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151B1 -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151B1
KR101224151B1 KR1020110052238A KR20110052238A KR101224151B1 KR 101224151 B1 KR101224151 B1 KR 101224151B1 KR 1020110052238 A KR1020110052238 A KR 1020110052238A KR 20110052238 A KR20110052238 A KR 20110052238A KR 101224151 B1 KR101224151 B1 KR 10122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elastic
coupled
binding memb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537A (ko
Inventor
이호철
양승철
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5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15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22Adjusting; Compensating length
    • F16C1/223Adjusting; Compensating length by adjusting the effective length of the flexi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4Construction of the end-piece of the flexible member; Attachment thereof to the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16C11/069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with at least one separate part to retain the ball member in the socket; Quick-releas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는, 변속레버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변속기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결합구본체; 상기 결합구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되어서, 변속레버와 변속기 간에 서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부재; 상기 방진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1결속부재; 상기 제1결속부재의 내측에 삽입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레그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기의 연결레버가 상기 탄성레그들의 변형동작에 의해 결합되는 부시; 상기 제1결속부재에 결합되어서, 그 제1결속부재와 함께 상기 방진부재와 부시를 상기 결합구본체 내에 위치고정시키는 제2결속부재; 및 상기 부시를 상기 결합구본체 내에서 위치이동시켜서 그 부시의 탄성레그들의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결속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부시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One-touch combination type automobile cable eng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부품에 해당하는 변속레버와 변속기 간의 동력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을, 변속레버 측와 변속기 측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유니트의 구조에 있어서, 작업자의 연결작업 및 분리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이 2007년 6월 1일자로 출원하여 2008년 9월 5일자로 등록공고된 자동차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장치는, 부품의 경량화를 달성하고 부품 간 조립작업의 효율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킨 장점을 도출하기는 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레버(B)가 제1탄성변형부(4)에 억지끼워 맞춤됨으로써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끼움작업이 그리 용이하지 않은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상기 제1탄성변형부(4)는 제2탄성변형부(5)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레버(B)가 결합되는 경우에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연결레버(B)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제2탄성변형부(5)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탄성변형부(4)의 연결레버(B)를 수용할 만큼의 미세한 변형만이 이루어질 뿐이어서, 작업자는 연결레버(B)를 제1탄성변형부(4)에 억지끼우는 작업에 큰 힘을 들여야만 했고, 나아가 상기 제1탄성변형부(4)와 연결레버(B) 간의 분리작업시에는 더욱 큰 힘이 요구됨에 따라 작업자의 불편함을 초래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기와 변속레버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복수의 부품들 간의 연결작업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는, 변속레버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변속기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결합구본체; 상기 결합구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되어서, 변속레버와 변속기 간에 서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부재; 상기 방진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1결속부재; 상기 제1결속부재의 내측에 삽입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레그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기의 연결레버가 상기 탄성레그들의 변형동작에 의해 결합되는 부시; 상기 제1결속부재에 결합되어서, 그 제1결속부재와 함께 상기 방진부재와 부시를 상기 결합구본체 내에 위치고정시키는 제2결속부재; 및 상기 부시를 상기 결합구본체 내에서 위치이동시켜서 그 부시의 탄성레그들의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결속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부시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시는, 상기 각 탄성레그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와 간격을 두고 그 부시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제2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은 연결로드를 통해 상기 결합구본체의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연결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의 연결부에 대한 이동허용 및 이동규제를 하기 위한 이동규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상기 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이동규제구멍과, 상기 이동규제구멍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이동규제구멍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록킹부재의 위치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부재와, 상기 위치고정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는, 부시의 하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그 부시가 외주면에 배치된 스프링을 탄성 가압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탄성레그들 사이의 거리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레버와 부시 간의 결합작업이 수월하게 되어 부품 간 연결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하고, 반대로 부시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가압한 이후 탄성레그들이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연결레버를 잡아 당기는 과정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부품 간 분리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변속기측 연결레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변속기측 연결레버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연결로드가 결합구본체에 위치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연결로드가 결합구본체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변속기측 연결레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변속기측 연결레버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연결로드가 결합구본체에 위치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연결로드가 결합구본체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는, 변속레버(미도시)로부터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변속기(미도시)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구본체(10)와 방진부재(20)와 제1결속부재(30)와 부시(40)와 제2결속부재(50)와 탄성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구본체(10)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부(14)와, 상기 연결부(14)와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을 연결로드(80)를 통해 상기 연결부(14)에 결합된다. 즉, 상기 케이블은 연결로드(80)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로드(80)는 상기 결합구본체(10)의 연결부(14)에 결합됨으로써, 케이블과 결합구본체(10) 간의 동력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의 연결로드(80)에 결합되는 단부를 일단부라 할 때, 그 케이블의 타단부는 자동차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변속레버 측에 동력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측의 연결레버(R)가 상기 결합구본체(10) 측에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변속레버와 변속기 간의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구본체(10)의 관통공(12a)에는,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와 변속기 간에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20)가 삽입된다. 즉, 상기 방진부재(20)는, 고무 재질과 같은 완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변속기에서 변속레버 측에 전달되는 진동 또는 변속레버 측에서 변속기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결속부재(30)와 제2결속부재(50)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구본체(10) 내에 배치되는 방진부재(20) 및 부시(40)를 그 결합구본체(10)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결속부재(30)는 상기 방진부재(20)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탄성편(3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속부재(50)는 상기 제1탄성편(32)이 변형 후 복원되면서 걸리도록 하는 걸림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속부재(30)와 제2결속부재(50)의 내측에는, 상기 부시(40)와 함께 그 부시(40)의 외주를 둘러서 배치되는 탄성부재(6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결속부재(30)와 제2결속부재(50)의 내측에 부시(40)와 탄성부재(60)가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결속부재(30)와 제2결속부재(50)가 상기 결합구본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됨으로써, 방진부재(20)와 부시(40)와 탄성부재(60)를 결합구본체(10) 내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결속부재(30)와 제2결속부재(50) 간의 결합에 의해 방진부재(20)와 부시(40)와 탄성부재(60)를 결합구본체(10) 내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변속레버와 변속기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부품들 간의 조립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인건비의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양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부시(4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레그(42)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부시(40)가 채택된 본 발명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시(40)의 하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그 부시(40)가 외주면에 배치된 스프링(60)을 탄성 가압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탄성레그(42)들 사이의 거리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레버(R)와 부시(40) 간의 결합작업이 수월하게 되어 부품 간 연결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반대로, 상기 연결레버(R)와 부시(40)는, 상기 부시(40)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가압한 이후 탄성레그(42)들이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연결레버(R)를 잡아 당기는 과정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부품 간 분리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60)로는 스프링이 채용되었다. 상기 부시(40)는 상기 각 탄성레그(42)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스토퍼(42a)와, 그 제1스토퍼(42a)와 간격을 두고 부시(40)의 외면에 배열된 제2스토퍼(42b)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60)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42a)와 제2스토퍼(42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부시(40)의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그 부시(4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연결로드(80)의 연결부(14)에 대한 이동허용 및 이동규제를 선택적으로 하기 위한 이동규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이동규제구멍(14a)과 록킹부재(72)와 위치고정부재(74)와 스프링(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규제구멍(14a)은, 상기 결합구본체(10)의 연결부(14)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72)는 상기 이동규제구멍(14a)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재(74)는 상기 록킹부재(72)가 이동규제구멍(14a)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록킹부재(72)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프링(76)은, 상기 위치고정부재(74)를 탄성적으로 가압시킴으로써 그 위치고정부재(74)의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록킹부재(72)의 내면에는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진 맞물림부(72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로드(80)의 외면에는 상기 맞물림부(72a)에 결합되는 결합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8과 같이 위치고정부재(74)가 연결부(14)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부재(72)와 연결로드(80)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80)와 변속레버 간의 상대적인 거리가 결정되고, 도 9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부재(74)가 스프링(7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72)가 결합구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록킹부재(72)와 연결로드(80)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연결로드(80)의 결합구본체(10)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여 연결로드(80)와 변속레버 간의 상대적인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이동규제수단이 구비된 본 실시예는, 연결로드(80)와 변속레버 간의 상대위치, 즉 변속기측의 연결레버(R)와 변속레버 간의 상대적인 거리 조절이 가능한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부호 90은 상기 연결로드의 결합구본체로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이고, 92는 상기 연결로드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결합구본체 12:본체부
12a:관통공 14:연결부
14a:이동규제구멍 20:방진부재
30:제1결속부재 32:탄성편
40:부시 42:탄성레그
42a:제1스토퍼 42b:제2스토퍼
50:제2결속부재 52:걸림공
60:탄성부재 72:록킹부재
72a:맞물림부 74:위치고정부재
76:스프링 80:연결로드
82:결합부 90:가이드부재
92:스프링 R:연결레버

Claims (3)

  1. 변속레버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변속기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부(14)와, 상기 연결부(14)와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2)를 구비하는 결합구본체(10);
    상기 결합구본체(10)의 관통공(12a)에 삽입되어서, 변속레버와 변속기 간에 서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방진부재(20);
    상기 방진부재(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1결속부재(30);
    상기 제1결속부재(30)의 내측에 삽입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레그(4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기의 연결레버(R)가 상기 탄성레그(42)들의 변형동작에 의해 결합되는 부시(40);
    상기 제1결속부재(30)에 결합되어서, 그 제1결속부재(30)와 함께 상기 방진부재(20)와 부시(40)를 상기 결합구본체(10) 내에 위치고정시키는 제2결속부재(50); 및
    상기 부시(40)를 상기 결합구본체(10) 내에서 위치이동시켜서 그 부시(40)의 탄성레그(42)들의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결속부재(30)의 내측에서 상기 부시(4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40)는, 상기 각 탄성레그(42)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토퍼(42a)와, 상기 제1스토퍼(42a)와 간격을 두고 그 부시(4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제2스토퍼(42b)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제1스토퍼(42a)와 제2스토퍼(42b)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연결로드(80)를 통해 상기 결합구본체(10)의 연결부(14)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로드(80)는 상기 연결부(14)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80)의 연결부(14)에 대한 이동허용 및 이동규제를 하기 위한 이동규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동규제수단은, 상기 연결부(14)에 관통형성된 이동규제구멍(14a)과, 상기 이동규제구멍(14a)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록킹부재(72)와, 상기 록킹부재(72)가 상기 이동규제구멍(14a)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록킹부재(72)의 위치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부재(74)와, 상기 위치고정부재(74)를 탄성적으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4)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스프링(9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KR1020110052238A 2011-05-31 2011-05-31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KR101224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238A KR101224151B1 (ko) 2011-05-31 2011-05-31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238A KR101224151B1 (ko) 2011-05-31 2011-05-31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537A KR20120133537A (ko) 2012-12-11
KR101224151B1 true KR101224151B1 (ko) 2013-01-21

Family

ID=4751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238A KR101224151B1 (ko) 2011-05-31 2011-05-31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51B1 (ko) 2013-04-11 2014-04-08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주차모드 수동 해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16341C1 (en) 2013-02-14 2018-07-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Self engaging port plug
KR101383412B1 (ko) * 2013-03-28 2014-04-08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용 동력 연결 유닛
KR101366825B1 (ko) * 2013-09-03 2014-02-25 임영수 차량용 작동 케이블을 위한 아이엔드 어셈블리
CN104389891A (zh) * 2014-11-07 2015-03-04 宁波汽车软轴软管有限公司 自动挡拉线可调安装活动头
CN106122366B (zh) * 2016-08-25 2018-07-20 上海蓝恩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换挡拉索的减震接头
KR101986138B1 (ko) 2018-01-15 2019-06-05 경창산업주식회사 볼 조인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789A (ja) * 1998-07-09 2002-07-09 レオポルト・コスタ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電気差込コネクタ
KR200359882Y1 (ko) * 2004-06-11 2004-08-21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차량용 컨트롤케이블의 연결장치
KR100857216B1 (ko) * 2007-06-01 2008-09-05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 연결장치
KR101173682B1 (ko) * 2011-04-05 2012-08-13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789A (ja) * 1998-07-09 2002-07-09 レオポルト・コスタ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電気差込コネクタ
KR200359882Y1 (ko) * 2004-06-11 2004-08-21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차량용 컨트롤케이블의 연결장치
KR100857216B1 (ko) * 2007-06-01 2008-09-05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 연결장치
KR101173682B1 (ko) * 2011-04-05 2012-08-13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51B1 (ko) 2013-04-11 2014-04-08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주차모드 수동 해제 장치
CN104100712A (zh) * 2013-04-11 2014-10-15 庆昌产业株式会社 用于线控换档型自动变速器的驻车模式手动释放装置
CN104100712B (zh) * 2013-04-11 2016-06-29 庆昌产业株式会社 用于线控换档型自动变速器的驻车模式手动释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537A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151B1 (ko) 원터치 체결방식의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US9518628B2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US20160258474A1 (en) Cable Connection Apparatus for Vehicles
CN105782338A (zh) 一种承载轴减震器
US10428893B2 (en) Vehicular body reinforcing device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CN103148160B (zh) 汽车减振器液压缓冲保护装置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JP2016090327A (ja) オイルレベルゲージ
KR101642835B1 (ko) 수동식 차량시트 고정장치
EP3705741A1 (en) Terminal support device and control cable assembly using terminal support device
KR101743447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CN107600053B (zh) 车辆手刹用的手刹压杆及加工方法
GB2460133A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KR101849468B1 (ko)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결합구조
CN203730483U (zh) 一种帐篷伸缩管的定位机构
KR101746473B1 (ko)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 구조
CN102697221A (zh) 滑动式松紧皮带
JP5277101B2 (ja) 防振装置
KR101902417B1 (ko)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JP4644526B2 (ja) 油圧緩衝器の減衰力発生バルブ構造
KR20130001784A (ko) 변속기어 시프트 레버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49808Y1 (ko)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CN206958122U (zh) 车辆用离合器分离轴承组装体
KR101684185B1 (ko) 기어 레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8