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081A -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 Google Patents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081A
KR20160140081A KR1020150076212A KR20150076212A KR20160140081A KR 20160140081 A KR20160140081 A KR 20160140081A KR 1020150076212 A KR1020150076212 A KR 1020150076212A KR 20150076212 A KR20150076212 A KR 20150076212A KR 20160140081 A KR20160140081 A KR 2016014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cable
optical cable
hous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우
이강훈
오현식
윤병주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0081A/ko
Publication of KR2016014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접속함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는 후면과 측면들에 의해 내부공간이 제공되고 전면이 개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제2하우징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는 광케이블 인입을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인입구들과, 광케이블 인입 방향인 상기 인입구 전방에 형성된 홀더 장착구를 포함하고, 광케이블 인입시 기밀성 유지를 위해 상기 인입구들 각각에 설치되는 그리고 광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구를 갖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 및 상기 홀더 장착구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가스켓 각각으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함체와의 결속력을 놓여주는 열수축관 홀더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접속함체{Fiber optic splice closure}
본 발명은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의 중간분기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함체 인입구에서 기밀성과 작업의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한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은 유한한 길이로 제공되기 때문에 전화국과 가입자 빌딩이나 일반 광 가입자 사이의 광 전송선로는 광 접속함을 필요로 하며, 광 접속함을 매개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현장에서 상호 접속된다. 그리고, 광 가입자측의 광 전송 선로에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광 가입자의 전송 장치와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로부터 광섬유가 광 가입자에게 분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광가입자 빌딩의 건물 내외벽이나 전주나 철주 등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필요로 한다.
광케이블 접속 함체는, 외부 광 선로와 가입자 전송 장치간의 연결 및 분배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종단장치의 하나로서, 인입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단심의 광 섬유 코드(또는 광 점퍼 코드)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의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되며, 광케이블 내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 접속된 후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 함체는 케이블을 인입구에서 삽입한 상태로 열수축 튜브를 씌우게 되는데, 이때 토치렘프로 열수축 튜브에 열을 가하여 완전 수축시켜 씌움으로써, 광접속함체의 인입구와 외부로 인입되는 케이블 간에 기밀유지와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광접속함체는 광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간에서만 열수축 튜브를 이용한 고정 작업이 가능하고, 온전한 광케이블의 중간에 분기를 위한 중간분기용 광접속함체에는 광케이블에 열수축 튜브를 끼워넣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접속함체는 케이블 가스켓(1)을 바디(미도시됨)로부터 분리하여 절개한 후 케이블(20)을 삽입하고 다시 바디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절개된 부분에서의 기밀을 완벽히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접속함체에 사용되는 케이블가스켓(1)은 광케이블 직경에 따라 그에 맞는 케이블가스켓을 교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2014-8244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케이블의 중간분기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측면에서 열수축튜브를 사용한 케이블 고정 방식이 가능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케이블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 및 실링시킬 수 있는 광접속함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외경의 광케이블에 적용 가능한 기밀성이 향상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후면과 측면들에 의해 내부공간이 제공되고 전면이 개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제2하우징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는 광케이블 인입을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인입구들과, 광케이블 인입 방향인 상기 인입구 전방에 형성된 홀더 장착구를 포함하고, 광케이블 인입시 기밀성 유지를 위해 상기 인입구들 각각에 설치되는 그리고 광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구를 갖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 및 상기 홀더 장착구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가스켓 각각으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함체와의 결속력을 놓여주는 열수축관 홀더 부재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수축관 홀더 부재는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상부 홀더들과 하부 홀더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홀더들은 서로 연결된 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 장착구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홀더들은 상기 하부 홀더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홀더 장착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볼트 체결되는 하부 고정단; 상기 하부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광케이블 인입시 열수축튜브가 결합되는 하부 연장단; 및 상기 하부 연장단에서 상기 하부 고정단까지 이어지는 상면에 광케이블이 안착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하부 고정단의 상면에 볼트 체결되는 상부 고정단; 상기 상부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장단과 포개지며 광케이블 인입시 열수축튜브가 결합되는 상부 연장단; 및 상기 상부 연장단에서 상기 상부 고정단까지 이어지는 저면에 광케이블이 안착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단과 상기 하부 고정단은 외주면에 열수축튜브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 방지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도킹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는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상부 가스켓과 하부 가스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가스켓은 상면에 상기 관통구의 일부인 제1관통홈을 갖고 상기 인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 가스켓은 저면에 상기 관통구의 또 다른 일부인 제2관통홈을 갖고 상기 하부 가스켓 상부에 밀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가스켓과 상기 상부 가스켓은 각각의 관통홈 상에 광케이블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광케이블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2개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다양한 직경의 광케이블이 상기 관통공에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의 단면이 상협하광 형태인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는 광케이블 인입시 벌어지는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하부 가스켓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틈새 커버 리브와, 상기 상부 가스켓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틈새 커버 리브와는 다른 선상에 형성되는 제2틈새 커버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틈새 커버 리브와 상기 제2틈새 커버 리브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광케이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틈새 커버 리브와 상기 제2틈새 커버 리브는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관통구의 입구가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돌기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스켓은 상기 상부 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도킹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홀더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도킹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케이블의 중간분기 시공이 가능하고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측면에서 열수축튜브를 사용한 케이블 고정 방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케이블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 및 실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외경의 광케이블에 적용 가능한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광접속함체에 사용되는 케이블 가스켓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가스켓 부재와 열수축관 홀더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홀더 장착구에 장착되는 하부 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인입구에 장착되는 하부 가스켓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상부 홀더와 상부 가스켓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상부 가스켓이 장착된 상부 홀더를 하부 홀더에 볼트 체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광케이블 삽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열수축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케이블 가스켓 부재의 돌기 모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작은 직경의 광케이블과 큰 직경의 광케이블에 의한 돌기 모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케이블 가스켓 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케이블 가스켓 부재의 작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케이블 가스켓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10)은 함체(100)와 가설 모듈(900)을 포함한다.
함체(100)는 가설 모듈(900)에 의해 가공 지선(GW, Ground Wire;)에 고정되고, 함체(100)에는 광케이블(OC, Optical Cable;20)이 인입된다.
가설 모듈(900)은, 함체(100)가 공중에 가설되도록 함체(100)를 가공 지선(GW)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함체(100) 상단의 복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설 모듈(900)은 함체(100) 상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함체(100)는, 가설 부재(900)에 의해 가공 지선(GW)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 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개폐될 수 있다.
함체(100)는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은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방식에 개폐될 수 있다. 가설 부재(900)는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 1 하우징(100a)은 가설 부재(900)에 의해 가공 지선(GW)에 고정되며, 함체(100)는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이 닫히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100b)은 잠금 모듈(300)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그리고, 광 케이블의 접속 시공을 위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100b)은 잠금모듈(300)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잠금 모듈(300)은 잠금 레버(320)와, 레버 록킹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하우징(100a)의 양 측면에는 광케이블(20)이 인입되는 인입구(112)와, 광케이블 인입 방향인 인입구(112) 전방에 홀더 장착구(114)가 제공된다.
함체(100)에는 광케이블(20) 인입시 완벽한 기밀성 유지와 시공상의 편의를 위해 인입구(112)에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가 설치되고 홀더 장착구(114)에는 열수축관 홀더 부재(500)가 설치된다.
광케이블(20)은 인입구(112)에 설치되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 및 홀더 장착구(114)에 설치되는 열수축관 홀더 부재(500) 그리고 열수축튜브(도 14에 도시됨;600)에 의해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다.
광케이블(20)의 외피는 열수축관 홀더(500)에 설치되는 열수축튜브(600) 및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 그리고 함체(100) 내부에 설치된 스틸 밴드(162)에 의해 2중 3중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중심인장선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1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함체(100)에는 여장판 지지대(140)가 설치된다. 여장판 지지대(140)는 제 1 하우징(100a)에 힌지 결합된다. 여장판 지지대(140)는 전방을 향하도록 젖혀지거나(180°), 지면과 수평하도록 펼쳐질 수 있다(90°). 여장판 지지대(140)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여장판(142)이 설치된다.
광케이블(20)은, 함체(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함체(100)에 인입되고 분기 및 접속 시공된다. 시공 완료 후, 함체(100)는, 광 케이블(20)의 분기 부위 및 광심선의 접속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가스켓 부재와 열수축관 홀더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는 도 4에 도시된 제1하우징의 인입구(112)에 장착된다.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는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상부 가스켓(430)과 하부 가스켓(410)을 포함한다.
하부 가스켓(410)은 상면(412)에 반구형의 제1관통홈(414)을 갖고, 상부 가스켓(430)은 저면(432)에 반구형의 제2관통홈(434)을 갖으며, 하부 가스켓(410)과 상부 가스켓(430)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1관통홈(414)과 제2관통홈(434)에 의해 광케이블(20)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제공된다. 상부 가스켓(430)은 저면이 하부 가스켓(410) 상면에 밀착 설치된다.
상부 가스켓(430)은 상면에 메인 가스켓(109)이 삽입되는 요홈(439)이 제공되며, 전면에는 상부 홀더(530)의 도킹단부(538)가 끼워지는 도킹홈(438)을 갖는다.
도 16은 하부 가스켓과 상부 가스켓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하부 가스켓(410)과 상부 가스켓(430)은 광케이블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2개의 돌기(416,436)를 제공한다. 돌기(416,436)는 제1관통홈(414)과 제2관통홈(434)상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기(416,436)는 광케이블의 원주방향(즉, 제1관통홈과 제2관통홈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돌기(416,436)는 다양한 직경의 광케이블이 관통공에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의 단면이 상협하광 형태인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은 작은 직경의 광케이블과 큰 직경의 광케이블에 의한 돌기 모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는 돌기(416,436)들이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광케이블(20)의 직경에 따라 돌기(416,436)의 모양이 변화되면서 광케이블(20) 외피에 돌기(416,436)가 완벽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는 수용 가능한 광케이블의 외경 범위가 확대되어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에서의 기밀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열수축관 홀더 부재(500)는 홀더 장착구(114)에 장착된다. 열수축관 홀더 부재(500)는 케이블 가스켓(400) 각각으로 삽입되는 광케이블(20)의 가이드 목적, 함체(100)와의 결속력을 높여주기 위한 목적 그리고 열수축튜브의 장착 구간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열수축관 홀더 부재(500)는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상부 홀더(530)들과 하부 홀더(51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3개의 하부 홀더(510)들은 서로 연결된 한 몸체로 이루어지며 홀더 장착구(114)에 장착된다.
하부 홀더(510)는 홀더 장착구(114)에 삽입되어 제1하우징(100a)에 볼트 체결되는 하부 고정단(512)와, 하부 고정단(51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하우징(100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광케이블(20) 인입시 열수축튜브가 결합되는 하부 연장단(514) 그리고 하부 연장단(514)에서 하부 고정단(512)까지 이어지는 상면에 광케이블이 안착되는 가이드홈(516)을 포함한다.
도 6은 홀더 장착구에 장착되는 하부 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하부 홀더(510)는 홀더 장착구에 삽입된 후 제1하우징(100a) 저면에서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홀더(530)는 하부 고정단(510)의 상면에 볼트 체결되는 상부 고정단(532)과, 상부 고정단(53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부 연장단(514)과 포개지며 광케이블 인입시 열수축튜브가 결합되는 상부 연장단(534) 그리고 상부 연장단(534)에서 상부 고정단(532)까지 이어지는 저면에 광케이블(20)이 안착되는 가이드홈(536)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홀더(530)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의 상부 가스켓(430)과의 결합을 위한 도킹단부(538)을 포함한다. 도킹단부(538)는 상부 고정단(53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부 홀더(530)의 도킹단부(538)는 상부 가스켓의 도킹홈(438)에 끼워진다.
도 6 내지 도 9을 참고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와 열수축관 홀더 부재의 조립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홀더(510)들은 홀더 장착구(114)에 장착한 후 볼트(미도시됨)를 이용해 제1하우징(100a)에 고정시키고, 하부 가스켓(410)은 인입구(112)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부 홀더(530)는 도킹단부(538)를 상부 가스켓의 도킹홈(438)에 끼워 상호 결합된 상태로 2개의 나사를 사용하여 하부 홀더(510)에 체결한다. 이때, 상부 가스켓(430)은 상부 홀더(530)와 도킹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 홀더(530)가 하부 홀더(5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하부 가스켓(410)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광케이블 삽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우선 같은 라인의 좌측과 우측의 상부 홀더(530)를 분리한다. 상부 홀더(530)를 하부 홀더(510)로부터 분리하면 자연적으로 상부 가스켓(430)도 함께 분리된다. 도 11에서와 같이, 중간분기 탈피된 광케이블(20)을 함체(100)에 안착후 스틸밴드(162)와 중심인장선 고정모듈(160)로 광케이블 외피 및 중심인장선을 고정한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분리했던 상부 홀더(530)를 하부 홀더(510)에 재결합한 후(볼트 체결), 함체를 덮은 후 준비된 열수축튜브(를 이용하여 열수축관 홀더 부재(500)와 광케이블을 커버한 후 토치등의 열을 가해 광케이블과 열수축관 홀더 부재(500)를 상호 고정한다.
도 15는 도 14에 사용된 열수축튜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열수축튜브(600)는 직사각형 크기의 열수축판(610)과 열수축판(610)의 양단을 상호 고정하는 클립(620)을 포함한다. 열수축판(610)의 양단은 타원형으로 말려져 있는 봉합단(612)을 가지며 그 봉합단(612) 안에는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다. 클립(620)은 열수축판(610)의 길이방향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절곡 가능하게 마디마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수축판의 봉합단(61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안쪽으로 곡면진 구조를 갖는다.
도 18은 케이블 가스켓 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a)는 광케이블 인입시 벌어지는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하부 가스켓(410)의 상면(41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틈새 커버 리브(419)와, 상부 가스켓(430)의 저면(432)으로부터 돌출되되 제1틈새 커버 리브(419)와는 다른 선상에 형성되는 제2틈새 커버 리브(439)를 포함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제1틈새 커버 리브(419)와 제2틈새 커버 리브(439)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광케이블(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틈새 커버 리브(419)와 제2틈새 커버 리브(439)는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케이블 가스켓 부재의 작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a)는 광케이블이 인입후 밀봉시 사출물과 접하는 부분의 가스켓 면이 밀려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틈을 제1틈새 커버 리브(419)와 제2틈새 커버 리브(439)가 메워줌으로써 온전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0은 케이블 가스켓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케이블 가스켓 부재(400b)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구의 입구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광케이블이 외부 힘에 의해 심하게 휘어지는 경우 돌기 부분에 틈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관통구의 입구를 좁아지게 하여 바깥쪽 돌기보다 안쪽 돌기(416,436)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광접속함체 함체 : 100
400 : 케이블 가스켓 부재 500 : 열수축관 홀더부재

Claims (15)

  1. 후면과 측면들에 의해 내부공간이 제공되고 전면이 개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제2하우징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는 광케이블 인입을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인입구들과, 광케이블 인입 방향인 상기 인입구 전방에 형성된 홀더 장착구를 포함하고,
    광케이블 인입시 기밀성 유지를 위해 상기 인입구들 각각에 설치되는 그리고 광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구를 갖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 및
    상기 홀더 장착구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가스켓 각각으로 삽입되는 광케이블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함체와의 결속력을 놓여주는 열수축관 홀더 부재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관 홀더 부재는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상부 홀더들과 하부 홀더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홀더들은 서로 연결된 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 장착구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홀더들은 상기 하부 홀더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홀더 장착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볼트 체결되는 하부 고정단;
    상기 하부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광케이블 인입시 열수축튜브가 결합되는 하부 연장단; 및
    상기 하부 연장단에서 상기 하부 고정단까지 이어지는 상면에 광케이블이 안착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하부 고정단의 상면에 볼트 체결되는 상부 고정단;
    상기 상부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장단과 포개지며 광케이블 인입시 열수축튜브가 결합되는 상부 연장단; 및
    상기 상부 연장단에서 상기 상부 고정단까지 이어지는 저면에 광케이블이 안착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단과 상기 하부 고정단은 외주면에 열수축튜브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 방지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도킹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는
    서로 상하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상부 가스켓과 하부 가스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가스켓은 상면에 상기 관통구의 일부인 제1관통홈을 갖고 상기 인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 가스켓은 저면에 상기 관통구의 또 다른 일부인 제2관통홈을 갖고 상기 하부 가스켓 상부에 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스켓과 상기 상부 가스켓은 각각의 관통홈 상에 광케이블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광케이블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2개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다양한 직경의 광케이블이 상기 관통공에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의 단면이 상협하광 형태인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는
    광케이블 인입시 벌어지는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하부 가스켓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틈새 커버 리브와, 상기 상부 가스켓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틈새 커버 리브와는 다른 선상에 형성되는 제2틈새 커버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틈새 커버 리브와 상기 제2틈새 커버 리브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광케이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틈새 커버 리브와 상기 제2틈새 커버 리브는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관통구의 입구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스켓 부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돌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스켓은 상기 상부 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도킹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홀더는 케이블 가스켓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도킹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KR1020150076212A 2015-05-29 2015-05-29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KR20160140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12A KR20160140081A (ko) 2015-05-29 2015-05-29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12A KR20160140081A (ko) 2015-05-29 2015-05-29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81A true KR20160140081A (ko) 2016-12-07

Family

ID=5757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212A KR20160140081A (ko) 2015-05-29 2015-05-29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00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3440U1 (ru) * 2018-06-01 2018-09-24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вязьстройдеталь" Кассета оптической муфты
KR102039185B1 (ko) * 2018-06-18 2019-10-31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 접속 단자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2441A1 (en) 2012-09-19 2014-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3d tap and scan port architec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2441A1 (en) 2012-09-19 2014-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3d tap and scan port architectu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3440U1 (ru) * 2018-06-01 2018-09-24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вязьстройдеталь" Кассета оптической муфты
KR102039185B1 (ko) * 2018-06-18 2019-10-31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 접속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9191B2 (en) Optical termination enclosure
US6721484B1 (en) Fiber optic network interface device
US10473873B2 (en) Fiber optic enclosure with cable management drawer
US7333706B2 (en) Enclosure and organizer for telecommunication lines and splices
CN101398514B (zh) 用于信息插座的连接保持器
US11677223B2 (en) Cable grounding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KR100684024B1 (ko) 케이블 클로저 및 케이블의 밀폐 방법
US7045710B1 (en) Enclosure for telecommunication lines and splices
US20160202441A1 (en) Multi-service terminal and components therefore
US20200088964A1 (en) Mechanical cable entry port
PT2772778E (pt) Ficha de fibra ótica
BRPI0621975B1 (pt) Adaptador de cabo para um cabo de fibras ópticas, sistema para plugar um cabo de fibra óptica em um receptáculo de fibra óptica, e, método para instalar um cabo de fibras ópticas em um receptáculo de fibras ópticas
US10007080B2 (en) Flex port enabled telecommunications closure
US20160103290A1 (en) Distribution cable with bidirectional breakout locations
US7499621B2 (en) Protective casing component and an element for forming a protective casing component
KR20160140081A (ko)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US10928592B2 (en) Sectional housing for fiber optic splices
US10088644B2 (en) Microduct coupling and termination
JP7281295B2 (ja) 光成端箱
KR20180028273A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KR20200000013U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KR100429391B1 (ko) 분리형 광접속함
US202301611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cables i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US10054741B2 (en) Fiber optic enclosure assembly
US20230314728A1 (en) Fiber optic enclosure with a side cable ent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