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694B1 -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694B1
KR101085694B1 KR1020080095277A KR20080095277A KR101085694B1 KR 101085694 B1 KR101085694 B1 KR 101085694B1 KR 1020080095277 A KR1020080095277 A KR 1020080095277A KR 20080095277 A KR20080095277 A KR 20080095277A KR 101085694 B1 KR101085694 B1 KR 101085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box
optical
trunk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898A (ko
Inventor
고석봉
이봉영
이원형
박정권
강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9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6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3Cassettes
    • G02B6/4454Cassettes with spl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65Se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국(Central Office)들 사이에 구비되는 접속함으로서, 전화국들을 연결하여 통신망을 형성시키는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광케이블 간선함체; 및 덮개를 구비하는 접속함으로서, 광케이블 간선함체에 의하여 분기된 광케이블을 수용하여 가입자에게 통신 연결을 제공하며, 광케이블 간선함체 측부에 부착 형성되거나 덮개가 없는 광케이블 간선함체 위에서 광케이블 간선함체에 결합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케이블망 전체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관리도 편리하다. 게다가, 기존 광케이블 접속함체보다 기밀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이용이 가능하다.
광접속함체, 광케이블 접속함체, 리본 광케이블, 광분기함, 진공 그리스(vacuum grease), 패킹, 광가입자망

Description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Optical cable junction box assembly with optical cable divergence box, and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having the said optical cable junction box assembly}
본 발명은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본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상기 광케이블을 분기시키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별도 구비시켜 광가입자망 전체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초고속 전용회선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입자 댁내나 사무용 건물의 내부까지 광케이블을 포설한 후 광가입자망(Optical access network)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광가입자망은 보통 환형망과 체감망이 혼합 구성된 구조를 가진다.
환형망(circulation network)이라 함은 특정 전화국(CO; Central Office)의 FDF(Fiber Distribution Frame)에서 성단되어 도로를 따라 원형 루트를 그리며, 다 른 전화국의 FDF에까지 동일한 코어(core) 수로 성단되는 형태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요약하면 환형망은 전화국끼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서, 특히 원형 루트 광케이블망으로 구현된다고 하여 광간선망이라고도 한다. 광간선망은 보통 루트 내 중간 접속점을 다수 구비하는데, 이 중간 접속점 역할을 하는 것이 광접속함체(=광케이블 접속함체)이다. 이러한 광접속함체는 광케이블을 분기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반면, 체감망이란 상기 특정 전화국의 FDF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코어 수가 감소하여 성단되는 형태의 네트워크로서, 상기 중간 접속점에서 FTTH(Fiber To The Home) 가입자로 이어지는 네트워크가 이에 해당한다.
그런데, 광간선망에서는 144 코어까지는 루즈튜브형 광케이블이 주로 사용되며, 144 코어 초과(예컨대, 288 코어, 432 코어 등)에서는 집적도의 향상을 고려하여 리본슬롯형 광케이블이 주로 사용된다. 광간선망에서의 광케이블이 루즈튜브 형태의 광케이블이면 광접속함체에서 광케이블을 직접 분기시켜 가입자 구간으로 망을 구성할 수 있으나, 광간선망에서의 광케이블이 리본 형태의 광케이블이면 상기와 같은 망 구성이 어렵다. 통상 루즈튜브 형태의 광케이블은 단일 코어 형태로 구분되어 접속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상기한 망 구성이 가능하나, 리본 형태의 광케이블은 하나의 모듈이 4 코어, 8 코어, 12 코어 등 여러 형태의 코어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한 망 구성이 어렵다. 더욱이, 12 코어 리본형 광섬유의 경우 크기가 넓이 3mm, 두께 0.35mm로써 광접속함체 내에서 직접 분기 및 접속 작업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상기한 망 구성은 더욱 어렵게 된다.
설사 광접속함체 내에서 광케이블을 직접 분기시킬 수 있다 하더라도, 기존 의 광접속함체는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광케이블 분기 작업을 수시 수행할 경우 광접속함체의 노화, 틈새 형성에 따른 기밀성과 방수 기능의 저하 등을 피할 수가 없었다. 뿐만 아니라, 빈번한 개폐 작업으로 인하여 광간선망 전체 코어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광케이블망 운용 및 유지 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케이블을 분기시키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국(Central Office)들 사이에 구비되는 접속함으로서, 상기 전화국들을 연결하여 통신망을 형성시키는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광케이블 간선함체; 및 덮개를 구비하는 접속함으로서,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에 의하여 분기된 광케이블을 수용하여 가입자에게 통신 연결을 제공하며,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측부에 부착 형성되거나 덮개가 없는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위에서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에 결합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국들 사이에 구비되는 접속함으로서 상기 전화국들을 연결하여 통신망을 형성시키는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광케이블 간선함체와, 덮개를 구비하는 접속함으로서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에 의하여 분기된 광케이블을 수용하여 가입자에게 통신 연결을 제공하며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측부에 부착되어 일체 형성되거나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의 덮개로써 일체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케이블 접속함체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가 광케이블을 분기시키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광케이블 분기 작업시 광케이블 분기함체만을 개폐하여 광간선망 전체 코어의 고장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가입자망 전체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전체 광가입자망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확보되어 유지보수 관리도 편리하다. 둘째, CO의 FDF에 연결되는 광케이블 간선함체에서 상기 광케이블 분기함체로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구멍 또는 홈이 외곽에 그리스층(grease layer)을 구비하거나, 상기 구멍 또는 홈을 통과하는 광케이블이 겉표면에 그리스층을 형성함으로써 광케이블 분기함체로부터 연유할 수 있는 광케이블 간선함체의 침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셋째, 두 함체(광케이블 분기함체 및 광케이블 간선함체)의 본체와 덮개의 접촉면에 패킹층을 구비시킴으로써 기존보다 두 함체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 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와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와 광케이블 분기함체(140)가 결합되어 이중함체 구조를 가지며, 특히 각 함체(120, 140)가 별도로 덮개(122, 142)를 구비함으로써 분기 접속 작업 처리시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만을 개폐시키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물론, 광케이블을 인입시키는 인입구(102) 또한 별도로 구비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두 함체(120, 140)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분리시킴으로써 광케이블 분기함체(140)에 침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에 내장된 광코어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잇점이 있다.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와 광케이블 분기함체(140)의 본체(111)에 패킹층(packing layer)(101)을 구비시킨다. 이러한 패킹층(101)은 본체(111)의 상부면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11)와 두 덮 개(122, 142) 사이를 기밀시키고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패킹층(101)은 두 덮개(122, 142)가 본체(111)에 끼움 결합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요입홈을 형성한다. 이러한 패킹층(101)의 일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3에서 패킹층(101)에 형성되는 요입홈은 도면부호 113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와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는 각각 별도로 본체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광케이블 분기함체(140)가 광케이블 간선함체(120) 측부에 부착되어 일체 형성되는 경우 두 함체(120, 140)의 본체를 일체형으로 형성시킴도 가능하다. 이때, 패킹층(101)은 광케이블 분기함체(140)와 광케이블 간선함체(120) 사이에 두께층으로 형성되며, 이때의 패킹층(101)은 두 함체(120, 140)의 영역을 구분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덮개 고정 나사(103)를 이용하여 본체(111)와 덮개(122, 142)를 결합시키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덮개(111)의 일측이 본체(121, 141)에 일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케이블 간선함체(120)는 전화국(CO; Central Office)들 사이에 구비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로서, 전화국들을 연결하여 통신망(광가입자망)을 형성시키는 광케이블을 수용한다. 광케이블 간선함체(120)는 광케이블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광심선 보호 지지판(123)에 광케이블 여장 정리용 트레이(124)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다.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의 이러한 구조는 광케이블 분기함체(14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광케이블 분기함체(140)의 경우 광섬유들을 정렬시키는 광 섬유 보호슬롯(125)을 더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케이블 간선함체(120)는 상기의 구조를 통하여 전화국과 연결되는 간선 광케이블(400)이 수용되면 이 광케이블(400)은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로 인입되며, 인입된 광섬유(401)는 광섬유 보호슬롯(125)에 성단되고 여유 길이는 광심선 보호 지지판(123)에 저장된다. 인입된 광섬유(401)는 운용 상황에 따라 여러 갈래로 절단한 채 성단될 수 있으며, 절단되지 않은 채 광섬유 보호슬롯(125)에 고정됨도 가능하다. 한편, 광케이블 여장 정리용 트레이(124)와 광섬유 보호슬롯(125)을 구비하는 광심선 보호 지지판(123)의 일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는 덮개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로서,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에 의하여 분기된 광케이블을 수용하여 가입자에게 통신 연결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는 광케이블 간선함체(120) 측부에 부착되어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의 덮개로써 일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는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수시 개폐되어 분기 접속 작업을 이행할 수 있게 하는데,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체에서 가입자 구간으로 광케이블을 구성하기 위해 3개의 분배 광케이블(502)들을 분기해야 할 경우 덮개만을 개방시켜 인입구(501)로 각각의 분배 광케이블(502)을 삽입시킨 후 수 용된 리본 광섬유(401)와 접속시키며, 이때의 광섬유(401)는 광섬유 보호슬롯(125)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추가로 가입자 구간으로 광케이블을 구성해야 하는 필요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추가 구성의 일례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분배 광케이블(502)을 수용 및 접속하기 위해서 광케이블 간선함체(120)는 개폐하지 않은 채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만 개폐시킴으로써 잦은 접속 및 덮개의 개폐 작업에 따른 광 간선망 전체에 대한 위험성을 줄일 수가 있고, 작업자 또한 안전하게 작업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에서 광케이블 분기함체(140)로 가입자 수요에 필요한 코어 수만큼의 리본 광섬유(401)가 인입될 수 있도록 두 함체(120, 140) 사이에 형성된 패킹층(101)을 관통하는 구멍 또는 상기 패킹층(101)을 절개시켜 형성한 절개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리본 광섬유(401)를 분배 광케이블(502)에 접속시켜서 가입자 구간으로 광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밀성을 유지하고 함체가 침수되어 함체 속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멍이나 상기 절개부는 리본 광섬유(401)에 접촉하는 외곽면에 그리스층(grease layer)을 구비한다. 또는, 상기 구멍이나 상기 절개부로 삽입되는 광섬유(401)가 겉표면에 그리스층을 구비한다. 이상의 그리스층은 진공 그리스(vacuum grease)를 칠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는데, 그리스층 형성이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절개부(600)는 광케이블 간선함체(120)와 광케이블 분기함체(140) 사이에 형성된 패킹층(101)을 상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개 형성한 세로 절개부(601) 및 상기 세로 절개부(601)의 일단에서 연장하여 가로 방향으로 절개 형성한 가로 절개부(602)로 이루어진다. 보통 패킹층(101)은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의 것으로 형성되므로 광섬유(401)가 절개부(600)에 끼이더라도 광섬유(401)를 변형시키거나 손상시킬 정도로 압박하지는 않게 된다.
가로 절개부(602)는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 코어 리본형 광섬유의 크기를 고려하여 길이 방향으로 3.0mm~3.5mm, 높이 방향으로 0.35mm~0.4mm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가로 절개부(602)의 크기가 길이 방향으로 3.0mm 미만이고 높이 방향으로 0.35mm 미만이 되면, 가로 절개부(602)의 크기는 12 코어 리본형 광섬유의 크기보다 작게 되어 리본 광섬유의 인입이 불가능하다. 반면, 가로 절개부(602)의 크기가 길이 방향으로 3.5mm 초과이고 높이 방향으로 0.4mm 초과가 되면, 가로 절개부(602)의 크기는 12 코어 리본형 광섬유의 크기보다 지나치게 크게 되어 그리스층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수분 등이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가로 절개부(602)의 크기는 길이 방향으로 3.0mm~3.5mm, 높이 방향으로 0.35mm~0.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에서 직접 광케이블의 분기가 어려운 리본슬롯형 광케이블 접속함체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가 리본슬롯형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간선망 전체를 보호하며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함 등을 고려할 경우 루즈튜브형 광케이블 접속함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100)는 광가입자망, 특히 수동형 광가입자망(PON; Passive Optical Network)에 유용될 수 있겠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케이블망 전체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관리도 편리하다. 게다가, 기존 광케이블 접속함체보다 기밀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광케이블망 전반에 이용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향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에 구비되는 패킹층의 일실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의 구현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에 구비되는 패킹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분기함체에 구비되는 광심선 보호 지지판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101 : 패킹층
120 : 광케이블 간선함체 123 : 광심선 보호 지지판
124 : 광케이블 여장 정리용 트레이 125 : 광섬유 보호슬롯
140 : 광케이블 분기함체 600 : 절개부
601 : 세로 절개부 602 : 가로 절개부

Claims (11)

  1. 전화국(Central Office)들 사이에 구비되는 접속함으로서, 상기 전화국들을 연결하여 통신망을 형성시키는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광케이블 간선함체; 및
    덮개를 구비하는 접속함으로서,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에 의하여 분기된 광케이블을 수용하여 가입자에게 통신 연결을 제공하며,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측부에 부착 형성되거나 덮개가 없는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위에서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에 결합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또는 상기 광케이블 분기함체는 상기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덮개를 기밀시키는 패킹층(packing laye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분기함체는 상기 광케이블을 정렬시키는 슬롯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일측에서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측부까지 절개시켜 형성한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로부터 상기 광케이블 분기함체로 분기되는 광케이블이 겉표면에 그리스층(grease layer)을 구비하거나, 상기 광케이블과 접하는 상기 절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곽면에 상기 그리스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와 상기 광케이블 분기함체 사이에 형성된 패킹층을 상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개 형성한 세로 절개부 및 상기 세로 절개부의 일단에서 연장하여 가로 방향으로 절개 형성한 가로 절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분기함체가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측부에 부착되어 일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광케이블 분기함체의 본체와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의 본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구비되는 덮개를 상기 본체에 기밀시키는 패킹층을 이용하여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와 영역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분기함체 또는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는 리본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광접속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10. 전화국들 사이에 구비되는 접속함으로서 상기 전화국들을 연결하여 통신망을 형성시키는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광케이블 간선함체와, 덮개를 구비하는 접속함으로서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에 의하여 분기된 광케이블을 수용하여 가입자에게 통신 연결을 제공하며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 측부에 부착되어 일체 형성되거나 상기 광케이블 간선함체의 덮개로써 일체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 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입자망 시스템은 수동형 광가입자망을 구현하는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KR1020080095277A 2008-09-29 2008-09-29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KR101085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77A KR101085694B1 (ko) 2008-09-29 2008-09-29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77A KR101085694B1 (ko) 2008-09-29 2008-09-29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98A KR20100035898A (ko) 2010-04-07
KR101085694B1 true KR101085694B1 (ko) 2011-11-22

Family

ID=4221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77A KR101085694B1 (ko) 2008-09-29 2008-09-29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502B1 (ko) * 2010-11-12 2011-07-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통신용 함체
CN109116500A (zh) * 2018-11-19 2019-01-01 江苏八达电子有限公司 一种光纤分线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3265B2 (en) 2004-05-11 2007-08-28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Convertible fiber closure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3265B2 (en) 2004-05-11 2007-08-28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Convertible fiber closure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98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8249B2 (ja) 光ファイバの配置と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10473873B2 (en) Fiber optic enclosure with cable management drawer
US20060153362A1 (en) Network interface device for fiber optic communications network
US20060153516A1 (en) Network interface device having integral slack storage compartment
US7668432B2 (en) Multi-drop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or fiber optic cabling
US11460656B2 (en) Enclosure for use in a fiber optic distribution network
US8805140B2 (en) Method of connecting user devices to optical fibre units contained in an optical cable
EP3673308B1 (en) Drop terminal
CN104041066A (zh) 用于户外高架场所的集线箱
KR20070085684A (ko) 광섬유 인입 단말기
AU2014382804B2 (en) A port sealing device and assembly for an optical cable termination box
KR20130022045A (ko)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KR101085694B1 (ko) 광케이블 분기함체를 구비하는 광케이블 접속함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KR101695269B1 (ko) 옥외 일체형 멀티 단자함
KR20100071468A (ko) 스플리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KR200405463Y1 (ko) 광분기함
KR20170095431A (ko) 광 케이블 어셈블리 일체형 광접속함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P3432046B1 (en) Equipment for mooring, connecting, accommodating and deriving external fibre optic cables on a support
KR20190092775A (ko) 광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110005160U (ko) 광단자함
US9104005B2 (en) Cable shroud assembly for fiber optic enclosure
KR20050069469A (ko) 스플리터 수용 모듈
KR20180015349A (ko) 돌출형 어댑터를 포함하는 분기형 광케이블 어셈블리
US11320617B2 (en) Connection box and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cables
CN201548734U (zh) 1×16分路器抽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