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749Y1 -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749Y1
KR200423749Y1 KR2020060013411U KR20060013411U KR200423749Y1 KR 200423749 Y1 KR200423749 Y1 KR 200423749Y1 KR 2020060013411 U KR2020060013411 U KR 2020060013411U KR 20060013411 U KR20060013411 U KR 20060013411U KR 200423749 Y1 KR200423749 Y1 KR 200423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split
cable
cover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민
최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2020060013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7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7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multiconduct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도체선의 접속부의 외측을 덮고 그 접속부를 레진을 충전하고, 이 레진이 경화하는 것으로 접속부를 방수 보호하여 누전을 차단하는 방수형 보호커버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의 방수처리에 보수용이나 신규 시공에 적합하고 시공에 따른 본선 분할커버와 분기선 분할커버의 분리성형으로 시공시에 조립하여 시공함으로 시공의 편리성이 보장되고 충전의 용이성에 의한 효과적인 방수는 물론 설치에 따른 유연성으로 깨짐현상을 방지하여 수명이 보장에 목적이 있고,
그 특징적 구성은, 케이블의 T분기에 적합하도록 한쌍의 분할커버를 구성함에 있어, 본선케이블 인입부를 갖는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를 갖는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 각각이 연부를 따라 일체형 힌지로 연결되고 상호간은 연결부로 분리 및 조립가능케 연질수지로 성형되고,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와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 각각은 상기 힌지의 대향측 연부에 성형된 로크편과 로크돌기의 로크수단에 의해 상호간을 맞대고 결속하여 구성한 것에 있다.
분할커버, 케이블 인입부, 레진주입구, T분기, 주름관

Description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WATERPROOF PROTECTIVE COVER FOR T CONNECTION OF WIRE}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평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설치에 따른 시공과정 단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
30, 40: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
11, 21: 본선 케이블 인입부 12, 32: 일체형 힌지
15, 25, 35, 45: 연결부 13, 33: 로크편
23, 43: 로크돌기 18, 28, 38, 48: 레진주입구
31, 41: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
300: 접속부 400: 충전안내기구
A: 접속부 보호공간 B: 케이블 감합구
본 고안은 케이블 도체선의 3방향 T분기 접속부의 외측을 덮고 그 접속부를 방수화합물(레진)을 충전하고, 이 방수화합물의 경화하는 것으로 접속부를 방수 보호하여 누전을 차단하는 방수형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테이핑 처리된 T분기 접속부의 보수용이나 신규의 방수처리에 적합하고 본선 분할커버와 분기선 분할커버의 분리 시공이 가능하여 설치의 편리성과 분기선 분할커버가 분기되는 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꺽이도록 하여 시공의 편리성이 보장되며, 연질수지의 적용에 의한 설치에 따른 유연성 및 기온차에 의한 깨짐현상을 방지하여 수명이 보장되는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전선)의 도체선과 도체선의 상호간의 연결은 용접이나 단자, 접속슬리브, 조인트를 이용하고, 이 접속된 도체선간의 접속부를 보호하는 방법으로는 접속부에 절연 테이프나 방수테이프를 권착하는 것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다시 말하여, 케이블의 T분기는 본선과 분기선 쌍방의 절연피복을 벗기고 노출된 도체선 사이가 접속슬리브나 조인트와 같은 금구로 결속되고, 이 금구와 도체선의 외부에 방수테이프 등에 의한 테이핑처리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의 방수처리는 장기간 사용에 의해 권착된 테이프의 열화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절연성을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고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로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T분기 접속부의 외부를 방수케이스(보호커버)를 덮어 씌우고 이 커버 내부에 겔상의 실리콘이나 방수화합물 등의 밀봉재 레진을 충전하고 이 레진의 경화하는 것으로 접속부를 방수 보호하여 누전을 막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즉, 종래의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는 축방향으로 분할 성형된 제1, 제2 분할커버 상호간이 로크수단에 의해 체결되고, 내부에 레진을 충진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도체선 간의 접속부에 권착된 테이프의 주변을 감싸고 경화되는 것에 의해 방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는 2분할된 분할커버에 단순히 3 방향의 인입구를 형성하고, 이 3방향의 인입구에 본선과 분기선을 결속하는 접속부를 일측 분할커버에 배치하고 나머지 분할커버를 덮고 각각의 분할커버의 연부에 일체 성형된 자웅의 로크수단을 의해 일일히 결속하고 분할커버의 일측에 마련된 레진주입구를 통하여 레진을 충전하고 경화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3 방향으로 분기되는 본선과 분기선의 수용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T분기 보호커버는 FRP와 같은 경질수지로 성형되어 본선과 분기선의 3 방향 인입구가 고정되어 성형됨으로서 본선 케이블과 분기선 케이블간의 각도가 직교하거나 분기방향의 상, 하 또는 좌, 우 방향에 휘어져 있을 경우에는 시공의 어려운 점이 있었다.
둘째, 또한, 종래의 직선접속부 방수형 보호커버는 경질재질로 성형됨으로서 케이블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케이블 인입부의 테이핑 처리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T분기 보호커버는 경질재질로 성형됨으로서 케이블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벌림에 따른 절개부분이 파손되는 단점과 테이핑시에 밀림현상으로 효과적인 밀봉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셋째, 분할커버간의 체결작업이 번잡한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T분기 보호커버는 본선 케이블 인입부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시공에 따른 분할된 분할커버간을 정확히 맞추고, 분할커버의 연부를 따라서 로크수단에 의해 일일히 체결해야 하는 조립작업의 번잡성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네째, T분기 접속부의 방수 및 절연을 위한 레진 충전용 레진주입구가 분할커버중 하나에만 형성됨으로 설치 시에 반드시 선택하여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T분기 접속부을 덮도록 한쌍의 분할된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와 한쌍의 분할된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가 분리 성형되어 상호간을 시공시에 조립하도록 구성하여 시공이 편리성이 보장되고,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는 분기 케이블의 분기방향에 자유롭게 꺽일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호커버의 성형을 연질수지로 적용하여 설치에 따른 유연성 및 기온차에 의한 깨짐현상을 방지하여 수명이 보장되는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케이블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는,
본선 케이블 인입부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의 배선방향이 직각으로 되고 내부에 케이블의 도체선 접속부를 수용하여 양측에서 맞대고 덮도록 된 한쌍의 분할커버와, 이 한 쌍의 분할커버에 성형되는 레진주입구와, 이들 분할커버의 상호간을 맞대어 결속하는 로크수단으로 구성된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에 있어서,
한쌍의 분할커버는 본선케이블 인입부를 갖는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를 갖는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 각각이 연부를 따라 일체형 힌지로 연결되고 상호간은 연결부로 분리 및 조립가능케 연질수지로 성형되고,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와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 각각은 상기 힌지의 대향측 연부에 성형된 로크편과 로크돌기의 로크수단에 의해 상호간을 맞대고 결속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는 연결부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 사이에 반원형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분기선 케이블의 분기방향으로 자유롭게 꺽이도록 하여 분기 케이블의 분기방향에 유연하게 대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블 인입부는 케이블 외경에 따라서 밀착 수용하고 테이핑작업이 용이하도록 단계별 밀림방지돌기를 돌출 구성하여 테이핑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 제2의 본선 분할커버는 상호 대향된 위치로서 접속부 중앙과 각 케이블 인입부 측에 레진주입구를 일체 성형으로 구성하고,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는 주름관과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 사이에 레진주입구를 일체 성형으로 구성하여 레진의 충전작업에 방향성이 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는 축방향으로 2분할되는 한쌍의 분할커버로서 양측에 본선케이블 인입부(11,21)를 갖는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31,41)를 갖는 제 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 각각이 연부를 따라 일체형 힌지(12,32)로 연결되고 상호간은 연결부(15,25)(35,45)로 분리 및 조립가능케 성형되고,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와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 각각은 상기 힌지(12,32)의 대향측 연부에 성형된 로크편(13,33)과 로크돌기(23,43)의 로크수단에 의해 상호간을 맞대고 결속되어 본선 케이블(100)과 분기선 케이블(200)의 접속부(3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와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는 연질의 내열 및 난연성이 우수한 PP재로 성형되고 양측에 본선 케이블 인입부(11,21)와 일측의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31,41)가 일체 성형되어 상호간이 연결부(15,25)(35,45)로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원통상의 T분기 접속부 보호공간(A)과 그 외측 양측과 일측에 각각의 케이블 감합구(B)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의 연결부(15,25)는 중앙에 반원형으로 개공되어 외주면에 환홈(17,27)을 갖는 반원형 결합플랜지(16,26)가 각각 돌출되고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의 연결부(35,45)는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31,41)의 반대측 끝단에 상기 결합플랜지(16,26)의 환홈(17,27)에 결합되는 결합환돌기(37,47)를 내주면에 돌출한 반원형 조립환(36,46)이 일체 성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는 일체형 힌지(12)를 중심으로 회전하 고 상기 로크돌기(23)에 로크편(13)을 절곡하여 로크공(13a)의 끼움으로 체결하여 각 연결부(15,25)의 반원형 결합플랜지(16,26)가 맞댐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결과 외주면의 각 환홈(17,27)도 원형환홈으로 형성되며, 이에 상기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35,45)의 조립환(36,46)을 외부에서 맞대어 내부에 돌출된 결합환돌기(37,47)를 맞결합하고 로크돌기(43)에 로크편(33)의 로크공(33a)의 끼움으로 각 연결부(15,25)(35,45)는 견고하게 결속된다.
한편,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는 연결부(35,45)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31,41) 사이에는 반원형 주름관(34,44)으로 형성되어 분기선 케이블(200)의 분기방향으로 자유롭게 꺽이도록 구성되어 분기선 케이블(200)의 분기방향에 유연하게 굽힘성을 갖을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확보된다.
또한, 각각의 본선 케이블 인입부(11,21)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31,41)는 상기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의 양측과 상기 분기선 분할커버(30,40)의 일측에 일체 성형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테이퍼진 반원형 테이퍼단부로 성형되고, 외측에는 테이핑처리시에 권착되는 테이프의 밀림을 방지하여 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단계별 밀림방지돌기(11a,21a)(31a,41a)가 돌출되고, 케이블의 직경에 신축성을 갖도록 축방향의 중앙은 신축성 절개구멍(11b,21b)(31b,41b)이 절개 형성되었다.
상기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과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는 상기 연결부(15,25)와 연결부(35,45)에 의해 결속된 상태에서 내부의 T분기 접속부 보호공간(A)에 레진을 충전하기 위해 상호 대향된 위치로서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의 중앙과 각 케이블 인입부 측에 레진주입구(18,28)를 각각 일체성형하고,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의 중앙에 레진주입구(38,48)를 각각 일체 성형하여 레진의 충전작업 시에 방향성이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여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와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을 뒤집어 설치해도 상부에 위치한 레진주입구(28,48)을 절개하여 내부의 T분기 접속부 보호공간(A)에 레진을 충전하여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편리성이 보장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과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를 분리한 상태에서 제2 본선 분할커버(20)의 내부 즉, 홈부바닥를 본선 케이블(100)과 분기선 케이블(200)의 T분기 접속부(300)을 하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T분기 접속부(300)는 접속슬리브나 조인트에 의해 결속한 부분이거나 이러한 접속슬리브의 외부에 방수를 목적으로 테이프에 의해 테이핑된 부분 모두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제1 본선 분할커버(10)를 일체형 힌지(12)를 중심으로 접어 제2 본선 분할커버(20)의 위에 맞대어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로크수단인 제2 본선 분할커버(20)의 로크돌기(23)에 제1 본선 분할커버(10)의 로크편(13)을 꺽어 로크공(13a)을 끼워 도 6과 같이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 중 제2 분기선 분할커버(40)의 연결부(45)를 상기 제2 본선 분할커버(20)의 연결부(25)의 외부 즉, 하부에서 맞결합하여 결합플랜지(26)의 환홈(27)에 조립환(46)의 결합환돌기(47)을 끼워 위치시키고, 일체형 힌지(32)를 중심으로 접어 제2 분기선 분할커버(40)를 제1 분기선 분할커버(30) 위에 맞대어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크수단인 제2 분기선 분할커버(40)의 로크돌기(43)에 제1 분기선 분할커버(30)의 로크편(33)을 꺽어 로크공(33a)를 끼워 도 8과 같이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러한 조립은 원통상의 접속부 보호공간(A)과 그 외측 양측과 일측에 각각의 케이블 감합구(B)를 형성하게 되고, T분기 케이블 접속부(300)는 접속부 보호공간(A)에 수용되고, 양측의 본선 케이블(100)과 분기선 케이블(200)은 케이블 감합구(B)에 수용된 상태로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시공된다.
이때, 상기 각 케이블 인입부(11,21)(31,41)에 축방향으로 절개된 신축성 절개구멍(11b,21b)(31b,41b)에 의해 내향으로 탄성력을 갖게되어 케이블(100,20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의 단면도와 같이, 상기 케이블 인입부(11,21)(31,41)의 외부에 테이프(T)로 감아 테이핑 처리하게 된다.
이때, 밀림방지돌기(11b,21b)(31a,41a)에 의해 테이프(T)의 테이핑시에 밀림이 방지되어 효과적인 테이핑 작업이 제공되고, 상기 신축성 절개구멍(11b,21b)(31b,41b)의 간격이 수축되는 상태로 찌그러짐이 없이 테이핑 처리되어 케이블 감합구(B)의 밀봉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로 조립된 본 고안은 도 8 및 도 9과 같이,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10,20)의 레진주입구(18,28)중 상부에 위치한 것, 여기서는 제1 분할커버(10)의 레진주입구(18)를 절단하고, 또한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30,40)의 레진주입구(38,48)중 상부에 위치한 것, 여기서는 제1 분기선 분할커버(30)의 레진주입구(38)를 절단하고 이 개공된 레진주입구를 통하여 내부의 케이블 접속부 보호공간(A)에 레진을 충전하게 된다.
이러한 충전은 개공된 레진주입구(18,38)에 충전안내기구(400)를 끼운 상태에서 레진용기(500)을 대고 레진을 충전하게 된다.
상기 충전안내기구(400)는 깔때기(410)와 이 깔때기가 끼움되고 레진주입구(17)에 끼움되는 안내인입구(420)으로 구성되며, 작업자의 작업방향에 따라서 상 기 깔때기(410)만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레진을 충전할 수 있고, 상기 안내인입구(420)와 동시 사용에 의해 상기 깔대기(410)의 각도를 변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충전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레진의 충전은 T분기 접속부(300)의 외주면과 케이블(100,200)의 외주면 다시 말하여, 상기 원통상의 접속부 보호공간(A)과 그 외측 양측에 케이블 감합구(B)에 간극이 없이 충전하고 경화하여 설치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는 연질수지로 성형됨으로 신축성이 보장되어 깨짐이 없고,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와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의 분리 시공이 가능하여 설치의 편리성과 분기선 분할커버가 분기되는 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꺽이도록 하여 시공의 편리성이 보장되며, 밀봉이 완벽하여 레진의 충전 불량이 없어 경화시에 변형이 차단되어 양호한 시공으로 높은 방수와 절연효과를 갖는 한편, 밀봉을 위한 테이핑 작업의 용이성 구조가 제공되어 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선 케이블 인입부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의 배선방향이 직각으로 되고 내부에 케이블의 도체선 접속부를 수용하여 양측에서 맞대고 덮도록 된 한쌍의 분할커버와, 이 한 쌍의 분할커버에 성형되는 레진주입구와, 이들 분할커버의 상호간을 맞대어 결속하는 로크수단으로 구성된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에 있어서,
    한쌍의 분할커버는 본선케이블 인입부를 갖는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를 갖는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 각각이 연부를 따라 일체형 힌지로 연결되고 상호간은 연결부로 분리 및 조립가능케 연질수지로 성형되고,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와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 각각은 상기 힌지의 대향측 연부에 성형된 로크편과 로크돌기의 로크수단에 의해 상호간을 맞대고 결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본선 분할커버의 연결부는 중앙에 반원형으로 개공되어 외주면에 환홈을 갖는 반원형 결합플랜지가 각각 돌출되고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의 연결부는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의 반대측 끝단에 상기 결합플랜지의 환홈에 결합되는 결합환돌기를 내주면에 돌출한 반원형 조립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 분기선 분할커버는 연결부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 사이에 반원형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분기선 케이블의 분기방향으로 자유롭게 꺽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KR2020060013411U 2006-05-19 2006-05-19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KR200423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411U KR200423749Y1 (ko) 2006-05-19 2006-05-19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411U KR200423749Y1 (ko) 2006-05-19 2006-05-19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749Y1 true KR200423749Y1 (ko) 2006-08-11

Family

ID=4177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411U KR200423749Y1 (ko) 2006-05-19 2006-05-19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7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68B1 (ko) 2008-04-07 2008-09-25 (유)전일기술단 변전소 전력 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튜브
KR100888268B1 (ko) 2008-11-18 2009-03-11 현대공영(주) 공동주택의 가공전선 인입 가이드
KR101873171B1 (ko) * 2017-11-27 2018-06-29 신재식 경관조명용 전선 접속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68B1 (ko) 2008-04-07 2008-09-25 (유)전일기술단 변전소 전력 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튜브
KR100888268B1 (ko) 2008-11-18 2009-03-11 현대공영(주) 공동주택의 가공전선 인입 가이드
KR101873171B1 (ko) * 2017-11-27 2018-06-29 신재식 경관조명용 전선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352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US10211565B2 (en) Plastic sealing internal sheath for a conductor connection, connection part, cover nut and sealed connection between two conductors
US20190190190A1 (en) Cable joint articulated extension piece for a connector intended to be linked to at least one cable
US9040845B2 (en) Shielding structure for wire harness
US20070161289A1 (en) Flat flexible cable assembly with integrally-formed sealing members
KR200423749Y1 (ko) 케이블의 t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KR200423748Y1 (ko) 케이블의 직선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ES2916207T3 (es) Conjunto conector de cables con conectores liberables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200427340Y1 (ko) 케이블의 y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US10498049B2 (en) Assembly as a junction box replac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said assembly
ES2704423T3 (es) Pasamuros para cables
CA3080376C (en)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KR200479319Y1 (ko) 케이블의 방수 보호 커버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KR20210025874A (ko) 다중 방수구조를 갖는 전선 연결구조물 및 그 연결방법
AU2012244327A1 (en) Wrapper for encapsulating a cable connection area as well as a cable assembly and node comprising same
JP2013027058A (ja)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JP5479838B2 (ja) 電線用カバーおよび電線とカバーの防水構造
CN103986112A (zh) 电力电缆的连接构造和绝缘部件
KR102635697B1 (ko) 전선용 도체의 절연방수모듈
JP5761535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構造および絶縁部材
JP2003009373A (ja) 電線接続部の防水保護ケース
KR200357979Y1 (ko) 케이블 클로우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