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119B1 - 배선용 클립 - Google Patents

배선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119B1
KR101940119B1 KR1020160131638A KR20160131638A KR101940119B1 KR 101940119 B1 KR101940119 B1 KR 101940119B1 KR 1020160131638 A KR1020160131638 A KR 1020160131638A KR 20160131638 A KR20160131638 A KR 20160131638A KR 101940119 B1 KR101940119 B1 KR 10194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aligning
connecting member
extend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047A (ko
Inventor
김홍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6013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1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제 1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는 제 1정렬부재, 제 1와이어 하네스와 별도로 배치되는 제 2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는 제 2정렬부재, 및 제 1정렬부재와 제 2정렬부재를 결속함으로써 제 1와이어 하네스와 제 2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안내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이어 하네스끼리를 배선용 클립으로 결속하여 정렬함으로써 복수 가닥의 와이어 하네스를 배선 및 분기시 설정되는 여유길이로 인해 상호 부딪힘이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클립{WIRING CLIP}
본 발명은 배선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끼리를 배선용 클립으로 결속하여 정렬함으로써 복수 가닥의 와이어 하네스를 배선 및 분기시 설정되는 여유길이로 인해 상호 부딪힘이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 와이어 하네스를 소정의 위치에 묶어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밴드 케이블이라는 부재를 사용한다.
밴드케이블은, 와이어 하네스를 한꺼번에 묶어서 소정의 장소에 걸림후크를 사용하여 고정하여 배선을 정리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의 일종이다.
와이어 하네스에는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원형의 구멍에 걸림후크가 삽입되어서 밴드케이블을 고정한 후에 자유롭게 회전되어지는 정홀 방식과, 밴드케이블 체결시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하네스에 방향성을 부여하여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롯방식(Slot Type)과, 정홀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형의 구멍에 일측으로 홀을 모조로 형성하여서 밴드케이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키이홀(Key Hole) 방식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밴드케이블에 대한 배경기술로서,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48236호(고안의 명칭: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가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차량 배선은 작업성 향상을 위해 여유 길이를 갖도록 설계됨에 따라 상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상호 부딪힘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차량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가 여유 길이를 갖지 않도록 세밀한 설계 및 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설계적 업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하네스끼리를 배선용 클립으로 결속하여 정렬함으로써 복수 가닥의 와이어 하네스를 배선 및 분기시 설정되는 여유길이로 인해 처짐이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끼리 상호 부딪힘이나 간섭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하는 배선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클립은: 제 1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는 제 1정렬부재; 상기 제 1와이어 하네스와 별도로 배치되는 제 2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는 제 2정렬부재; 및 상기 제 1정렬부재와 상기 제 2정렬부재를 결속함으로써 상기 제 1와이어 하네스와 상기 제 2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안내하는 결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 1정렬부재가 연결되는 제 1연결부재; 상기 제 2정렬부재가 연결되는 제 2연결부재; 및 상기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2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드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결합부는, 상기 제 1연결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양측 테두리에서 상기 제 1정렬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부재; 상기 제 1연장부재에 의한 제 1수용홈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연장부재 각각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플랜지; 상기 제 2연결부재에서 상기 제 1연결부재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제 2돌출블록; 및 대응되는 상기 제 2플랜지를 슬라이드 삽입 허용하도록 제 2수용홈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돌출블록에서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수용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 2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연결부재는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연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 1연결부재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걸림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클립은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이어 하네스끼리를 배선용 클립으로 결속하여 정렬함으로써 복수 가닥의 와이어 하네스를 배선 및 분기시 설정되는 여유길이로 인해 처짐이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끼리 상호 부딪힘이나 간섭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클립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클립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클립(100)은 제 1정렬부재(110), 제 2정렬부재(120) 및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정렬부재(110)는 제 1와이어 하네스(10)를 묶어 정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밴드 케이블의 란스부와 밴드부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제 1정렬부재(110)는 제 1와이어 하네스(10)를 묶어 정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정렬부재(120)는 제 1와이어 하네스(10)와 별도로 배치되는 제 2와이어 하네스(20)를 감싸서 정렬하는 것으로서, 밴드 케이블의 란스부와 밴드부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제 2정렬부재(120)는 제 2와이어 하네스(20)를 묶어 정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제시될 수 있다.
특히, 제 1정렬부재(110)에 정렬되는 제 1와이어 하네스(10)는 한 가닥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직경에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정렬부재(120)에 정렬되는 제 2와이어 하네스(20)는 한 가닥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직경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제 1와이어 하네스(10)와 제 2와이어 하네스(20)는 이웃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여유 길이로 배선됨에 따라 상호 부딪힘이나 눌림 등 배선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와이어 하네스(10)와 제 2와이어 하네스(20)가 부딪힘으로써 소음이 발생되고, 눌림에 의한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속부(130)가 구비된다.
결속부(130)는 제 1정렬부재(110)와 제 2정렬부재(120)를 결속함으로써 제 1와이어 하네스(10)와 제 2와이어 하네스(20)를 정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결속부(130)는 제 1와이어 하네스(10)와 제 2와이어 하네스(20)가 특정 부위에서 접하지 않고 설정 거리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속부(130)는, 제 1연결부재(132), 제 2연결부재(134) 및 슬라이드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제 1연결부재(132)는 제 1정렬부재(110)를 연결한다. 특히, 제 1연결부재(132)와 제 1정렬부재(110)는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연결부재(134)는 제 2정렬부재(120)를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제 2연결부재(134)와 제 2정렬부재(120)는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제 1연결부재(132)와 제 2연결부재(134)는 슬라이드결합부(140)에 의해 결속되는데,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굵기 및 형상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연결부재(132)와 제 2연결부재(134)는 대응되는 제 1와이어 하네스(10)와 제 2와이어 하네스(20)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연결부재(132)와 제 2연결부재(134)는 제 1와이어 하네스(10)와 제 2와이어 하네스(20)의 유격 설정 거리만큼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결합부(140)는 제 1연결부재(132)와 제 2연결부재(134)를 분리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슬라이드결합부(140)는 제 1연장부재(141), 제 1플랜지(142), 제 2돌출블록(144) 및 제 2리브(145)를 포함한다.
제 1연장부재(141)는 제 1연결부재(132)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 가장자리 또는 양측 테두리에서 제 1정렬부재(1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 1연결부재(132)는 상측면에 제 1정렬부재(110)를 구비하고, 하측면 양측 테두리에서 제 1연장부재(141)를 연장 형성한다. 이때, 제 1연장부재(141)는 제 2리브(145)의 두께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제 1플랜지(142)는 제 1연장부재(141) 각각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제 1플랜지(142)와 제 1정렬부재(110) 사이에는 제 1수용홈부(143)가 형성된다. 제 1수용홈부(143)는 제 2리브(145)를 슬라이드 삽입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1플랜지(142)는 제 2수용홈부(146)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물론, 제 1플랜지(142)의 크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 2돌출블록(144)은 제 2연결부재(134)에 돌출 형성되어 제 1연결부재(132)의 하측면에 접하게 된다. 즉, 제 2정렬부재(120)는 상측면에 제 2정렬부재(120)를 구비하고, 하측면에 제 2돌출블록(144)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제 2돌출블록(144)은 제 2정렬부재(120)의 하측면 표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마주하는 제 1플랜지(142)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1정렬부재(110)와 제 2정렬부재(120)가 결속시, 제 2돌출블록(144)은 제 1연결부재(132)의 하측면에 접하게 된다.
제 2리브(145)는 대응되는 제 2플랜지를 슬라이드 삽입 허용하도록 제 2수용홈부(146)를 형성하기 위해 제 2돌출블록(144)에서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 1수용홈부(143)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제 1플랜지(142)가 제 2수용홈부(146)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제 2리브(145)가 제 1수용홈부(143)에 슬라이드 삽입됨으로써, 제 1연결부재(132)와 제 2연결부재(134)는 제 1정렬부재(110)나 제 2정렬부재(120) 방향으로 분리 방지된다.
또한, 제 1연결부재(132)는 걸림돌기(152)를 돌출 형성하고, 제 2연결부재(134)는 걸림돌기(152)를 수용함으로써 제 1연결부재(132)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걸림홈부(154)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52)가 걸림홈부(154)에 수용됨으로써, 제 1연결부재(132)와 제 2연결부재(134)는 정위치 조립되고, 슬라이드 결합되는 방향으로 분리 방지된다.
물론, 걸림돌기(152)와 걸림홈부(154)의 크기,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제 1와이어 하네스 20: 제 2와이어 하네스
100: 배선용 클립 110: 제 1정렬부재
120: 제 2정렬부재 130: 결속부
132: 제 1연결부재 134: 제 2연결부재
140: 슬라이드결합부 141: 제 1연장부재
142: 제 1플랜지 144: 제 2돌출블록
145: 제 2리브

Claims (4)

  1. 제 1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는 제 1정렬부재; 상기 제 1와이어 하네스와 별도로 배치되는 제 2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는 제 2정렬부재; 및 상기 제 1정렬부재와 상기 제 2정렬부재를 결속함으로써 상기 제 1와이어 하네스와 상기 제 2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안내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 1정렬부재가 연결되는 제 1연결부재; 상기 제 2정렬부재가 연결되는 제 2연결부재; 및 상기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2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드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결합부는, 상기 제 1연결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양측 테두리에서 상기 제 1정렬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부재; 상기 제 1연장부재에 의한 제 1수용홈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연장부재 각각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플랜지; 상기 제 2연결부재에서 상기 제 1연결부재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제 2돌출블록; 및 대응되는 제 2플랜지를 슬라이드 삽입 허용하도록 제 2수용홈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돌출블록에서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수용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 2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 1플랜지가 상기 제 2수용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상기 제 2리브가 상기 제 1수용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2연결부재는 조립 방향성을 유지한 채 접촉 면적 증가를 통해 결속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재는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연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 1연결부재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걸림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클립.
KR1020160131638A 2016-10-11 2016-10-11 배선용 클립 KR10194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638A KR101940119B1 (ko) 2016-10-11 2016-10-11 배선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638A KR101940119B1 (ko) 2016-10-11 2016-10-11 배선용 클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336A Division KR102001077B1 (ko) 2018-10-30 2018-10-30 배선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047A KR20180040047A (ko) 2018-04-19
KR101940119B1 true KR101940119B1 (ko) 2019-04-10

Family

ID=6208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638A KR101940119B1 (ko) 2016-10-11 2016-10-11 배선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1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147Y1 (ko) * 2005-04-13 2005-06-29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링 하네스의 티 자형 클립
KR200393275Y1 (ko) * 2005-04-13 2005-08-22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KR101463164B1 (ko) * 2013-07-16 2014-11-18 주식회사 경신 방향규제형 클리어런스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147Y1 (ko) * 2005-04-13 2005-06-29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링 하네스의 티 자형 클립
KR200393275Y1 (ko) * 2005-04-13 2005-08-22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KR101463164B1 (ko) * 2013-07-16 2014-11-18 주식회사 경신 방향규제형 클리어런스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047A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077B1 (ko) 배선용 클립
US9963093B2 (en) Wire harness attachment structure and wiring unit
KR20130069030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US10457227B2 (en) Wiring structure
KR101940119B1 (ko) 배선용 클립
KR20090007158U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3881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JP542228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100951913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101902289B1 (ko) 밴드케이블 구조
KR20190074529A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101872830B1 (ko) 와이어 하네스 분리지그
KR200448236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66132Y1 (ko) 밴드 케이블
KR200466124Y1 (ko) 다용도 결합형 클립
KR101584921B1 (ko) 케이블 홀더
JP5700800B2 (ja) 端子のボルト締結構造
KR102334208B1 (ko)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JP201512287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固定構造
KR101242544B1 (ko) 자동차용 조립식 밴드케이블
JP2017141940A (ja) アンカークリップ構造およびバンドクリップ
JP5555377B2 (ja) 多方向に動くラッチを有する建設機械用のクリップ
KR20230030462A (ko) 밴드케이블
KR200243833Y1 (ko) 커넥터 고정용 멀티 밴드케이블
KR200465856Y1 (ko)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