하여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전체 함량에 대해 5 내지 3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충격성 향상을 위하여 함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에폭시 수지의 코팅층에 올레핀계 합성고무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추가적으로 코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코팅층의 형성을 통해 함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성, 방수성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함체(10)는 상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외선의 열에 의한 변형이 없고, 방수성능이 우수하여 누전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강도가 높아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이 적을 뿐만 아니라 변색이 적어 미관이 해쳐지거나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함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상부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12a)에 의해 결합되어 개폐되는 덮개(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11)는 옥외의 전신주에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결합부(17)가 형성되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와 결합될 수 있는 암결합부(미표시)가 가장자리 즉, 둘레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12)는 상기 암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숫결합부(미표시)가 저면 가장자리 즉,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복수 개의 스톱홀(11a-1)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폐조절부(11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12)는 상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12b);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덮개(12)의 스톱퍼(12b)가 본체(11)의 개폐조절부(11a)에 형성된 스톱홀(11a-1)에 걸려 다단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즉, 다시 말해 상기 덮개(12)는 스톱퍼(12b)가 본체(11)의 개폐조절부(11a)에 형성된 스톱홀(11a-1)에 순차적으로 걸림으로써, 개폐되는 정도가 조절되며, 이는 우천상황에서 본 발명의 단자함의 유지보수가 발생하였을 때,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함체(10) 즉, 본체(11)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1)의 개폐조절부(11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톱홀(11a-1)이 형성되며, 본체(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덮개(12)의 스톱퍼(12b)는 상기 덮개(12)의 개폐조절부(11a)의 스톱홀(11a-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덮개(12)가 힌지(12a)를 축으로 개방될 때, 개폐조절부(11a)의 첫번째 스톱홀(11a-1)에 걸리게 되며, 작업자는 다시한번 덮개(12)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두번째 스톱홀(11a-1)에 걸리게 함으로써, 덮개(12)가 한번에 완전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함체(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광케이블(1)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13)과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동케이블(2)이 관통되는 동케이블홀(14)과 동케이블홀(14)의 양측에 형성되어 UTP케이블(3)이 인출되는 UTP케이블홀(18) 및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어 광섬유정리함(20)을 통과한 드롭케이블(1')이 인출되는 드롭케이블홀(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케이블홀(13)과 드롭케이블홀(15), UTP케이블홀(18) 및 동케이블홀(14)은 광케이블(1)과 UTP케이블(3), 드롭케이블(1') 및 동케이블(2)이 배선이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선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함과 동시에 광케이블(1)과 동케이블(2)을 구분함으로써, 이후에 유지보수 필요시 작업자가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홀(13), 동케이블홀(14), UTP케이블홀(18), 드롭케이블홀(15)의 형상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광케이블홀(13)은 국선용 즉, 전화국으로부터 단자함에 들어오는 광케이블(1)이 유입되고, 상기 드롭케이블홀(15)은 본 발명의 단자함 내부에서 분기된 인입선 즉, 단자함내에서 분기되어 각 세대 옥내 단자함으로 들어가는 드롭케이블(광케이블통신선)이 단자함 즉, 함체(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UTP케이블홀(18)은 동케이블홀(14)을 통해 단자함 즉, 함체(10)의 내부로 인입된 동케이블(2)이 단자함 내부 즉, 동접속단자함(30)에서 분기된 UTP케이블(3)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광케이블홀(13), 동케이블홀(14), UTP케이블홀(18), 드롭케이블홀(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광케이블(1), 드롭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이 관통되되, 함체(10)의 내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폐부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폐부재(16)는 광케이블홀(13), 동케이블홀(14), 드롭케이블홀(15)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6)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패킹 즉,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광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이 관통될 때, 끼움방식으로 관통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광케이블홀(13), 동케이블홀(14), 드롭케이블홀(15), UTP케이블홀(18)의 광케이블(1), 드롭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이 관통되지 않은 부분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함체(10)의 본체(11)는 내부에 일체 또는 결합되어 형성되되, 인입된 광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과 분기된 드롭케이블(1')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링(11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링(11b)은 인입된 광케이블(1), 드롭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이 고정링(11b)의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광케이블(1), 드롭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고정링(11b)은 상부가 일부 개방되어 본체(11)의 내부로 인입된 광케이블(1), 드롭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을 내측에 수용케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링(11b)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본체(11)의 내부에 광케이블(1), 드롭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이 효과적으로 정리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변경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고, 갯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광섬유정리함(20)은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동케이블 관련부품과 분리되어 즉, 함체(10)의 내부에서 광케이블 관련부품과 이격되어 광케이블 관련부품이 수용되고, 상부면이 개폐되며, 내부에는 인입된 광케이블(1)에 대해 광분기를 하여 여러 가닥의 광코어선(미표시)들로 분기하는 스플리터(40)와 인입된 광케이블(1)과 광분기된 드롭케이블(1')(이하, '광코어선'이라 한다.)들이 배선되어 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광섬유정리함(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돌출되어 권취공간(21a)이 형성되는 권취부(21)와,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권취부(21)를 개폐하는 광케이블정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권취부(21)는 광케이블홀(13)로 인입된 광케이블(1)이 정리될 수 있도록 본체(11)의 내부 상측에 타원 또는 사각의 형태를 이루되,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광케이블(1)이 권취되는 권취공간(21a)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에 광케이블(1)이 유입되는 유입부(21b)가 형성되고,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권취탭(2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권취부(21)는 유입부(21b)를 통해 광케이블(1)이 권취공간(21a)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광케이블(1)은 권취탭에 의해 권취부(21)의 내측면을 따라 권취되어 정리되어 지며, 광케이블(1)이 정리된 권취공간(21a)에는 광케이블에 대해 광분기를 하여 여러 가닥의 광코어선들로 분기하는 RN(Remoe Node)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RN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일반적으로 스플리터(40)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스플리터(40)는 권취부(21)를 개폐하는 광케이블정리부(22)의 하부면에 착탈될 수 있게 결합되며, 이는 이후에 광케이블정리부(22)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광케이블정리부(22)는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권취부(21)의 일측 또는 타측에 힌지(미표시)에 의해 결합되어 권취부(2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권취부(21)에 권취되어 정리된 광케이블(1)이 연결되는 스플리터(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고정부(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플리터(40)를 통해 분기된 광케이블(1) 즉, 광코어선들이 상부로 인출될 수 있는 배출부(22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광케이블정리부(22)는 광케이블(1)이 광분기함을 통해 광코어선들로 분기되면 배출부(22d)를 통해 상부로 인출되고, 광분기함이 아닌 스플리터(40)를 이용해 광코어선들로 분기되면 안정적으로 스플리터(4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광케이블(1) 및 광코어선들이 정리될 수 있도록 스플리터고정부(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발명에서는 광분기함 대신 스플리터(40)를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정리부(22)는 스플리터(40)로 연결되기 전 광케이블(1)을 한번더 정리할 수 있도록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원형트랩(22a)와 스플리터(40)를 통과한 광코어선들을 정리할 수 있는 타원형트랩(2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원형트랩(22a)과 타원형트랩(22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 즉, 다각의 형상 중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권취부(21)와 마찬가지로 돌출형성 즉, 하부면에 돌출형성되고, 복수 개의 탭(미표시)이 형성되어 권취된 광케이블(1) 및 광코어선들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원형트랩(22a), 스플리터고정부(22b) 및 타원형트랩(22a)의 배치는 상기 광케이블정리부(22)의 하부면 일측 상부에 원형트랩(22a)이 돌출형성되고, 광케이블정리부(22)의 하부면 일측 하부에 스플리터고정부(22b)가 형성되며, 광케이블정리부(22)의 하부면 타측에 타원형트랩(22a)이 돌출형성되어 권취부(21)에 권취되어 나온 광케이블(1)과 스플리터(40)를 통과한 광케이블(1) 즉, 광코어선들이 자연스럽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배선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원형트랩(22a)은 권취부에서 1차로 권취된 광케이블(1)이 한번더 안정적으로 정리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 타원형트랩(22a)에 비해 크기가 작게 형성되고, 이에 비해, 상기 타원형트랩(22a)은 분기된 광코어선들이 안정적으로 정리될 수 있도록 원형트랩(22a)에 비해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광섬유정리함(20)은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23a)가 고정결합되는 슬롯패널(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면은 광케이블정리부(22)의 상부면을 의미하며, 광케이블정리부(22)의 하부로부터 배출부(22d)를 통해 인출된 광코어선들이 각각 슬롯패널(23)에 고정결합되는 어댑터(23a)에 연결되고, 어댑터(23a)를 통해 각 세대의 옥내 단자함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슬롯패널(23)은 광케이블정리부(22)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3a)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미표시)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23a)에는 광코어선이 연결된 광코어컨넥터(미표시)가 결되고, 상기 광코어컨넥터에는 각 세대의 옥내 단자함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광케이블이 연결되어 앞서 설명된 드롭케이블홀(15)을 통해 인출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동접속단자판(30)은 종래에 동케이블 단자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광섬유정리함(20)과 구분됨과 동시에 배선이 복잡해지지 않도록 함체(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종래에 동케이블 단자함에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앞서 언급된 UTP케이블(3)은 동접속단자판(30)에 동케이블(2)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것으로서, 동케이블(2)과 함께 정리됨으로써, 급증하고 있는 FTTH 가입자에 맞춰 광케이블(1)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광케이블홀(13)과 동케이블홀(14)을 통해 광케이블(1), 동케이블(2)이 단자함 즉, 함체(10)의 내부로 인입되면, 동케이블(2)은 동접속단자판(30)에 연결되어 정리되고, 광케이블(1)은 상기 동접속단자판(30)과 이격되어 함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광섬유정리함(20)에 정리됨으로써, 증가되는 FTTH 가입자에 맞춰 광케이블(1)을 증설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광케이블 1' : 드롭케이블 2 : 동케이블
3 : UTP케이블 10 : 함체 11 : 본체
11a : 개폐조절부 11a-1 : 스톱홀 11b : 고정링
12 : 덮개 12a : 힌지 12b : 스톱퍼
13 : 광케이블홀 14 : 동케이블홀 15 : 드롭케이블홀
16 : 밀폐부재 17 : 결합부 18 : UTP케이블홀
20 : 광섬유정리함 21 : 권취부 21a : 권취공간
21b : 유입부 21c : 권취탭 22 : 광케이블정리부
22a : 원형트랩 22b : 스플리터고정부 22c : 타원형트랩
22d : 배출부 23 : 슬롯패널 23a : 어댑터
30 : 동접속단자판 40 : 스플리터

Claims (7)

  1.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상부에 상부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12a)에 의해 결합되어 개폐되는 덮개(12);와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광케이블(1)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13);과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동케이블(2)이 관통되는 동케이블홀(14);과
    동케이블홀(14)의 양측에 형성되어 UTP케이블(3)이 인출되는 UTP케이블홀(18);과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어 광섬유정리함(20)을 통과한 드롭케이블(1')이 인출되는 드롭케이블홀(15); 및
    광케이블(1), 드롭케이블(1'), UTP케이블(3), 동케이블(2)이 관통되되, 함체(10)의 내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폐부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옥외의 전신주에 설치되되, 사다리꼴 형상인 함체(10);와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돌출되어 권취공간(21a)이 형성되는 권취부(21);와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권취부(21)를 개폐하는 광케이블정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함체(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광섬유정리함(20); 및
    함체(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동접속단자판(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12)는
    상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1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1)는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복수 개의 스톱홀(11a-1)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12)의 스톱퍼(12b)가 상기 스톱홀(11a-1)에 걸리는 개폐조절부(11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광케이블정리부(22)는
    하부면 일측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원형트랩(22a);과
    하부면 일측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스플리터고정부(22b); 및
    하부면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타원형트랩(2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정리함(20)은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23a)가 고정결합되는 슬롯패널(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60 내지 8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함체(10)의 내부 및 외부면에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에폭시 수지와
    벤즈옥사진계, 벤조트리아졸계, HALS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에
    올레핀계 합성고무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며,
    상기 함체(10)의 표면은 발수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KR1020160114235A 2016-09-06 2016-09-06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KR10169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35A KR101695269B1 (ko) 2016-09-06 2016-09-06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35A KR101695269B1 (ko) 2016-09-06 2016-09-06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269B1 true KR101695269B1 (ko) 2017-01-12

Family

ID=5781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235A KR101695269B1 (ko) 2016-09-06 2016-09-06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2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5224A (zh) * 2020-05-28 2020-08-18 湖南海燕电气有限公司 一种方便整理布线的电缆分支箱
KR102202292B1 (ko) * 2020-06-05 2021-01-13 내외코리아 주식회사 배전반 내부의 습기를 자동조절하는 판넬을 구비한 배전반
KR102265106B1 (ko) * 2020-07-08 2021-06-15 주식회사 티에스디글로벌 지주용 전원설비 공랭식 온도조절장치
KR20230059665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다목적 its용 통신 단자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552B1 (ko) 1995-11-17 2000-07-15 정몽규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레일 구조
KR20070062948A (ko) 2007-01-25 2007-06-18 주식회사 웨어세스 옥내용 동케이블 및 광케이블 겸용 단자함
KR101480760B1 (ko) 2014-11-26 2015-01-12 (주)비디씨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552B1 (ko) 1995-11-17 2000-07-15 정몽규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레일 구조
KR20070062948A (ko) 2007-01-25 2007-06-18 주식회사 웨어세스 옥내용 동케이블 및 광케이블 겸용 단자함
KR101480760B1 (ko) 2014-11-26 2015-01-12 (주)비디씨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5224A (zh) * 2020-05-28 2020-08-18 湖南海燕电气有限公司 一种方便整理布线的电缆分支箱
CN111555224B (zh) * 2020-05-28 2024-04-26 湖南海燕电气有限公司 一种方便整理布线的电缆分支箱
KR102202292B1 (ko) * 2020-06-05 2021-01-13 내외코리아 주식회사 배전반 내부의 습기를 자동조절하는 판넬을 구비한 배전반
KR102265106B1 (ko) * 2020-07-08 2021-06-15 주식회사 티에스디글로벌 지주용 전원설비 공랭식 온도조절장치
KR20230059665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다목적 its용 통신 단자함
KR102621853B1 (ko) 2021-10-26 2024-01-08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다목적 its용 통신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269B1 (ko)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US9882362B2 (en) Enclosure for controling access to different telecommunication components
US11719900B2 (en) Universal multi-purpose compartmentalized telecommunications box
CN103238257A (zh) 应变减轻装置
EP2527895B1 (en)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US20210231897A1 (en) House box with mounting surface for mounted access
KR20100092156A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183733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CN102411181A (zh) 一种复合型光缆及系统
KR20170095431A (ko) 광 케이블 어셈블리 일체형 광접속함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U2015360514B2 (en) Universal multi-purpose compartmentalized telecommunication box
US8073302B2 (en) Telecommunication enclosure with an interlocking seal
KR101085694B1 (ko)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CN100454703C (zh) 光电复合网络单元
KR101078352B1 (ko) 광분배 저장셀프
CN205067825U (zh) 基于三网融合的同时安装onu和eoc设备的一体化箱体
KR200261552Y1 (ko)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
JP711086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接続構造。
CN205539616U (zh) 共建共享型光缆交接箱
US11320617B2 (en) Connection box and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cables
CN210775941U (zh) 一种终端型光缆分纤箱
KR100964143B1 (ko) 옥외 케이블 통합 분배함
CN210488068U (zh) 一种具有防护性能的光缆
US20140360777A1 (en) Network interface device conduit fitting
KR20160009919A (ko)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