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045A -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 Google Patents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045A
KR20130022045A KR1020110084708A KR20110084708A KR20130022045A KR 20130022045 A KR20130022045 A KR 20130022045A KR 1020110084708 A KR1020110084708 A KR 1020110084708A KR 20110084708 A KR20110084708 A KR 20110084708A KR 20130022045 A KR20130022045 A KR 2013002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body
composite cable
optical fiber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김태경
이유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045A/ko
Publication of KR2013002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광전 복합케이블의 구성 및 구조에 상관없이 광전 복합케이블에 포함된 전력선 유닛과 광섬유 유닛을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된 전력선 유닛 및 광섬유 유닛을 하나의 광전 복합테이블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한 종단처리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TERMINAL BOX FOR SEPARATING POWER LINE UNIT AND OPTICAL FIBER UNIT FOR OPTICAL FIBER AND POWER WIRE COMPOSITE CABLE}
본 발명은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광전 복합케이블의 구성 및 구조에 상관없이 광전 복합케이블에 포함된 전력선 유닛과 광섬유 유닛을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된 전력선 유닛 및 광섬유 유닛을 하나의 광전 복합테이블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한 종단처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케이블로 동축케이블 또는 광전 복합케이블이 사용된다. 광전 복합케이블이 통신용 케이블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은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광전 복합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광전 복합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예를 들어, 원격무선장비(RRH), 원격무선유닛(RRU), 이하에서는 후속(後續)장비라고 함)는 광전 복합케이블에 포함된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분리하기 위한 케이블 종단처리수단을 필요로 한다.
특히,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분리하기 위한 케이블 종단처리수단으로서, 후속장비에서 요구하는 사양(예를 들어, 광섬유 유닛의 수 및 전력선 유닛의 수) 및 광전 복합케이블의 사양(예를 들어, 광섬유 유닛의 수 및 전력선 유닛의 수)에 대응되는 수량의 연결부를 가지는 케이블 종단처리수단을 필요로 한다.
또한, 광전 복합케이블은 기지국 내의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전력선 유닛 및 광섬유 유닛과 연결되어야 하는바,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과 기지국 내의 전력선 유닛 및 광섬유 유닛을 연결하는 케이블 종단처리수단을 필요로 한다. 특히, 기지국 내의 전력선 유닛 및 광섬유 유닛(이하에서는 후속(後續)장비라고 함)에서 요구하는 사양(예를 들어, 광섬유 유닛의 수 및 전력선 유닛의 수) 및 광전 복합케이블의 사양(예를 들어, 광섬유 유닛의 수 및 전력선 유닛의 수)에 대응되는 수량의 연결부를 가지는 케이블 종단처리수단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내의 전력공급부(Power Supply Unit, PSU)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선 유닛과, 상기 전력선 유닛과 분리되어 실외의 안테나 또는 상기 기지국 내의 베이스 변조 유닛(Base Band Unit, BBU)으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 유닛과, 광전 복합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종단처리수단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광전 복합케이블 및 다양한 후속장비에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우수한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작업이 용이한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케이블의 과도한 굴곡이나 꺾임을 방지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력선 유닛과 광섬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의 종단부를 처리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으로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유닛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유닛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상기 광전 복합테이블이 인입되는 인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연결부는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인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유닛연결부는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인출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닛연결부는 기지국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1 인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유닛연결부는 기지국의 베이스 변조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 인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과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결합된 광전 복합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과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전력연결부 및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과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을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광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력연결부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 및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연결부는 복수 개의 입력 소켓 및 복수 개의 출력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는 여유분의 단자이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소켓 중 일부의 소켓 및 복수 개의 출력 소켓 중 일부의 소켓은 여유분의 소켓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력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을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절개부는 "ㄴ" 형상 또는 "ㄷ"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1 여장 가이드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2 여장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직경은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의 굴곡을 최소화하는 직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력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에는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을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절개부는 "ㄴ" 형상 또는 "ㄷ"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1 여장 가이드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2 여장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직경은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의 굴곡을 최소화하는 직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서 소정 높이에 힌지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는, 일 단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제1 지지부에 힌지부로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제2 지지부에 체결부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는 서지 보호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연결부, 상기 제1 유닛연결부 및 상기 제2 유닛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부,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입부 및 상기 제2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밀폐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밀폐할 때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광전 복합케이블 및/또는 후속장비의 사양에 무관하게 다양한 광전 복합케이블에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별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 유닛 연결 작업공간과 전력선 유닛 작업공간을 분리하여, 안테나 타워 등의 야외에서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고, 이로 인해 설치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광섬유 유닛의 과도한 굴곡이나 꺾임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중에 또는 설치 후에 광섬유 유닛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내부에 먼지 및 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내부의 장치, 배선 등을 확실하게 방진 및 방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FTTA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분리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분리부재를 폐쇄한 상태에서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개략적인 외부 저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개략적인 내부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FTTA 시스템(Fiber To The Antenna system)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FTTA 시스템은, 방송국 또는 가정 등의 서버(server)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로 통신신호를 전송하며 전력공급원(예를 들어, 한국전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4000), 상기 기지국(4000)과 안테나부(3000)를 광학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전 복합케이블(HC),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분리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outdoor terminal)(1000),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1000)에서 분리된 광섬유 유닛 및 전력선 유닛으로부터 광신호 및 전력을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1000)에서 분리된 광섬유 유닛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원격무선장비(Remote Radio Head, RRH; Remote Radio Unit, RRU)(2000), 상기 원격무선장비(2000)로부터 무선 통신신호 및 전력을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원격무선장비(2000)로 무선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부(30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4000)은 안테나부(3000) 및 원격무선장비(2000)에 사용될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Power Supply Unit, PSU)(4300), 서버에서 전송된 통신신호 및/또는 안테나에서 전송된 통신신호를 변조하는 베이스밴드 유닛(Base Band Unit, BBU)(4200), 상기 전력공급부에서의 전력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에서의 통신신호를 광전 복합케이블에 연결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indoor terminal)(4100)을 포함한다.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4100)은 기지국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지국의 베이스 변조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과 광학적으로 연결되며, 기지국(4000)과 안테나부(3000)를 광학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전 복합케이블(HC)과 광학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은 전원공급부의 인입 전력선 유닛 및 베이스 변조 유닛의 인입 광섬유 유닛과 광전 복합케이블을 전기적으로 그리고 광학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은 전원공급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 베이스 변조 유닛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과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결합된 광전 복합케이블을 수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 및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상기 FTTA 시스템에서 광전 복합케이블의 사양 및 원격무선장비와 같은 후속장비의 사양에 대해 넓은 범위의 호환성을 필요로 하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서 호환성이 향상된 광전 복합케이블용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전력선 유닛과 광섬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의 종단부를 처리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으로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유닛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유닛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이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유닛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유닛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상기 광전 복합테이블이 인입되는 인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연결부는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인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유닛연결부는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인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이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유닛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유닛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연결부는 기지국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1 인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유닛연결부는 기지국의 베이스 변조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 인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과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결합된 광전 복합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과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은 인입구 및 인출구의 수량 및 위치 등을 제외하곤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로 구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한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분리부재(600)를 개방한 상태에서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분리부재(600)를 폐쇄한 상태에서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은,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으로 인입된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전력선 유닛(EC1)과 광섬유 유닛(F1)을 분리하는 종단처리함으로서, 케이스 본체(100),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로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HC)이 인입되는 인입부(200),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EC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EC4)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인출부(300),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F1)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F2)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인출부(400) 및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은,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지(surge) 현상을 방지하는 서지 보호장치(500) 및 케이스 본체(100)를 밀폐하는 덮개부(11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외부 케이스는 광전 복합케이블(HC) 및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된 전력선 유닛(EC1) 및 광섬유 유닛(F1)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10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밀폐하는 덮개부(110)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00)의 일단부와 덮개부(110)의 일단부는 서로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케이스 본체(100)의 타단부와 덮개부(110)의 타단부에는 잠금장치(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130)는 잠금과 잠금해제가 용이한 잠금장치(130)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케이스 본체(100)에는, 덮개부(110)가 케이스 본체(100)를 밀폐할 때(즉, 상기 잠금장치(130)를 잠금상태로 할 때)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내부로 물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재는 케이스 본체(100)가 아니라 덮개부(1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케이스 본체(100) 및 덮개부(110)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밀봉 부재(180)는 탄성 변형하는 구조를 가지고 및/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상기 덮개부(11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로 광전 복합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부(200),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EC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EC4)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인출부(300),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F1)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F2)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인출부(400)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분리부재(600)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가 공간적으로 분리되도록 케이스 본체(100)의 소정 높이에 힌지 방식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후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제1 지지부(610) 및 제2 지지부(620)가 설치된다. 상기 분리부재(600)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지지부(610)에 힌지부로 연결되고, 상기 분리부재(600)의 타 단부는 상기 제2 지지부(620)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660)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분리부재(600)는 체결부(660)를 풀어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설치작업자는 분리부재(600)를 개방하여 하부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분리부재(600)를 폐쇄하여 상부의 작업공간을 획득할 수 있어(두 개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넓은 설치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분리부재(600)의 하부에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 내로 인입된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되는 인입 전력선 유닛(EC1)과,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 밖으로 인출되어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후속(後續)장비(예를 들어, 원격 무선 장비(Remote Radio Head; RRH))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출 전력선 유닛(EC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전력연결부(7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전력연결부(7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인 전력선 유닛(EC1)이 접속되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EC4)이 접속되는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 중 일부는 여유분의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는 광전 복합케이블(HC)에 포함되는 전력선 유닛(EC1)의 수보다 많은 수의 입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는 상기 입력단자의 수에 대응되게 광전 복합케이블(HC)에 포함되는 전력선 유닛(EC1)의 수보다 많은 수의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되는 인입 전력선 유닛(EC1)이 2개일 때,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제1 전력연결부(700)는 5개의 입력단자 및 5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연결부(700)의 5개의 입력단자 중 2개의 입력단자에는 2개의 인입 전력선 유닛(EC1)이 연결되고, 나머지 3개의 입력단자는 도 2에 도시된 광전 복합케이블(HC)(즉, 2개의 전력선 유닛(EC1)을 가지는 광전 복합케이블(HC)) 이외에 다른 광전 복합케이블(HC)(예를 들어, 3개 내지 5개의 전력선 유닛(EC1)을 가지는 광전 복합케이블(HC))의 전력선 유닛(EC1)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을 제조할 때 제1 전력연결부(700)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여유분의 단자부를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양(예를 들어, 수량)의 전력선 유닛(EC1)을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HC) 및 다양한 후속장치에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을 사용할 수 있어, 종단처리함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서지(surge) 현상을 방지하여 후속장비를 보호하는 서지 보호장치(500)(surge protector)가 구비된다. 상기 서지 보호장치(500)는 제1 전력연결부(700)와 인출 전력선 유닛(EC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서지 보호장치(500)와 인출 전력선 유닛(EC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서지 보호장치(500)의 하류에는 제2 전력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서지 보호장치(500)는 제1 전력연결부(700)의 출력단자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입력단자 및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는 여유분의 단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단자이다.
상기 제2 전력연결부도 서지 보호장치(500)의 출력단자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입력단자 및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는 여유분의 단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케이스 본체(100)의 외면에 구비된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이다.
인입 전력선 유닛(EC1)부터 인출 전력선 유닛(EC4)까지의 접속관계를 살펴보면,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EC1)은 제1 전력연결부(700)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전력연결부(700)의 출력단자와 서지 보호장치(500)의 입력단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선(EC2)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서지 보호장치(500)의 출력단자와 제2 전력연결부의 입력단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 연결선(EC3)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상기 두 개 이상의 제2 연결선(EC3) 중 하나의 연결선은 서지 보호장치(500)의 접지단자와 제2 전력연결부의 접지단자를 연결하는 선(GC)이다. 그리고, 제2 전력연결부의 출력단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EC4)이 접속된다.
이렇게, 서지 보호장치(500)를 포함함으로써, 서지현상으로 인해 후속장비 및/또는 인출 전력선 유닛(EC4) 및/또는 인출 광섬유 유닛(F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분리부재(600)의 상부면에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 내로 인입된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되는 인입 광섬유 유닛(F1)과,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 밖으로 인출되어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후속(後續)장비(예를 들어, 원격 무선 장비(Remote Radio Head; RRH))에 광신호를 전달하는 인출 광섬유 유닛(F2)을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광연결부(800)가 구비된다.
상기 광연결부(8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인 광섬유 유닛(F1)이 접속되는 복수 개의 입력소켓(8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F2)이 접속되는 복수 개의 출력소켓(8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F1)의 단부에는 상기 입력소켓(810)에 체결되는 제1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F2)의 단부에는 상기 출력소켓(830)에 체결되는 제2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입력소켓(810) 중 일부의 소켓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소켓(830) 중 일부의 소켓은 여유분의 소켓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입력소켓(810)은 광전 복합케이블(HC)에 포함되는 광섬유 유닛(F1)의 수보다 많은 수의 입력소켓(81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출력소켓(830)은 상기 입력소켓(810)의 수에 대응되게 광전 복합케이블(HC)에 포함되는 광섬유 유닛(F1)의 수보다 많은 수의 출력소켓(8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되는 인입 광섬유 유닛(F1)이 2개일 때,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광연결부(800)는 5개의 입력소켓(810) 및 5개의 출력소켓(8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연결부(800)의 5개의 입력소켓(810) 중 2개의 입력소켓(810)에는 2개의 인입 광섬유 유닛(F1)이 연결되고, 나머지 3개의 입력소켓(810)은 도 2에 도시된 광전 복합케이블(HC)(즉, 2개의 광섬유 유닛(F1)을 가지는 광전 복합케이블(HC)) 이외에 다른 광전 복합케이블(HC)(예를 들어, 3개 내지 5개의 광섬유 유닛(F1)을 가지는 광전 복합케이블(HC))의 광섬유 유닛(F1)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을 제조할 때 광연결부(800)의 입력소켓(810) 및 출력소켓(830)에 여유분의 소켓을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양(예를 들어, 수량)의 광섬유 유닛(F1)을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HC) 및 다양한 사양의 후속장치에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을 사용할 수 있어, 종단처리함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분리부재(600)의 상부면에는, 인입 광섬유 유닛(F1)의 굴곡을 최소화하는 제1 여장부와 인출 광섬유 유닛(F2)의 굴곡을 최소화하는 제2 여장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여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F1)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1 여장 가이드(6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여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F2)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2 여장 가이드(65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여장 가이드(640)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여장 가이드(650)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재(600)의 상부면에서 광섬유 유닛(F1)이 소정 직경의 원형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 직경은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F1)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F2)의 굴곡을 최소화하는 직경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여장 가이드(640) 및 상기 제2 여장 가이드(650)는 좌측부분에서 연장되며 소정범위의 탄성변형을 하는 상부부분과 우측부에서 연장되며 소정범위의 탄성변형을 하는 상부부분이 소정 부분만큼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장 가이드의 구성으로 인해, 작업설치자는 소정 부분만큼 중첩되는 상부부분을 통하여 광섬유 유닛(F1)을 여장 가이드 내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1 여장부 및 제2 여장부를 구비함으로써, 과도한 굴곡 및 꺽임에 취약한 광섬유 유닛(F1)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장부에서의 광섬유 유닛(F1)의 권취 및 권출을 조절하여 광섬유 유닛(F1)의 길이를 작업에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분리부재(600)에는 분리부재(600)의 하부에서 인입되는 광전 복합케이블(HC)에서 분배되는 인입 광섬유 유닛(F1)을 상기 분리부재(600)의 상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절개부(63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절개부(630)에 의해 인입 광섬유 유닛(F1)은 제1 여장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분리부재(600)의 상부면에 진입할 수 있어, 인입 광섬유 유닛(F1)의 과도한 굴곡 및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절개부(630)는 "ㄴ" 형상 또는 "ㄷ" 형상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절개부(630)가 "ㄴ"형상인 경우 분리부재(600)에 걸림턱을 형성하므로, 설치작업자가 분리부재(600) 상부에서 인입 광섬유 유닛(F1)을 광연결부(800)에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때 인입 광섬유 유닛(F1)이 가이드 절개부(6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개략적인 외부 저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개략적인 내부 저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출부(300)는 케이스 본체(100)의 일면에서 분리부재(6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인출부(400)는 케이스 본체(100)의 일면에서 분리부재(6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인출 전력선 유닛(EC4) 및 인출 광섬유 유닛(F2)은 서로 공간적 간섭 없이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에서 인출될 수 있어 설치작업자의 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입부(200), 제1 인출부(300) 및 상기 제2 인출부(400)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 커넥터(210)(310)(410)를 구비한다. 상기 밀봉 커넥터(210)(310)(410)는 인출 전력선 유닛(EC4) 및/또는 인출 광섬유 유닛(F2)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내장재, 상기 내장재를 감싸며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내부 부재 및 내측면에 상기 내부 부재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부재를 감싸는 외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부재는 내부 부재에 외부 부재가 나사방식으로 체결될 때 소정 정도 내측으로 수축하여 상기 내장재를 인출 전력선 유닛(EC4) 및/또는 인출 광섬유 유닛(F2)의 외면에 밀착시키는 탄성단부를 구비한다.
이렇게, 밀봉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 내에 먼지 또는 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인입부(200)는 하이브리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1 인출부(300) 및 상기 제2 인출부(400)는 밀봉 커넥터(210)(310)(4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커넥터는 케이스 본체의 인입부에 고정되는 본체고정부와 상기 본체고정부에 체결되는 케이블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고정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연결되는 인출단자부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광전 복합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에 대응되는 인입단자부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고정부가 상기 본체고정부에 체결되면, 상기 인출단자부와 상기 인입단자부가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광전 복합케이블의 인입 전력선 유닛 및 인입 광섬유 유닛과 케이스 본체 내의 인출 전력선 유닛과 인출 광섬유 유닛을 연결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인입부(200), 제1 인출부(300) 및 제2 인출부(400)는 케이스 본체(10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은 옥외에 설치되므로, 빗물 등이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 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 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 케이블용 종단처리함과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 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서지 보호장치(500)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인출 전력선 유닛이 케이스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고정부(170)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1000) 내의 배선을 간결하게 할 수 있고, 설치작업자의 작업속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의 변형 실시예로서, 광연결부는 케이스 본체 내에서 분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전력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본 변형 실시예에서는 광섬유 작업 공간이 분리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전력선 작업 공간이 분리부재의 상부(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변형 실시예는 광섬유 작업 공간 및 전력선 작업 공간의 차이만 있을 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분리부재에는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을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절개부는 바람직하게는 "ㄴ" 형상 또는 "ㄷ"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1 여장 가이드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2 여장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소정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의 굴곡(또는 꺾임)을 최소화하는 직경일 수 있다. 이때, 제1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중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이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유닛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유닛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연결부는 기지국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1 인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유닛연결부는 기지국의 베이스 변조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 인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과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결합된 광전 복합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인인부가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인인부가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인입부 및 제2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물론, 제1 인입부, 제2 인입부 및 인출부 모두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과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은 인입구 및 인출구의 수량 및 위치 등을 제외하곤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로 구성되므로,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에 대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포함된 기술적 특징 및 구성요소들은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내 종단처리함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광전 복합케이블의 사양 및 후속장비의 사양에 무관하게 다양한 광전 복합케이블 및 다양한 후속장비에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별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간단한 구조로 광전 복합케이블 및 후속장비에 대한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함 내의 배선들을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 유닛 연결 작업공간과 전력선 유닛 작업공간을 분리하여, 안테나 타워 등의 야외에서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고, 이로 인해 설치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광섬유 유닛의 과도한 굴곡이나 꺾임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중에 또는 설치 후에 광섬유 유닛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내부에 먼지 및 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내부의 장치, 배선 등을 확실하게 방진 및 방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00 : 케이스 본체 200 : 인입부
300 : 제1 인출부 400 : 제2 인출부
500 : 서지 보호장치 600 : 분리부재
700 : 제1 전력연결부 800 : 광연결부
EC1 : 인입 전력선 유닛 EC4 : 인출 전력선 유닛
F1 : 인입 광섬유 유닛 F4 : 인출 광섬유 유닛

Claims (25)

  1. 전력선 유닛과 광섬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의 종단부를 처리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으로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유닛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유닛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상기 광전 복합테이블이 인입되는 인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연결부는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인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유닛연결부는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에서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인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연결부는 기지국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1 인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유닛연결부는 기지국의 베이스 변조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 인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전력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전력선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 광섬유 유닛과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광섬유 유닛이 결합된 광전 복합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과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전력연결부 및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과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을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광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연결부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 및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연결부는 복수 개의 입력 소켓 및 복수 개의 출력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 중 일부의 단자는 여유분의 단자이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소켓 중 일부의 소켓 및 복수 개의 출력 소켓 중 일부의 소켓은 여유분의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을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절개부는 "ㄴ" 형상 또는 "ㄷ"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1 여장 가이드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2 여장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직경은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의 굴곡을 최소화하는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력연결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에는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을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절개부는 "ㄴ" 형상 또는 "ㄷ"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1 여장 가이드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이 관통하여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제2 여장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직경은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 및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의 굴곡을 최소화하는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의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서 상기 분리부재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의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일 단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제1 지지부에 힌지부로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제2 지지부에 체결부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는 서지 보호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 상기 제1 유닛연결부 및 상기 제2 유닛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입부 및 상기 제2 인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밀폐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밀폐할 때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KR1020110084708A 2011-08-24 2011-08-24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KR20130022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08A KR20130022045A (ko) 2011-08-24 2011-08-24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08A KR20130022045A (ko) 2011-08-24 2011-08-24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045A true KR20130022045A (ko) 2013-03-06

Family

ID=4817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708A KR20130022045A (ko) 2011-08-24 2011-08-24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204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29B1 (ko) * 2012-12-06 2013-11-08 정형민 전원공급선이 설치된 측면플레이트가 구비된 컴퓨터 케이스
KR20150078321A (ko) * 2013-12-30 2015-07-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WO2016006858A1 (ko) * 2014-07-11 2016-01-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160007161A (ko) * 2014-07-11 2016-01-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160073293A (ko) * 2014-12-16 2016-06-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케이블
KR20160090175A (ko) * 2015-01-21 2016-07-29 (주)에이피텔레텍 광전 복합케이블 분배함
KR200481262Y1 (ko) * 2015-11-06 2016-09-06 주식회사 퓨처테크 광심선접속 단자함
KR20170102650A (ko) * 2016-03-02 2017-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의 말단 접속 구조체
WO2022026588A1 (en) * 2020-07-28 2022-02-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Management device for hybrid cab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29B1 (ko) * 2012-12-06 2013-11-08 정형민 전원공급선이 설치된 측면플레이트가 구비된 컴퓨터 케이스
KR20150078321A (ko) * 2013-12-30 2015-07-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AU2014201734B2 (en) * 2013-12-30 2015-12-24 Ls Cable & System Ltd. Terminal box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WO2016006858A1 (ko) * 2014-07-11 2016-01-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160007161A (ko) * 2014-07-11 2016-01-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160073293A (ko) * 2014-12-16 2016-06-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케이블
KR20160090175A (ko) * 2015-01-21 2016-07-29 (주)에이피텔레텍 광전 복합케이블 분배함
KR200481262Y1 (ko) * 2015-11-06 2016-09-06 주식회사 퓨처테크 광심선접속 단자함
KR20170102650A (ko) * 2016-03-02 2017-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의 말단 접속 구조체
WO2022026588A1 (en) * 2020-07-28 2022-02-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Management device for hybrid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2045A (ko)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US20230333341A1 (en) Sealed enclosure with output ports
US11698500B2 (en) Access control device for permitting access to a component while selectively blocking access to another type of component
AU2011304689B2 (en) Environmentally sealed cable breakout assemblies
US10393976B2 (en)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cable and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with overvoltage protection
US9882362B2 (en) Enclosure for controling access to different telecommunication components
US10509187B2 (en) Universal multi-purpose compartmentalized telecommunications box
US20210231897A1 (en) House box with mounting surface for mounted access
CN104321677A (zh) 环境密封的线缆分支组件
US20190011642A1 (en) Sealing and retention plug for a hybrid cable
WO2016058331A1 (zh) 一种户外设备对外接口防护装置
KR20150078321A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US10209475B2 (en) Modular breakout enclosure for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KR102497929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케이블
US11150427B2 (en) Electrical power and optical distribution box for fiber to the antenna systems
US20120257861A1 (en) Optical Fiber Communication Device
CA2970311C (en) Universal multi-purpose compartmentalized telecommunications box
KR20160007327A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CN205427253U (zh) 一种中继箱
KR101677244B1 (ko) 광전 복합케이블 분배함
KR20200005187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 어셈블리
KR102526856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160007161A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190086165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CA2986544A1 (en) A house box with mounting surface for mounted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