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208Y1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208Y1
KR200457208Y1 KR2020100006173U KR20100006173U KR200457208Y1 KR 200457208 Y1 KR200457208 Y1 KR 200457208Y1 KR 2020100006173 U KR2020100006173 U KR 2020100006173U KR 20100006173 U KR20100006173 U KR 20100006173U KR 200457208 Y1 KR200457208 Y1 KR 200457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shrink tube
heat shrink
present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최형길
윤명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to KR2020100006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08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광케이블 접속함체(60)의 양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광케이블의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과 아울러 광케이블과 접속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여주도록 열수축관(6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양단에 열수축관을 적용하여 광케이블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광케이블과 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열수축관에 돌기를 형성하여 열수축튜브의 히팅시나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의 밀림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며, 또한 열수축관에 스크류 마개를 체결하여 종래와 같이 수축관을 별도의 공구로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A improved structure of fiber optic closure}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양단에 열수축관을 적용하여 광케이블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광케이블과 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열수축관에 돌기를 형성하여 열수축튜브의 히팅시나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의 밀림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며, 또한 열수축관에 스크류 마개를 체결하여 종래와 같이 수축관을 별도의 공구로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가공, 관로, 직매 및 인입용의 다목적 함체로서 광케이블 연결부위 및 광섬유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종래에도 다수가 출원 및 등록된바 있고, 그 중에서 특허출원 제 2005-0039862호(2005.05.12)(공개번호 제 2006-0117095/2006.11.16)가 출원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체(100)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3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분기구 증설, 선로 환경 적응 및 유지보수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포트증설수단(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트증설수단(1)은,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된 중간판(10)과 상기 중간판(10)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실링소켓삽입홈(12)과 케이블고정홀더삽입홈(13)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10)의 양단 케이블고정홀더삽입홈(13)의 하측으로 각각 돌출 구비되며, 상하부에 각각 반원홈(15a)이 형성된 플랜지(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20)는 저면 양단에 각각 실링소켓삽입홈과 케이블고정홀더삽입홈이 형성되되, 이 케이블고정홀더삽입홈의 하단으로는 반원홈(21a)이 형성된 플랜지(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30)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실링소켓삽입홈과 케이블고정홀더삽입홈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중간판(10)을 중심으로 상하부커버(20)(30)의 양단 실링소켓삽입홈과 케이블고정홀더삽입홈에는 각각 실링소켓(40)과 케이블고정홀더(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링소켓(40)은, 전체적인 형상이 콘(c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으로만 개방되게 구멍과 상단에는 실링소켓삽입홈에 끼워지게 조립홀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간판(10)과 하부커버(30)의 상단 주연부에 가스켓(도면상 미 도시된)이 삽입되는 가스켓삽입홈(14)(33)이 형성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1은 통공이고, 22는 상부커버 몸체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광네트웍 구성의 다변성과 시설장소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멀티분기형으로 고실장 고 호환성을 갖도록 설계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는 것이고, 중간판(Mid-plate)을 사용하여 분기구 증설, 선로 환경 적응 및 유지보수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실링소켓은 콘(corn) 형태의 실리콘을 사용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독립분리형 구조로 개별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가스켓타입으로 이루어져 광케이블의 인입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아울러 광케이블과의 결속력이 약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수축관을 구성한 것이 있기는 하나, 기존의 수축관에 열수축관을 히팅하거나 또는 히팅 후에는 밀림 현상이 발생하여 장시간이 소요되면 이탈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수축관에 광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해서는 막혀있는 수축관의 일단을 별도의 공구로 절단하여야 하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양단에는 광케이블의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과 아울러 광케이블과 접속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여주도록 열수축관이 구비되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본 고안의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제2목적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양단에 열수축관을 적용하여 광케이블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직선형 열수축관에 광케이블을 인입함에 따라 광케이블과 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열수축관에 돌기를 형성하여 열수축튜브의 히팅시나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의 밀림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열수축관에 스크류 마개를 체결하여 종래와 같이 수축관을 별도의 공구로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고, 제6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60)의 양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광케이블의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과 아울러 광케이블과 접속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여주도록 열수축관(6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양단에는 광케이블의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과 아울러 광케이블과 접속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여주도록 열수축관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기술적 구성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양단에 열수축관을 적용하여 광케이블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직선형 열수축관에 광케이블을 인입함에 따라 광케이블과 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열수축관에 돌기를 형성하여 열수축튜브의 히팅시나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의 밀림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은 열수축관에 스크류 마개를 체결하여 종래와 같이 수축관을 별도의 공구로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2 의 (a)(b)(c)(d)는 본 고안에 적용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사시도와 정면도,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요부 단면도.
도 4 의 (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광케이블 접속함체 제2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열수축관의 실물 사진.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제3실시예 요부 단면도.
본 고안에 적용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도 2(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 접속함체(60)의 양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광케이블(71)의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과 아울러 광케이블(71)과 접속함체(60)와의 결속력을 높여주도록 열수축관(61)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수축관(6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열수축튜브(70)를 히팅시 또는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70)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는 돌기(6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돌기(62)의 형상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원돌기, 사각돌기, 삼각돌기, 다각돌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수축관(61)의 외주면에 미세하게 돌출 구비되며, 열수축튜브(70)를 히팅시 또는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70)가 긴밀히 밀착되어 밀림 현상을 방지하는 요철부(63)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돌기(62)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튜브(70)의 진입방향쪽은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반대쪽은 수직으로 세워져 열수축튜브(70)의 히팅 후에 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더하여 본 고안은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수축관(61)의 일단에 착탈 체결되며, 광케이블(71) 인입시 종래와 같이 수축관을 절단하지 않고도 열수축관(61)에 선택적으로 착탈 체결되는 스크류 마개(6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마개(65)의 외주면에는 열수축관(61)에 체결시 이물질 유입 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오링(66)이 구비된다.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열수축관의 실물 사진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광케이블 접속함체(60)의 양단에 열수축관(61)을 적용하여 광케이블(71)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광케이블(71)과 함체(60)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열수축관(61)에 돌기(62)를 형성하여 열수축튜브(70)의 히팅시나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70)의 밀림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된 스크류 마개(65)는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71)을 열수축관(61)에 인입할 때에는 분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스크류 마개(65)를 열수축관(61)에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마개(65)의 외주면에는 오링(66)이 끼워져 외부 이물질이 열수축관(61)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은 물론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광케이블(71)을 열수축관(61)에 인입시키기 전에 먼저 열수축튜브(70)를 광케이블(71)의 외주면에 끼우게 된다.
그런 다음 광케이블(71)을 열수축관(61)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열수축튜브(70)를 열수축관(61)의 외주면에 끼우게 된다.
그렇게 되면 열수축튜브(70)의 반은 광케이블(71)의 외주면에 씌워지게 되고, 나머지 반은 열수축관(61)의 외주면에 씌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 후에는 불을 뿜어내는 토치 등의 히팅 도구를 이용하여 열수축튜브(70)를 전체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열수축튜브(70)는 오그라들면서 열수축관(61) 및 광케이블(71)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한 작업 과정은 광케이블(71)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광케이블(71)과 함체(60)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본 고안은 열수축관(61)의 외주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62)가 열수축튜브(70)의 히팅시나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70)의 밀림 현상이 없도록 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62)를 다른 실시예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돌기(62)는 열수축튜브(70)의 진입방향쪽은 손쉽게 끼워지게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반대쪽은 수직으로 세워져 열수축튜브(70)의 히팅 후에 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더하여 본 고안은 상기 열수축관(61)의 외주면에 미세하게 요철부(63)를 구비한 것으로, 이는 열수축튜브(70)를 히팅시 또는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70)가 긴밀히 밀착되어 밀림 현상을 방지시키게 된다.
본 고안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광케이블 접속함체
61: 열수축관
62: 돌기
65: 마개
70: 열수축튜브
71: 광케이블

Claims (5)

  1. 삭제
  2. 광케이블 접속함체(60)의 양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광케이블의 인입 작업이 간편하도록 함과 아울러 광케이블과 접속함체와의 결속력을 높여주도록 열수축관(61)이 구비되되, 상기 열수축관(6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열수축튜브(70)를 히팅시 또는 히팅 후에 열수축튜브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는 돌기(62)가 구비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기(62)는 열수축튜브의 진입방향쪽은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반대쪽은 수직으로 세워져 열수축튜브의 히팅 후에 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관(61)의 일단에 착탈 체결되며, 광케이블 인입시 수축관을 절단하지 않고도 열수축관에 선택적으로 착탈 체결되는 스크류 마개(6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마개의 외주면에는 열수축관에 체결시 이물질 유입 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오링(6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KR2020100006173U 2010-06-11 2010-06-11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KR200457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173U KR200457208Y1 (ko) 2010-06-11 2010-06-11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173U KR200457208Y1 (ko) 2010-06-11 2010-06-11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208Y1 true KR200457208Y1 (ko) 2011-12-08

Family

ID=7312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173U KR200457208Y1 (ko) 2010-06-11 2010-06-11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0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99Y1 (ko) 2005-06-28 2005-09-23 김상기 광단자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99Y1 (ko) 2005-06-28 2005-09-23 김상기 광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6744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WO2008097214A3 (en) Distribution fiber optic cabl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MX2011006260A (es) Aparato de despliegue de unidad residente de fibras opticas multiples y metodos para utilisar el mismo.
KR20130050908A (ko) 유리섬유 케이블용 연결함
EP2136118B1 (en) Device for sealing cables through containers for optical fibres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device
BR112017018058B1 (pt) Conector para acoplar um cabo de fibra óptica a um ponto de conexão, e conjunto
CN202600183U (zh) 光纤熔接点保护装置
KR200457208Y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US9748754B2 (en) Connector plug having a sealing hook with a bevel surface and flexible ridges
KR100721589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
CN104238056A (zh) 双端机械密封光缆接头盒
CN206339684U (zh) 热熔型光纤快速连接器
ITMI20102145A1 (it) Scatola di transizione ottica
KR20140121182A (ko) 광단자함의 케이블 인입구 방수용 패킹 구조물
KR20200065772A (ko)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 글랜드
KR101846216B1 (ko) 광심선 접속단자함
TWM486070U (zh) 連接光纖纜線接續的連接裝置
KR102039185B1 (ko) 광 접속 단자함
KR20160140081A (ko)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US6244752B1 (en) Single-piece optical fibre coupling
KR102012792B1 (ko)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JP2010266771A (ja) 光接続箱の配線保持構造
JP5248154B2 (ja) 成端用光コネクタプラグ
CN104765112A (zh) 双密封光缆接头盒
KR20160009919A (ko)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