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208B1 -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 Google Patents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208B1
KR102334208B1 KR1020190157531A KR20190157531A KR102334208B1 KR 102334208 B1 KR102334208 B1 KR 102334208B1 KR 1020190157531 A KR1020190157531 A KR 1020190157531A KR 20190157531 A KR20190157531 A KR 20190157531A KR 102334208 B1 KR102334208 B1 KR 102334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rrier
coupled
block
installation block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678A (ko
Inventor
한현수
임승만
윤형로
하재술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2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캐리어와 케이블 캐리어를 연결할 기구물과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용이하도록 하게 하는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 측에 구비되고 케이블 캐리어의 단부가 결속되는 결속부 및 타 측에 구비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 일 측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구비한 설치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설치블록 간의 결합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착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CABLE CARRIER BRACKET}
본 발명은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캐리어와 케이블 캐리어를 연결할 기구물과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용이하도록 하게 하는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캐리어(드래그 체인, 케이블 체인, 체인 케이블)는 전기 케이블, 유압 또는 공압 호스 등과 같은 플렉시블 부재(flexible member)를 지지하고 안내함과 더불어, 상술한 플렉시블 부재가 꼬이거나 펼쳐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 또는 얽힘, 단선 등을 방지함으로써 플렉시블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산업용 기계의 외부에 적용되는 부품으로 예를 들어 반도체 장비, 크린 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각종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 움직이는 기계부에 접속된 케이블이나 각종 호스 등의 외부를 감싸 작업 환경의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물질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부식과 화학제품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1760043호는 케이블 분리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체인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 프레임과, 한 쌍의 브래킷 프레임의 상측부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과, 한 쌍의 브래킷 프레임의 하측부를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이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베이스 프레임을 지나는 복수의 케이블을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분리하는 복수의 세퍼레이터; 및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각각 결합 되며, 복수의 세퍼레이터가 관통되는 케이블 분리 고정구를 포함하고, 케이블 분리 고정구는, 베이스 프레임을 지나는 복수의 케이블을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함과 아울러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타이의 체결 장소로 제공되어 복수의 케이블을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 캐리어는 케이블 캐리어와 케이블 캐리어를 연결하는 기구물(반도체 장비, 크린 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각종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과 연결하기 위해 단부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기구물과 볼팅 결합을 한다. 이때 기구물과 케이블 캐리어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기 위해서는 볼트공을 가리는 케이블을 이동시키고, 볼트공에 볼트를 삽입 또는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기구물에 케이블을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도체 장비, 크린 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각종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의 기구물과 케이블 캐리어의 연결(결합) 및 연결(결합) 해제를 용이하게 하는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캐리어의 회동이 보다 원활한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캐리어가 케이블 캐리어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설계 사양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한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일 측에 구비되고 케이블 캐리어의 단부가 결속되는 결속부 및 타 측에 구비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 일 측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구비한 설치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설치블록 간의 결합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착탈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은 기구물과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힌지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설치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걸림돌부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부의 이동선상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힌지 회동을 제한하는 제한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걸림돌부의 이동 경로 중 어느 한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한벽부는 상기 고정블록이 힌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고, 걸림돌부는 상기 고정블록의 타단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단부 또는 제2단부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설치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은 타단에 구비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만곡부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만곡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만곡부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힌지공을 중심으로 일 측면과 그 반대편인 타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고정블록의 일 측면 및 타 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착탈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케이블 캐리어가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기구물이 결합되는 설치블록 간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가 힌지공을 포함하고, 피결합부가 힌지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 캐리어가 결합되는 고정블록의 힌지 회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설계 사양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착탈수단이 걸림돌부 및, 걸림돌부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덮개를 포함함으로써, 고정블록이 설치블록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설치블록이 제한벽부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 캐리어가 결합된 고정블록이 단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힌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캐리어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가 분리부를 포함함으로써, 고정블록의 힌지 회동만으로 고정블록과 설치블록을 결합 및 결합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덮개가 분리부가 제1단부 또는 제2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고정블록의 회동 폭을 최대한 보장하여 다양한 설계 사양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덮개가 설치블록에 착탈이 가능하여, 고정블록과 설치블록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블록이 만곡부를 포함하고, 덮개는 라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걸림돌부의 상향 이동을 최대한 억제하는 동시에 힌지 회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케이블 캐리어를 용이하게 회동 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결속부가 상기 고정블록의 일 측면 및 타 측면 모두에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설계 사양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설치블록으로부터 고정블록이 분해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이 기구물에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 (상향, 상측, 하향, 하측)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향(상측)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 도 3을 기준으로 정면을 향하는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향(하측)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 도 3을 기준으로 배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설치블록으로부터 고정블록이 분해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3은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이 기구물에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B)을 '본 브래킷'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브래킷(케이블 캐리어 브래킷(B))은 고정블록(1), 설치블록(2) 및 착탈수단(3)을 포함한다.
고정블록(1)은 일 측에 구비되고 케이블 캐리어(C)의 단부가 결속되는 결속부(11)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블록(1)은 후술하는 힌지공(H2)을 중심으로 일 측면과 그 반대편인 타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 측면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면일 수 있고, 타 측면은 도 3을 기준으로 좌측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부(11)는 고정블록(1)의 일 측면 및 타 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결속부(11)는 고정블록(1)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케이블 캐리어(C)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된 볼트 등에 의해 케이블 캐리어(C)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속부(11)가 고정블록(1)의 일 측면 및 타 측면 모두에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설계 사양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여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블록(1)은 타 측에 구비된 결합부(12)를 포함한다. 즉, 고정블록(1)은 그 일 측(도 1을 기준으로 1시 방향의 측)에 결속부(11)를 포함하고, 그 타 측(도 1을 기준으로 7시 방향의 측)에 결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블록(2)은 반도체 장비, 크린 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각종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의 기구물(U)에 연결(결합)되는 것으로, 일 측에 결합부(12)와 결합하는 피결합부(21)를 구비한다.
결합부(12) 및 피결합부(21)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설치블록(2)은 기구물(U)과 연결되는 베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2)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베이스(22)는 볼팅 결합 등에 의해 기구물(U)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결합부(21)는 베이스(22)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기(H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설치블록(2)의 일 측에 피결합부(21)가 구비된다고 하였는데 설치블록(2)의 일 측이란 베이스(22)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2)는 힌지돌기(H1)가 삽입되는 힌지공(H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돌기(H1)(피결합부(21))가 힌지공(H2)(결합부(12))이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힌지돌기(H1) 및 힌지공(H2)에 의해 고정블록(1) 및 설치블록(2)이 힌지공(H2)을 중심축으로 힌지 회동됨으로써, 케이블 캐리어(C)의 회동이 가능하여 기구물(U)과 케이블 캐리어(C)가 다양한 설계 사양에 대한 대응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설치블록(2)은 베이스(22)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후술하는 걸림돌부(31)의 이동선상에 구비되어, 고정블록(1)의 힌지 회동을 제한하는 제한벽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22)의 상면에서 힌지돌기(H1)를 중심으로 걸림돌부(31)의 내측벽이 걸림돌부(31)의 이동선상(고정블록(1)이 설치블록(2)과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부(31)의 이동선상)을 따라 돌출 형성되되, 고정블록(1)이 힌지돌기(H1)를 중심축으로 하여 힌지 회전되도록 절개된 것일 수 있다. 절개된 부분인 단부(후술하는 제1단부(231), 제2단부(232)가 고정블록(1)의 회동을 제한한다. 이때 예시적으로 제1단부(231)의 접촉면 및 제2단부(232)의 접촉면 각각의 법선 간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단부(231) 및 제2단부(232) 각각의 접촉면은 고정블록(1)과 접촉하는 면을 의미한다. 즉, 고정블록(1)이 제한벽부(23)의 제1단부(231)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블록(1)이 힌지돌기(H1)를 중심축으로 90도 힌지 회전하면 고정블록(1)이 제한벽부(23)의 제2단부(232)에 접촉되는 것이다. 제1단부(231)의 접촉면 및 제2단부(232)의 접촉면 각각의 법선 간의 각도는 90도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한벽부(23)를 통해 케이블 캐리어(C)가 연결된 고정블록(1)의 힌지 회전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케이블 캐리어(C)가 연속적으로 단방향을 따라 회전(도 3을 기준으로 고정블록(1)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여 케이블 캐리어(C)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착탈수단(3)은 고정블록(1)과 설치블록(2) 간의 결합(결합부(12) 및 피결합부(21)에 의한 결합)을 유지 또는 해제한다.
이와 같이, 본 브래킷은 케이블 캐리어(C)와 결합되는 고정블록(1), 기구물(U)과 결합되는 설치블록(2) 및, 상기 고정블록(1)과 설치블록(2) 간의 결합(결합부(12) 및 피결합부(21)에 의한 결합)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착탈수단(3)을 포함함으로써, 반도체 장비, 크린 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각종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의 기구물(U)과 케이블 캐리어(C)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착탈수단(3)을 자세히 설명하면, 착탈수단(3)은 고정블록(1)의 측면에서 측방향(도 2에서 힌지공(H2)을 중심축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걸림돌부(31)는 힌지공(H2)에 인접한 고정블록(1)의 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타 측은 도 1을 기준으로 7시 방향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걸림돌부(31)는 후술하는 고정블록(1)의 타단(도 1을 기준으로 7시 방향의 단부)에 고정블록(1)의 길이 방향(도 1을 기준으로 1시-7시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착탈수단(3)은 설치블록(2)의 상부에 결합되되 걸림돌부(31)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덮개(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 도 3을 기준으로 정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는데, 설치블록(2)의 설치 방향에 따라 방향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덮개(32)가 걸림돌부(31)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고정블록(1) 및 설치블록(2)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블록(1)은 상술한 힌지공(H2)을 중심으로 힌지 회동하는 것이다.
걸림돌부(31)는 고정블록(1)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돌부(31)가 고정블록(1)의 하측에 구비됨으로써 덮개(32)의 높이(힌지 돌기(H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를 낮게 제작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한벽부(23)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덮개(32)는 설치블록(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덮개(32)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이 구비되고, 설치블록(2)은 덮개(32)의 볼트공에 삽입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을 구비하여, 덮개(32) 및 설치블록(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설치블록(2)은 베이스(22)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한벽부(23)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덮개(32)는 제한벽부(23)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32)가 설치블록(2)에서 제거된 상태에서, 고정블록(1) 및 설치블록(2)이 결합되고, 이후에 덮개(32)가 설치블록(2)에 결합되어 걸림돌부(31)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덮개(32)는 고정블록(1), 힌지돌기(H1)가 관통되도록 절개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덮개(32)는 분리부(3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분리부(321)는 고정블록(1)의 회동 폭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서 걸림돌부(31)의 평면 형상(도 3에서 정면 형상)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덮개(32)가 설치블록(2)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블록(1)을 설치블록(2)에 결합시킬 경우 결합돌부(31)를 분리부(321)로 통과시켜야 하므로 고정블록(1)과 설치블록(2)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덮개(32)는 설치블록(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덮개(32) 및 설치블록(2)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고정블록(1) 및 설치블록(2)의 결합을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덮개(32)는 걸림돌부(31)의 이동 경로 중 어느 한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분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부(31)의 이동 경로는 힌지돌기(H1)가 힌지공(H2)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부(31)가 힌지 회동하는 경로를 의미한다(걸림돌부(31)가 베이스(22) 상에서 이동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덮개(32)가 설치블록(2)에 결합한 상태에서 덮개(32) 상에서 이동한다고 볼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힌지돌기(H1)가 힌지공(H2)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부(31)는 힌지 회동한다고 하였는데, 덮개(32)가 설치블록(2)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부(31)의 다양한 힌지 회동에 의한 경로(상기 걸림돌부(31)의 이동 경로)(베이스(22)와 평행한 방향의 경로) 중 어느 한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에 걸림돌부(31)가 상향 이동되도록 개구된 분리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부(31)의 이동 경로 중 어느 한 지점이 걸림돌부(31)가 상향 이동되도록 개구된 분리부(321)를 통해, 걸림돌부(31)가 분리부(321)를 통과하여 고정블록(1) 및 설치블록(2)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가능하다.
즉, 덮개(32)가 분리부(321)를 포함함으로써, 설치블록(2) 및 덮개(32)를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블록(1)을 상향 이동하여 설치블록(2)과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분리부(321)를 통과하여 고정블록(1) 및 설치블록(2)을 결합하고, 고정블록(1) 및 설치블록(2)이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부(31)가 덮개(32)에 의해 상향 이동되지 않도록 힌지공(H2)을 중심축으로 하여 힌지 회동하여 고정블록(1)이 설치블록(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32)가 분리부(321)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 캐리어(C) 및 기구물(U) 등의 유지보수 등을 위해 케이블 캐리어(C) 및 기구물(U)의 연결을 해제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반복하여 볼팅 결합 및 볼팅 결합 해제를 할 필요가 없으며, 볼트공에 삽입된 볼트를 확인하기 위해 볼트공의 상측을 덮는 케이블 등을 이동시킬 필요성이 없다. 즉, 케이블 캐리어(C)와 결합된 고정블록(1)을 간단하게 힌지 회동 하면 설치블록(2)과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캐리어(C) 및 기구물(U)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케이블 캐리어(C) 및 기구물(U) 중 어느 하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케이블 캐리어(C) 및 기구물(U) 간의 결합 및 해제를 반복 수행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본 브래킷의 효과는 증대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한벽부(23)는 상기 고정블록(1)이 힌지 회동함에 따라 고정블록(1)과 접촉하는 제1단부(231) 및 제2단부(232)를 포함하고, 걸림돌부(31)는 고정블록(1)의 타단에서 고정블록(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321)는 제1단부(231) 또는 제2단부(232)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블록(1)의 타단은 도 1을 기준으로 7시 방향의 단부를 의미한다.
즉, 분리부(321)가 제1단부(231)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경우, 고정블록(1)이 제2단부(232)에 접촉(인접)하는 경우에 걸림돌부(31)가 분리부(321)를 통과할 수 있으며, 분리부(321)가 제2단부(232)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경우, 고정블록(1)이 제1단부(231)에 접촉(인접)하는 경우에 걸림돌부(31)가 분리부(321)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돌기(H1)가 힌지공(H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블록(1)이 설치블록(2)과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한도로 최대한 힌지 회동을 할 수 있으므로, 고정블록(1)과 연결된 케이블 캐리어(C)의 회동이 보다 원활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블록(1)은 타단에 구비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만곡부(13)를 포함하고, 덮개(32)는 만곡부(13)에 상응하는 위치에 만곡부(13)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블록(1)의 타단은 도 1을 기준으로 7시 방향의 단부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힌지공(H2)과 힌지돌기(H1)가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32)에서 상기 분리부(321)를 제외한 부분이 걸림돌부(31)의 상향 이동을 최대한 억제하는 동시에, 걸림돌기(1)의 힌지 회동을 원활히 하게 함으로써, 걸림돌기(1)에 연결된 케이블 캐리어(C)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B
고정블록: 1 결속부: 11
결합부: 12 힌지공: H2
만곡부: 13
설치블록: 2 피결합부: 21
베이스: 22 힌지돌기: H1
제한벽부: 23 제1단부: 231
제2단부: 232
착탈수단: 3 걸림돌부: 31
덮개: 32 분리부: 321
라운드부: 322
기구물: U 케이블 캐리어: C

Claims (1)

  1. 일 측에 구비되고 케이블 캐리어의 단부가 결속되는 결속부 및 타 측에 구비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
    일 측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구비한 설치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설치블록 간의 결합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블록은 기구물과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힌지공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설치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걸림돌부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설치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걸림돌부의 이동 경로 중 어느 한 지점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KR1020190157531A 2019-11-29 2019-11-29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KR102334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31A KR102334208B1 (ko) 2019-11-29 2019-11-29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31A KR102334208B1 (ko) 2019-11-29 2019-11-29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678A KR20210067678A (ko) 2021-06-08
KR102334208B1 true KR102334208B1 (ko) 2021-12-02

Family

ID=7639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531A KR102334208B1 (ko) 2019-11-29 2019-11-29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2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7895A (ja) * 2016-02-19 2017-08-24 吉野川電線株式会社 ケーブルキャリア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7895A (ja) * 2016-02-19 2017-08-24 吉野川電線株式会社 ケーブルキャリア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678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874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1008331A (ja) 少なくとも1つのラインを案内するライン案内要素
TWI495808B (zh) 纜線類保護導引裝置
US20230131156A1 (en) Cable Duct Assembly
JP2014510246A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JP2020098029A (ja) イージーロックp字型クランプ
KR20120008527A (ko) 케이블 가이드
EP3512058A1 (en) Cable protection chain
KR101683950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5831416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保護具
KR102334208B1 (ko)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PL193944B1 (pl) Osłona przewodów, zwłaszcza kabli
KR102001077B1 (ko) 배선용 클립
JP2009079624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10320175B2 (en) Mechanical link
KR101349069B1 (ko) 드릴링 라이저의 플랜지 체결구조
ES2856952T3 (es) Sistema de guía de fibra óptica articulada
CN108352686B (zh) 线缆引导元件
JP5354423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102024762B1 (ko) 링크 케이블 타이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91244Y1 (ko)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KR101940119B1 (ko) 배선용 클립
KR20100099834A (ko) 전선보호 케이블 베어
KR100460521B1 (ko)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