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527A - 케이블 가이드 - Google Patents

케이블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527A
KR20120008527A KR1020117027122A KR20117027122A KR20120008527A KR 20120008527 A KR20120008527 A KR 20120008527A KR 1020117027122 A KR1020117027122 A KR 1020117027122A KR 20117027122 A KR20117027122 A KR 20117027122A KR 20120008527 A KR20120008527 A KR 20120008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pin
cable guide
open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859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헤르미
프랑크 블라스
랄프 스티거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0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종단 면에서 개방되고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되며 서로에 대하여 적어도 2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고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뒤에 배치되며 외부 가이드 요소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16)을 형성하는 부재(12)를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10)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연결된 2개 부재 사이의 조인트 연결은 인장력을 흡수하고 케이블 가이드 내에 배치되며, 부재(12)는 서로에 대응하고 2개의 연결 성분(20, 22)을 갖는 연결 요소(188)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18)의 제 1 연결 성분(20)은 서로 이격된 2개의 레그(24, 26)를 갖는 포크 형상을 가지며, 제 2 연결 성분은 구형 경계 표면을 갖는 제 1 시트(32)를 포함하되, 관통 홀(36)을 구비하고 제 1 시트에 부합하는 구형 외부 경계 표면(35)을 갖는 조인트 요소(34)는 제 1 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내부에 위치한 조인트 요소(34)를 갖는 제 2 연결 성분은 구형 외부 경계 표면을 갖는 조인트 요소 내의 개구(36)가 2개의 레그(24, 26)의 각각에 제공된 개구와 나란하게 정렬되는 방식으로 제 1 연결 성분의 2개의 레그 사이에 위치할 수 있어 제 1 연결 성분의 2개의 레그 내의 개구 및 제 2 연결 성분의 제 1 조인트 요소 내의 개구에 의하여 형성된 제 2 시트 내로 핀(30)이 삽입되고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가이드{Cable guide}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종류의 케이블 가이드가 EP 1616376B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위의 특허에 설명된 케이블 가이드는 볼 및 대응하는 형상의 소켓을 나타내는 연결 시스템을 구비한다. 취급을 위하여, 특히 케이블 가이드의 각 링크의 연결을 위하여, 부품들은 케이블 가이드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90°의 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하여야 한다. 이러한 회전은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케이블 가이드, 에너지 안내 체인 등의 경우에 상당히 불편한 취급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 요소의 간단한 배치 및 형상으로 조립 및 분해 동안 용이하게 취급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가이드, 에너지 안내 체인 또는 유사한 것을 설계하는 데 있다. 사실상, 서로에 대한 각 링크의 카아던 선회(cardanic pivoting)는 본 명세서에서 가능할 것이다.
위의 목적은 청구항 1항에 따른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각 요소는 전적으로 또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공지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취급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일반적인 플라스틱 내의 고유 탄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플라스틱의 사용은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고 분리 가능한 스냅 연결(snap connectioin)을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 나타난다.
도 1은 케이블 가이드의 실질적인 제 1 실시예의 링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2개의 연결된 링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조립 직전의 케이블 가이드의 2개의 링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 1 연결 핀의 사시도.
도 5는 삽입된 핀을 갖는 포크 형상의 연결 요소의 상세도.
도 6은 도 5의 대응 도면으로서, 개별 부품들이 서로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케이블 가이드의 실질적인 제 2 실시예의 링크의 정면도.
도 8은 관련된 배면도.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를 통한 길이 방향 단면도로서, 2개의 인접된 링크 간의 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힌지 핀의 삽입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대응 도면으로서, 2개의 인접된 링크 간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힌지 핀의 제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 2 연결 핀의 측면도.
도 12는 제 2 연결 핀의 사시도.
본 발명의 2개의 실질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가이드 케이블(10)은 체인 방식으로 관절로 이어진 형태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12)를 보이며, 이 링크는 사실상 서로에 대하여 모든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마주보는 종단 상에서 개방되고 밀폐된 구조의 쉘부(14; shell section)를 구비한다. 적절하다면, 쉘부는 회전적으로 대칭적인 외부 형상을 갖는다. 쉘 부는 체인 내에 수용될 케이블, 라인 등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16, 17)의 경계를 구분짓는다. 각 링크(12)는 연결 요소(18)를 구비하며, 이 연결 요소는 기본적으로 반경 방향 웹(15) 등을 통하여 각 쉘부(14)에 연결되고, 또한 2개의 성분(20, 22)을 보인다. 제 1 성분(20)은 2개의 레그(24, 26)를 갖는 포크(fork)로 설계되며, 2개의 레그는 개구(27, 28)를 구비한다. 제 2 성분(22)은 아암(23)을 나타내며, 이 아암은 개구(32)를 갖고, 아암의 경계 표면은 구체이고 조인트 요소(34)를 위한 제 1 시트를 형성한다. 이 조인트 요소는 대응적으로 구형 외부 경계 표면을 가지며, 중앙의 원통형 보어(36)를 구비하고, 축방향 연장부는 2개의 레그(24. 26) 사이의 간격에 대응한다.
2개의 레그(24 및 26) 내의 보어(27, 28)가 제 2 연결 성분(22)의 조인트 요소(34) 내의 보어(36)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링크의 제 2 연결 요소(22)가 인접한 링크의 제 1 연결 성분(20)의 2개의 레그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2개의 인접한 링크(12)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요소의 위치에서 시작되는- 연결되어 모든 보어(27, 28 및 36)는 원통형 핀(30)을 위한 제 2 시트를 형성한다. 여기서, 이 원통형 핀은 도 3에 도시된 각 시작 위치로부터 레그(24) 내의 보어(27)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 제 2 시트 내에서 도 2에 따른 최종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 가이드의 2개의 인접한 링크(12) 간의 실질적인 카아던 관절 연결(cardanic articulated connection)을 생성하며,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인접한 링크의 각 종단 영역은 서로 중첩된다.
도 1 내지 도 6은 2개의 인접한 링크(12) 간의 연결을 이루는 수단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원통형 핀(30)의 한 종단은 스냅-인 러그(38; snap-in lug)를 나타내며, 스냅-인 러그는 핀(30)의 횡단면의 윤곽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원통형 핀의 외경은 러그(24, 26) 사이에 유지된 제 2 연결 성분의 조인트 요소(34)의 보어(36)의 내경에 맞추어지며 또한 제 1 연결 성분의 2개의 러그(24, 26) 내의 보어의 내경에 맞추어진다. 스냅-인 러그(38)는 웹(40)의 자유 종단 상에 각각 위치한다. 도 4 및 도 5는 핀(30)에 일체로 연결된 다수의 웹(40)이 후방, 즉 핀의 측 표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핀의 측부 상에 있음을 보이며, 각 웹은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이 스냅-인 러그로 작용할 때 웹이 내부로 꺾일 수 있는 간극 영역(46)을 부여받는다. 간극 영역(46)은 또한 웹(40)의 다소간의 측 방향 굴절을 허용한다.
스냅-인 러그(38)를 구비한 핀(30)의 종단 영역을 수용하는 제 2 레그(26)의 개구(28)는 제 1 레그(24)의 반대쪽을 향하는 종단에 넓은 횡단면(42)을 구비하며, 이 넓은 횡단면(42)은 그 짧은 축이 축에 개구(28)의 직경과 대응하고 짧은 축에 수직인 긴 축은 개구(28)의 직경 또는 이 타원형의 넓은 횡단면(42)의 짧은 축보다 크도록 설계되고 위치한다 (도 4 및 도 5 참조).
핀(30)이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조인트 요소(34) 내의 레그 내의 보어(27, 28)와 보어(36)에 의하여 형성된 시트 내로 삽입될 때, 스냅-인 러그의 각 자유단에 제공된 경사면(44) 그리고 그의 탄성 또는 그들을 지지하는 웹(40)의 탄성으로 인하여, 스냅-인 러그가 핀(30)의 원형 윤곽 내에 위치할 때까지 스냅-인 러그(38)는 각 간극 영역(46) 내로 내측으로의 힘을 받으며(도 5), 따라서 제 2 시트 내로의 삽입 동안에 멈춤부 등과 같은 형태의 장애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보어(42)의 길이 방향 축과 평행한 넓은 횡단면(42)의 깊이는 동일한 방향으로 스냅-인 러그의 규격과 대응한다. 넓은 횡단면(42)의 결과로서, 보어(28)의 길이 방향 축과 직교하게 놓여진 멈춤 표면(48)을 갖는 단차부(step)가 형성되며, 핀(30)이 그의 원주 방향으로 대응하는 각도 위치를 취할 때 스냅-인 러그(38)는 단차부를 지나 도달한다. 여기서, 각 스냅-인 러그(38)는 멈춤 표면(48)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질적인 실시예에서, 스냅-인 러그(38)는 스냅-인 러그를 지지하는 웹(40; web)이 외측을 향하는 프리스트레스(prestress)의 특정 각도 하에 있는 위치를 취하여 스냅-인 러그(38)와 멈춤 표면(48) 사이에 존재하는 확실한 연결에 의하여 핀(30)의 위치가 길이 방향 변위에 대하여 보호된다.
핀(30)의 다른 종단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플랜지(49; 도 2 및 도 4 참조)를 구비하며, 이 플랜지는 레그(26)의 반대쪽을 향하는 레그(24) 내의 보어(27)의 측부 상의 대응하는 넓은 영역(50)과 결합한다. 스냅-인 러그의 외측 에지가 핀의 윤곽 또는 보어(27, 28 및 36)의 횡단면을 지나 더 이상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때까지 자유 종단 상에 제공된 경사면(44; bevel)으로 인하여 핀의 길이 방향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측으로 향하는 힘의 결과로서 스냅-인 러그(38)가 간극 영역 내로 변위되기 때문에 핀(30)이 포크와 연결 요소(34)에 의하여 형성된 제 2 시트 내로 삽입되는 각 위치(angular position)는 초기에는 상관없다. 이 경우, 이 제 2 시트 내로 핀(30)을 삽입하는 단계의 마지막에서 스냅-인 러그가 더 넓은 횡단면에 의하여 형성된 멈춤면(48)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방법으로 핀(30)의 각도 위치가 이미 설정 -또는 필요한 경우 후에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핀을 회전시킴으로써 설정-된 것만이 보장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멈춤면(48)과의 확고한 연결을 유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향하는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이 간극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 연결을 분리하기 위하여, 짧은 축이 할당된 더 넓은 횡단면(42)의 주변 영역 내로 스냅-인 러그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도 5에 따른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핀을 회전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여기서, 짧은 축의 길이는 레그(26) 내의 보어(28)의 직경과 대응한다. 도 6은 회전 운동 과정에서 넓은 횡단면(42)에 접해 있는 연속적인 벽에 의하여 스냅-인 러그가 내측 방향으로, 즉 각각 관련된 간극 영역(46; 도 5 참조)으로 힘을 받아 멈춤면(48)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다.
핀(30)의 양 종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지 않으나 대응 횡단면을 각각 나타내는 요부(52, 54)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핀을 각각 요구되는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 요부는 대응적인 형상을 갖는 공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개별 링크(12)의 쉘부(14; shell section)는 대응하는 개구(56)를 구비하며, 필요한 방법으로 핀(30)을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공구는 이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호 작용부의 탄성으로 인하여, 조인트 요소(34)는 스냅 연결에 의하여 시트(32) 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어(36) 내에 위치한 핀(30)은 이 스냅 연결을 견고하게 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필수적인 사항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한다. 따라서 동일한 요소를 위하여 사용된 도면 부호 또한 동일하나, 각 부호는 100번 이상이다.
양 실시예 간의 한 차이점은 연결 요소(118)를 지지하는 웹(115)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관하여, 핀(130)을 위한 시트를 형성하는, 2개의 연결 요소 내의 개구(127, 128 및 136)의 길이 방향 축이 기본적으로 웹(115)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놓여지는 방식으로 제 2 실시예의 연결 요소(120, 122)가 위치한다는 것이다. 웹의 길이 방향 축은 각 쉘부(114)에 의하여 정해진 횡단면 영역의 직경을 구성한다. 따라서, 핀(130)을 양 종단에 접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2개의 인접한 링크(112; 도 9) 사이에서의 연결을 이루기 위해 활성 위치에 핀을 삽입하기 위하여 또는 2개의 연결 요소(120, 122)와 아암(123; 도 10)에 의하여 형성된 시트로부터 핀을 추출함으로써 이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링크(112)의 쉘부(114) 내의 개구(156)(연결 핀(130)을 조작하기 위하여 공구(158)는 이 개구를 통하여 각 링크(112)의 내부 횡단면 영역으로 삽입됨)는 개구가 그 활성 위치에서 핀(130) 및 핀을 수용하는 시트에 대략 동축적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공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156)의 대응 배치와 함께 연결 요소의 이러한 배치는 연결 핀(130)을 조작할 때 핀으로의 접근을 얻기 위하여 이 개구의 배치가 케이블, 라인 등을 수용하는 하나의 가이드 채널(116, 117)을 통하여 이동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 정확히 말하면, 공구(158)는 웹을 따라, 즉 가이드 채널(116, 117) 외부의 영역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서 안에서 웹이 공구를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가이드 채널에 의하여 수용된 케이블 등은 외부에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서, 핀(130)은 웹(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냅-인 러그(138)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냅-인 러그와 웹은 원통형 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스냅-인 러그와 웹은 스냅-인 러그(138)에 의하여 형성된, 분리된 링(139)이 실제 핀(130)의 직경보다 클 필요가 없는 최대 직경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규격화된다. 도 9 및 도 10은 원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냅-인 시트(160)가 연결 요소(120)의 레그(126)에 배치(assigned)된 상태를 나타낸다. 스냅-인 시트(160)는 스냅-인 러그의 형상에 맞추어지며, 도 9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인 러그는 핀(130)의 활동적인 최종 위치에서 스냅-인 시트 내로 스냅된다. 핀(300)의 활동적인 최종 위치에서, 스냅-인 러그는 스냅-인 시트(160)를 정하는 렛지(ledge) 형상의 돌출부(162) 뒤에 도달한다. 결과로서, 핀은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제적인 실시예에서, 돌출부가 유리하게는 적어도 180°에 걸쳐 연장되어야 할지라도, 핀 시트가 핀의 종단 영역 내에서 원주부의 일 부분에 걸쳐 존재하기 때문에 돌출부(162)는 핀(130)의 전체 외주면 걸쳐 존재하지 않는다. 스냅-인 러그(138) 및 스냅-인 러그를 지지하는 웹과 함께 핀(130)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만일 그리고 필요할 때, 2개의 인접한 링크(112) 사이,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속적인 단차부 내에서 연결을 가져오는 시트로부터 핀(130)을 추출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재료의 탄성 때문에, 스냅-인 러그는 내측으로, 즉 핀의 길이 방향 축을 향하여 변위되며, 따라서 스냅-인 시트로부터 분리된다. 활동적인 최종 위치에서 핀이 스냅-인 러그와 결합될 때, 핀이 단지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힘에 필연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설명된 스냅 연결은 활동적인 최종 위치에서 핀(130)을 지지하기 충분하며, 따라서 연결 요소(118)의 2개의 연결 성분을 함께 유지한다.
스냅-인 러그가 스냅-인 시트(160) 내로 스냅될 때, 양 길이 방향으로 변위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제 2의 실질적인 실시예에서의 핀(130)은 스냅-인 러그의 반대쪽을 향하는 종단 상에서의 연속적인 플랜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질적인 실시예에서 벗어나, 스냅-인 시트(160)는 180°이상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절하다면, 스냅-인 러그는 또한 넓은 영역에 걸쳐 또는 전체 원주에 걸쳐 분포된 형태로 스냅-인 시트를 결합한다. 그러나, 이는 길이 방향으로 핀에 작용하는 힘만을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개별 링크(12; 112)는 플라스틱으로 단일 편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아암(23; 123) 내에 이동 가능한 형태로 장착된 핀(30; 130) 및 조인트 요소(34; 134)와 이격될 수 있다.
10: 케이블 가이드
12: 링크
14: 쉘 부
15: 웹
16: 가이드 채널
17: 가이드 채널
18: 연결 요소
20: 연결 부품
22: 연결 부품
23: 아암
24: 레그
26: 레그
27: 개구, 보어
28: 개구, 보어
30: 핀
32: 개구
34: 조인트 요소
35: 경계 표면
36: 보어
38: 스냅-인 러그
40: 웹
42: 넓은 횡단면
44: 경사면
46: 간극 영역
48: 멈춤 표면
49: 플랜지
50: 넓은 구역
52: 요부
54: 요부
56: 개구
112: 링크
114: 쉘부
115: 웹
116: 가이드 채널
117: 가이드 채널
118: 연결 요소
120: 연결 부품
122: 연결 부품
123: 아암
124: 레그
126: 레그
127: 개구, 보어
128: 개구, 보어
130: 핀
134: 조인트 요소
136: 보어
138: 스냅-인 러그
139: 구분된 링
140: 웹
156: 개구
158: 공구
160: 스냅-인 시트
162: 돌출부

Claims (15)

  1.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하여 적어도 2 방향으로 정렬 가능하며 종단 면에서 개방되고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뒤에 배치되며 외부 가이드 요소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16, 17; 116, 117)을 형성하는 링크(12; 112)로 이루어지되, 인장력을 흡수하는 조인트는 안에서의 2개의 연결된 링크 사이에 위치하며, 링크(12; 112) 각각은 2개의 연결 성분(20, 22; 120, 122)을 갖는 대응 연결 요소(18; 118)를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10 ;110)에 있어서,
    연결 요소(18; 118)의 제 1 연결 성분(20; 120)은 서로 이격된 2개의 레그(24, 26; 124, 126)를 갖는 포크 형상을 가지며, 제 2 연결 성분은 구형 경계 표면을 갖는 제 1 시트(32; 132)를 나타내되, 제 1 시트에 적합한 구형 외부 경계 표면(35) 및 개구(36; 136)를 갖는 조인트 요소(34; 134)는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형 경계 표면에 장착되며, 구형 외부 경계 표면을 갖는 연결 요소 내의 개구(36)가 2개의 레그(24, 26; 124, 126) 각각에 제공된 개구(27, 28; 127, 128)와 나란하게 정렬된 방식으로, 내부에 위치한 조인트 요소(34)를 갖는 제 2 연결 성분은 제 1 연결 성분의 2개의 레그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 제 1 연결 성분의 2개의 레그 내의 개구와 제 2 연결 성분의 조인트 요소의 개구에 의하여 형성된 제 2 시트 내로 핀(30; 13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8; 118)는 링크(12; 112)의 쉘 부(14; 114)에 연결된 장착부(15; 115) 상에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웹(15; 115)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장착부(15; 115)는 기본적으로 핀(30; 13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부(15; 115)는 각 링크(12; 112)의 횡단면 영역을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고 바람직하게는 양 종단에서 쉘 부(14 ;114)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핀(30; 130)의 제 1 종단은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스냅-타입의 돌출부(38; 138)를 구비하되, 이 돌출부는 부품의 장착된 위치에서 멈춤면(40; 162) 뒤에 도달하여, 핀의 위치를 길이 방향 변위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스냅-인 돌출부(38; 138)를 갖는 핀(30; 130)은 탄성 플라스틱으로 단일 부재 형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스냅-인 돌출부(38; 138)는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웹(40; 140)의 자유 종단 상에 위치하고, 웹은 바람직하게는 핀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내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스냅-인 돌출부(38)를 지지하는 핀(30; 130)의 종단이 인접한 연결 요소(18; 118)의 제 1 성분(20; 120)의 레그(24; 124) 상에 또는 인접하게 스냅-인 돌출부(38; 138)를 위한 시트가 제공되고, 돌출부를 지지하는 웹의 탄성 복원력의 영향 하에서 핀의 활성적인 마지막 위치 내에서 돌출부는 시트 내로 스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핀의 길이 방향으로 핀에 작용하는 대응적 규모의 힘의 영향 하에서 대응 경사면을 갖는 스냅-인 돌출부(138)가 스냅-인 시트(160)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스냅-인 돌출부(138)를 위한 스냅-인 시트(160)는 설계되고 그 깊이에 관한 규격을 가지며 돌출부를 지지하는 웹은 공정 동안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연결 요소(20)의 2개의 레그(26) 중 적어도 하나의 레그 내의 개구(28)는 다른 레그의 반대쪽을 향하는 종단에서 넓은 횡단면(42)을 나타내며, 이 넓은 횡단면은 숄더(48; shoulder)를 통하여 좁은 횡단면을 갖는 개구(28)의 부분 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의 레그(26) 내의 원통형 개구(28)의 넓은 횡단면(42)은 대략적으로 타원형 횡단면 형상을 나타내어 횡단면의 짧은 축은 핀을 수용하는 레그 내의 좁은 횡단면을 갖는 개구(28)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대응하며, 짧은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축은 좁은 횡단면을 갖는 개구의 직경보다 크며, 스냅형 돌출부(38)는 핀(30)의 종단에서 원주 영역 둘레에 위치하여 부품의 장착 위치에서 돌출부는 넓은 횡단면을 갖는 영역(42)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시트(32; 132)를 형성하는 아암(23; 123)의 적어도 상호 작용 영역 및 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제 1 시트에 의하여 수용된 구형 외부 경계 표면을 갖는 조인트 요소(34; 134)의 적어도 상호 작용 영역은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부품을 다루기 위한 공구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쉘 부(14; 114)는 개구(56; 15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원형 개구들이 핀(130)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부 상에 대략적으로 놓이고 장착부(115)의 반경 방향 연장부에 평행한 방식으로 셀 부의 바람직한 원형 개구(156)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KR1020117027122A 2009-04-16 2010-04-15 케이블 가이드 KR101294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9005546U DE202009005546U1 (de) 2009-04-16 2009-04-16 Kabelführung
DE202009005546.9 2009-04-16
PCT/EP2010/054928 WO2010119083A2 (de) 2009-04-16 2010-04-15 Kabelfüh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27A true KR20120008527A (ko) 2012-01-30
KR101294859B1 KR101294859B1 (ko) 2013-08-09

Family

ID=4078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122A KR101294859B1 (ko) 2009-04-16 2010-04-15 케이블 가이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266882B2 (ko)
EP (1) EP2419978B1 (ko)
JP (1) JP5331937B2 (ko)
KR (1) KR101294859B1 (ko)
CN (1) CN102449866B (ko)
BR (1) BRPI1012520B1 (ko)
CA (1) CA2758785C (ko)
DE (1) DE202009005546U1 (ko)
MX (1) MX2011010893A (ko)
WO (1) WO201011908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566A (ko) * 2020-11-24 2022-05-31 이민우 케이블수량 변동 대응형 케이블 가이드 체인
KR20220071563A (ko) * 2020-11-24 2022-05-31 이민우 케이블 수량 변동 대응 및 케이블 이탈방지 겸 충격흡수와 분진억제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가이드 체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2920C5 (de) 2010-07-30 2023-03-02 Tsubaki Kabelschlepp GmbH Räumlich auslenkbar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Krümmungsradiusbegrenzern
DE202013101460U1 (de) * 2013-04-05 2013-04-22 Igus Gmbh Leitungsführung aus mehrachsig abwinkelbaren Gliedern
US9270021B1 (en) 2013-09-06 2016-02-23 M.M.A. Design, LLC Low-profile mast array
CN105299142A (zh) * 2015-11-21 2016-02-03 绵阳伦奇机器人有限公司 机器人线缆拖链
CN105313140B (zh) * 2015-12-09 2017-08-01 绵阳伦奇机器人有限公司 机器人三维拖链
CN105313141B (zh) * 2015-12-09 2017-11-24 绵阳伦奇机器人有限公司 一种机器人线缆拖链
ES1170483Y (es) * 2016-11-07 2017-02-13 Unex Aparellaje Electrico Sl "Guía articulada para cables"
FR3067419B1 (fr) * 2017-06-09 2019-07-19 Sebastien Mallinjoud Dispositif de liaison mecanique et de transmission optique et/ou electrique et/ou fluidique
JP6739105B2 (ja) * 2017-11-06 2020-08-12 株式会社国盛化学 ケーブル保護装置
DE202018103418U1 (de) 2018-06-18 2018-12-19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für hängende Anwendungen, insbesondere als Service-Loop für eine Bohranlage
CN110953300A (zh) * 2018-09-27 2020-04-03 周口师范学院 一种线缆拖链
US11258242B2 (en) * 2019-08-13 2022-02-22 BL United, LLC Modular conduit cable management assembly
DE202020106401U1 (de) 2020-11-06 2021-12-07 Igus Gmbh Ausgabevorrichtung für eine flexible Leitungsanordnung und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Fördereinheit
SE544744C2 (en) * 2021-04-01 2022-11-01 Skugga Tech Ab Hinge between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in an electr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01038C (da) * 1960-04-22 1965-02-15 Lars Benndahl Transportkæde.
ES432209A1 (es) * 1973-11-23 1976-11-01 Fmc Corp Perfeccionamientos en transportadores de cadenas de giro radial.
US5824957A (en) * 1991-09-03 1998-10-20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Proprietary) Limited Electrical cable containment
JPH09322356A (ja) * 1996-05-31 1997-12-12 Yazaki Corp 車輌の開閉部用ハーネスプロテクタ
DE19716695C1 (de) 1997-04-21 1998-12-10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kette zum stationären Führen von Leitungen
DK174401B1 (da) * 1997-05-15 2003-02-10 Raunkjaer Hans Thyge System til fremføring af bundter af ledninger
JP3792063B2 (ja) * 1999-02-03 2006-06-28 日東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保護材
IT1318950B1 (it) 2000-10-02 2003-09-19 Gianfranchi Pier Luigi Canale componibile per il confinamento di cavi elettrici e simili.
DE10216081B4 (de) 2002-04-11 2005-03-31 Kabelschlepp Gmbh Roboter mit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DE20305487U1 (de) 2003-04-03 2003-06-12 Igus Gmbh Kabelführung
DE20305677U1 (de) * 2003-04-07 2003-07-10 Igus Gmbh Kabelführung
DE20305679U1 (de) * 2003-04-07 2003-06-18 Igus Gmbh Kabelführung
DE102004048640A1 (de) * 2004-10-04 2006-04-06 Otmar Fahrion Kette
JP4376822B2 (ja) 2005-04-22 2009-12-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変形構造体およびケーブルの支持装置
DE102006030086B4 (de) * 2006-06-28 2008-04-03 Rüttiger, Maximilian, Dipl.-Ing. Koppelbares Kettenglied einer Leitungsführungsket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566A (ko) * 2020-11-24 2022-05-31 이민우 케이블수량 변동 대응형 케이블 가이드 체인
KR20220071563A (ko) * 2020-11-24 2022-05-31 이민우 케이블 수량 변동 대응 및 케이블 이탈방지 겸 충격흡수와 분진억제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가이드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24509A (ja) 2012-10-11
CA2758785A1 (en) 2010-10-21
US8266882B2 (en) 2012-09-18
CA2758785C (en) 2015-06-16
US20100275570A1 (en) 2010-11-04
EP2419978A2 (de) 2012-02-22
MX2011010893A (es) 2012-01-27
CN102449866A (zh) 2012-05-09
JP5331937B2 (ja) 2013-10-30
EP2419978B1 (de) 2015-02-11
CN102449866B (zh) 2015-08-26
KR101294859B1 (ko) 2013-08-09
WO2010119083A2 (de) 2010-10-21
BRPI1012520B1 (pt) 2019-07-02
BRPI1012520A2 (pt) 2016-03-29
WO2010119083A3 (de) 2011-06-03
DE202009005546U1 (de)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859B1 (ko) 케이블 가이드
KR100851259B1 (ko) 케이블 안내 장치
US7428808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EP2960695B1 (en) Connector for a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JP3716985B2 (ja) ケーブル類支持案内装置
KR20050003345A (ko) 라인 안내 장치를 구비한 로봇
US880749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KR20080108506A (ko) 유체 라인 커플링
ES2793930T3 (es) Tapón de puerto auto-acoplable
WO2012162497A1 (en) Three-cable port grommet washer
US10530138B2 (en) Protective member, tube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a tube
KR102473902B1 (ko) 관절식 에너지 체인
US20120066870A1 (en) Quick-fit anchoring device for anchoring a sheath of a control cable to a mounting bracket
US20100043384A1 (en) Chain Link with a Locking Device
JP2020507043A (ja) プリアセンブリを用いて二つの管を連結する装置
JP596115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4526659A (ja) チェーンリンク
JP6722162B2 (ja) 端末支持装置および端末支持装置を用いた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KR20190002877U (ko) 케이블 베이어
AU2018435067B2 (en) Valve housing assembly
KR20170090191A (ko)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KR101790661B1 (ko) 고속용 케이블 캐리어
CN115803972A (zh) 模块化插头连接器
KR20100053320A (ko) 커넥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