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213B1 -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213B1
KR102103213B1 KR1020190157568A KR20190157568A KR102103213B1 KR 102103213 B1 KR102103213 B1 KR 102103213B1 KR 1020190157568 A KR1020190157568 A KR 1020190157568A KR 20190157568 A KR20190157568 A KR 20190157568A KR 102103213 B1 KR102103213 B1 KR 10210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anel
optical cable
guid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to KR102019015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7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with divided sh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단자함 안에서 서로 접속되는 광코어선과 광케이블들의 배선을 가이드하고 별도의 증설자재를 추가 사용하거나 광케이블 단자함의 교체없이 광케이블을 증설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10)와;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이 각각 양쪽에서 꽂혀 서로 접속되도록 하는 다수의 어댑터(30)를 포함하는 슬롯 패널(20)과; 상기 슬롯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롯 패널의 어댑터에 양쪽에서 결합되는 광코어선(1)과 광케이블(2)이 꼬이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한편 증설 시 상기 슬롯 패널의 상부에 어댑터를 설치할 수 있는 증설홀(61)을 제공하는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은 상기 슬롯 패널의 상부와 좌우 양측을 감싸는 형태의 패널 조립홈을 갖는 패널 조립부(5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광케이블 가이드부(52)로 구성되는 가이드판(50), 상기 증설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에 승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광코어선을 가이드하다가 광케이블의 증설 시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로 상승한 후 회전을 통해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증설홀이 상기 어댑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볼트(22)로 고정되는 증설판(60)으로 분할 구성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A FIBER OPTIC CABLE CONNECTING TERMINAL BOX}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단자함 안에서 서로 접속되는 광코어선과 광케이블들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별도의 증설자재를 추가 사용하지 않고 광케이블을 증설하는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환경의 변화, 사용자들의 욕구 증대로 인해 초고속 광대역 정보통신 환경이 활발하게 조성되고 있으며,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가구에 통신선로가 공급되고 있다.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다세대 주택의 각 가구에 광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 단자함이 필요하다. 광케이블을 각 가정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케이블을 여러 가닥의 광케이블로 나누고 이를 각 가정에 공급하게 되는데, 한 가닥의 광케이블이 여러 가닥으로 나뉘어지는 부분은 매우 복잡하므로 이를 잘 정리하여 단자함에 내장하고, 상기 단자함을 벽면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광케이블 단자함이라 한다.
광케이블 단자함은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는 일측 함체부와 역시 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는 타측 함체부(또는 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 함체부와 타측 함체부는 힌지부로 체결되고, 상기 힌지부를 통해 서로 접면되는 일측 함체부의 일측면과 타측 함체부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체의 측면 일측에는 광코어선(국선)이 인입되도록 하고 타측에는 다수의 광케이블(가입자선)이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광케이블 단자함 안에는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슬롯 패널(어댑터가 삽입 장착되는 어댑터 장착홀) 및 어댑터가 갖추어지는데, 슬롯 패널의 어댑터 장착홀의 수량이 정해져 있고 증설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증설 시 추가 슬롯 패널을 추가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슬롯 패널의 추가 설치가 가능한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광케이블 단자함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 손실이 있다.
또한, 광케이블 단자함 안에서는 다수의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이 접속되며, 특히, 광코어선은 코드 릴에 감겨 배선되다가 어댑터에 결합되어 서로 꼬임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수의 광케이블은 인출부에서 서로 분리되지만 인출부와 슬롯 패널 사이에서는 서로 꼬임이 발생할 수 있어 배선 작업과 보수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898601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10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단자함 안에서 서로 접속되는 광코어선과 광케이블들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별도의 증설자재를 추가 사용하거나 광케이블 단자함을 교체하지 않고 광케이블을 증설하는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와;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이 각각 양쪽에서 꽂혀 서로 접속되도록 하는 다수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슬롯 패널과; 상기 슬롯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롯 패널의 어댑터에 양쪽에서 결합되는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한편 증설 시 상기 슬롯 패널의 상부에 어댑터를 설치할 수 있는 증설홀을 제공하는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은 상기 슬롯 패널의 상부와 좌우 양측을 감싸는 형태의 패널 조립홈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광케이블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증설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에 승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광코어선을 가이드하다가 광케이블의 증설 시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로 상승한 후 회전을 통해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증설홀이 상기 어댑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증설판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판과 증설판은 상기 슬롯 패널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의하면,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을 슬롯 패널에 설치하여 평상 시 다수의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이 서로 꼬임없이 독립된 배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초기 배선 작업과 보수 작업시 다른 광케이블의 간섭없이 작업이 가능하고 또한 광케이블의 증설이 필요한 경우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의 증설판을 증설 위치에 셋팅하여 광케이블의 증설하므로 증설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결국 광케이블의 증설을 위하여 추가 슬롯 패널을 미리 설치하거나 증설이 가능한 광케이블 단자함으로 교체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적용된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적용된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의해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이 광케이블의 가이드로 사용될 때를 보인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의해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이 광케이블의 증설을 위한 동작 과정을 보인 사시도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의해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에 적용된 가이드판에 광코어선 가이드부가 추가된 예를 보인 평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10), 슬롯 패널(20), 어댑터(30)를 포함하고 여기에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단자함 본체(10)와 슬롯 패널(20) 및 어댑터(30)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본 발명에 의해 신규한 구성인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과 2는 어댑터(30)의 양쪽에 각각 꽂혀 서로 접속되는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은 평상 시(증설 전)에 광케이블(2)과 광코어선(1)을 가이드하여 이웃하는 광케이블(2)과 광코어선(1)이 서로 꼬이지 않도록 하고 증설이 필요할 때 어댑터(30)를 추가로 장착하여 광케이블(2)을 증설하도록 증설홀을 제공한다.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은 슬롯 패널(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특히, 어댑터(30)에 결합되는 광코어선(1)과 광케이블(2)의 배선을 간섭하지 않도록 어댑터(30)들의 사이에 결합된다.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은 바람직하게 가이드판(50) 및 증설판(60)으로 분할 구성되고, 분할된 가이드판(50)과 증설판(60)은 슬롯 패널(20)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1)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22)를 통해 조립된다.
가이드판(50)은 슬롯 패널(20)에 조립되는 패널 조립부(51)가 구비되는 한편 광케이블(2)을 지지하는 광케이블 가이드부(52)로 구성된다.
패널 조립부(51)는 상부와 좌우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슬롯 패널(20)에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패널 조립홈을 포함한다. 패널 조립부(51)의 상부에는 볼트(22)가 관통되는 볼트관통홀(53)이 구비된다.
광케이블 가이드부(52)는 광케이블 인입부와 슬롯 패널(20)의 위치에 맞춰 광케이블(2)이 배선위치를 유지하도록 광케이블(2)의 주변에서 광케이블(2)을 지지하며, 따라서, 직선형과 곡선형 모두 가능하다.
가이드판(50)은 패널 조립부(51)의 구조 상 슬롯 패널(20)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하여 전술한 볼트(22)외에 가이드판(50)만을 단독으로 슬롯 패널(20)에 고정하기 위한 록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증설판(60)은 증설홀(61)이 구비되며 일측(도 4 기준 우측) 단부가 가이드판(50)과 함께 볼트(22)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증설판(60)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이면서 양측이 관통되는 증설홀(61)이 구비되는 것이면서 상단부에 힌지편(62)이 연장 형성되고 이 힌지편(62)에 볼트(22)가 관통되는 볼트관통홀(63)이 구비되는 것이다. 힌지편(62)은 가이드판(50)의 패널 조립부(51) 상부에 겹쳐져 볼트관통홀(63,53)들이 일치된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증설판(60)은 가이드판(50)과 일렬로 배열 즉, 슬롯 패널(20)을 기준으로 하여 가이드판(50)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광코어선(1)을 가이드하고, 결국 이웃하는 광코어선(1)들이 꼬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5(도 5는 회전한 최종 상태)와 도 6(도 6은 상승한 상태)에서 보이는 것처럼, 증설판(60)은 광케이블(2)의 증설 시 증설홀(61)을 이용하여 광케이블(2)의 증설이 가능하도록 광코어선(1)의 가이드 때와 다른 위치로 이동하며 즉, 슬롯 패널(20)의 상면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증설홀(61)이 어댑터(30)와 동일한 방향을 유지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증설판(60)은 가이드판(50)에 승강 및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볼트(22)는 증설판(60)과 가이드판(50)의 볼트관통홀(63,53)에 관통되면서 슬롯 패널(20)의 암나사부(21)에 나사 체결되어 증설판(60)과 가이드판(50)이 슬롯 패널(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볼트(22)는 증설판(60)이 광코어선(1)을 가이드할 때 암나사부(21)의 하부까지 체결되고, 증설판(60)이 광케이블(2)의 증설용으로 사용될 때 암나사부(21)의 상부에만 체결된다. 따라서, 볼트(22)는 나사선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저부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설판(60)이 광케이블(2)의 증설용으로 사용될 때 슬롯 패널(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이 때, 볼트(22)로 고정되어 있지만 볼트(22)의 반대쪽에서 움직임을 막기 위하여 가드 레일(guard rail)(70)을 포함한다.
가드 레일(70)은 증설판(60)의 좌우 흔들림을 막기 위하여 슬롯 패널(20)의 상면에 증설판(60)의 좌우 양측을 덮도록 돌출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돌기(71)를 포함한다.
가드 레일(70)은 위치 상 가이드판(50)의 저부를 지지하게 되며, 이 때, 가드 레일(70)과 가이드판(50)이 결속되도록 가이드판(50)의 저면에는 돌기(71)가 끼워지는 홈(54)이 구성된다.
돌기(71)와 홈(54)은 더브테일(dove tail)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가이드판(50)은 가드 레일(70)의 일측에서 결합된 후 돌기(71)와 홈(54)을 통해 슬라이딩 결합되며 결국 가이드판(50)이 상부로 빠지는 것을 막아준다. 이와 같이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이 슬롯 패널(20)에 슬라이딩식으로 조립되는 경우 패널 조립부(51)의 패널 조립홈은 슬롯 패널(20)에 결합된 어댑터(30)의 간섭을 받지 않는 여유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가드 레일(70)은 좌우 한 쌍의 돌기(71)를 갖는 띠의 형태이며 슬롯 패널(20)의 상면에 스크류로 결합되거나 접착제로 접착된다.
또한, 가드 레일(70)은 암나사부(21)의 위치에 볼트(22)가 관통되는 홀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평상 시.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슬롯 패널(20)에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이 조립되어 있다.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의 수량은 광케이블(2)과 동일하거나 광케이블(2)보다 적은 수량이 가능하다. 이 때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의 증설판(60)은 광코어선(1)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은 슬롯 패널(20)의 좌우 양측에 광코어선(1)과 광케이블(2)의 배선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형태이며, 광코어선(1)과 광케이블(2)은 각각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의 증설판(60)과 가이드판(50)에 의해 배선이 가이드되어 이웃하는 것들과 서로 꼬이지 않고 각자의 경로를 따라 배선된다.
가이드판(50)과 증설판(60)은 광케이블(2)과 광코어선(1)을 어댑터(30)에 꽂을 때 이들(2,1)을 어댑터(30)로 유도하는 기능도 한다.
2. 증설 시.
광케이블(2)의 증설이 필요한 경우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의 증설판(60)에 형성된 증설홀(61)을 이용한다.
증설판(60)의 증설은 증설판(60) 상승 - 슬롯 패널(20) 상면에 증설판(60) 안착 - 증설판(60) 고정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세부 동작은 다음과 같다.
가. 증설판(60) 상승.
도 2의 상태에서 도 5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볼트(22)를 풀어 상승시키며, 이 때의 상승폭은 증설판(60)의 상승을 위한 폭이다. 이 때, 슬롯 패널(20)의 암나사부(21)에서 완전히 빠진 것과 빠지지 않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볼트(22)를 풀어 상승시킨 후 증설판(60)을 상승시킨다. 후속 공정인 증설판(60)의 회전 시 슬롯 패널(20)의 간섭이 없도록 증설판(60)의 하단부를 슬롯 패널(20)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가드 레일(70)이 적용된 경우 가드 레일(70)의 돌기(71)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 때 볼트(22)는 증설판(60)의 상승을 위한 가이드이다.
나. 슬롯 패널(20)에 증설판(60) 안착.
증설판(60)을 슬롯 패널(20)의 상면으로 회전시키고 저부를 슬롯 패널(2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가드 레일(70)이 적용된 경우 증설판(60)을 가드 레일(70)의 돌기(71) 사이로 하강시켜 가드 레일(70)에 지지되도록 한다.
다. 증설판(60) 고정.
볼트(22)를 체결하여 증설판(60)을 고정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증설판(60)의 설치를 완료하며, 이렇게 되면 증설판(60)의 증설홀(61)이 슬롯 패널(20)의 상부에 어댑터(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롯 패널(20)은 복층 구조가 되는 것이고 따라서 광케이블(2)의 자유로운 증설이 가능하며 광케이블 단자함의 큰 변화도 없어 거부감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광케이블(2)을 증설한 후 증설이 필요없는 경우 전술한 공정의 역순으로 증설판(60)을 평상 시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한다.
지금까지는 가이드겸용 증설패널(40)의 증설판(60)이 광코어선(1)의 가이드와 증설 2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증설판(60)이 증설용으로 위치 이동하면 광코어선(1)을 가이드하지 못하게 되고, 본 발명은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증설판(60)이 증설용으로 사용되더라도 광코어선(1)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판(50)이 광코어선 가이드부(55)를 포함한다.
광코어선 가이드부(55)는 패널 조립부(51)에서 판의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증설판(60)의 배면에서 증설판(60)을 지지하는 한편 증설판(60)이 슬롯 패널(20)의 상부로 이동하여도 제자리에서 광코어선(1)을 가이드한다.
10 : 단자함 본체, 20 : 슬롯 패널
21 : 암나사부, 22 : 볼트
30 : 어댑터,
40 : 가이드겸용 증설패널, 50 : 가이드판
51 : 패널 조립부, 52 : 광케이블 가이드부
53,63 : 볼트관통홀, 54 : 홈
55 : 광코어선 가이드부,
60 : 증설판, 61 : 증설홀
62 : 힌지부,

Claims (4)

  1. 단자함 본체와;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이 각각 양쪽에서 꽂혀 서로 접속되도록 하는 다수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슬롯 패널과;
    상기 슬롯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롯 패널의 어댑터에 양쪽에서 결합되는 광코어선과 광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한편 증설 시 상기 슬롯 패널의 상부에 어댑터를 설치할 수 있는 증설홀을 제공하는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겸용 증설패널은 상기 슬롯 패널의 상부와 좌우 양측을 감싸는 형태의 패널 조립홈을 갖는 패널 조립부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광케이블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증설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에 승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광코어선을 가이드하다가 광케이블의 증설 시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로 상승한 후 회전을 통해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증설홀이 상기 어댑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증설판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판과 증설판은 상기 슬롯 패널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 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며 증설판의 저부가 끼워 결합되는 가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증설패널의 배면에 겹쳐지게 형성되어 상기 증설패널이 증설용으로 사용될 때 상기 광코어선을 가이드하는 광코어선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KR1020190157568A 2019-11-29 2019-11-29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KR102103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68A KR102103213B1 (ko) 2019-11-29 2019-11-29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68A KR102103213B1 (ko) 2019-11-29 2019-11-29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213B1 true KR102103213B1 (ko) 2020-04-22

Family

ID=7047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568A KR102103213B1 (ko) 2019-11-29 2019-11-29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2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104U (ko) 2009-04-07 2010-10-15 김상필 실내용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JP2015102765A (ja) * 2013-11-26 2015-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配線盤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通信装置
CN105025677A (zh) * 2015-07-16 2015-11-04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卡扣组件及单元箱
KR101694313B1 (ko) * 2016-08-19 2017-01-09 주식회사 파워링크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1728814B1 (ko) * 2017-01-19 2017-04-20 (주)선진이엔지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KR101898601B1 (ko) 2018-04-09 2018-09-13 손규열 광케이블 단자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104U (ko) 2009-04-07 2010-10-15 김상필 실내용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JP2015102765A (ja) * 2013-11-26 2015-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配線盤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通信装置
CN105025677A (zh) * 2015-07-16 2015-11-04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卡扣组件及单元箱
KR101694313B1 (ko) * 2016-08-19 2017-01-09 주식회사 파워링크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1728814B1 (ko) * 2017-01-19 2017-04-20 (주)선진이엔지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KR101898601B1 (ko) 2018-04-09 2018-09-13 손규열 광케이블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2754A (en) Optical fiber interconnection mechanism
CN101617253B (zh) 插座装置
CN104934912B (zh) 一种网络布线系统、桥架及可装卸配线装置
KR102103213B1 (ko)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CN102792205A (zh) 用于多层住宅单元的光纤配给网
CN211126983U (zh) 一种网络工程用分线盒
CN110568572B (zh) 一种终端盒
JP3866645B2 (ja) アウトレット
KR200410218Y1 (ko) 광분배함
KR101984279B1 (ko)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CN204732805U (zh) 一种网络布线系统、桥架及可装卸配线装置
CN209132474U (zh) 一种无跳接光缆交接箱
CN211348784U (zh) 一种光纤箱内置理线盒
KR102316792B1 (ko) 공연장에 설치되는 조립용 브래킷을 이용한 조명 플라이 덕트
CN210109422U (zh) 一种能控制进线的光纤接线盒
KR19990008217U (ko) 광심선 분배함
CN208076786U (zh) 抽屉式光纤跳线收纳盒
CN220042886U (zh) 一种办公室内使用的拼接式走线槽
KR101670889B1 (ko) 케이블 매니저
CN213581487U (zh) 一种通信机箱内光纤的走线结构
KR100484093B1 (ko) 리본광케이블용 광분배함
CN215579585U (zh) 一种空调用配电箱
CN219695526U (zh) 一种用于光纤光缆的布线装置
CN211348757U (zh) 一种电力光纤配线柜
CN207557318U (zh) 一种光电电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