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682B1 -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 Google Patents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682B1
KR101173682B1 KR1020110031001A KR20110031001A KR101173682B1 KR 101173682 B1 KR101173682 B1 KR 101173682B1 KR 1020110031001 A KR1020110031001 A KR 1020110031001A KR 20110031001 A KR20110031001 A KR 20110031001A KR 101173682 B1 KR101173682 B1 KR 101173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ocket
bush
socket member
cab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인섭
임정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3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682B1/ko
Priority to US13/116,935 priority patent/US86463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제1케이블, 제2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이 결합되고, 그 제1케이블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동축유지보스를 구비하는 제1인너; 상기 제2케이블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너와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동축유지보스를 동축상에 수용하는 동축유지홈을 구비하는 제2인너; 및 상기 제1인너와 제2인너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상기 방진부재와 함께 결속 및 폐쇄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Automobile cable engagement socket}
본 발명은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전달을 위해 동축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케이블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그 한 쌍의 케이블들의 결합부위를 폐쇄시키는 소켓부재의 내면과 그 케이블들 간의 마찰을 줄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 후에도 정밀한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부품 간 동력전달을 위하여 케이블들이 사용되고 있다. 즉, 자동차 동력전달용 케이블들은, 운전석 근처의 연료레버와 차체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연료커버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차체 내의 변속레버와 엔진룸의 변속기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자동차 동력전달용 케이블들은, 서로 동축선 상에 마주하게 배치되고 그 마주하는 단부들이 결합됨으로써 원거리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케이블들의 결합부위는 차체 내에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켓부재 내에 위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용 케이블들과 소켓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관용적으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이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상기 케이블들의 마주하는 단부들이 결합되어 있는 부위가 소켓부재 내에서 틸팅되거나 휘어지게 됨으로써, 소켓부재의 내면에 접촉되어 마찰을 일으키게 됨에 따라 부품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나아가 케이블들을 통한 동력전달이 상기 마찰로 인하여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동력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용 부품들 간 마찰을 줄여 제품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후에도 동력전달의 정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제1케이블, 제2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이 결합되고, 그 제1케이블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동축유지보스를 구비하는 제1인너; 상기 제2케이블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너와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동축유지보스를 동축상에 수용하는 동축유지홈을 구비하는 제2인너; 및 상기 제1인너와 제2인너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상기 방진부재와 함께 결속 및 폐쇄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제1인너와 제2인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인너의 동축유지보스가 관통하는 방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인너의 제1인너와 마주하는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인너의 제1인너와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부시의 수용공간에 그 부시를 변형시키면서 삽입되되, 그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선단측이 최소반경, 선단측에서 반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시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인너의 테이퍼부의 최대반경측에 걸리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시는, 상기 분할슬릿과 함께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제1인너와 제2인너들 간의 상대적인 틸팅 혹은 케이블의 휘어짐에 의해 인너와 케이블이 소켓부재의 내면에 접촉되어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마찰로 인하여 부품의 내구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마찰을 초래하지 않고 정밀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제품을 장시간 사용한 이후에도 동작성능 혹은 감음성(민감도)이 떨어지지 않는 장점을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소켓부재들의 연결을 위한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소켓부재들의 연결을 위한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제1케이블(151), 제2케이블(152))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와 하우징(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요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인너(201)는, 자동차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151)(152)들 중 제1케이블(151)이 결합되고, 그 제1케이블(151)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동축유지보스(201a)를 구비한다.
상기 제2인너(202)는, 상기 제1케이블(151)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케이블(152)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너(20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동축유지보스(201a)를 동축상에 수용하는 동축유지홈(20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의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방진부재(190)가 배치되고, 상기 제1인너(201)의 동축유지보스(201a)는 상기 방진부재(190)를 관통하여 상기 제2인너(202)의 동축유지홈(202a)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는 상기 방진부재(19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 사이에 방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진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진부재(19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1인너(201)의 동축유지보스(201a)가 제2인너(202)의 동축유지홈(202a)에 삽입됨으로써 제1인너(201)의 제2인너(202)에 대한 틸팅이나 제1케이블(151)의 제2케이블(152)에 대한 휘어짐 혹인 제2인너(202)의 제1인너(201)에 대한 틸팅이나 제2케이블(152)의 제1케이블(151)에 대한 휘어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진부재(190)가 채용되지 않도록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170)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상기 방진부재(190)와 함께 결속 및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재들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동력전달을 위한 힘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 인너들 간의 틸팅 혹은 케이블들 간의 휘어짐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가 동축유지보스(201a)와 동축유지홈(202a)을 통해 서로 동축상에서 함께 틸팅되도록 결속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70) 내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인너들(201)(202) 간의 틸팅이 발생하지 않고 케이블들 간의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 소켓부재들 내에서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와 하우징(170)이 서로 동축상에서 직선운동만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들 간의 상대적인 틸팅 혹은 케이블(151)(152)의 휘어짐에 의해 인너(201)(202)와 케이블(151)(152)이 소켓부재(110)(120)의 내면에 접촉되어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마찰로 인하여 부품의 내구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마찰을 초래하지 않고 정밀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제품을 장시간 사용한 이후에도 동작성능 혹은 감음성(민감도)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너(202)의 선단을 수용하는 부시(180)는, 그 부시(180)의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슬릿(181)과, 그 분할슬릿(181)과 함께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터짐부(182)들을 구비한다. 상기 터짐부(182)들은, 상기 분할슬릿(181)과 함께 부시(180)의 탄성변형을 더욱 원활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2인너(202)의 부시(180)에 대한 삽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부시(180)의 내주면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턱(18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턱(183)은, 상기 제2인너(202)의 테이퍼부(202b)의 최대반경 측에 걸리는 부분으로, 상기 제2인너(202)가 부시(180)에 삽입된 이후에 그 제2인너(202)의 임의이탈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인너(202)는 테이퍼부(202b)블 구비한다. 즉, 상기 테이퍼부(202b)는 선단측이 최소반경을 가지고, 그 선단 측에서 반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이 커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인너(202)의 부시(180)에 대한 삽입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요부에 대한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다른 구성에 대해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의 결합부위를 폐쇄시키는 하우징(170)을 감싸는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소켓부재(110)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151)(152)들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블(151)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소켓부재(110)는 상기 제1케이블(151)의 연장방향(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에 결합되는 톱니부(111)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위치고정은, 상기 제1소켓부재(110)의 톱니부(1111)와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1소켓부재(110)는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의 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톱니부(111)가 형성되도록 성형됨으로써, 그 제1소켓부재(110)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채용되는 제1소켓부재(110)는 구성이 간소하고 제품성형을 위한 금형제작의 용이함에 의해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소켓부재(120)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레그(121)를 가진다. 상기 탄성레그(121)는 상기 톱니부(1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톱니부(1111)에 치합되는 치합부(121a)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140)과 위치고정부재(130)가 채용되었다.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의 탄성변형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가 도 2 및 도 5와 같이 상기 스프링(140)에 의해 눌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치합부(121a)가 도 6과 같이 스프링(1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2소켓부재(120)가 제1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30)는, 상기 스프링(140)을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후퇴시킬 수 있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 스프링(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재(130)는, 상기 스프링(140)을 가압하여 도 6과 같이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와 제1소켓부재(110)의 톱니부(111)의 치합상태가 해제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140)이 도 5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 상태에서는 상기 치합부(121a)와 톱니부(111)가 서로 치합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재(130)가 스프링(140)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탈거되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121b)와 걸림턱(1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1b)는 제2소켓부재(120)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131)은 위치고정부재(130)에 구비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30)의 걸림턱(131)이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스토퍼(121b)에 걸림으로써, 위치고정부재(130)의 제2소켓부재(120)에 대한 탈거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 위치고정부재(130)는, 상기 케이블(151)(152)의 연장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을 위한 부품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그 성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와 위치고정부재(130)가 모두 상기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비대칭 요소가 구비되지 않아도 됨으로써 제품 성형을 위한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제품의 구성이 간소화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치고정부재(130)를 가압하여 스프링(140)을 후퇴시킨 후 그 가압력을 해제하여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간의 1차 결합 이후에 분리가 요구된 경우에 그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를 손상 또는 파손 없이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케이블(151)과 제2케이블(152)의 제1소켓부재(110)에 대한 상대이동시에, 그 케이블(151)(152)들과 제1소켓부재(110)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너(161)(16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너(161)(162)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1케이블(151) 사이 및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 제2케이블(152)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케이블(151)과 제2케이블(152)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가 결합되는 경우에 제1소켓부재(110)의 제2소켓부재(120)에 대한 접근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서로 치합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소켓부재(110)의 제2소켓부재(120)와 대향하는 단부 측에 접촉되는 스프링(210)을 구비한다.
즉, 상기 스프링(210)은 상기 제1소켓부재(110)가 제2소켓부재(120) 측으로 지나치게 접근됨으로써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정위치에서 배열되지 못하여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10:제1소켓부재 111:톱니부
120:제2소켓부재 121:탄성레그
121a:치합부 121b:스토퍼
130:위치고정부재 131:걸림턱
140:스프링 151:제1케이블
152:제2케이블 161,162:라이너
170:하우징 180:부시
181:분할슬릿 182:터짐부
183:이탈방지턱 190:방진부재
201:제1인너 201a:동축유지보스
202:제2인너 202a:동축유지홈
202b:테이퍼부 210:스프링

Claims (5)

  1.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제1케이블, 제2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151)이 결합되고, 그 제1케이블(151)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동축유지보스(201a)를 구비하는 제1인너(201);
    상기 제2케이블(152)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너(201)와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동축유지보스(201a)를 동축상에 수용하는 동축유지홈(202a)을 구비하는 제2인너(202); 및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상기 방진부재(190)와 함께 결속 및 폐쇄시키는 하우징(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연결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70) 내의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인너(201)의 동축유지보스(201a)가 관통하는 방진부재(19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7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인너(202)의 제1인너(201)와 마주하는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슬릿(181)이 형성되어 있는 부시(180);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인너(202)의 제1인너(201)와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부시(180)의 수용공간에 그 부시(180)를 변형시키면서 삽입되되, 그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선단측이 최소반경, 선단측에서 반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이 커지는 테이퍼부(20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18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인너(202)의 테이퍼부(202b)의 최대반경측에 걸리는 이탈방지턱(18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180)는, 상기 분할슬릿(181)과 함께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짐부(1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KR1020110031001A 2010-05-28 2011-04-05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KR101173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001A KR101173682B1 (ko) 2011-04-05 2011-04-05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US13/116,935 US8646355B2 (en) 2010-05-28 2011-05-26 Automobile cable so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001A KR101173682B1 (ko) 2011-04-05 2011-04-05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682B1 true KR101173682B1 (ko) 2012-08-13

Family

ID=4688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001A KR101173682B1 (ko) 2010-05-28 2011-04-05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51B1 (ko) * 2011-05-31 2013-01-21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KR200467767Y1 (ko) 2011-04-05 2013-07-04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163A (ja) 2004-11-16 2008-06-19 エフシーアイ 二次的な係止部を備えたプラグ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163A (ja) 2004-11-16 2008-06-19 エフシーアイ 二次的な係止部を備えたプラグコネク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67Y1 (ko) 2011-04-05 2013-07-04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KR101224151B1 (ko) * 2011-05-31 2013-01-21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887B2 (en) Shutter assembly
JP6573688B2 (ja) 軸方向連結補助部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506851B2 (ja) ロック装置を備えたプラグコネクタ
US9645324B2 (en) Optical connector
CN102844949B (zh) 用于线束的护线环
KR101534930B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JP5764023B2 (ja) コネクタ
US8646355B2 (en) Automobile cable socket
JP2011146235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WO2018116570A1 (ja) コネクタ
US7648286B2 (en) Shutter assembly
KR101173682B1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KR101075191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KR200467767Y1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JP2006049094A (ja) コネクタ
KR101325495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WO2013058400A1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支持装置
KR100857216B1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장치
JP2014203647A (ja) コネクタ
WO2012118146A1 (ja) コネクタ
KR101383412B1 (ko) 자동차용 동력 연결 유닛
JP7190415B2 (ja) 嵌合構造および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長さ調節機構
JP5346855B2 (ja) 光コネクタ
KR101281619B1 (ko) 자동차 동력전달용 케이블 연결장치
KR101799287B1 (ko)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