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919A -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 Google Patents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919A
KR20160009919A KR1020140090451A KR20140090451A KR20160009919A KR 20160009919 A KR20160009919 A KR 20160009919A KR 1020140090451 A KR1020140090451 A KR 1020140090451A KR 20140090451 A KR20140090451 A KR 20140090451A KR 20160009919 A KR20160009919 A KR 2016000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ube
cable
tubes
tub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박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수 filed Critical 박문수
Priority to KR102014009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919A/ko
Publication of KR2016000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함들이 필요한 장소에 일체로 구비되어 튜브들의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케이블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호 밀착되는 관계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합성수지 튜브(10)들과, 상기 튜브(10)들의 외면을 감싸는 합성수지 외부관(20)과, 상기 외부관의 외측의 필요한 위치들에 용착되어 고정되며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접속함(30)들로 구성되어, 접속함의 내부에서 주선 튜브 케이블(A)과 지선 튜브 케이블(B)의 튜브들간 접속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Easily connectable tube cable}
본 발명은 접속함들이 필요한 장소에 일체로 구비되어 튜브들의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공중선의 인입선들은 전주에 설치되는 분배함에서 출발하여 주변 사용자 건물의 인입장소로 하나씩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배치되었다.
이러한 공중선의 인입선로는 그 인입선들이 분배함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살 모양으로 펼쳐지는 구조로 배치되므로, 도시의 골목 하늘을 뒤덮는 현상이 발생되어, 그 도시 골목을 지나는 시민들의 주거환경을 열악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그 결과, 공중선에 관련한 시민들의 민원이 계속되었으며, 그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공중선을 이용하는 통신 및 유선방송 사업자들이 자율적으로 공중선을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상황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입선의 정비방법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는 인입선들을 묶음 작업을 통해 묶어주는 것에 불과하여 정비효과가 미비한 경우가 많고, 정비를 한다고 해도 공중선 설치가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있어, 정비한 지역을 수개월 후 방문하여 보면 정비 전과 같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다수의 작은 직경의 내부튜브들이 상호 밀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필요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선 튜브 케이블(A), 상기 주선 튜브 케이블(A)의 필요한 위치마다 설치되는 접속함(30)들, 상기 접속함(30)들에서 출발하여 사용자의 건물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는 작은 직경의 튜브들이 상호 밀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선 튜브 케이블(B)들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함(30)의 내부에서는 주선 튜브 케이블(A)의 분기 튜브들과 지선 튜브 케이블(B)의 튜브들이 연결구로 연결되는 공중선의 인입선로를 출원한 사실이 있다.
이러한 선출원 발명은 접속함에서 출발하는 모든 인입선들이 개별적으로 독립된 상태로 널려지는 종래의 인입선로에 비하여, 접속함에서 출발하는 광섬유들이 하나의 주선 튜브 케이블(A)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분기함에서 하나의 지선 튜브 케이블(B)로 구조를 가져서 도시 골목 하늘의 미관을 크게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공중선의 인입선로를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요한 위치에 접속함들이 일체로 구비되어 튜브들의 접속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호 밀착되는 관계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합성수지 튜브들, 상기 튜브들의 외면을 감싸는 합성수지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외측의 필요한 위치들에 용착되어 고정되며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접속함들로 구성되어, 접속함의 내부에서 주선 튜브 케이블과 지선 튜브 케이블의 튜브들간 접속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필요한 위치마다에 접속함들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주선 튜브케이블과 지선 튜브케이블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접속함들은 주선 튜브 케이블의 외부관에 일체로 용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공중선용으로 사용될 때에 접속함에 작용하는 인장력이나 온도응력에도 외부관과 접속관의 접속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공중선의 인입선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케이블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호 밀착되는 관계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합성수지 튜브들(10,50), 상기 튜브들(10,50)들의 외면을 감싸는 합성수지 외부관들(20,60)과, 상기 외부관(20,60)의 외측의 필요한 위치들에 용착되어 고정되며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접속함(30)으로 구성된다.
접속함(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함(30)은 외부관(20,60)에 고정되는 고정 접속함(31)과 상기 고정 접속함(31)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서 고정되는 덮개 접속함(32)으로 구성된다.
고정 접속함(31)은 외부관(20,60)의 절반을 감싸며 수납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일측 접속관부(31a)와, 상기 일측 접속관부(31a)에 연결되며 튜브(10,50)들이 커넥터(40)로 연결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관부(31b)와, 상기 연결관부(31b)에 연결되며 외부관(20,60)의 절반을 감싸며 수납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타측 접속관부(31c)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 접속함(31)은 외부관(20,60)의 중간부 또는 단부가 벗겨져서 튜브(10,50)들이 연결관부(31b)의 내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 접속관부(31a,31c)와 외부관(20,60)이 맞닿는 부분을 용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일측 또는 타측 접속관부(31a,31c)는 접속되는 지선 튜브 케이블(B)을 효과적으로 안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접속함(31)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고정 접속함(31)의 상부에는 그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덮개 접속함(32)이 덮여진 후 나사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접속함(30)은 덮개 접속함(32)이 벗겨진 상태에서 고정 접속함(31)의 안내관(33)의 내부로 인입되는 지선 튜브 케이블(B)의 외부관(60) 단부를 벗겨내어 주선 튜브 케이블(A)에서 끊어져 나오는 튜브(10)를 지선 튜브 케이블(B)의 튜브(50)와 커넥터(40)로 연결한 후에 지선튜브케이블(B)과 일측 또는 타측 접속관부(31a,31c)를 열수축튜브(70)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한 후에 고정 접속함(31)의 상부를 덮개 접속함(32)으로 덮어서 완성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함(30)은 덮개 접속함(32)이 고정 접속함(31)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고 탄성클립(80)을 이용하여 고정 접속함(31)과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중 덮개 접속함(32)의 분실이나 낙하 사고를 방지하고 나사결합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용이하게 고정 접속함(31)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필요한 위치마다에 접속함(30)들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주선 튜브케이블(A)과 지선 튜브케이블(B)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접속함(30)들은 주선 튜브 케이블(A)의 외부관(20) 및 지선 튜브 케이블(B)의 외부관(60)에 일체로 용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공중선용으로 사용될 때에 접속함(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나 온도응력에도 외부관(20,60)과 튜브(10,50)의 접속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50...튜브 20,60...외부관
30...접속함 31...고정 접속함
31a...일측 접속관부 31b...연결관부
31c...타측 접속관부 32...덮개 접속함
40...커넥터 70...열수축튜브
80...탄성클립 A...주선 튜브 케이블
B...지선 튜브 케이블

Claims (1)

  1.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호 밀착되는 관계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합성수지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의 외면을 감싸는 합성수지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외측의 필요한 위치들에 용착되어 고정되며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접속함으로 구성되어, 접속함의 내부에서 주선 튜브 케이블과 지선 튜브 케이블의 튜브들간 접속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KR1020140090451A 2014-07-17 2014-07-17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KR20160009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451A KR20160009919A (ko) 2014-07-17 2014-07-17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451A KR20160009919A (ko) 2014-07-17 2014-07-17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919A true KR20160009919A (ko) 2016-01-27

Family

ID=5530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451A KR20160009919A (ko) 2014-07-17 2014-07-17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1269A (zh) * 2017-12-26 2018-05-08 天津市炳华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多分支M-Bus通讯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1269A (zh) * 2017-12-26 2018-05-08 天津市炳华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多分支M-Bus通讯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06934A1 (zh) 具有连接部及中空管柱及被连接部的通信缆线接续分线壳
KR101546433B1 (ko) 탄성 고무 수축 파이프의 방수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 접속 박스
CN110233391A (zh) 密封盖套和盖以及由此保护的互连接头
US10247898B2 (en) Method of laying optical fiber and transfer apparatus for winding optical fiber
CN205826927U (zh) 室内外综合布线ftth光纤接续盒
WO2010127486A1 (zh) 一种可采取不同方式对主干缆线防水的缆线接续盒
CN104238056A (zh) 双端机械密封光缆接头盒
WO2012000206A1 (zh) 适于光缆中途引接分歧接续作业的光缆接线壳
KR20160009919A (ko)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JP5352393B2 (ja) 光配線方法
EP2950411B1 (en) Cable connection casing
KR200423749Y1 (ko)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JP4326514B2 (ja) 光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KR20160007021A (ko) 공중선의 인입선로
TWI480612B (zh) A fiber optic cable connection with a watertight auxiliary device
CN203967712U (zh) 用于光电混合线缆的终端组件
KR20130041648A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케이블 인입관 구조
CN107924035A (zh) 现场接入终端系统
RU166299U1 (ru) Фитинг
RU158909U1 (ru) Кабельный ввод для оптической муфты
TWI460482B (zh) A cable connector that is suitable for connecting substandard connections
KR200457208Y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JP5764463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分岐具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方法
JP2004029499A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の接続部及び接続方法
KR20150144537A (ko) 공중선의 정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