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191A -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191A
KR20170090191A KR1020160010750A KR20160010750A KR20170090191A KR 20170090191 A KR20170090191 A KR 20170090191A KR 1020160010750 A KR1020160010750 A KR 1020160010750A KR 20160010750 A KR20160010750 A KR 20160010750A KR 20170090191 A KR20170090191 A KR 20170090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opening
ey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287B1 (ko
Inventor
변성원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6001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2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가 오삽입 또는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엔드아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체 부품수 및 중량을 감소시키고,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시간 및 제조 단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CABLE CONNECT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 레버와 같은 조작기구의 케이블과 변속기와 같은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수동 변속기나 브레이크 등 운전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작동시키는 장치에는 레버의 조작력을 해당 변속기 또는 브레이크 등의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수동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에서 변속 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에 전달하기 위해 변속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 변속 케이블의 일단은 변속 레버에 연결되고 변속 케이블의 타단은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레버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조작할 때 운전자의 조작력이 변속 케이블을 통해 컨트롤 레버에 전달됨으로써 기어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특허공개공보 제2016-002989호에는 차량의 조작기구의 케이블과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다양한 길이의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가 역조립 또는 오조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에 관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엔드아이에 대해서 상하대칭 형상으로 구비되어, 연결구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엔드아이에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문헌의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엔드아이 이외의 별개 부재로서의 커버가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부품수가 증가될 수밖에 없고, 엔드아이에는 상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결합돌기 등)가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엔드아이의 형상이 복잡해지게 된다.
또한, 연결장치의 제조 시 커버를 엔드아이에 체결하기 위한 조립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로 인해 제조 시간 및 제조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특허공개공보 제2016-0029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가 오삽입 또는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엔드아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체 부품수 및 중량을 감소시키고,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시간 및 제조 단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가 결합되는 커넥터와, 조작기구의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엔드샤프트와, 상기 커넥터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엔드아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단의 제1 개구와 하단의 제2 개구까지 관통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 측에는 상기 제1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가 상기 엔드아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엔드아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후크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후크부는, 상기 엔드샤프트의 가상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후크부와 제2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덮히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개구에는, 상기 결합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어 접촉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가상의 연장선에 수직이면서 상기 결합홀의 중점을 지나는 직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구와 접촉하는 제1 가이드리브와 제2 가이드리브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후크부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엔드아이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후크부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엔드아이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엔드아이에 결합된다.
또한,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후크부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댐퍼 본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후크부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댐퍼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후크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 및 상기 댐퍼 본체부는 상기 엔드아이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커버를 엔드아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체 부품수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시간 및 제조 단가를 종래에 비해서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및 엔드아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의 구성 중 엔드아이의 상측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엔드아이의 하측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가 결합되는 커넥터(10), 커넥터(10)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엔드샤프트(30), 커넥터(10)에 대하여 엔드샤프트(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51), 엔드샤프트(30)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로커(20), 로커(20)가 커넥터(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는 클립(60), 및 커넥터(10)에 대하여 클립(6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넥터(10)는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와 엔드샤프트(30)를 상호간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선단 측에는 엔드샤프트(30)의 후단부(33)와 로커(20)를 수용하는 로킹공간부(11)가 형성되며, 후단 측에는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가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홀(71)을 구비한 엔드아이(70)가 일체로 형성된다.
커넥터(10)의 선단에는, 엔드샤프트(30)의 후단에 구비되는 스토퍼(4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홀(12)이 스토퍼(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엔드샤프트(30)는, 선단부(32)에 차량용 케이블이 견고하게 부착되고 후단부(33)에 스토퍼(40)가 고정된 상태로 커넥터(10)에 대해서 케이블의 길이 조정 가능방식으로 커넥터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길이 조정 및 위치 고정을 구현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0)가 부착되는 후단부(33)에 인접한 위치에는 나사산 형상의 바이트부(31)가 구비되며, 후술하는 로커(20)에는 엔드샤프트(30)의 바이트부(31)에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구비된다.
제1 탄성부재(51)는 커넥터(1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어, 스토퍼(40)를 엔드샤프트(30)의 축방향을 따라 탄력적이 밀어내어, 로킹공간부(11) 내에서 스토퍼(40)를 로커(20)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로커(20)는 커넥터(10)의 로킹공간부(11)에서 상기 엔드샤프트(3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길이 조정 및 위치 설정이 완료된 엔드샤프트(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커(20)에는 엔드샤프트(30)의 바이트부(31)에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되어, 엔드샤프트(30)의 바이트부(31)와 로커(20)의 나사산이 치합되면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으로의 이동은 로커(20)에 의해서 구속된다.
클립(60)은, 커넥터(10)의 외측에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으로 위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로커(20)가 커넥터(10)의 로킹공간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클립(60)은 원통 형상의 커넥터(10)의 외주면을 따라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로커(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커(20)의 외측에 계합하는 로킹 위치로부터 로커(20)와의 계합 상태가 해제되는 언로킹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탄성부재(52)는 커넥터(10)에 대해서 클립(6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2 탄성부재(52)의 일단은 커넥터(10)에 밀착되며 제2 탄성부재(52)의 타단은 클립(60)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클립(60)은 제2 탄성부재(52)에 의해서 상기 로킹 위치로 탄력적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은 제2 탄성부재(52)의 구성을 통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2 탄성부재(52)에 의해서 클립(60)은 로커(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압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10), 엔드샤프트(30), 제1 탄성부재(51), 로커(20), 클립(60), 및 제2 탄성부재(52)에 관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 구성 중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전술한 커넥터(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도 6의 1)가 삽입되는 결합홀(71)을 구비하는 엔드아이(70)를 포함하되, 결합홀(71)의 상하 개구 중에서 어느 하나를 덮는 커버(72)가 엔드아이(7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구(1)가 상기 제2 개구(71b)로부터 삽입되어 엔드아이(7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4에는 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상단의 제1 개구(71a)와 하단의 제2 개구(71b)까지 관통되어 연장되는 결합홀(71)의 제1 개구(71a)와 제2 개구(71b) 중에서 제1 개구(71a)를 덮는 커버(72)가 엔드아이(7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3 이하에는 제1 개구(71a) 측에 커버(72)가 엔드아이(7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개구(71b) 측에 커버(72)가 형성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고 볼 것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개구(71a) 측에 커버(72)가 엔드아이(70)와 일체로 형성되고,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가 제2 개구(71b)를 통해 삽입되어 엔드아이(70)에 결합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가 엔드아이(70)의 결합홀(71)에 오삽입 또는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72)가 결합홀(71)의 제1 개구(71a) 측에 엔드아이(7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달리 엔드아이(70)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엔드아이(70)에 커버(72)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연결장치의 조립을 위한 제조 시간 및 제조 단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2)가 제1 개구(71a)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개구(71a)의 전체를 덮는 구성에 비해서 엔드아이(70)의 중량 및 제조 단가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커버(72)는 결합홀(71)의 제1 개구(71a)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는 구조로서, ‘ㄷ’자 형상을 갖는 일종의 브릿지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71a)의 지름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부분은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엔드아이(70)의 결합홀(71)의 내측면에는 결합홀(71)로 삽입된 연결구(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후크부가 구비되며, 복수의 후크부의 후크돌기(도 6의 74a)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의 단차홈(11)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연결구(1)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들 복수의 후크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71)의 내주면에 엔드아이(7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후술하는 제2 실시예와 같이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엔드아이(70)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후크부가 엔드아이(7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커버(72)와 같이 엔드아이(70)의 사출성형시 엔드아이(70)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후크부는 제1 후크부(73)와 제2 후크부(74)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사출성형 시의 성형성 및 금형의 구조를 고려하여, 제1 후크부(73)와 제2 후크부(74)는 엔드샤프트(30)의 가상의 연장선 즉,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여, 제1 후크부(73)와 상기 제2 후크부(74)는 상기 커버(72)에 의해서 덮이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후크부의 형상은 연결구(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 6과 같이 연결구(1)가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진행하면서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1 후크부(73)와 제2 후크부(74) 사이의 폭은 결합홀(71)의 제2 개구(71b)로부터 제1 개구(71a)로 진행하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제2 개구(71b)에 결합홀(7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가 삽입되어 접촉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구비된다.
도 5에는 예시적으로 복수의 결합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결합돌기(75)와 제2 결합돌기(76)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연결구(1)가 결합홀의 중심축방향(Y-Y’방향)을 따라 엔드아이(70)의 결합홀(71)로 삽입되면, 제1 결합돌기(75)와 제2 결합돌기(76)는 연결구(1)의 결합부(12)에 밀착되어 케이블의 장력과 하중을 연결구(1)의 결합부(1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의 장력 및 하중이 전달되는 관계를 고려하여, 제1 결합돌기(75)와 제2 결합돌기(76)는, 전술한 가상의 연장선에 수직이면서 결합홀(71)의 중점(O)을 지나는 직선(Z-Z’)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결합돌기(75)와 제2 결합돌기(76)는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엔드아이(70)의 결합홀(71)과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의 접촉 부분을, 제2 개구(71b)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이 되도록 제한하고, 각각의 결합돌기들(75, 76)과 각각의 후크부들(73, 74) 사이에는 홈부(79)를 형성함으로써, 엔드아이(70)의 중량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제1 결합돌기(75)와 제2 결합돌기(76)는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을 따라 배열하도록 하여 케이블의 장력 또는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2점 결합 구조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나,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결합 구조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 후크부(73)와 제2 후크부(74)의 반경방향 내측면에는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와 접촉하는 제1 가이드리브(77)와 제2 가이드리브(78)가, 엔드샤프트(30)의 길이방향(X-X’방향)에 수직한 방향(Z-Z’ 방향)으로 따라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의 직접적인 장력 또는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방향(Z-Z’ 방향)에 대한 결합 구조를 위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1 결합돌기(75)와 제2 결합돌기(76) 보다는 폭이 더 협소한 구조를 갖는 단순 리브 구조를 제1 후크부(73)와 제2 후크부(74)의 내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엔드아이(70)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엔드아이(70)와 연결구(1) 사이의 4점 결합 구조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복수의 후크부 및 복수의 결합돌기가 엔드아이(70)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엔드아이(70)는 차량의 변속기 등에 해당하는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1)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피조작 기구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은 엔드아이(70), 엔드샤프트(30) 및 케이블을 통해 운전자에게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1)에 직접 접촉하는 복수의 후크부와 복수의 결합돌기의 재질을 엔드아이(70)와 다른 재질, 바람직하게는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엔드아이(70)보다 진동 흡수 성능이 우수하며, 엔드아이(70)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엔드아이(70)와 다른 재질로서 진동 흡수 성능이 우수하며 엔드아이(70)보다 더 높은 탄성 재질을 가지는 동시에, 내부에 결합홀(71)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댐퍼 본체부(80)를 포함하며, 이 때 복수의 후크부와 복수의 결합돌기는 댐퍼 본체부(8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크부(83) 및 제2 후크부(84)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크부와, 제1 결합돌기(85) 및 제2 결합돌기(86)를 포함하는 복수의 결합돌기는 댐퍼 본체부(8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이들 구성이 일체화되어 형성된 댐퍼 본체부(80)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엔드아이(70)에 결합된다.
한편, 제1 후크부(83)의 내측면 및 제2 후크부(84)의 내측면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각 제1 가이드리브(87)와 제2 가이드리브(88)가 구비되며, 그리고 각각의 결합돌기들(85, 86)과 각각의 후크부들(83, 84) 사이에는 홈부(89)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커넥터
20: 로커
30; 엔드샤프트
40; 스토퍼
51; 제1 탄성부재
52; 제2 탄성부재
60: 클립
70; 엔드아이
71: 결합홀
72: 커버
73: 제1 후크부
74; 제2 후크부
75; 제1 결합돌기
76; 제2 결합돌기
77; 제1 가이드리브
78; 제2 가이드리브
80: 댐퍼 본체부

Claims (11)

  1. 차량의 조작기구의 케이블과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를 연결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로서,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가 결합되는 커넥터;
    조작기구의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엔드샤프트; 및
    상기 커넥터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피조작 기구의 연결구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엔드아이;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단의 제1 개구와 하단의 제2 개구까지 관통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 측에는 상기 제1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가 상기 엔드아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엔드아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결합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후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후크부는, 상기 엔드샤프트의 가상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후크부와 제2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덮이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개구에는, 상기 결합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어 접촉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가상의 연장선에 수직이면서 상기 결합홀의 중점을 지나는 직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구와 접촉하는 제1 가이드리브와 제2 가이드리브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후크부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엔드아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후크부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엔드아이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엔드아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10. 제9항에서,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후크부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댐퍼 본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후크부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댐퍼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후크부,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 및 상기 댐퍼 본체부는 상기 엔드아이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KR1020160010750A 2016-01-28 2016-01-28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KR10179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750A KR101799287B1 (ko) 2016-01-28 2016-01-28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750A KR101799287B1 (ko) 2016-01-28 2016-01-28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191A true KR20170090191A (ko) 2017-08-07
KR101799287B1 KR101799287B1 (ko) 2017-11-20

Family

ID=5965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750A KR101799287B1 (ko) 2016-01-28 2016-01-28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2350B2 (en) * 2013-11-28 2019-07-16 Zf Friedrichshafen Ag Cable pull with guide bushing and length compensation, transmission arrangement with a cable pul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94Y1 (ko) 2003-12-16 2004-06-10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기어변속케이블의 길이조정 취부소켓
KR200418219Y1 (ko) 2006-03-27 2006-06-0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의 케이블 연결구 커버장치
KR101526074B1 (ko) * 2013-12-17 2015-06-0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케이블 연결 및 길이 조정 장치
WO2016002989A1 (ko) * 2014-07-03 2016-01-07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케이블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2350B2 (en) * 2013-11-28 2019-07-16 Zf Friedrichshafen Ag Cable pull with guide bushing and length compensation, transmission arrangement with a cable pu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287B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829B2 (en) Button structure of shift knob
EP2626240B1 (en) Assist grip
KR101209985B1 (ko) 수동 변속기용 셀렉트 케이블의 엔드 커넥터
EP1787890A1 (en) Steering unit
EP2535604B1 (en) Motion transmitting remote control assembly having a terminal body with a transverse opening
US9285823B2 (en) Shifting structure
KR102017441B1 (ko) 케이블 연결 기구
HU220546B1 (hu) Állítószerkezet porszívó teleszkópos szívócsövéhez
KR101799287B1 (ko)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US20130221665A1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JP6684452B2 (ja) ハーネスガイド
WO2012108120A1 (ja) クリップ及び結合構造
WO2015076248A1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6438050B2 (ja) 保持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保持装置に配置するためのピン
KR101664753B1 (ko) 변속 노브 조립체
KR20180133447A (ko) 토션바 스프링
CA2584946C (en) Mounting assembly with releasable lock
JPWO2018079209A1 (ja) 燃料タンクの内蔵部品の取付構造
KR101746473B1 (ko)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 구조
CN109955744B (zh) 用于车辆的座椅倾斜器
KR101173682B1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JP5713860B2 (ja) 固定機構及び自動車用ミラーアセンブリー
KR20120007070U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WO2015098542A1 (ja) シフトレバー装置
EP1493933A1 (en) A connection device for an end of a control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